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9483B1 - 냉매 배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냉매 배관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483B1
KR102269483B1 KR1020150066342A KR20150066342A KR102269483B1 KR 102269483 B1 KR102269483 B1 KR 102269483B1 KR 1020150066342 A KR1020150066342 A KR 1020150066342A KR 20150066342 A KR20150066342 A KR 20150066342A KR 102269483 B1 KR102269483 B1 KR 102269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refrigerant pipe
ring
guar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3339A (ko
Inventor
홍석표
백승철
이병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483B1/ko
Priority to PCT/KR2016/004266 priority patent/WO2016182224A1/ko
Publication of KR2016013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16L37/092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with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직관 형태의 냉매 배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단부에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경사면이 형성되는 훅 가드; 상기 훅 가드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 배관에 의해 관통되는 훅 홀더; 상기 훅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훅 홀더 둘레에 개구된 훅 장착구에 장착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하여 상기 훅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훅;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훅 가드를 지지하며,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과 접하여 기밀되는 오링; 및 상기 오링과 상기 개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오링의 일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오링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 가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매 배관용 커넥터 { Connector for refrigerant pipe }
본 발명은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와 냉장고 등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장치들은 냉매와 열교을 통해서 실내 또는 고내 공간을 냉난방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각 구성들은 냉매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매 배관은 배관의 설치 또는 공기 조화기 또는 냉장고의 구성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절곡 또는 벤딩과 같은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냉매 배관은 구리 또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으로 성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냉동 사이클의 각 구성들 및 배관 사이에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냉매 배관은 공기 조화기 또는 냉장고와 같은 냉매를 이용하는 장치의 조립 또는 설치시 다른 배관 또는 구성에 연결되며, 브레이징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브레이징의 경우 브레이징 작업시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용접시의 슬러지 등으로 인한 냉동사이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상기 냉매 배관은 연결장치에 의해 다른 배관 또는 구성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한 제20-0456768호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일측의 배관 또는 다른 구성의 일측에 연결된 연결체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가 결합되고, 배관의 확관부가 실링체가 안착된 상기 연결체의 경사면에 배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를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냉매 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확관 구조의 배관과 상기 연결장치 구조를 통해 고압의 냉매 유동 상황에서도 배관이 연결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성 또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직선 배관 형태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성형된 냉매 배관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워터치 타입의 냉매 배관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직관 형태의 냉매 배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단부에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경사면이 형성되는 훅 가드; 상기 훅 가드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 배관에 의해 관통되는 훅 홀더; 상기 훅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훅 홀더 둘레에 개구된 훅 장착구에 장착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하여 상기 훅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훅;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훅 가드를 지지하며,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과 접하여 기밀되는 오링; 및 상기 오링과 상기 개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오링의 일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오링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 가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 배관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훅의 내측면에는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과 접하는 다수의 쐐기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쐐기는 상기 냉매 배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훅 가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훅 가드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서 상기 냉매 배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훅이 회전될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훅 및 상기 훅 홀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링 가드의 내경은 상기 개구 및 상기 오링의 내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링의 내경은 상기 개구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절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링 가드는, 상기 냉매 배관에 의해 관통되며, 단부가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외측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오링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 둘레와 상기 절곡부의 사이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관통부와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기존의 구리관의 단부를 확관시켜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배관을 상기 커넥터에 직접 꽂아서 넣는 방식으로, 하나의 동작만으로 상기 냉매 배관의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배관에 별도의 확관 구조가 적용될 필요가 없으며, 직관을 그대로 꽂아서 연결시키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스텐레스 소재의 배관을 사용하여 배관의 접속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훅과 훅 홀더 및 훅 가드의 구조에 의해 냉매가 유동되는 고압의 환경에서도 직관의 스테인레스 배관이 빠지지 않고 압력이 커지게 될 수록 보다 견고한 배관의 고정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고압의 환경에서도 배관을 기밀하는 오링이 외부로 삐져나오지 않도록 오링 가드가 지지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링 