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215B1 -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215B1
KR100598215B1 KR1020040012684A KR20040012684A KR100598215B1 KR 100598215 B1 KR100598215 B1 KR 100598215B1 KR 1020040012684 A KR1020040012684 A KR 1020040012684A KR 20040012684 A KR20040012684 A KR 20040012684A KR 100598215 B1 KR100598215 B1 KR 10059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ipe
compressor
pipes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273A (ko
Inventor
배성원
정인화
이정우
진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2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215B1/ko
Priority to US10/914,078 priority patent/US20050183436A1/en
Priority to CNB2004100751030A priority patent/CN1302244C/zh
Priority to JP2004290054A priority patent/JP2005241236A/ja
Priority to EP05101275A priority patent/EP1568954A3/en
Publication of KR20050086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3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된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중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에 제진재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진재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가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발생되는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함과 동시에, 상기 제진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로 전달된 압축기의 진동 및 상기 진동에 따른 소음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에어컨, 실외기, 배관, 제진재, 진동, 소음

Description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The pipe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도 1a, 1b 는 종래 에어컨의 냉방 및 난방과정을 나타낸 사이클도.
도 2 는 종래 압축기 주위에 배열된 각 배관에 집중질량이 설치된 상태도.
도 3 은 집중질량이 설치된 배관들 중 종래 흡입관의 진동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질량이 설치된 압축기 주위의 배관 밀집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질량이 설치된 배관 밀집부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 은 본 발명의 집중질량에 의해 압축기에서 배관 밀집부로 전달된 진동이 감쇄되는 작용 상태도.
도 7 은 도 4와 같이 집중질량이 설치된 배관들 중 흡입관의 진동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압축기 11, 11a. 흡입관
12, 12a. 토출관 13, 13a, 14, 14a. 연결관
15, 15a. 배관 밀집부 16. 집중질량
16a. 부틸 테이프 17. 곡관부
18, 18a. 제진재 19. 관통홀
20. 사방변 22. 실외 열교환기
24. 실외팬 26. 팽창밸브
28. 실내 열교환기 30. 실내팬
본 발명은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된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중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에 제진재를 설치 구성하여 상기 제진재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가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발생되는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함과 동시에, 상기 제진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로 전달된 압축기의 진동 및 상기 진동에 따른 소음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냉매의 압축 및 응축, 팽창, 증발과정을 거쳐 생성된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 온도를 저하시키는 기기로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되며, 상기 실외기는 압축기(10) 및 사방변(20), 실외 열교환기(22), 실외팬(24), 팽창밸브(2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28) 및 실내팬(3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컨의 경우, 다수의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연결한 멀티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의 냉방과정을 살펴보면, 도 1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28)로부터 압축기(1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냉매는 압축기(10)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됨과 동시에, 냉방 사이클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 사방변(20)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22)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2)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22)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실외팬(24) 구동을 통해 실외기 내로 흡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뤄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변화된 냉매는 팽창밸브(26)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팽창밸브(26)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증발작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되어 