KR100677887B1 -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887B1
KR100677887B1 KR1020050089552A KR20050089552A KR100677887B1 KR 100677887 B1 KR100677887 B1 KR 100677887B1 KR 1020050089552 A KR1020050089552 A KR 1020050089552A KR 20050089552 A KR20050089552 A KR 20050089552A KR 100677887 B1 KR100677887 B1 KR 10067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conditioner
dustproof
hol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창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1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파이프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에 있어서, 방진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직경이 다른 통공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방진몸체와, 방진몸체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방진몸체와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결속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다양한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부품의 대량화로 인한 제조원가 절감 및 작업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Weight Rubber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가 파이프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가 파이프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파이프 2 : 방진몸체
3 : 고정부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면서 다양한 지름을 가진 파이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실내 열교환기, 전자 팽창 밸브,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관, 실내 및 실외 횡류팬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공기가 실내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게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여 실내를 냉난방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교환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는 저압의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에 고온고압의 냉매를 유입시킨다.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전달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와 응축기를 통하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여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저온고압의 액냉매로 전환시킨다.
한편, 응축기에서 토출된 저온저압의 액냉매는 모세관을 통과하는데 모세관은 응축기에서 토출된 저온고압의 액냉매를 감압하여 증발기에서 증발하기 쉬운 상태로 조정하고 일정한 비율로 냉매가 흐르도록 한다. 모세관을 통과한 액냉매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변하여 증발기로 유입되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사이에 파이프를 연결하여 냉매가 순환되도록 한다.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이러한 파이프 상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쇠시키고 소음이나 충격도 일부 완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3-210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대략 원통형상의 방진몸체의 중심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는 통공부가 마련된다. 통공부는 방진몸체가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개방부가 마련된다. 또한, 방진몸체의 외주면에는 방진장치를 파이프에 설치하 기 위하여 둘러싸는 결속와이어가 안착되는 결속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통공부가 방진몸체에 한 개만 형성되므로 파이프의 지름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방진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제조시 공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진장치가 소량으로 다양하게 구비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진기능은 그대로 가지면서도 다양한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에 공용으로 설치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파이프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되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직경이 다른 통공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방진몸체와, 상기 방진몸체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진몸체와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결속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진몸체는 중심에 직경이 가장 큰 통공부가 형성되며 그 양 측면에 서로 직경이 다른 통공부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진몸체는 진동은 방지하면서도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파이프의 수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통공부들이 서로 연통되 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진몸체는 일측에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곳의 반대편에 가장 직경이 작은 통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진몸체는 대략 중심부에 가장 직경이 큰 통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가 파이프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 외주에 설치되어 진동 및 소음 등을 방지한다.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파이프에 많이 설치된다. 방진몸체(2)는 원통형 부재로서 주로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 등으로 형성될 것이다. 이러한 방진몸체(2)에는 역시 원통형인 파이프(1)에 설치될 수 있도록 통공부(21, 22, 23)가 형성된다. 또한, 통공부(21, 22, 23)는 방진몸체(2)가 개방되도록 개방부(24)가 형성된다. 개방부(24)는 파이프(1)를 통공부(21, 22, 23)에 삽입하는 경우에 탄성변형시켜 벌려서 방진몸체(2)를 파이프(1)에 끼우도록 한다.
한편, 방진몸체(2)의 외주부에는 수평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고,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홈(미도시)는 파이프(1)와 결합된 방진몸체(2) 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와이어(3)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나, 방진몸체(2)가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홈(미도시)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결속와이어(3)는 파이프(1)와 결합된 방진몸체(2)의 외주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와이어(3)는 강한 탄성을 가진 원형의 링으로서 방진몸체(2)에 결합시키기 위한 입구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부(31)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바깥 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결속와이어(3)는 일반적인 강체나 탄성재질로 된 와이어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통공부(21, 22, 23)는 파이프(1)가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 홀이며, 종래의 파이프 방진장치와 달리 복수로 형성된다. 제3통공부(23)는 개방부(24)에 접하도록 형성되며, 제3통공부(23)의 내측에는 차례로 제2통공부(22)와, 제1통공부(21)가 마련된다. 이들 통공부들(21, 22, 23)은 가장자리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각각 다른 지름으로 형성된다. 즉, 방진몸체(2)의 대략 중간에 형성되는 제2통공부(22)가 가장 지름이 크고, 개방부(24)에 인접하는 제3통공부(23)가 중간 정도의 지름을 가지며, 개방부(24)에서 가장 내측에 형성되는 제1통공부(21)가 가장 작은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방진몸체(2)에 복수의 통공부(21, 22, 23)를 형성하는 경우, 지름이 작은 통공부에 설치된 파이프(1)가 지름이 큰 통공부로 쉽게 이동하게 되면 방진몸체(2)가 파이프(1)를 잡아줄 수 없어 방진효과를 기대할 수가 업게 된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통공부 일수록 파이프(1)를 잡아주는 힘이 강한 위치에 배치시켜야 하는데 방진몸체(2)의 일측에는 개방부(24)가 마련되므로 파이 프(1)를 잡아주는 힘이 약하다.
