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865Y1 -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865Y1
KR200233865Y1 KR2019980010453U KR19980010453U KR200233865Y1 KR 200233865 Y1 KR200233865 Y1 KR 200233865Y1 KR 2019980010453 U KR2019980010453 U KR 2019980010453U KR 19980010453 U KR19980010453 U KR 19980010453U KR 200233865 Y1 KR200233865 Y1 KR 200233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lower
pipe
capillary tube
m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870U (ko
Inventor
김준우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10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86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865Y1/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흡입용 그릴과 토출용 그릴 및 컨트롤부를 구비한 실내기 하우징의 내부로 확관부를 가지는 파이프의 단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된 모세관에 연결된 증발기에 근접되도록 구비된 필터와 응축수 배출부로 구비된 감열부를 설치하고, 모터에 연결된 블로워를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블로워 하우징이 구비된 송풍부로 이루어진 실내기에 있어서, 단부에 만곡형 리브(12a)를 가지는 가이더(12)를 구비한 메인 파이프(10)와; 상기 메인 파이프(10)의 선단에 삽입되는 커넥터(20)와; 상기 커넥터(20)의 중심에 일정한 깊이(L)로 삽입되도록 하는 돌기(32)를 형성한 모세관(30)과; 상기 커넥터(20)의 외측과 만곡형의 리브(12a)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용 커넥터{CONECTOR OF CONDENSER}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에 압력 강하를 일으키도록 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토록 하는 팽창 밸브에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열 교환기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공간 내의 습도와 온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공기조화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인위적인 방법을 공기조화장치라한다.
공기조화장치는 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온풍기와 그 온도를 낮추는 냉방기로 구분된다.
온풍기는 전기 또는 유류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고, 열 교환기를 통해 실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로 재토출시킴으로써, 그 온도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또한, 냉방기는 압축된 냉매가 팽창될 때 발생하게 되는 흡열작용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냉각시키고, 이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재유입(토출)시킴으로써, 실내를 냉방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용 커넥터의 종단면도로서, 패키지형 에어컨을 도시하고 있다.
패키지형 에어컨은 방열작용을 하는 실외기와 감열작용을 하는 실내기가 분리되어 냉매가 이동 가능하게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실외기는 실외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기를 흡입토록 하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의 내측에 냉매를 압축토록 하는 압축기와, 압축기로부터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응축기가 내설되어 있다.
압축기와 응축기는 냉매가 순환하도록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흡입구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응축기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외기용 블로워가 응축기와 근접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기는 실외기 내의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에 압력강하작용을 일으키도록 하고, 이어 열 교환기(증발기)를 거치면서 주위에 열을 흡수토록 한 것으로, 실내기(100)는 실내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감열부(120)와 송풍부(130)가 내설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실내기 하우징(110)은 전면에 흡입용 그릴(112)과 토출용 그릴(114) 및 컨트롤부(116)가 구비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키고, 감열부(120)를 경유하면서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감열부(112)내지 송풍부(130)를 지지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감열부(120)는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냉매에 압력강하작용을 일으키도록 파이프(127)의 단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모세관(128)을 용접(127a)으로 연결된 증발기(122)와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를 배출토록 하는 응축수 배출부(126)가 구비되어 있으며, 증발기(122)와 근접하게 필터(124)가 구비되어 있다.
송풍부(130)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122)를 경유하여 냉각된 상태로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블로워 하우징(136)의 내부로 모터(132)와 연결된 블로워(1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장치의 증발기와 모세관의 연결은 공구를 사용하여 파이프(127)의 단부를 찌그러뜨려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 다음 모세관(128)을 삽입하고, 그 주위를 용접함으로써, 완료가 되며, 실내가 냉방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다.
실내기 하우징(110)의 중앙에 구비되어 있는 컨트롤부(116)를 조작하여 실내, 외기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압축기의 구동으로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로 압축되고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로 유입된 고온, 고압의 가스 냉매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액체 상태로 변환되어 실내기의 팽창 밸브로 흐르게 된다.
파이프(127)의 확관부(127a)와 모세관(128)을 지나면서 냉매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되고, 그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감열부(120)의 증발기(122)로 유입되어 흐르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발생된 응축수는 그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부(126)로 모인 후 미도시한 파이프를 통해 배출된다.