실내 열교환기(28)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28)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28)의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이뤄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사방변(20)를 통해 다시 압축기(1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28)에서 팽창밸브(26)를 통해 감압된 냉매와 열 교환된 주위 공기는 상기 냉매에 열을 빼앗기면서 차가운 냉기로 변화되고, 상기 냉기는 실내팬(3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냉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에어컨의 난방과정은, 전술한 냉방과정과 반대의 사이클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22)로부터 압축기(1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냉매는 압축기(10)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됨과 동시에, 난방 사이클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 사방변(20)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28)로 토출되어 실내 열교환기(28)의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팽창밸브(26)로 토출되게 되는데, 이 때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와 열교환된 주위 공기는 상기 냉매 열에 의해 더운 공기로 변화됨과 동시에, 실내팬(3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팽창밸브(26)로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22)에서 증발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된 다음 실외 열교환기(22)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22)로 토출된 냉매는 실외기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사방변(20)를 통해 다시 압축기(10)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 압축기(10) 주위에 배치된 배관들 즉, 상기 압축기(10) 흡입측과 사방변(20)을 연결하는 흡입관(11) 및 상기 압축기(10) 토출측과 사방변(20)을 연결하는 토출관(12)과, 상기 사방변(20)과 서비스 밸브(미도시)를 연결하는 연결관(13) 및 상기 사방변(20)과 실외 열교환기(22)를 연결하는 연결관(14)으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15)가 압축기(10)의 주위에 설치된 상태에서 압축기(10)가 기동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10) 기동에 따른 진동이 흡입관(11) 및 토출관(12)을 통해 배관 밀집부(15)로 전달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전달된 진동에 의해 상기 배관 밀집부(15)의 각 배관들(11-14)이 떨리게 되면서 상기 각 배관(11-14)의 진동에 따른 소음이 유발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배관 밀집부(15)의 각 배관(11-14) 중 큰 진동이나 소음이 유발되는 배관(11)(14)에 진동을 흡수 감쇄시키기 위한 부가물(이하, 집중질량(16) 또는 부틸 테이프(16a)이라 함.)을 설치하여 상기 집중질량(16)을 통해 배관(11)(14)의 진동 변위를 감쇄시키도록 하였으나, 이는 주로 배관(11)(14)의 국부적인 진동만을 감쇄시켰을 뿐, 상기 배관 밀집부(15)의 전체적인 진동을 감쇄시키지 못하는 등의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밀집부(15)를 이루는 배관들(11-14) 각각에 집중질량(16)을 설치함으로써, 각 배관에 설치된 집중질량을 통해 압축기(10)로부터 각 배관(11-14)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상기 배관 밀집부(15)의 전체적인 진동을 감쇄시켰으나, 이의 경우 상기 배관 밀집부(15)를 이루는 각 배관들(11-14)의 진동을 감쇄시키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밀집부(15)를 이루는 각각의 배관(11-14)에 집중질량(16)을 따로 따로 설치해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배관 밀집부(15)를 이루는 각각의 배관(11-14)에 집 중질량(16)을 따로 따로 설치할 경우, 이에 따른 제조공정의 증가는 물론, 상기 제조공정에 의한 제조단가 및 제품단가 역시 올라가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된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중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에 제진재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진재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가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발생되는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함과 동시에, 상기 제진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로 전달된 압축기의 진동 및 상기 진동에 따른 소음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된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중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에 제진재를 설치하여 상기 제진재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가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질량이 설치된 압축기 주위의 배관 밀집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상세도이다.