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2948A -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2948A
KR20070022948A KR1020050076959A KR20050076959A KR20070022948A KR 20070022948 A KR20070022948 A KR 20070022948A KR 1020050076959 A KR1020050076959 A KR 1020050076959A KR 20050076959 A KR20050076959 A KR 20050076959A KR 20070022948 A KR20070022948 A KR 20070022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control box
cooling guide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2948A/ko
Publication of KR2007002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948A/ko

Links

Images

Landscapes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모터어셈블리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히트싱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가이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는 팬모터어셈블리(400) 및 실외열교환기(300)와,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500)와, 상기 압축기(500)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660)가 장착된 컨트롤박스(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660)의 냉각을 위한 히트싱크(700)와;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히트싱크(700)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가이드(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외기, 방열, 히트싱크, 컨트롤박스, 안내가이드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 Radiation structure of outdoor unit for air-conditioner }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 내부의 공기유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가 채용된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의 요부구성인 컨트롤박스와 히트싱크 및 냉각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의 요부구성인 냉각가이드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의 요부구성인 냉각가이드의 공기유동 안내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외기 120. 아웃케이스
122. 흡입구 140. 토출그릴
160. 베이스팬 200. 베리어
220. 열교환부 240. 기계부
260. 안착부 300. 실외열교환기
400. 팬모터어셈블리 420. 송풍팬
440. 팬모터 460. 모터마운트
500. 압축기 520. 어큐뮬레이터
600. 컨트롤박스 620. 제1노출부
622. 보조박스 640. 제2노출부
660. 피시비 700. 히트싱크
720. 방열핀 800. 냉각가이드
820. 스크류 840. 결합돌기
842. 결합홈 860. 슬라이드돌기
862. 슬라이드홈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모터어셈블리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히트싱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가이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 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에 대한 관심으로 소비전력의 저감을 위해서 입력전원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정면도이고,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 내부의 공기유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웃케이스(10)에 의해서 전면 일부와 하면을 제외한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의 하면은 베이스팬(12)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팬(12)은 상기 아웃케이스(10)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팬(12)의 일측에는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20)가 장착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20)의 전방에는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통과시키기 위한 팬모터어셈블리(30)가 장착된다.
상기 팬모터어셈블리(30)는 외부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32)과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34) 그리고 상기 팬모터(34)의 장착을 지지하는 모터마운트(36)로 구성되며, 상기 송풍팬(32)은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송풍하는 엑시얼팬(Axial-fan)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팬(12)의 일측에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베리어(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베리어(40)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부를 실외열교환기(20) 및 팬모터어셈블리(30)가 구비된 열교환부(42)와 압축기(50)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밸브 및 냉매배관 등이 구비되는 기계부(44)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압축기(50)는 상기 실외열교환기(20)로부터 유입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것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냉매의 압축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베리어(40)의 상단부에는 컨트롤박스(6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는 내부에 상기 압축기(50)를 비롯한 상기 팬모터어셈블리(30) 및 전자밸브들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한 피시비(62)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부(42)와 기계부(44)로 일부분이 각각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컨트롤박스(60)의 내부에 구비된 피시비(62)에 의해서 상기 실외기(1) 내부의 전장부품들의 작동이 조절되며, 특히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의 구동을 위해서는 상기 피시비(62)에 아이피엠(IPM), 아이지비티(IGBT), 브릿지다이오드(Bridge Diode) 등과 같은 스위칭소자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의 구동시에는 이와 같은 스위칭소자를 거쳐서 상기 압축기(50)로 전류가 전달되며, 이때 발생하는 전력손실은 모두 열 로 바뀌게 되어 소자 접합부 즉, 상기 피시비(62)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소자의 과열은 공기조화기의 오작동 또는 고장의 원인이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히트싱크(64)가 장착된다. 상기 히트싱크(64)는 상기 피시비(62)와 접하도록 상기 컨트롤박스(60)의 하측에 장착되며, 상기 히트싱크(64)에 장착된 다수의 방열핀(64')은 상기 열교환부(42)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으로 노출된 히트싱크(64)는 외부로 열을 발산하여 상기 피시비(62)를 냉각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피시비(62)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상기 송풍팬(32)은 엑시얼팬(Axial-fan)으로 그 형상의 특성상 원주방향으로 흡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토출하는 유동특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히트싱크(64)는 상기 아웃케이스(10)의 내측 상부 즉, 상기 열교환부(42)의 상부 모서리측에 구비되어, 상기 송풍팬(32)의 강제 흡입 및 토출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거의 형성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히트싱크(64)는 자체의 열교환능력으로만 방열하게 되어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의 작동시 상기 피시비(62) 및 스위칭소자의 냉각이 효과적이지 못하여 상기 피시비(62)의 이상과열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히트싱크(64)의 방열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열교환부(42)의 일측에 서브팬(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하여 상기 히트싱크(64)로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방법도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부품수가 늘어나게 되어 작업공수는 물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송풍팬(32)과 서브팬의 작동으로 상기 열교환부(42)의 공기흐름이 원활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팬모터어셈블리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히트싱크로 안내될 수 있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가이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는 팬모터어셈블리 및 실외열교환기와,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가 장착된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의 냉각을 위한 히트싱크와; 상기 컨트롤박스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어셈블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히트싱크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가이드가 더 구비된다.
