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369A -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369A
KR20020019369A KR1020000052570A KR20000052570A KR20020019369A KR 20020019369 A KR20020019369 A KR 20020019369A KR 1020000052570 A KR1020000052570 A KR 1020000052570A KR 20000052570 A KR20000052570 A KR 20000052570A KR 20020019369 A KR20020019369 A KR 20020019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oolant jacket
evaporator
condense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금수
Original Assignee
진금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금수 filed Critical 진금수
Priority to KR102000005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9369A/ko
Publication of KR20020019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에 있어서 감압수단에 유입되는 냉매액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기에서의 냉매액의 증발효율을 증대하여 냉방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발명은 실외기(1)를 구성하는 압축기(3)와 응축기(4) 및 실내기(2)를 구성하는 팽창밸브 또는 캐필러리 튜브 등으로 된 감압수단(5)과 증발기(6)를 도관(7)으로 순서대로 연결하여 냉매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6)의 하방에 응축수받이(8)를 설치하며, 상기 도관(7)의 응축기(4)와 감압수단(5)사이에 상기 도관(7)을 포위하는 냉각수 재킷(11)을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 재킷(11)과 응축수받이(8)를 응축수도관(12)으로 연결하여 증발기(6)에서 냉매액이 증발될 때 생성되는 응축수를 냉각수 재킷(11)으로 유도하여 도관(7)을 흐르는 냉매액을 냉각한 후 배출관 (13)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냉각수 재킷(11)내에는 열전도율이 양호한 동등으로 된 나선상 핀(14)을 도관(7)과 냉각수 재킷(11)에 접촉되게 설치하여 유도로(15)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SEPARATED TYPE AIR CONDITIONER}
본발명은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에 있어서 감압수단에 유입되는 냉매액의 냉각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공냉식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는 도 1 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실외기(1)를 구성하는 압축기(3)와 응축기(4) 및 실내기(2)를 구성하는 감압수단(5)과 증발기(6)를 도관(7)으로 순서대로 연결하여 냉매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6)의 하방에 응축수받이(8)를 설치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9 및 10은 응축기(4) 및 증발기(6)용 팬이다.
상기한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는 압축기(3)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응축기(4)에 유입되어 대기에 의하여 응축액화되고, 감압수단(5)에서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냉매액으로 된 후 증발기(6)에 유입되어서 그 냉매액이 증발될 때 그 증발열이 실내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냉방을 실시하며, 증발기(6)에서 증발된 냉매가스는 압축기(3)에 흡입되어 상기한 사이클을 반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공냉식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는 응축기(4)에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응축될 때 외기온이 높은 혹서기에 그 응축이 불충분하여 포화액이 되지 못하거나, 응축기(4)와 감압수단(5)사이의 도관(7)이 외기 또는 실내의 고온 분위기에 노출된 경우등에는 감압수단(5)에 유입되는 냉매액의 포화압력 및 온도가 높아짐으로서 감압수단(5)에서 감압팽창될 때 그 팽창이 충분히 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냉매액이 감압수단(5)에서 충분히 팽창되지 못하면 증발기(6)에 유입되는 냉매액의 포화압력 및 온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냉매액의 증발효율이 낮아지므로 증발열이 감소되어 즉 성적계수가 낮아져서 냉방효율이 낮아지고, 습냉매가스가 압축기에 흡입됨으로서 압축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증발기에서의 냉매액의 증발효율을 증대하여 냉방효율을 양호하게 유지 할 수 있는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를 제공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실외기를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실내기를 구성하는 감압수단과 증발기를 도관으로 순서대로 연결하여 냉매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응축수받이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응축기와 감압수단 사이에 상기 도관을 포위하는 냉각수 재킷을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 재킷과 응축수받이를 응축수도관으로 연결하여 응축수에 의하여 감압수단에 유입되는 냉매액을 냉각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실외기 2 : 실내기 3 : 압축기
4 : 응축기 5 : 감압수단 6 : 증발기
11 : 냉각수 재킷 12 : 응축수도관 14 : 나선상 핀
15 : 유도로
본발명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를 구성하는 압축기(3)와 응축기(4) 및 실내기(2)를 구성하는 팽창밸브 또는 캐필러리 튜브 등으로 된 감압수단(5)과 증발기(6)를 도관(7)으로 순서대로 연결하여 냉매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6)의 하방에 응축수받이(8)를 설치하며, 상기 도관(7)의 응축기(4)와 감압수단(5)사이에 상기 도관(7)을 포위하는 냉각수 재킷(11)을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 재킷(11)과 응축수받이(8)을 응축수도관(12)으로 연결하여 증발기(6)에서 냉매액이 증발될 때 생성되는 응축수를 냉각수 재킷(11)으로 유도하여서 도관(7)을 흐르는 냉매액을 냉각한 후 배출관(13)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냉각수 재킷(11)내에는 열전도율이 양호한 동등으로 된 나선상 핀(14)을 도관(7)과 냉각수 재킷(11)에 접촉되게 설치하여 유도로(15)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로 9 및 10은 응축기(4) 및 증발기(6)용 팬이다.
이상과 같은 본발명은 압축기(3)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응축기(4)에 유입되어 대기에 의하여 응축된 후 감압수단(5)에 유입되며, 한편 증발기(6)에서 냉매액이 실내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될 때 증발기(5)의 표면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는 응축수받이(8)에 모임과 동시에 응축수도관(12)을 통하여 냉각수 재킷(11)을 경유하여서 배출관(13)을 통하여 대기로 배출되면서 도관(7)을 흐르는 냉매액을 냉각함으로서 냉매액의 포화압력 및 온도를 낮춘 후 감압수단(5)에서 감압팽창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감압수단(5)에 유입되는 냉매액을 냉각하여 포화압력 및 온도를 낮추면 응축기(4)에서 냉매액의 응축이 양호할 경우에는 냉매액이 과냉각됨으로서 증발기(6)에서의 냉매액의 증발효율이 증대되어서 냉방효율이 증대되고, 응축기(4)에서 냉매액의 냉각이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도 감압수단(5)에서 팽창되는 냉매액의 팽창이 양호하게 됨으로 증발기(6)에서의 증발이 양호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것보다 성적계수가 높아져서 냉방효율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증발기(6)에서 냉매액의 증발효율이 증대 또는 양호하게 되면 압축기(3)에 흡입되는 냉매가스는 건포화 또는 과열화됨으로서 압축기의 액백(liquid back)과 액격(liquid hammer)이 방지되어 압축기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그리고 응축수가 냉각수 재킷(11)을 경유하면서 도관(7)을 흐르는 냉매액을 냉각할 때 나선상 핀(14)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도로(15)는 도관(7)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나선상 핀(14)은 열전도율이 양호한 동등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냉매액의 냉각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의 냉매회로 중 도관의 응축기와 감압수단 사이에 냉각수 재킷을 형성하여 응축수를 경유시켜 냉매액을 과냉각함으로서 증발기에서 냉매액의 증발 효율을 증대시켜 냉방효율을 증대시키고, 외기온이 높아서 응축기에서 냉매액의 냉각이 양호하지 못할 경우에도 증발기에서 냉매액의 증발효율을 양호하게 하여 냉방효율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발기에서 냉매액의 증발효율이 증대되거나 양호하게 됨으로서 압축기에는 건포화 또는 과열냉매 가스가 흡입되기 때문에 압축기의 신뢰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Claims (2)