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는, 압축기(10) 및 사방변(20), 실외 열교환기(22), 실외팬(24)으로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0)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되는 흡입/토출관(11a)(12a)과, 사방변(20)과 서비스 밸브(미도시) 및 사방변(20)과 실외 열교환기(2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13a)(14a)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15a) 중 2개 이상의 배관들(11a-13a)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의 소정위치에 제진재(18)를 설치하여 상기 제진재(18)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11a-13a)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가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배관 구조는, 압축기(10) 및 사방변(20), 실외 열교환기(22), 실외팬(24)으로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0)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되는 흡입/토출관(11a)(12a)과, 사방변(20)과 서비스 밸브(미도시) 및 사방변(20)과 실외 열교환기(2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13a)(14a)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15a) 중 루핑된 하나의 배관(11a) 두 지점의 소정위치에 제진재(18a)를 설치하여 상기 루핑된 하나의 배관(11a) 전체가 상기 제진재(18a)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배관 구조와 본 발명의 또 다른 배관 구조에 있어, 상기 제진재(18)(18a)는 압축기(10)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화된 배관들(11a-14a)로 전달된 진동을 흡수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 집중질량, 부틸 테이프, 집중질량+철사, 집중질량+알루미늄 테이프, 부틸 테이프+알루미늄 테이프 등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진재(18)(18a)는 상기 배관 밀집부(15a) 중 2개 이상의 배관(11a-13a), 또는 배관 밀집부(15a) 전체, 또는 루핑된 하나의 배관(11a) 등이 각기 삽착되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9)이 형성된 사각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진재(18)(18a)는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상기 배관들(11a-14a)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는, 종래 압축기(10)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각 배관에 전달되어 상기 압축기(10) 진동에 따른 각 배관(11-14)의 떨림이 발생되었던 진동 모드를 상기 배관 전체가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발생되는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되게 하는 등의 진동 모드로 변환되게 하여 배관(11a-14a) 전체의 진동 및 소음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압축기(10)의 흡입/토출관(11a)(12a)과, 연결관들(13a)(14a)로 이루어진 배 관 밀집부(15a) 중 2개 이상의 배관들(11a-13a)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에 제진재(18)를 설치하여 상기 제진재(18)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11a-13a)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가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발생되는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전술한 종래와의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는, 압축기(10) 및 사방변(20), 실외 열교환기(22), 실외팬(24)으로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0)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되는 흡입/토출관(11a)(12a)과, 사방변(20)과 서비스 밸브(미도시) 및 사방변(20)과 실외 열교환기(2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13a)(14a)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15a) 중 2개 이상의 배관들(11a-13a)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의 소정위치에 제진재(18)를 설치하여 상기 제진재(18)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11a-13a)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가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진재(18)는 압축기(10)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화된 배관들(11a-14a)로 전달된 진동을 흡수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 또는 집중질량, 부틸 테이프, 집중질량+철사, 집중질량+알루미늄 테이프, 부틸 테이프+알루미늄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제진재(18)의 경우, 도 4의 상세도와 같이, 상기 배관 밀집부(15a) 중 2개 이상의 배관(11a-13a), 또는 배관 밀집부(15a) 전체 가 각기 삽착되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9)이 형성된 사각체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제진재(18)의 경우,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상기 배관들(11a-14a)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제진재(18)를 상기 배관들(11a-14a) 즉, 배관 밀집부(15a)의 중간 부위에 설치하는 이유를 간략히 설명하면, 압축기(10) 기동에 따른 진동이 배관 밀집부(15a)의 각 배관(11a-14a)을 타고 전달될 때, 상기 압축기(10) 진동의 파장은 배관의 끝부분 즉, 루핑된 배관의 곡관부(17)로 가면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되어 상기 배관의 루핑부인 곡관부(17)에 이르러서는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거의 "0"(제로) 상태가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되, 상기 루핑된 배관의 곡관부(17)를 상기 배관을 고정시키는 바닥면으로 예를 들며, 상기 루핑된 배관은 흡입관(11a)으로 하여 설명한다.