상기 냉각가이드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히트싱크의 양측방과 하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냉각가이드의 개구된 방향은 상기 히트싱크에 구비된 다수개의 방열핀 사이의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냉각가이드는 상기 컨트롤박스의 일측에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와 상기 냉각가이드에는 서로 형합하는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가이드가 걸림 결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와 상기 냉각가이드에는 서로 형합하는 슬라이드돌기와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냉각가이드가 슬라이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에 의하면, 히트싱크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피시비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가 채용된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분리형 공기조화기 실외기(100)의 외형은 아웃케이스(120)에 의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20)는 하면과 전면 일부를 제외한 다른 면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절곡 및 접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외기(100)의 전면 일부와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측면 일측과 후면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 입구(122)가 다수개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0)의 전면에는 흡입된 공기를 강제 토출하는 토출그릴(140)이 형성되고, 상기 실외기(100)의 하면에는 베이스팬(1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6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리어(200)가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200)는 상기 실외기(100)의 내부공간을 좌우로 구획할 수 있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실외기(100)의 내부공간을 열교환이 일어나는 열교환부(220)와 다수의 전자밸브, 냉매배관 어큐뮬레이터(520) 및 압축기(500)가 장착되는 기계부(240)로 구획하게 된다.
상기 열교환부(220)에는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열교환기(30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로 실외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팬모터어셈블리(40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는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냉매가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는 열교환면적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팬(160)의 일 측단부와 후단부에 걸쳐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어셈블리(400)는 외부공기를 강제 흡입시켜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를 통과시킨 후 다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팬(420)과 팬모터(440) 그리고 모터마운트(460)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팬(420)은 회전에 의해 외부공기의 강제유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엑시얼팬(Axial-fan)이 사용된다. 상기 엑시얼팬은 그 형상의 특성상 원주방향으로 흡입을 하여 축방향으로 송풍하는 유동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팬모터(440)는 상기 송풍팬(420)의 회전을 위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팬모터(440)의 회전축은 상기 송풍팬(420)의 회전중심을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마운트(460)는 상기 팬모터(440)의 장착을 보조하는 것으로,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팬(160)과 실외열교환기(300)의 일측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팬(160)에서 기계부(240)에 해당하는 일측에는 압축기(500)가 장착된다. 상기 압축기(500)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로부터 유입되는 저온저압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팬(160)에 저면이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압축기(500)는 냉/난방 용량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압축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0)가 사용된다.
상기 압축기(500)의 일측에는 어큐뮬레이터(520)를 비롯한 다수의 냉매배관과 전자식 밸브들이 구비되며, 이들은 제한된 공간인 상기 기계부(240)에 모두 구비될 수 있도록 밀집되며, 특히 상기 냉매배관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리어(200)의 상단부 일부는 소정의 깊이만큼 하방으로 함몰되는 안착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60)에 컨트롤박스(60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260)는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높이만큼 함몰되어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안착시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상면과 상기 안착부(260) 측방에서 상방 으로 돌출된 상기 베리어(200) 상단부가 상기 아웃케이스(120)의 내측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의 요부구성인 컨트롤박스와 히트싱크 및 냉각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이하 상기 컨트롤박스와 히트싱크 및 냉각가이드의 장착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박스(600)는 상기 실외기(100)의 내부에 구비된 팬모터어셈블리(400)와 압축기(500), 전자식 밸브 등 다수의 전장부품들을 컨트롤하기 위한 피시비(660) 및 파워소자들이 내장되기 위한 것으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내부에는 피시비(660)를 비롯한 파워소자 등이 장착되고, 특히 상기 피시비(660)에는 상기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0)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피엠(IPM), 아이지비티(IGBT), 브릿지다이오드(Bridge Diode) 등과 같은 스위칭소자가 장착된다.
