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372A -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372A
KR20010029372A KR1019990042141A KR19990042141A KR20010029372A KR 20010029372 A KR20010029372 A KR 20010029372A KR 1019990042141 A KR1019990042141 A KR 1019990042141A KR 19990042141 A KR19990042141 A KR 19990042141A KR 20010029372 A KR20010029372 A KR 2001002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dryer
evaporator
pipe
temperature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7691B1 (ko
Inventor
한상우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1999004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691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4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 F25B2339/0446Condensers with an integra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ubes connecting the header of the condenser to the receiver; Inlet or outlet connections to recei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4Problems to be solved the presence of moisture in a refrigeration component or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이 가능한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액체냉매와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저온의 기체 냉매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기(1)에 응축작용을 하면서 방열하는 응축기(2)를 연결시키고 이 응축기(2)에는 리시버드라이어(3)를 연결하여 이의 일단이 증발기(4)와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게 하며, 리시버 드라이어(3)의 일단에는 모세관(5)을 연결하고 이에 상기 증발기(4)를 연결설치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증발기(4)에 블로어(6)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하부 커버(8)(9)를 몸체(7)의 상하에 설치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에 증발기(4)측에 연결되는 저온/저압관(10)을 코일형으로 형성하되, 이를 리시버 드라이어(3)의 중앙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저온/저압관(10)의 일측에는 상부에는 상기 응축기(2)에서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을 설치하되, 이의 선단을 외향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유입관(11)의 반대측 유출관(12)의 하단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하단에 이르도록 한 상태에서 그 하부 유입부(13)가 상기 유입관(11)의 경사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형의 저온/저압관(10)의 내부경에는 냉매의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하여 돌조(14)를 형성하거나 스플라인(15)을 형성하며, 상기 코일형 저온/저압관(10)의 외경부에 방열핀(16)을 설치하여 구성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Receiver drier of air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열교환이 가능한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액체냉매와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저온의 기체 냉매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공기조화기기에는 차량의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거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컨이 포함되며, 이 에어컨은 도 1에서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압축기(1)에 응축작용을 하면서 방열하는 응축기(2)를 연결시켜 구비하고 있으며, 이 응축기(2)에는 모세관(5)과 증발기(4)를 연결설치하여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열교환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는 냉기를 상기 차량의 실내에 공급하여 차량의 냉방장치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냉매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리시버 드라이어(3)가 설치되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종래의 에어컨에 있어서의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는 그 본체내에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고압관과 상기 증발기에 연결되는 저압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압관과 저압관의 길이를 달리하여 이들 관을 통해 유입된 냉매의 온도를 희석시키고 이 희석작용에 따라 압축기(1)로 공급되는 냉매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열교환의 특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것은 상기 고압관과 저압관의 길이를 단순히 달리하여 상기 압축기로 보내지는 냉매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냉매온도를 효과적으로 콘트롤 할 수 없었으며, 상기 고압과 저압관에 의하여 혼합되는 냉매의 혼합상태가 불규칙하게 되므로서 냉매의 온도분포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로 유입된 냉매의 압축효율이 크게 저하되어 냉방효율을 극대화시키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열교환이 가능한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의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고온의 액체냉매와 증발기로부터 유입된 저온의 기체 냉매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방사이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저온/저압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발췌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저온/저압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응축기
3 : 리시버 드라이어
4 : 증발기
5 : 모세관
6 : 블로어
10 : 저온/저압관
11 : 유입관
12 : 유출관
13 : 유입부
14 : 돌조
15 : 스플라인
16 : 방열핀
압축기(1)에 응축작용을 하면서 방열하는 응축기(2)를 연결시키고 이 응축기(2)에는 리시버드라이어(3)를 연결하여 이의 일단이 증발기(4)와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일단에는 모세관(5)을 연결하여 이에 상기 증발기(4)를 연결설치하여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4)에 블로어(6)를 설치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하부 커버(8)(9)를 몸체(7)의 상하에 설치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에 증발기(4)측에 연결되는 저온/저압관(10)을 코일형으로 형성하되, 이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저온/저압관(10)의 일측에는 상부에는 상기 응축기(2)에서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을 설치하되, 이의 선단을 외향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유입관(11)의 반대측 유출관(12)의 하단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하단에 이르도록 한 상태에서 그 하부 유입부(13)가 상기 유입관(11)의 경사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 상기 코일형의 저온/저압관(10)의 내부경에는 냉매의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하여 돌조(14)를 형성하거나 스플라인(15)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형 저온/저압관(10)의 외경부에 방열핀(16)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된 것으로 17은 안전밸브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압축기(1)에 응축작용을 하면서 방열하는 응축기(2)를 연결시키고 이 응축기(2)에는 리시버드라이어(3)를 연결하여 이의 일단이 증발기(4)와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일단에는 모세관(5)을 연결하여 이에 상기 증발기(4)를 연결설치하여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4)에 블로어(6)를 설치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하부 커버(8)(9)를 몸체(7)의 상하에 설치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에 증발기(4)측에 연결되는 저온/저압관(10)을 코일형으로 형성하되, 이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저온/저압관(10)의 일측에는 상부에는 상기 응축기(2)에서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을 설치하되, 이의 선단을 외향 경사지게 설치하며, 상기 유입관(11)의 반대측 유출관(12)의 하단은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하단에 이르도록 한 상태에서 그 하부 유입부(13)가 상기 유입관(11)의 경사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응축기(2)에서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을통하여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유입되면, 이 유입관(11)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리시버 드라이어(3)의 벽에 반사되어 살수상태로 공급되며 이 공급된 고온/고압의 냉매기체는 상기 유출관(12)의 하단 유입부(13)를 통하여 유입되어 유출관(12)으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유입부(13)의 방향이 상기 유입관(11)의 경사방향 반대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입관(11)으로 유입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기체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내에서 오래 머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리시버 드라이어(3)의 내부로 유입될 때, 상기 코일형의 저온/저압관(10)으로는 증발기(4)에서의 저온/저압 냉매기체가 유입되며 이 저온/저압관(10)을 따라 유입되는 저온/저압의 냉매기체는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에서 오래 머물게 되는 형태가 되며, 이 저온/저압관(10)이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기체와 접촉되면서 고온/고압화가 되면서 압축기(1)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함에 있어서, 상기 저온/저압관(10)의 내부경에 냉매의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하여 돌조(14)를 형성하거나 스플라인(15)을 형성하여 구성하게 되면,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기체와 저온/저압의 냉매기체가 접촉하는 시간이 길게 되며 또, 상기 코일형 저온/저압관(10)의 외경부에 방열핀(16)을 설치할 경우 이 저온/저압관(10)에 따른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보조 열교환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3)내에 코일형의 저온/저압관을 설치하고 이 저온/저압관을 따라 순환하는 냉매가 상기 고온/고압의 냉매와 접촉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압축기(1)로 보내지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리시버 드라이(3)에서 보조 열교환기능을 하게 되므로 상기 냉방장치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6)