가드에 의해 오링을 지지하게 되므로써 오링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배관과 커넥터 사이의 공차 관리를 보다 여유있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성과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오링 가드의 구조가 관통부와 지지부의 구조로 구성되어 절곡부의 라운드진 형상과의 간섭을 피하고 상기 오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 내부의 압력을 상기 관통부와 지지부에서 분산 지지하게 됨으로써 보다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배관이 삽입 중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이하 "커넥터"라 함)의 양측에 개구가 형성되고, 배관이 양측의 개구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커넥터는 일측이 배관과 접속되고, 다른 일측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들 또는 이와 관련된 구성들과 결합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배관이 양측에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를 설명하되, 내부의 구조는 양측 중 일측의 구조만 설명하기로 하며 양측의 구조는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짐을 미리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10)는 냉매 배관(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개구(132)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132)를 통해 상기 냉매 배관(1)이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냉매 배관(1)은 성형성이 확보되는 연질의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된 것으로, 구리 소재의 냉매 배관에 비해서 보다 얇은 두께로 동등 이상 강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재료 비용 또한 구리 소재의 냉매 배관에 비해 보다 저렴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10)는 양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10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중앙부(11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이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부(110)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배관 수용부(120)와 배관 고정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 수용부(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냉매 배관(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 배관(1)의 외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수용부(120)는 상기 냉매 배관(1)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110)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매 배관(1)을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하게 되면, 상기 냉매 배관(1)의 단부가 상기 배관 수용부(120)와 중앙부(110)가 서로 접하는 단차진 부분에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냉매 배관(1)의 완전한 삽입 장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관 수용부(120)의 외측에는 상기 배관 수용부(120)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는 배관 고정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배관 고정부(130)는 상기 냉매 배관(1)의 구속을 위한 다수의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외측단은 내측을 향하여 절곡 되는 절곡부(131)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131)에 의해 상기 배관 고정부(130) 내부의 구성들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31)의 단부는 상기 냉매 배관(1)이 삽입되는 개구(132)를 정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터의 내부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넥터(10)는 상기 케이스(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배관 고정부(130)에는 내측에서부터 제 1 오링 가드(210)와, 제 1 오링(220), 스프링 홀더(230), 스프링(240), 훅 홀더(250), 훅(260), 훅 가드(270), 제 2 오링(280) 및 제 2 오링 가드(290)가 차례로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가장 내측에는 제 1 오링 가드(210)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오링 가드(210)는 상기 제 1 오링(220)과 접하는 판상의 링 형상으로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오링(22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오링 가드(210)는 상기 커넥터(10) 내부에서 냉매 유동시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 1 오링(220)이 탈락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오링(220)을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오링(220)은 상기 커넥터(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냉매 배관(1)이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냉매 배관(1)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10)의 내부에 상기 냉매 배관(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기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 오링(220)은 기밀성이 우수하고 내열, 내화학성을 가지는 바이톤(Viton) 소재로 형성되어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하여 안정적인 기밀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오링(220)의 외측(도 2에서 좌측)에는 스프링 홀더(230)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 홀더(230)는 상기 훅 홀더(25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0)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경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며, 상기 냉매 배관(1)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냉매 배관(1)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홀더(230)의 일측은 상기 제 1 오링(220)과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스프링 홀더(230)의 타측에는 스프링 수용부(231)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240)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40)이 압축 또는 인장 될 때에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측에서 상기 스프링 홀더(230)는 상기 스프링(2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40)의 타단에는 훅 홀더(250)가 구비된다. 상기 훅 홀더(250)는 상기 냉매 배관(1)이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냉매 배관(1)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훅 홀더(250)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240)의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훅 홀더(250)의 외측면 둘레는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훅 홀더(250)의 둘레면을 따라서 다수의 훅(260)이 장착되는 훅 장착구(252)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훅 홀더(250)는 상기 훅(260)이 장착된 상태로 상기 훅 가드(27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훅(260)은 상기 냉매 배관(1)의 삽입시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과 접하여 구속되는 것으로, 상기 훅 홀더(250)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바디부(261)와 상기 바디부(261)에서 상기 훅 장착구(25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결합부(2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는 상기 냉매 배관(1)의 삽입방향으로 경사지는 다수의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냉매 배관(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으로 파고들도록 형성된다.