배관(11a)의 일측을 바닥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압축기(10) 진동을 상기 배관(11a)에 전달시킬 경우, 압축기(10) 진동이 상기 배관(11a)을 타고 이동하다가 상기 바닥면에 고정된 배관(11a)의 일측 끝단부에 이르러서는 상기 압축기(10)의 진동을 바닥면 즉, 상기 배관(11a)의 일측 끝단을 고정하고 있는 바닥면이 지지하게 되면서 상기 바닥면에 고정된 배관(11a) 일측 끝단부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의 "0"(제로) 상태가 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배관(11a)의 중간 부위로 가면 갈수록 상기 배관(11a)을 타고 이동하는 압축기(10)의 진동 파장이 집중되면서 떨림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전술한 바닥면과 같이 배관(11a)의 형상 중 직선관의 끝단을 지지하면서 압축기(10)의 진동을 거의 "0"(제로) 상태로 만들어주는 바닥면 역할의 곡관부(17)을 제외한 상기 직선관에 있어, 상기 곡관부(17)로부터 일정길이를 갖으면서 양 끝단이 곡관부(1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곡관부(17)에 의해 지지되는 양 끝단보다는 지지되지 않는 직선관의 중간 부위가 압축기(10) 진동에 따른 떨림이 심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진재(18)를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상기 배관들(11a-14a)의 중간 부위 즉, 직선관들의 중간 부위에 설치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며, 상기 제진재(18)와는 별도로 배관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부가물을 부틸 테이프(16a)나 제진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집중질량이 설치된 배관 밀집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배관 구조는, 압축기(10) 및 사방변(20), 실외 열교환기(22), 실외팬(24)으로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0)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되는 흡입/토출관(11a)(12a)과, 사방변(20)과 서비스 밸브(미도시) 및 사방변(20)과 실외 열교환기(22)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13a)(14a)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15a) 중 루핑된 하나의 배관(11a) 두 지점의 소정위치에 제진재(18a)를 설치하여 상기 루핑된 하나의 배관(11a) 전체가 상기 제진재(18a)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진재(18a)는 압축기(10)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화된 배관으로 전달된 진동을 흡수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 또는 집중질량, 부틸 테이프, 집중질량+철사, 집중질량+알루미늄 테이프, 부틸 테이프+알루미늄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제진재(18a)의 경우 역시 도 4 에 도시된 제진재(18)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관 밀집부(15a) 중 루핑된 하나의 배관(11a)이 각기 삽착되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9)이 형성된 사각체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제진재(18a)의 경우, 압축기(10)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상기 배관(11a)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배관(11a)의 중간 부위에 제진재(18a)가 설치되는 것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진재(18)의 설치 이유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집중질량에 의해 압축기에서 배관 밀집부로 전달된 진동이 감쇄되는 작용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은 도 4와 같이 집중질량이 설치된 배관들 중 흡입관의 진동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상과 같이 압축기(10) 주위의 배관 밀집부(15a) 즉, 상기 압축기(10) 흡입측과 사방변(20)을 연결하는 흡입 파이프(11a) 및 상기 압축기(10) 토출측과 사방 변(20)을 연결하는 토출 파이프(12a)와, 상기 사방변(20)과 서비스 밸브(미도시)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13a) 및 상기 사방변(20)과 실외 열교환기(22)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14a) 중 2개 이상의 배관들(11a-13a)이나 또는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의 중간 부위에 제진재(18)를 설치한 상태에서 압축기(10) 기동에 따른 진동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제진재(18)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된 상기 배관 밀집부(15a) 전체가 상기 진동에 의해 떨리게 되는 진동 모드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배관 밀집부(15a) 전체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제진재(18)에 의해 상기 배관 밀집부(15a)로 전달된 압축기(10) 진동이 흡수 감쇄되면서 상기 압축기(10) 진동에 따른 배관 떨림의 공진 주파수를 회피하게 되어 전체적인 배관들(11a-14a)의 진동 변위가 감소하게 되는 특징적 효과를 이루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배관 밀집부(15a) 중 배관의 강성이 다른 배관에 비해 높은 흡입관(11a)을 한정하여 진동 변위에 대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도 3 에 도시된 종래 흡입관(11)의 진동 변위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흡입관(11a)의 진동 변위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감됨을 알 수 있으며, 전체적인 배관 밀집부(15a)를 살펴볼 때, 배관(11a-14a) 전체의 진동 및 소음 역시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의 경우, 일반적인 냉/난방 시스템인 히트 펌프(Heat Pump)의 실외기 이외에도, 냉방운전용 에어컨의 실외기, 멀티형 에어컨의 실외기,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된 에어컨 실외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미 리 밝혀둔다.