상기 컨트롤박스(600)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리어(200)에 안착될 경우 상기 베리어(200)를 기준으로 우측과 좌측(도 4 에서 볼 때)으로 나뉘어지게 되어, 상기 기계부(240)로 노출되는 제1노출부(620)와 상기 열교환부(220)로 노출되는 제2노출부(6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노출부(620)의 하면에는 보조박스(622)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조박스(622)는 상기 컨트롤박스(600)에 구비되지 못한 보조피시비를 비롯한 파워소자 및 커넥터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면과 일측면이 개구된 직육면 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박스(622)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하면과 접하여 차폐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일측은 측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선 등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노출부(640)의 하면에는 히트싱크(700)가 장착된다. 상기 히트싱크(700)는 상기 피시비(660)의 냉각을 위한 것으로, 상기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0)의 구동시 상기 피시비(660)의 스위칭소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히트싱크(700)는 상기 피시비(660)와 면접촉하도록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제1노출부(620)의 하면에 장착되며, 상기 히트싱크(700)에는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다수의 방열핀(720)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방열핀(720)은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서로 높이가 다른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히트싱크(700)의 하방에는 냉각가이드(800)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가이드(800)는 상기 히트싱크(700)의 방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열교환부(220)에의 공기흐름 중 일부를 상기 히트싱크(700)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냉각가이드(800)는 상기 팬모터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히트싱크(700)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형 성하는 것으로, 상기 히트싱크(700)의 양 측방과 하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냉각가이드(800)는 사각 형상의 판재의 양측이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된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양 측면 상단부가 상기 히트싱크(700)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하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냉각가이드(800)는 상기 히트싱크(700)의 양 측방과 하방을 차폐하며, 전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히트싱크(700)를 지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후방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다수의 방열핀(720) 사이 공간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개구된 방향과 상기 히트싱크(700)에 구비된 다수개의 방열핀(720) 사이 공간의 개구된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냉각가이드(8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단면 형상이 반원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요철형상 등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에도 상기 냉각가이드(800)는 상기 히트싱크(700)의 양 측방과 하방을 차폐하고 전후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의 요부구성인 냉각가이드의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하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냉각가이 드의 장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 5 는 상기 냉각가이드가 장착되는 모습을 일측만 보인 것으로 다른 일측은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의 (a) 에서는 상기 히트싱크(700)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제2노출부(640) 하면으로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개구된 면이 향하도록 장착되며, 이때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양 측면 상단부가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양 측면과 면접촉하게 된다.
서로 면접촉하게 되는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상단부와 컨트롤박스(600) 하측의 양 측면에는 상기 냉각가이드(800)와 컨트롤박스(600)를 관통하는 스크류(820)에 의해 스크류 결합되어 상기 냉각가이드(800)가 상기 컨트롤박스에 장착된다.
도 5 의 (b) 에서는 상기 히트싱크(700)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제2노출부(640)의 하면으로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개구된 면이 향하도록 장착되며, 이때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양 측면 상단부가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양 측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접하는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상단부 외면과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하측 내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돌기(840)와 결합홈(84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840)는 후크(Hook)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각가이드(800)가 상기 컨트롤박스(600)에 후크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의 (c) 에서는 상기 히트싱크(700)가 장착된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제2노출부(640)의 하면으로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개구된 면이 향하도록 장착되며, 이때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양 측면 상단부가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양 측면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접하는 상기 냉각가이드(800) 상단부의 외면과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하측 내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드돌기(860)와 슬라이드홈(862)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돌기(860)와 슬라이드홈(862)은 상기 냉각가이드(800)가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하측에 슬라이딩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양 측면 상단부와 상기 컨트롤박스(600) 하측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가이드(80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가 채용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작동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의 요부구성인 냉각가이드의 공기유동 안내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실외열교환기(300)의 저온저압의 기액혼합상태의 냉매는 상기 냉매배관을 통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520)로 유입되고, 유입된 냉매는 일시 저장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520)의 내부에서 기체상태의 냉매와 액체상태의 냉매로 분리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520)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냉매배관을 통 해서 상기 압축기(500)로 유입되고, 상기 압축기(500)의 내부에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 냉매로 압축된 후 상기 냉매배관을 통해서 실내기(도시되지 않음)로 공급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내기로 공급된 냉매는 팽창밸브 또는 모세관을 지나 실내열교환기로 공급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며, 열교환을 마친 냉매는 다시 상기 냉매배관을 통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로 유입되어 상기 팬모터어셈블리(400)에 의해 상기 실외공기와 열교환을 한 뒤 상기 어큐뮬레이터(520)로 유입되어 사이클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500) 인버터 방식의 압축기(500)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입력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가변시켜 상기 압축기 내부 전동모터의 회전을 조절하게 됨으로써 압축용량이 조절하게 된다.
이때, 압축기(500)의 구동을 위한 전류는 상기 피시비(660)에 장착된 스위칭소자 와 파워소자 등을 지나게 되며, 이때의 전력손실은 모두 열로 변환되어 상기 피시비(660)가 과열된다.