상기 훅 가드(270)는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주면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고 상기 냉매 배관(1)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훅 가드(270)의 내측면에는 경사면(271)과 연장면(272) 그리고 구속면(2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면(271)은 상기 훅 홀더(250)의 외측면 및 상기 바디부(261)의 외측면 경사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훅의 바디부(261)는 상기 경사면(271)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훅 홀더(250)의 전후 이동에 따라서 상기 훅 홀더는 상기 경사면(271)을 따라서 상대 이동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262)가 상기 훅 장착구(252)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장면(272)은 상기 경사면(271)의 단부에서 상기 훅 가드(270)의 외측면과 수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훅 홀더(250)의 전방 이동시 상기 훅(260)이 상기 연장면(272)이 형성하는 공간의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훅(26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결합부(262)가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에 완전히 파고들어 상기 냉매 배관(1)을 강하게 구속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속면(273)은 상기 연장면(272)의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훅(260)과 훅 가드(270)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0) 내부에 냉매의 유동에 의한 압력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냉매 배관(1)이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훅 가드(270)의 외측에는 제 2 오링(2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제 2 오링(280)은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상기 제 1 오링(2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 2 오링(280)은 일측면이 상기 훅 가드(270)의 일단과 접하고 타측면은 제 2 오링 가드(290)와 접하게 된다.
상기 제 2 오링 가드(290)는 상기 제 2 오링(280)을 외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오링(280)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 1 오링 가드(21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오링 가드(290)의 내경은 상기 제 2 오링(280)의 내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오링(280)이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과 접하여 변형되더라도 상기 제 2 오링 가드(290)가 상기 제 2 오링(280)과 간섭되지는 않으며, 상기 커넥터(10)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고압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냉매 배관(1)이 다소 밀리게 되더라도 상기 제 2 오링(280)이 변형되어 탈락되거나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오링 가드(290)에 의해 상기 제 2 오링(280)을 지지하여 상기 제 2 오링(28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냉매 배관(1)과 상기 제 2 오링(280) 사이의 밀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냉매 배관(1)과 상기 절곡부(131)의 개구(132) 사이의 간격이 존재하여도 상기 제 2 오링(280)에 의해 안정적인 기밀이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냉매 배관(1)과 절곡부(131) 사이의 공차가 다소 여유 있게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1)용 커넥터(10)에 배관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상기 냉매 배관(1)이 상기 커넥터(10)의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부 양측단에 제 1 오링 가드(210)와 제 2 오링 가드(290)가 위치되고 그 사이에 제 1 오링(220)과 제 2 오링(280)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40)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스프링 홀더(230)는 상기 제 1 오링(220)에 지지되고, 상기 훅 가드(270)는 상기 제 2 오링(280)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훅 홀더(25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단부가 상기 훅 가드(270)의 구속면(273)과 접하게 되고, 상기 훅(260)은 상기 훅 장착구(252)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배관이 삽입 중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냉매 배관(1)을 상기 개구(132)를 통해 삽입하게 되면, 상기 냉매 배관(1)의 단부는 상기 제 2 오링 가드(290)와 제 2 오링(280)을 차례로 지나 상기 훅 홀더(250)의 내측을 관통하여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훅(260)의 결합부(262)가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과 접하여 마찰하게 되며, 이때의 마찰에 의해 상기 훅 홀더(250)는 후방(도 4에서 우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240)은 압축된다. 상기 훅 홀더(25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훅(260)은 상기 경사면(271)과 접하게 되고, 상기 훅의 결합부(262)는 단순 접촉 상태로 상기 냉매 배관(1)을 구속하지는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냉매 배관(1)의 지속적인 삽입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냉매 배관(1)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배관 수용부(120)의 단부까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매 배관(1)이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배관 수용부(120)의 단부와 접하게 되면 더 이상 상기 냉매 배관(1)은 삽입될 수 없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냉매 배관(1)의 삽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냉매 배관(1)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훅 