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632U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632U
KR19990015632U KR2019970028946U KR19970028946U KR19990015632U KR 19990015632 U KR19990015632 U KR 19990015632U KR 2019970028946 U KR2019970028946 U KR 2019970028946U KR 19970028946 U KR19970028946 U KR 19970028946U KR 19990015632 U KR19990015632 U KR 199900156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barrier
air conditioner
hole
vibra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9479Y1 (ko
Inventor
강도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28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4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4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7Active noise-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 또는 Thru - the - wall 에어컨 등의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내외측으로 구획하는 베리어(Barrier)의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진고무의 형상을 개선하여 베리어와의 조립작업은 물론 실내,외측을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방진고무(20)에 냉매 파이프(16)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삽입공(23)을 형성하고 좌,우측에는 베리어(6)의 구멍(21)에 끼워지는 요입홈(22)을 형성하여 삽입공(23)내에 냉매 파이프(16)가 끼워진 방진고무(20)를 베리어(6)의 구멍(21)에 결합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방진고무(20)에 전선(17)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26)을 절결부(27)에 의해 외부와 통하여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방진고무(20)의 삽입측에는 경사면(28)을 형성하며, 방진고무(20)의 상면에는 요입홈(22)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9)가 구비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 또는 Thru - the - wall 에어컨 등의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공기조화기의 내부를 실,내외측으로 구획하는 베리어(Barrier)의 틈새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라고 일컫는데,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에 의한 열교환작용으로 차갑게 하여 토출시키므로써, 실내의 온도를 일정온도이하로 낮추어 주는 기기이다.
상기한 공기조화기는 설치장소 및 위치에 따라 그 종류가 실내의 바닥면에 세워 설치하는 상치형, 실내의 벽면에 부착 설치되는 벽 부착형, 창문에 부착 설치되는 창문형으로 대별된다.
이때, 상치형과 벽 부착형은 실내기 및 실외기가 각각 분리되어 있으나, 창문형은 실내기 및 실외기가 일체화되어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 사시도로써, 창문(도시는 생략함)에 설치시 실외측에 위치되도록 양측면 및 상부에 복수개의 배출공(1a)이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저면에 결합되어 바닥판역할을 하며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베이스(2)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흡입그릴(3) 및 토출그릴(4)을 갖는 프론트 패널(5)과,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본체의 내부를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운전중에 실외측의 소음이 실내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베리어(6)와, 상기 베리어의 실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실외측에 위치하는 모터(7)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흡입그릴을 통해 실내의 공기를 본체(1)의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8)과, 상기 흡입그릴의 후방에 설치되어 송풍팬의 의해 흡입되는 더운공기를 열교환작용으로 차거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실내측 열교환기(9)와,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를 거친 차거운 공기를 토출그릴(4)측으로 유도하는 스크롤(Scroll)(10)과, 상기 모터를 지지하는 브라켓(11)과, 상기 본체내의 실외측에 위치되게 베이스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측 열교환기(12)와, 상기 모터의 동일축에 고정되어 실외측 열교환기를 냉각시키는 실외측 팬(13)과, 상기 본체의 실외측에 위치되게 베리어에 고정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콤프레셔(14)와, 상기 프론트 패널의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콘트롤부(15)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를 창문에 설치하면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된 프론트 패널(5)이 실내에 위치되고, 본체의 양측면 및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1a)은 실외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를 냉방시키기 위해 콘트롤부(15)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냉방모드로 설정하면 설정된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구동하게 되므로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선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콤프레셔(14)가 구동하여 냉동싸이클을 이루면 실내측 열교환기(9)의 온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모터(7)의 구동으로 실내측에 위치된 송풍팬(8)이 회전하여 흡입그릴(3)을 통해 실내의 더운공기를 흡입하면 실내의 더운공기가 실내측 열교환기(9)를 통과하면서 냉매 파이프를 흐르는 차거운 냉매와 열교환을 하여 차거워진 다음 스크롤(10)을 거쳐 토출그릴(4)로 토출되므로 실내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실내측 열교환기(9)의 냉매파이프를 거치면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이루고 뜨거워진 냉매는 냉매 파이프를 통해 실외측 열교환기(12)를 거쳐 콤프레셔(14)의 내부로 재유입되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실내측 열교환기(9)측으로 이동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열교환작용을 행하게 되므로 실내의 계속적인 냉방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측의 온도는 차거운 반면, 실외측 온도는 뜨거우므로 베리어(6)에 의해 실내,외측을 격리하는데, 상기 베리어에는 실내,외 열교환기(9)(12)를 연결하는 냉매파이프(16), 콘트롤부(15)와 모터(7), 콤프레셔(14)를 연결하는 전선(17)을 통과시켜야 되므로 다수개의 구멍(18)(19) 형성이 불가피하다.