모터(132)의 구동으로 블로워 하우징(13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블로워(134)를 회전시킴으로써, 실내의 공기는 흡입용 그릴(112)을 통해 유입된 후 증발기(12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상태로 토출용 그릴(114)을 통해 실내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그러나, 냉매에 압력 강하를 일으키도록 하는 모세관(팽창밸브)과 증발기의 연결은 증발기에 연결되어 있는 파이프와 모세관의 직경의 차이를 줄이도록 파이프 단부의 요부를 찌그린 다음 모세관을 삽입하고, 용접하는 것으로 연결이 완료되나, 작업 과정과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봉의 소모량이 증가됨으로써,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파이프의 둘레를 용접함으로써, 리크(Leak)가 발생하여 냉매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증발기에 구비되어 있는 모세관과 연결되는 파이프에 병목 가이더를 이용하여 고정토록 함으로써, 작업 공정수를 줄여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한기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용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교환기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메인 파이프 12;가이더
12a;리브 20;커넥터
22;유입부 24;토출부
30;모세관 32;돌기
D;제 1직경 d;제 2직경
L;깊이 ι;폭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흡입용 그릴과 토출용 그릴 및 컨트롤부를 구비한 실내기 하우징의 내부로 확관부를 가지는 파이프의 단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된 모세관에 연결된 증발기에 근접되도록 구비된 필터와, 웅축수 배출부로 구비된 감열부를 설치하고, 모터에 연결된 블로워를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블로워 하우징이 구비된 송풍부로 이루어진 실내기에 있어서, 단부에 만곡형 리브를 가지는 가이더를 구비한 메인 파이프와; 상기 메인 파이프의 선단에 삽입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중심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돌기를 형성한 모세관과; 상기 커넥터의 외측과 만곡형의 리브사이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 교환기용 커넥터의 제공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열 교환기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커넥터의 종단면도로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종래와 연계하여 설명하면, 냉방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내측에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된 실외기와, 감열부(120)와 송풍부(130)가 내장된 실내기 하우징(110)으로 구비된 실내기(100)로 이루어진다.
실내기 하우징(110)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토록 하는 흡입용 그릴(112)과 냉각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토출용 그릴(114) 및 컨트롤부(116)가 구비되어 있다.
감열부(120)는 증발기(122)에 연결된 모세관(128)에 용접(127a)으로 파이프(127)가 연결되어 있고,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응축수를 배출토록 하는 응축수 배출부(12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토록 하는 필터(124)가 구비되어 있다.
송풍부(130)는 블로워 하우징(136)의 내부로 모터(132)와 연결된 블로워(134)로 이루어진 냉방기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메인 파이프(10)의 선단에 삽입되는 커넥터(20)와, 이 커넥터(20)에 삽입되는 모세관(30) 및 메인 파이프(10)와 커넥터(20)사이에 구비되는 고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파이프(10)는 실외기의 응축기와 연결된 것으로서, 그 단부에 만곡형의 리브(12a)를 가지는 가이더(1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 가이더(12)는 메인 파이프(10)의 원주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20)는 병목과 같이 내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하단에 제 1직경(D)을 가지는 유입부(22)를 구비하고, 이 유입부(22)에 대향되도록 상부에 제 2직경(d)을 가지는 토출부(24)를 일체로 형성한다.
유입부(22)와 토출부(24)사이는 상부로 그 직경의 폭(ι)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파이프(10)와 커넥터(20) 사이에 구비된 고정 수단은 메인 파이프(1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가이더(12)와 동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하는 링(4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모세관(30)의 일측에는 커넥터(20)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깊이(L)로 삽입되도록 하는 돌기(32)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메인 파이프(10)에 모세관(3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가이더(12)가 구비된 메인 파이프(10)에 커넥터(20)의 유입부(22)를 삽입하고, 그 외측에 링(40)을 삽입하여 만곡형의 리브(12a)에 닿도록 한다.
그리고, 커넥터(20)의 토출부(24)에 모세관(30)의 돌기(32)가 걸리도록 삽입한 후, 토오치 등을 이용하여 커넥터(20)의 하부를 가열한다.
커넥터(20)의 하부가 가열되고, 그 외측에 삽입되어 있는 링(40)이 용융이 됨으로써, 모세관(30)과 커넥터(20)가 연결되는 것으로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 상태에서 컨트롤부(116)를 조작하게 되면 전류가 인가되고, 압축기의 구동으로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로 유입된 냉매는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액체 상태로 변환되어 실내기의 증발기내로 흐르게 된다.