본 발명인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는,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된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중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또는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에 제진재를 설치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진재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가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발생되는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함과 동시에, 상기 제진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변형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나 상기 배관 밀집부 전체로 전달된 압축기의 진동 및 상기 진동에 따른 소음을 동시에 저감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압축기 및 사방변, 실외 열교환기, 실외팬으로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되는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전체의 소정위치에 제진재를 설치하여 상기 제진재를 통해 배관 밀집부 전체가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2. 압축기 및 사방변, 실외 열교환기, 실외팬으로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되는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중 2개 이상의 배관들 소정위치에 제진재를 설치하여 상기 제진재를 통해 연결된 2개 이상의 배관들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3. 압축기 및 사방변, 실외 열교환기, 실외팬으로 구성된 에어컨 실외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흡입측 및 토출측에 연결되는 흡입/토출관과, 사방변과 서비스 밸브 및 사방변과 실외 열교환기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관들로 이루어진 배관 밀집부 중 루핑된 하나의 배관 두 지점의 소정위치에 제진재를 설치하여 상기 루핑된 하나의 배관 전체가 상기 제진재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재는 압축기로부터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화된 배관들로 전달된 진동을 흡수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고무재, 집중질량, 부틸 테이프, 집중질량+철사, 집중질량+알루미늄 테이프, 부틸 테이프+알루미늄 테이프 등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재는 상기 배관 밀집부 중 2개 이상의 배관, 또는 배관 밀집부 전체, 또는 루핑된 하나의 배관 등이 각기 삽착되어 새로운 형태의 진동계로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사각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재는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진동에 의해 떨림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상기 배관들의 중간 부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KR1020040012684A 2004-02-25 2004-02-25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KR10059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684A KR100598215B1 (ko) 2004-02-25 2004-02-25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US10/914,078 US20050183436A1 (en) 2004-02-25 2004-08-10 Pipe structure of outdoor unit in air conditioner
CNB2004100751030A CN1302244C (zh) 2004-02-25 2004-08-31 空调器室外机的管道结构
JP2004290054A JP2005241236A (ja) 2004-02-25 2004-10-01 空調機の室外機の配管構造
EP05101275A EP1568954A3 (en) 2004-02-25 2005-02-21 Pipe structure of outdoor unit in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684A KR100598215B1 (ko) 2004-02-25 2004-02-25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273A KR20050086273A (ko) 2005-08-30
KR100598215B1 true KR100598215B1 (ko) 2006-07-07

Family

ID=3474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684A KR100598215B1 (ko) 2004-02-25 2004-02-25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83436A1 (ko)
EP (1) EP1568954A3 (ko)
JP (1) JP2005241236A (ko)
KR (1) KR100598215B1 (ko)
CN (1) CN130224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178B1 (ko) 2023-05-11 2023-08-08 장철섭 에어컨 실외기 연결배관용 방수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030A (ko) * 2007-01-29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관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장치
DE102008024028A1 (de) * 2008-05-16 2009-11-19 Stiebel Eltron Gmbh & Co. Kg Kühl- und/oder Heizgerät, insbesondere Wärmepumpe, mit einer Halterung für ein flüssigkeitsführendes Rohr
CN201297714Y (zh) * 2008-09-18 2009-08-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外机
JP5683075B2 (ja) * 2009-02-13 2015-03-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インジェクション管
DE102010038375A1 (de) * 2010-07-23 2012-01-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KR101936192B1 (ko) * 2010-12-29 2019-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FR2976052B1 (fr) * 2011-06-06 2013-06-28 Gen Accessoires De Chauffage Gac Ventilation mecanique controlee de type double flux thermodynamique reversible
CN103629867B (zh) * 2012-08-20 2015-12-0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压缩机配管系统及制冷装置
CN103017268A (zh) * 2012-12-10 2013-04-03 海信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外机
KR102122574B1 (ko) * 2013-02-28 2020-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큐뮬레이터 및 이를 사용한 공기조화기