홀더(25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고 상기 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훅 홀더(250)는 다시 전방(도 4 에서 좌측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훅(260)은 상기 경사면(271)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결합부(262)가 냉매 배관(1)과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 배관(1)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터(10) 내부의 냉매 유동시 냉매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오링(220)과 제 2 오링(280)에 의해 완전히 기밀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기 냉매 배관용 커넥터에 배관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매 배관(1)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냉매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상기 냉매 배관(1)이 삽입된 방향과 반대방향 즉, 상기 냉매 배관(1)이 빠지게 되는 방향으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냉매 배관(1)은 유체의 유동시 압력에 의해 약간 전방(도 5에서 좌측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냉매 배관(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냉매 배관(1)과 접하는 훅(260) 그리고 훅(260)이 장착된 상기 훅 홀더(250) 또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훅(260)과 훅 홀더(250)는 상기 훅 가드(270)의 구속면(273)에 의해 더 이상 이동이 제한되며, 이때, 상기 훅(260)의 단부는 상기 연장면(272)에 위치되는 상태로 상기 냉매 배관(1)이 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순간 회전되면서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에 박히게 된다.
이는, 상기 훅(260)의 결합부(262)의 형상이 경사진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에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냉매 배관(1)이 전방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훅(260)의 단부는 상기 연장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훅 가드(270)의 구속면(273)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어 자연스럽게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에 의해 쐐기 형상의 상기 결합부(262)의 단부가 상기 냉매 배관(1)의 내부에 박히게 된다. 냉매 유동시의 압력에 의해 상기 냉매 배관(1)이 이동되려고 하는 힘이 클수록 상기 훅(260)은 더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측면에 깊게 박히게 되어 상기 냉매 배관(1)은 사실상 빠지지 않고 완전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상기 냉매 배관을 상기 커넥터의 내측에 삽입하는 간단한 작업 만으로 상기 냉매 배관의 연결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제 2 오링을 지지하는 제 2 오링 가드가 상기 제 2 오링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제 2 오링 가드의 구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매 배관용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커넥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배관 고정부(130)의 내측에서부터 차례로 장착되는 제 1 오링 가드(210)와, 제 1 오링(220), 스프링 홀더(230), 스프링(240), 훅 홀더(250), 훅(260), 훅 가드(270), 제 2 오링(280) 및 제 2 오링 가드(39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오링 가드(392)는 상기 냉매 배관(1)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부(391)와, 상기 관통부(391) 일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 2 오링(280)을 지지하는 지지부(39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391)는 단부가 상기 케이스(100)의 절곡부(131)의 내측면과 접하게 되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391)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지지부(392)가 상기 절곡부(131)의 라운드부(133)와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92)는 상기 관통부(391)의 타단에서 상기 배관 고정부(130)의 내측면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2 오링(280)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오링(280)이 압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탈락되지 않고 상기 냉매 배관(1)과 접하여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냉매의 유동으로 상기 냉매 배관(1) 및 상기 커넥터(10)의 배관 고정부(130) 내측의 구성들이 외측 방향(도 6에서 좌측)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제 2 오링 가드(390)는 각각 상기 관통부(391)와 지지부(392)에 의해 힘이 분산되어 상기 제 2 오링(280)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 2 오링(28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고압의 환경에서도 상기 제 2 오링(280)이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Claims (9)

  1. 직관 형태의 냉매 배관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가 단부에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경사면이 형성되는 훅 가드;
    상기 훅 가드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냉매 배관에 의해 관통되는 훅 홀더;
    상기 훅 홀더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상기 훅 홀더 둘레에 개구된 훅 장착구에 장착되며, 상기 경사면과 접하여 상기 훅 홀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훅;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상기 훅 가드를 지지하며,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과 접하여 기밀되는 오링; 및