따라서, 지름이 가장 작은 제1통공부(21)는 한쪽면이 막혀있는 개방부(24)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지름이 중간정도인 제3통공부(23)은 결속와이어(3)가 결합되었을 때 강한 고정력을 줄 수 있는 개방부(24)측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력이 가장 취약한 방진몸체(2)의 중심부에는 지름이 가장 큰 제2통공부(22)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제2통공부(22)에 고정된 파이프는 그 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제1통공부(21)나 제3통공부(23)로 이탈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가 파이프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방진몸체(2)에는 3개의 통공부(21, 22, 23)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통공부(21, 22, 23)에 선택적으로 하나의 파이프(1)를 결합시켜도 되고, 두 통공부(21, 23)에 각각 파이프(11)과 파이프(12)를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통공부(21, 22, 23)가 복수의 다른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다양한 지름을 가진 파이프(1)들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방진장치를 공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며 작업시 용이하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다양한 지름을 가지는 파이프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부품의 대량화로 인한 제조원가 절감 및 작업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파이프에 설치되어 진동을 저감시키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진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의 파이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직경이 다른 통공부가 복수로 형성되는 방진몸체와, 상기 방진몸체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상기 방진몸체와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결속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방진몸체는 직경이 가장 큰 통공부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다른 통공부가 각각 하나씩 형성되되 상기 통공부들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몸체는 일측에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곳의 반대편에 가장 직경이 작은 통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몸체는 대략 중심부에 가장 직경이 큰 통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1020050089552A 2005-09-26 2005-09-26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10067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52A KR100677887B1 (ko) 2005-09-26 2005-09-26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52A KR100677887B1 (ko) 2005-09-26 2005-09-26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887B1 true KR100677887B1 (ko) 2007-02-05

Family

ID=3810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552A KR100677887B1 (ko) 2005-09-26 2005-09-26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8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46B1 (ko) * 2008-12-18 2015-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균유장치 배관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7940710A (zh) * 2017-12-21 2018-04-2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设在空调器的管道上的配重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WO2021088295A1 (zh) * 2019-11-08 2021-05-14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外机和空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044A (ja) 1987-04-30 1988-11-08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H04171281A (ja) * 1990-10-31 1992-06-18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の防音装置
JPH058317U (ja) * 1991-07-17 1993-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配管固定具
KR19990015632U (ko) * 1997-10-17 1999-05-15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KR20030000210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구
KR20030003233A (ko) * 2000-03-10 2003-01-09 가부시키가이샤마크테크 전기요금 관리장치 및 그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044A (ja) 1987-04-30 1988-11-08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H04171281A (ja) * 1990-10-31 1992-06-18 Sanyo Electric Co Ltd 圧縮機の防音装置
JPH058317U (ja) * 1991-07-17 1993-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配管固定具
KR19990015632U (ko) * 1997-10-17 1999-05-15 구자홍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KR20030003233A (ko) * 2000-03-10 2003-01-09 가부시키가이샤마크테크 전기요금 관리장치 및 그 기록 매체
KR20030000210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파이프용 방진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3032330000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846B1 (ko) * 2008-12-18 2015-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균유장치 배관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07940710A (zh) * 2017-12-21 2018-04-20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设在空调器的管道上的配重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WO2021088295A1 (zh) * 2019-11-08 2021-05-14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外机和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85208A (ja) 配管支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US8950208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20050263650A1 (en) Pipe fixing device
KR10059821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KR100677887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JP2006200554A (ja) 逆止弁
US20070039346A1 (en) Air-conditioning outdoor unit, air-conditioner, and compressor unit
KR100714292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101077691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KR100648948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WO2022227481A1 (zh) 空调内机及空调器
US20050264004A1 (en) Damping device for pipe
KR200436382Y1 (ko) 차량용 에어컨 배관의 방진장치
JP2009186061A (ja) 室外機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JP2019074204A (ja) ジョイント
CN220185342U (zh) 一种水泵组件及除湿机
KR102269483B1 (ko)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20130134760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팽창밸브
CN216244622U (zh) 空调室外机及空调器
KR100333625B1 (ko) 압축기 지지장치
KR100512528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냉매파이프용 진동방지장치
KR100270868B1 (ko) 에어컨의소음저감장치
KR100412941B1 (ko) 냉장고용 방진고무
KR20240037033A (ko) 창문형 공기 조화기 및 창문형 공기 조화기의 설치 방법
KR100598566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