US10465958B2 (en) 2014-04-16 2019-11-05 Trane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systems to reduce damage caused by vibration
CN104501319B (zh) * 2014-11-21 2017-11-1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外机
CN104989880A (zh) * 2015-07-14 2015-10-21 宁波奥克斯空调有限公司 一种四通阀减震管夹及具有其的四通阀组件
CN106090117A (zh) * 2016-06-03 2016-11-09 陈兴 一种可降低压缩机组配管共振振幅的阻尼构造装置
KR102328715B1 (ko) 2016-08-12 2021-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
EP3495752B1 (en) * 2017-12-05 2020-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652240B1 (ko) * 2017-12-05 2024-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8469079A (zh) * 2018-01-29 2018-08-3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单冷空调室外机回气管及空调
JP7119702B2 (ja) * 2018-07-25 2022-08-17 株式会社ノーリツ 防振材及び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
KR102623103B1 (ko) * 2018-11-20 202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JPWO2021064845A1 (ko) * 2019-10-01 2021-04-08
JP7488493B1 (ja) 2022-11-30 2024-05-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媒流路モジュール及び熱源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546A (en) * 1933-03-13 1935-08-06 Gen Household Utilities Compan Vibration eliminating means for refrigerating systems
US2273395A (en) * 1941-01-31 1942-02-17 Flex O Tube Company Universal tubing fitting
US3107890A (en) * 1958-02-24 1963-10-22 Tyler Co W S Rubber mounting unit
US3528260A (en) * 1968-08-30 1970-09-15 Gen Motors Corp Refrigeration apparatus with components connected by chlorinated polyethylene hoses
US3788394A (en) * 1972-06-01 1974-01-29 Motor Coach Ind Inc Reverse balance flow valve assembly for refrigerant systems
DE3810309A1 (de) * 1988-03-26 1989-10-12 Boge Ag Hydraulisch daempfendes gummilager
US5048873A (en) * 1990-03-05 1991-09-17 Aero Quip Corporation Double ball joint
US5182922A (en) * 1991-11-21 1993-02-02 Aeroquip Corporatio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JPH0735443A (ja) * 1993-07-23 1995-02-07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配管の制振構造
JPH08247374A (ja) * 1995-03-07 1996-09-27 Mitsubishi Heavy Ind Ltd 小口径配管の防振装置
JPH09152232A (ja) * 1995-09-27 1997-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用冷媒配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3172412B2 (ja) 1995-11-21 2001-06-04 三洋電機株式会社 防振装置
JPH09144661A (ja) * 1995-11-27 1997-06-03 Mitsubishi Heavy Ind Ltd 圧縮機配管の制振装置
JPH09196514A (ja) * 1996-01-16 1997-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冷凍サイクル装置の配管振動低減装置
FR2757245B1 (fr) * 1996-12-12 1999-02-19 Hutchinson Dispositif de fixation d'au moins une canalisation de fluide sur un support
JPH10185242A (ja) * 1996-12-20 1998-07-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の冷媒配管用制振部品
JPH10185362A (ja) * 1996-12-25 1998-07-14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H11323124A (ja) * 1998-05-11 1999-11-26 Mitsubishi Heavy Ind Ltd 発泡ウレタン制振材及び発泡ウレタン制振材の施工方法
JP2000161817A (ja) * 1998-11-24 2000-06-16 Funai Electric Co Ltd 圧縮機用配管の振動減衰装置
JP3711065B2 (ja) * 2001-11-09 2005-10-26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178B1 (ko) 2023-05-11 2023-08-08 장철섭 에어컨 실외기 연결배관용 방수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8954A2 (en) 2005-08-31
US20050183436A1 (en) 2005-08-25
JP2005241236A (ja) 2005-09-08
EP1568954A3 (en) 2006-11-15
KR20050086273A (ko) 2005-08-30
CN1302244C (zh) 2007-02-28
CN1661290A (zh)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821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KR100547334B1 (ko) 에어컨의 파이프 구조
KR10193619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8039276A (ja) 冷媒流路切換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100593084B1 (ko) 에어컨 실외기의 흡입관 구조
EP1589293A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US7155929B2 (en) Pip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WO2011099323A1 (ja) 可逆方向レシーバ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75891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360235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 및 소음 저감 구조
KR102266827B1 (ko) 공기 조화기
KR20090001455U (ko) 진동저감장치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20050036177A (ko) 저진동 에어컨 배관 구조
KR20070008337A (ko) 공기조화기
JP2021188778A (ja) 音響ダンパおよび冷凍機
JP2008215682A (ja) 冷凍装置
KR100439057B1 (ko) 배관 구조
CN114278999B (zh) 空调器
JP2005147463A (ja) 空気調和機
KR101305281B1 (ko) 이중과냉각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
KR100379436B1 (ko) 소형 공기조화기
JP2922117B2 (ja) 空気調和機
KR200333694Y1 (ko) 나선형 열교환장치의 고정구조
JP2020153648A (ja) 冷凍機
KR20000005777U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저소음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