이때, 냉매는 메인 파이프(10)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20)의 유입부(22)와 토출부(24)를 경유하고, 이와 연결되어 있는 모세관(30)을 통과하게 된다.
증발기내로 흐르게 되면서 주위에 열을 흡수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응축수는 그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부로 모인 후 외부로 배출된다.
블로워(134)의 구동으로 실내의 공기는 흡입용 그릴(112)을 통해 유입된 후 증발기(122)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상태로 토출용 그릴(114)을 통해 실내로 배출시킴으로써, 실내를 냉방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메인 파이프의 단부와 모세관을 연결토록 하는 커넥터를 병목 형태로 구비하고 고정 수단을 링으로 사용함으로써, 작업 공정과 용접 재료를 줄여 비용을 낮추도록 한 효과가 있으며, 국부적인 가열을 피하여 리크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전면에 흡입용 그릴과 토출용 그릴 및 컨트롤부를 구비한 실내기 하우징의 내부로 확관부를 가지는 파이프의 단부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고정된 모세관에 연결된 증발기에 근접되도록 구비된 필터와, 웅축수 배출부로 구비된 감열부를 설치하고, 모터에 연결된 블로워를 감싸도록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블로워 하우징이 구비된 송풍부로 이루어진 실내기에 있어서,
    단부에 만곡형 리브(12a)를 가지는 가이더(12)를 구비한 메인 파이프(10)와;
    상기 메인 파이프(10)의 선단에 삽입되는 커넥터(20)와;
    상기 커넥터(20)의 중심에 일정한 깊이(L)로 삽입되도록 하는 돌기(32)를 형성한 모세관(30)과;
    상기 커넥터(20)의 외측과 만곡형의 리브(12a)사이에 구비되는 링(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 교환기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0)는 제 1직경(D)을 가지는 유입부(22)에 대향되도록 제 2직경(d)을 가지는 토출부(24)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유입부(22)와 토출부(24)사이는 상부로 그 직경의 폭(ι)이 좁아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 교환기용 커넥터.
KR2019980010453U 1998-06-17 1998-06-17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KR200233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53U KR200233865Y1 (ko) 1998-06-17 1998-06-17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53U KR200233865Y1 (ko) 1998-06-17 1998-06-17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70U KR20000000870U (ko) 2000-01-15
KR200233865Y1 true KR200233865Y1 (ko) 2001-09-25

Family

ID=6951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453U KR200233865Y1 (ko) 1998-06-17 1998-06-17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8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11B1 (ko) * 2011-07-26 2013-11-26 희성정밀 주식회사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222B1 (ko) * 2007-03-27 2014-02-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교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11B1 (ko) * 2011-07-26 2013-11-26 희성정밀 주식회사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70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77067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KR200233865Y1 (ko)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JPH09269154A (ja) 凝縮器
KR0164745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0208543Y1 (ko) 에어컨의냉매순환장치
JP3015648B2 (ja) 空気調和機
KR200233866Y1 (ko) 공기조화기의팽창밸브
KR100504878B1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KR200142488Y1 (ko) 이슬맺힘 방지구조를 가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33034Y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팽창장치
KR200245707Y1 (ko) 공기조화기용튜브고정구
KR100258236B1 (ko) 히트펌프의 실내기
KR200189287Y1 (ko) 냉.난방기의 실외기(Autside device of heating and colling devices)
KR200245711Y1 (ko)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KR200245721Y1 (ko) 패키지에어콘의실내기
KR100504881B1 (ko) 냉매가열유니트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에어컨
KR0117008Y1 (ko) 냉난방 에어콘의 실외기 히터고정장치
KR200146190Y1 (ko) 창문형 에어컨의 냉매주입용 튜브
KR200297144Y1 (ko) 냉온수 공급장치
KR200275680Y1 (ko) 냉수공급기능을갖는패캐지에어콘
KR100443930B1 (ko) 공기흐름 개선구조의 에어컨 실내기
JP4055264B2 (ja) 空気調和装置
KR200184060Y1 (ko) 공기조화기의 모세관 구조
KR20010029372A (ko)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JP2003161456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