상기 피시비(660)의 과열은 공기조화기의 이상작동 또는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히트싱크(700)에 의해서 냉각되어야 하며, 상기 히트싱크(700)의 방열에 의하여 상기 피시비(660)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히트싱크(700)의 방열을 촉진하기 위해 상기 열교환부(220)에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냉각가이드(800)를 통해서 상기 히트싱크(700)로 안내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외부공기의 흡입을 위해서 상기 팬모터(440)가 구동되어 상기 송풍팬(42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송풍팬(420)의 회전으로 상기 실외기(100) 즉, 상기 열교환부(220)의 내측에서는 강제로 유동하게 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부(220)의 우측 상부에는 컨트롤박스(600)의 제2노출부(640)와 히트싱크(700) 그리고 냉각가이드(800)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냉각가이드(800)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히트싱크(700)측으로 유도된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300)의 후방에서 흡입되는 실외공기 중 일부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00)를 통과한 후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개구된 후방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다수개의 방열핀(720) 사이의 공간을 지나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전방으로 유출된다.
이때의 공기유동은 상기 송풍팬(420)에 의해 강제 되어지며, 상기 냉각가이드(80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히트싱크(700)의 방열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어 상기 피시비(660)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 구조에서는, 피시비의 냉각을 위한 히트싱크의 일측에는 냉각가이드가 장착되어 열교환부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피시비 방향으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의 회전에 의한 공기 흐름에 영향을 받기 어려운 사각 위치에 구비된 상기 히트싱크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여 상기 히트싱크의 방열작용이 보다 활발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서 피시비의 냉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의 냉각가이드만을 장착하여 냉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기존의 보조팬을 사용한 방식에 비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교환부 내부의 기류 흐름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피시비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하는 팬모터어셈블리(400) 및 실외열교환기(300)와,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500)와, 상기 압축기(500)의 구동을 위한 피시비(660)가 장착된 컨트롤박스(6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100)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피시비(660)의 냉각을 위한 히트싱크(700)와;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히트싱크(700)로 안내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냉각가이드(8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이드(800)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히트싱크(700)의 양측방과 하방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이드(800)의 개구된 방향은,
    상기 히트싱크(700)에 구비된 다수개의 방열핀(720) 사이의 공간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방열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가이드(800)는 상기 컨트롤박스(600)의 일측에 스크류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600)와 상기 냉각가이드(800)에는,
    서로 형합하는 결합홈(842)과 결합돌기(840)가 형성되어, 상기 냉각가이드(800)가 걸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박스(600)와 상기 냉각가이드(800)에는,
    서로 형합하는 슬라이드돌기(860)와 슬라이드홈(862)이 형성되어, 상기 냉각가이드(800)가 슬라이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KR1020050076959A 2005-08-22 2005-08-22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KR20070022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959A KR20070022948A (ko) 2005-08-22 2005-08-22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959A KR20070022948A (ko) 2005-08-22 2005-08-22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948A true KR20070022948A (ko) 2007-02-28

Family

ID=4365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959A KR20070022948A (ko) 2005-08-22 2005-08-22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294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04B1 (ko) * 2007-09-21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50005338A (ko) 2013-07-05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85596B1 (ko) * 2007-10-22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EP2905549A2 (en) 2014-01-14 2015-08-12 LG Electronics Inc. Outdoor unit control for air conditioner
KR20160009232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880993B1 (ko) * 2017-01-23 2018-08-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용 조립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04B1 (ko) * 2007-09-21 2013-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485596B1 (ko) * 2007-10-22 2015-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50005338A (ko) 2013-07-05 2015-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2905549A2 (en) 2014-01-14 2015-08-12 LG Electronics Inc. Outdoor unit control for air conditioner
US10429089B2 (en) 2014-01-14 2019-10-01 Lg Electronics Inc.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160009232A (ko) * 2014-07-16 201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880993B1 (ko) * 2017-01-23 2018-08-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장치용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4182B2 (en) Control box, and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mprising same
EP2905549B1 (en) Outdoor unit control for air conditioner
KR101744536B1 (ko) 방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941604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 유닛
JP2006214634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5079831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22948A (ko)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방열구조
US9353968B2 (en) Heat source unit of refrigerating apparatus
JP200621463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2006214633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JPWO2006054547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2266357B1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JP2018207074A (ja) 発熱機器を備えた装置
KR102012450B1 (ko) 공냉식 냉각을 이용한 열전냉각장치
KR20150080833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WO2024069693A1 (ja) 室外機及び空気調和機
KR1006026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20793296U (zh) 窗式空调器
KR100484661B1 (ko) 내부용적이 증가된 냉장고
KR200228648Y1 (ko) 공조기기
KR20040013818A (ko) 냉장고의 응축기의 방열구조
KR100584302B1 (ko) 공기조화기
KR100538165B1 (ko) 어큐뮬레이터를 이용한 전기소자의 방열구조를 구비하는공기조화기
KR200228647Y1 (ko) 공조기기
KR2000005557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