    상기 오링과 상기 개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오링의 일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오링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 가드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개구를 정의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링 가드는,
    상기 냉매 배관에 의해 관통되며, 단부가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과 접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의 외측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오링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배관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의 내측면에는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과 접하는 다수의 쐐기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쐐기는 상기 냉매 배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훅 가드의 내측면에는,
    상기 훅 가드의 일단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에서 상기 냉매 배관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냉매 배관의 외측면과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훅이 회전될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면과;
    상기 연장면의 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훅 및 상기 훅 홀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속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 가드의 내경은 상기 개구 및 상기 오링의 내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내경은 상기 개구의 내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 둘레와 상기 절곡부의 사이에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부는 상기 관통부와 지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1020150066342A 2015-05-12 2015-05-12 냉매 배관용 커넥터 KR102269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342A KR102269483B1 (ko) 2015-05-12 2015-05-12 냉매 배관용 커넥터
PCT/KR2016/004266 WO2016182224A1 (ko) 2015-05-12 2016-04-22 냉매 배관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342A KR102269483B1 (ko) 2015-05-12 2015-05-12 냉매 배관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339A KR20160133339A (ko) 2016-11-22
KR102269483B1 true KR102269483B1 (ko) 2021-06-28

Family

ID=5724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342A KR102269483B1 (ko) 2015-05-12 2015-05-12 냉매 배관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9483B1 (ko)
WO (1) WO2016182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4172B (zh) * 2024-02-06 2024-05-14 山西盛福昌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拼接的镀锌管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8163B2 (ja) * 1999-08-04 2003-06-16 ナスコフィッティング株式会社 管継手
KR20040062712A (ko) * 2003-01-03 2004-07-09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배관 연결구의 원터치식 배관 고정장치
JP4145183B2 (ja) * 2003-04-02 2008-09-03 ナスコフィッティング株式会社 管継手
CA2613120A1 (en) * 2005-06-27 2007-01-04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JP4067016B2 (ja) * 2005-11-17 2008-03-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管継手の蓋構造、仕切り蓋、冷凍装置、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給水配管、配管の接続方法、及び現地配管施工方法
KR20110125792A (ko) * 2010-05-14 2011-11-22 (주)에쎈테크 파이프 연결용 소켓
KR101518377B1 (ko) * 2013-09-03 2015-05-07 (주)로커스 배관 연결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339A (ko) 2016-11-22
WO2016182224A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176B2 (en) Structure for connecting refrigerant pip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086382B1 (ko) 공기조화기
US9964342B2 (en)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080008227A1 (en) Temperature sensor fix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4379246A1 (en) Fixing clip and refrigerator
KR102269483B1 (ko) 냉매 배관용 커넥터
EP4379245A1 (en) Inter-pipe fixing member, evaporator and refrigerator
JP2006200554A (ja) 逆止弁
KR20110100035A (ko) 관 연결유닛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JP2015031400A (ja) 部品組み立てが容易なワンタッチ挿入式パイプ連結装置
KR20180104560A (ko) 차량용 배관 인슐레이터
KR101272272B1 (ko) 배관의 수축팽창을 흡수하는 내진형 원터치 삽입식 파이프 연결장치
JP6787281B2 (ja) 支持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CN105571092A (zh) 卡扣件
KR100748618B1 (ko) 냉,난방용 체결 시스템에 구비된 연결장치
KR20110016557A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KR100757946B1 (ko)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677887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JP628929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160124562A (ko) 증발기용 헤더 탱크
WO2020161897A1 (ja) 給湯装置
KR10182305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391839B1 (ko) 에어컨 냉매관 연결장치
KR100648948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20150100054A (ko) 라디에이터 호스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