  1. 압축기(1)에 응축작용을 하면서 방열하는 응축기(2)를 연결시키고 이 응축기(2)에는 리시버드라이어(3)를 연결하여 이의 일단이 증발기(4)와 상기 압축기(1)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일단에는 모세관(5)을 연결하여 이에 상기 증발기(4)를 연결설치하여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증발기(4)에 블로어(6)를 설치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하부 커버(8)(9)를 몸체(7)의 상하에 설치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에 증발기(4)측에 연결되는 저온/저압관(10)을 코일형으로 형성하되, 이를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3)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저온/저압관(10)의 일측에는 상부에는 상기 응축기(2)에서 고온/고압의 냉매기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을 설치하고 이의 대향위치에는 유출관(12)을 리시버 드라이어(3)의 하단에 이르도록 설치하여 보조 열교환기 기능을 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1)은 이의 선단을 외향 경사지게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1)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유출관(12)의 하단은 유입부(13)는 상기 유입관(11)의 경사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의 저온/저압관(10)의 내부경에는 냉매의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하여 돌조(14)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의 저온/저압관(10)의 내부경에는 스플라인(15)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형 저온/저압관(10)의 외경부에 방열핀(16)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019990042141A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KR100337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41A KR100337691B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41A KR100337691B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372A true KR20010029372A (ko) 2001-04-06
KR100337691B1 KR100337691B1 (ko) 2002-05-22

Family

ID=1961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141A KR100337691B1 (ko) 1999-09-30 1999-09-30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6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852B2 (en) 2012-07-11 2015-12-15 Lg Electronics Inc. Support mechanism for a heat exchanger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US9389026B2 (en) 2012-07-11 2016-07-12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US9677819B2 (en) 2013-02-01 2017-06-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2852B2 (en) 2012-07-11 2015-12-15 Lg Electronics Inc. Support mechanism for a heat exchanger in an air-conditioning system
US9389026B2 (en) 2012-07-11 2016-07-12 Lg Electronics Inc. Heat exchanger
US9677819B2 (en) 2013-02-01 2017-06-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nd heat exchanger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691B1 (ko)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691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리시버 드라이어
US7185502B2 (en) Multi-type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JPH09269154A (ja) 凝縮器
KR100619151B1 (ko)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킨 응축기
KR0128821Y1 (ko) 룸에어컨용 수냉식 응축기
KR200221098Y1 (ko) 냉온수기의 냉각장치
CN215336763U (zh) 一种变频空调器
KR100340420B1 (ko) 건조기 일체형 과냉각 응축기
KR100235875B1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션 장치(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bile)
KR200252745Y1 (ko) 차량용에어컨의응축기를이용한난방장치
KR100368666B1 (ko) 열교환기의 리시버 드라이어
KR200219555Y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의 냉각을 위한 블로워구조
KR200215384Y1 (ko) 자동차 에어콘용 응축기
KR100395620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KR100213174B1 (ko) 보조 열교환기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 에어 콘디셔너 장치
KR20050004363A (ko) 차량용 에어 컨디셔너
KR20020019369A (ko)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KR100396836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JP2567071B2 (ja) 冷媒加熱式暖房機
KR0182385B1 (ko) 다행정 냉.난방장치 및 그 방법
KR100445520B1 (ko) 차량의 에어컨 및 히터시스템을 이용한 냉온수기
KR100200660B1 (ko) 열교환 리시버 드라이어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용에어 콘디셔너 장치
KR200341734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KR0161033B1 (ko) 흡수식 냉난방기
KR20010009400A (ko) 히트펌프 에어컨의 실외열교환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