  1. 실외기를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실내기를 구성하는 감압수단과 증발기를 도관으로 순서대로 연결하여 냉매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응축수받이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응축기와 감압수단 사이에 상기 도관을 포위하는 냉각수 재킷을 형성하고, 상기 냉각수 재킷과 응축수받이를 응축수도관으로 연결하여 응축수에 의하여 감압수단에 유입되는 냉매액을 냉각토록 한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2. 제 1항에 있어서, 냉각수 재킷내에는 나선상 핀을 도관과 냉각수 재킷에 접촉되게 설치하여 유도로를 형성하여서 된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KR1020000052570A 2000-09-05 2000-09-05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KR20020019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570A KR20020019369A (ko) 2000-09-05 2000-09-05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570A KR20020019369A (ko) 2000-09-05 2000-09-05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369A true KR20020019369A (ko) 2002-03-12

Family

ID=1968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570A KR20020019369A (ko) 2000-09-05 2000-09-05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93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9125A1 (zh) * 2008-12-19 2010-06-24 Zhang Zuchao 加装水冷器的空调
CN108826522A (zh) * 2018-08-16 2018-11-16 刘凤莲 空调室外机辅助散热系统及方法
CN111779089A (zh) * 2020-06-12 2020-10-16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排水管疏通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9125A1 (zh) * 2008-12-19 2010-06-24 Zhang Zuchao 加装水冷器的空调
CN108826522A (zh) * 2018-08-16 2018-11-16 刘凤莲 空调室外机辅助散热系统及方法
CN108826522B (zh) * 2018-08-16 2020-11-06 义乌飞思科技有限公司 空调室外机辅助散热系统及方法
CN111779089A (zh) * 2020-06-12 2020-10-16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排水管疏通装置
CN111779089B (zh) * 2020-06-12 2022-03-22 安徽美博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调排水管疏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625B1 (ko) 증기 압축식 냉동 사이클의 효율 증가 방법 및 고효율냉동 시스템
CN108885017A (zh) 空调装置
JP2001050618A (ja) 不凝縮ガス抽気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冷凍機
KR20020019369A (ko)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WO2014203500A1 (ja) 空気調和機
JP2007078275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用の熱交換器
KR100436935B1 (ko) 과냉각응축기 일체형 증발기
KR100764328B1 (ko) 압축기가 없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변압기 냉각장치
KR20050102479A (ko) 히트펌프의 냉매과열도 개선구조
KR200257255Y1 (ko) 냉동/열펌프 시스템
KR200257246Y1 (ko) 냉방, 냉장기용 냉각장치
KR200409742Y1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KR200351613Y1 (ko) 히트펌프용 액열기
KR100291107B1 (ko) 냉난방기의 저압 냉매 온도 상승 장치
KR100534212B1 (ko) 바이패스 복합회로가 적용된 냉난방 시스템
KR200243259Y1 (ko) 실외기 일체형의 공기조화기
KR200264555Y1 (ko) 보조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어컨의 효율향상 구조
KR200220291Y1 (ko)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KR20110063018A (ko) 팬이 없는 자연 냉각시스템
KR20030023100A (ko) 냉동 사이클용 공냉식 응축기
KR100290544B1 (ko) 냉방용공기조화기의응축장치
KR101043820B1 (ko) 팽창 및 증발 기능을 갖는 응축장치
KR101118913B1 (ko) 냉방장치
KR20000038614A (ko) 냉동싸이클의 열교환 보조장치
KR200362874Y1 (ko) 바이패스 복합회로가 적용된 냉난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325

Effective date: 200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