도 2는 종래의 장치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로써, 베이스(2)의 상면에 본체(1)의 내부를 실내,외측으로 구획하는 베리어(6)를 고정한 다음 실내측에 스크롤(10) 및 송풍팬(8) 등을, 그리고 실외측에는 모터(7) 및 콤프레셔(14)를 차례로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베리어에는 냉매 파이프(16) 및 전선(17)이 통과되는 구멍(18)(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2)에 베리어(6)를 고정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을 조립하고 나면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18)에 냉매 파이프(16)를 통과시킨 다음 상호 용접 고정함과 동시에 다른 일측에 형성된 구멍(19)으로는 전선(17)을 통과시켜 콘트롤부(15)에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부품의 조립작업시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18)내에 냉매 파이프(16)를 끼운 다음 상호 용접작업을 실시하여야 되었으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웠음은 물론 운전중 발생된 진동에 의해 냉매 파이프가 구멍의 내주면과 접속되어 긁히거나, 소음의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또한, 전원의 연결역할을 하는 전선(17)을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19)에 삽입시 날카로운 부분에 전선이 긁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한편,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18)(19)내에 냉매 파이프(16)와 와이어(17)가 통과되더라도 구멍이 완전히 밀폐되지 않으므로 인해 운전중 실외측에서 발생된 소음이 실내측으로 전달되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부품의 조립작업후 구멍을 별도의 실링재(putty, isulation)로 밀폐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3에 나타낸 방진고무(20)가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상기 방진고무에는 좌,우 양측에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21)내에 걸리는 요입홈(22)과, 냉매 파이프(16)가 삽입되는 2개의 삽입공(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공(23)은 냉매 파이프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절결부(24)에 의해 외부와 통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진고무(20)에 형성된 절결부(24)를 통해 냉매 파이프(16)를 결합한 다음 상기 방진고무를 베리어(6)에 결합하여 조립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인 경우에도 방진고무(20)에 형성된 요입홈(22)을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21)내에 삽입하는 작업이 번거로웠음은 물론 베리어(6)의 상면과 방진고무(20)의 상단 높이를 일치시키더라도 방진고무가 수축작용을 하므로 인해 상판(25)과 방진고무(20)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실내,외측의 완전한 밀폐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전선(17)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19)을 통해 콘트롤부(15)에 상호 연결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방진고무의 형상을 개선하여 베리어와의 조립작업은 물론 실내,외측을 완벽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방진고무에 냉매 파이프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좌,우측에는 베리어의 구멍에 끼워지는 요입홈을 형성하여 삽입공내에 냉매 파이프가 삽입된 방진고무를 베리어의 구멍에 결합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방진고무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을 절결부에 의해 외부와 통하여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방진고무의 삽입측에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방진고무의 상면에는 요입홈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창문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장치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방진 고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방진고무에 냉매파이프 및 전선이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냉매 파이프 17 : 전선
20 : 방진고무 21 : 구멍
22 : 요입홈 23 : 삽입홈
26 : 전선 삽입공 27 : 절결부
28 : 경사면 29 : 돌출부
30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 장치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베리어(6)에 고정되는 방진고무(20)에 냉매 파이프(16)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삽입공(23)이 형성되어 절결부(24)에 의해 외부와 통하여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방진고무(20)의 좌,우측에는 베리어(6)의 구멍(21)에 끼워지는 요입홈(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진고무(20)에 형성되어 냉매 파이프(16)가 끼워지는 삽입공(23)의 일측으로 전선(17)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26)이 절결부(27)에 의해 외부와 통하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진고무(20)의 삽입측에는 방진고무를 구멍(21)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경사면(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 삽입공(26)은 복수개의 전선(17)이 통과될 수 있도록 장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방진고무(20)의 상면에는 방진고무를 베리어(6)에 결합한 상태에서 틈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요입홈(22)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9)가 형성되어 있고 방진고무(20)가 삽입되는 구멍(21)의 삽입측 반대편으로는 요입홈(22)의 내면에 접속되는 걸림턱(3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에 베리어(6)를 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에 형성된 구멍(21)내에 방진고무(20)를 조립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24)를 통해 삽입공(23)내에 냉매 파이프(16)를 차례로 끼운다.
이와 같이 방진고무(20)에 냉매 파이프(16)를 결합하고 나면 상기 삽입공의 일측으로 형성된 전선 삽입공(26)과 통하여진 절결부(27)를 통해 전선 삽입공내에 복수개의 전선(17)을 동시에 통과시킨 다음 상기 방진고무(20)를 베리어(6)의 구멍(21)내에 조립하게 된다.
즉, 방진고무(20)의 일측면(삽입측)에 형성된 경사면(28)을 구멍(21)의 삽입측(도 5의 화살표 방향)에 대고 힘껏 밀면 상기 경사면에 의해 방진고무(20)가 베리어(6)의 구멍(21)내에 삽입되는데, 이때 요입홈(22)의 내면이 베리어(6)에 형성된 구멍(21)의 삽입측 반대편에 형성된 걸림턱(30)에 걸려 접속되므로 방진고무의 조립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됨은 물론 운전 중에 발생된 진동에 의해 상기 방진고무(20)가 구멍(21)내에서 유동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방진고무(20)를 조립한 다음 상판(25)을 덮으면 요입홈(22)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9)가 베리어(6)의 상단면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판(25)의 저면에 눌려 변형을 일으키게 되므로 구멍(21)이 완전히 밀폐되고, 이에 따라 본체내의 실내,외측이 완전히 격리된다.
이와 같이 부품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모터(7)의 파손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판(25)을 분리시킨 후 베리어(6)로부터 방진고무(20)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베리어(6)의 상부로 노출된 절결부(27)를 통해 전선(17)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냉매 파이프(16)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베리어(6)에 조립되어 있던 방진고무(20)를 분리시켜 삽입공(23)으로부터 냉매 파이프(16)를 제거한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삽입공(23)내에 새로운 냉매 파이프를 조립한 후 방진고무(20)를 베리어(6)의 구멍(21)내에 조립하므로써, 냉매 파이프의 교체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내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완전히 격리시키게 되므로 운전 중 실외측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실내측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실외측의 풍량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모터(7) 및 콤프레셔(14)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17)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냉매 파이프(16) 및 전선(17)의 조립작업이 편리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방진고무에 냉매 파이프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좌,우측에는 베리어의 구멍에 끼워지는 요입홈을 형성하여 삽입공내에 냉매 파이프가 삽입된 방진고무를 베리어의 구멍에 결합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방진고무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공을 절결부에 의해 외부와 통하여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방진고무의 삽입측에는 경사면을 형성하며, 방진고무의 상면에는 요입홈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선이 통과되는 전선 삽입공이 장공으로 형성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방진고무가 삽입되는 구멍의 삽입측 반대편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요입홈의 내면에 걸림턱이 접속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KR2019970028946U 1997-10-17 1997-10-17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KR200159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946U KR200159479Y1 (ko) 1997-10-17 1997-10-17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946U KR200159479Y1 (ko) 1997-10-17 1997-10-17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632U true KR19990015632U (ko) 1999-05-15
KR200159479Y1 KR200159479Y1 (ko) 1999-10-15

Family

ID=1951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946U KR200159479Y1 (ko) 1997-10-17 1997-10-17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4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887B1 (ko) * 2005-09-26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US7191988B2 (en) 2004-05-28 2007-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ipe fixing device
KR20140094134A (ko) * 2013-01-21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1988B2 (en) 2004-05-28 2007-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ipe fixing device
USRE48660E1 (en) 2004-05-28 2021-07-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ipe fixing device
KR100677887B1 (ko) * 2005-09-26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20140094134A (ko) * 2013-01-21 201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9479Y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605B1 (ko) 냉장고
KR19980085625A (ko) 창문형 에어콘의 실내측 차단벽체
KR20050019591A (ko) 응축기 케이싱을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59479Y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및 전선 인출장치
KR20070022948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KR2002004870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19444A (ko) 공기조화기
KR100686546B1 (ko) 전열교환기의 로터 밀폐고무 설치구조
JP4493230B2 (ja) 冷却貯蔵庫
KR10084518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100484809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컨트롤 박스
EP0887598B1 (en) Air conditioner
KR100584301B1 (ko) 공기조화기
KR100339007B1 (ko) 공기 조화기의 콘트롤 박스
KR20050021622A (ko) 응축기 케이싱을 구비한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84302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5557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KR10066237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송풍장치
JPH07151344A (ja) 空気調和機
KR100607675B1 (ko) 공조기기의 실외기
KR100561536B1 (ko) 공기조화기
KR200156396Y1 (ko) 슬라이딩 출입가능한 공기필터를 갖는 공조기기
KR20060011467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228648Y1 (ko) 공조기기
KR200232359Y1 (ko) 패키지에어콘의송풍기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