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291Y1 -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291Y1
KR200220291Y1 KR2020000030834U KR20000030834U KR200220291Y1 KR 200220291 Y1 KR200220291 Y1 KR 200220291Y1 KR 2020000030834 U KR2020000030834 U KR 2020000030834U KR 20000030834 U KR20000030834 U KR 20000030834U KR 200220291 Y1 KR200220291 Y1 KR 200220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ion
primary
refrigerant
condenser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점
Original Assignee
위성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성점 filed Critical 위성점
Priority to KR2020000030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291Y1/ko

Link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콤프레셔에서 압송된 냉매를 1 차 냉각하고, 다시 상기 1 차 냉각된 냉매를 응축 블로워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최초 접촉에 의하여 냉각되게 하여 응축기에 의한 냉매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증발기(102)에서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에 있어서,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를 1 차 냉각시키는 1 차 응축관로(11)를 형성하고, 상기 1 차 응축관로(11)의 전면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응축 블로워(105)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에 의한 최초 접촉에 의하여 냉각되는 2 차 응축관로(12)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응축기를 1 차 응축관로와 2 차 응축관로로 구성하고 상기 2 차 응축관로를 공기의 유입구 측에 형성하여 1 차 응축관로에서 1 차 냉각된 냉매를 재차 냉각시키므로 응축기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Pipe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condenser}
본 고안은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프레셔에서 압송된 냉매를 1 차 냉각하고, 다시 상기 1 차 냉각된 냉매를 응축 블로워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최초 접촉에 의하여 냉각되게 하여 응축기에 의한 냉매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냉각시키는 것으로, 냉매를 압송하는 콤프레셔(101)와, 상기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103)와, 상기 응축기(103)에서 냉각된 냉매를 증발시켜 송풍 블로워(104)에 의하여 송풍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02) 등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103)는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를 냉각시켜 증발기(102)에서 공기로부터 흡수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냉매가 순환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의 냉매가 원활하게 냉각되게 냉매관에 결합되는 냉각핀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응축기는 냉매관의 배열이 단순이 지그재그로 절곡 형성되고, 복층으로 이루어져 냉매의 유입에 따른 적절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콤프레셔에서 압축되어 응축기에 유입된 냉매를 1 차 냉각하고, 상기 1 차 냉각된 냉매를 응축 블로워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최초 접촉에 의하여 2 차 냉각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의 일 실시예를 보인 주요 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응축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상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응축기
11 : 1 차 응축관로 11a: 응축관부 12 : 2 차 응축관로
101 : 콤프레셔 102 : 증발기 103 : 응축기
104 : 송풍 블로워 105 : 응축 블로워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주요 구성도로서, 본 고안은 콤프레셔에서 응축기로 압송된 냉매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를 1 차 냉각시키는 1 차 응축관로(11)를 형성하고, 상기 1 차 응축관로(11)의 전면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응축 블로워(105)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에 의한 최초 접촉에 의하여 냉각되는 2 차 응축관로(12)를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1 차 응축관로(11)는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지그재그로 형성하고 다시 전면에 후면을 향하여 지그재그 형성함을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반복 형성한 다수의 응축관부(11a)를 병렬 배관하여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1 차 응축관로(11)는 상단부가 콤프레셔(101)와 결합되고, 하단부는 2 차 응축관로(12)와 결합되며, 상기 2 차 응축관로(12)는 상단부가 1 차 응축관로(11)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증발기(102)와 결합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1 차 응축관로(11)와 2 차 응축관로(12)의 배관들을 서로 직선상에 위치되지 않게 지그재그로 배열되게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콤프레셔(101)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1 차 냉각시키는 1차 응축관로(11)와 상기 1 차 응축관로(11)에서 냉각된 냉매를 2 차 냉각하는 2 차 응축관로(12)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적용한 에어컨을 작동시키게 되면,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가 병렬배관된 다수의 응축관부(11a)로 이루어진 1차 응축관로(11)에서 1 차 냉각되고, 상기 1 차 냉각된 냉매는 상기 1 차 응축관로(11)의 전방에 구비되는 2 차 응축관로(12)에서 응축 블로워(105)에 의하여 강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한 최초 접촉에 의하여 2 차 냉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1 차 응축관로(11)에서의 냉각은 상기 2 차 응축관로(12)를 냉각한 공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1 차 응축관로(11)의 냉매 온도가 상당히 높아 2 차 응축관로(12)의 냉각으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된 공기에 의하여서도 냉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응축기를 1 차 응축관로와 2 차 응축관로로 구성하고 상기 2 차 응축관로를 공기의 유입구 측에 형성하여 1 차 응축관로에서 1 차 냉각된 냉매를 재차 냉각시키므로 응축기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증발기(102)에서 주변의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를 냉각시키는 종래의 응축기에 있어서;
    콤프레셔(101)에서 압송된 냉매를 1 차 냉각시키는 1 차 응축관로(11)를 형성하고, 상기 1 차 응축관로(11)의 전면에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응축 블로워(105)에 의하여 유입된 공기에 의한 최초 접촉에 의하여 냉각되는 2 차 응축관로(12)를 형성하되,
    상기 1 차 응축관로(11)는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지그재그로 형성하고 다시 전면에 후면을 향하여 지그재그 형성함을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반복형성한 다수의 응축관부(11a)를 병렬 배관하여 구성하고,
    상기 1 차 응축관로(11)는 상단부가 콤프레셔(101)와 결합되고, 하단부는 2차 응축관로(12)와 결합되며, 상기 2 차 응축관로(12)는 상단부가 1 차 응축관로(11)와 결합되고 하단부가 증발기(102)와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KR2020000030834U 2000-11-03 2000-11-03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KR200220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834U KR200220291Y1 (ko) 2000-11-03 2000-11-03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834U KR200220291Y1 (ko) 2000-11-03 2000-11-03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291Y1 true KR200220291Y1 (ko) 2001-04-16

Family

ID=73090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834U KR200220291Y1 (ko) 2000-11-03 2000-11-03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2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0291Y1 (ko) 에어컨 응축기의 배관구조
KR20060129789A (ko) 실외기 없는 에어컨
JP2004514868A (ja) 超臨界圧での熱除去を用いる冷凍または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2007078275A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用の熱交換器
KR100829185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31340A (ko) 실내측 열교환기
KR100424859B1 (ko) 공기조화기
KR100708621B1 (ko) 냉장고용 방열장치의 송풍장치
JP200802420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用ラジエーター
KR100365401B1 (ko) 2차 열교환기능을 가진 열교환장치
KR100406046B1 (ko) 냉방능력이 향상된 에어컨
JPH11325642A (ja) 空気調和機
KR20050102479A (ko) 히트펌프의 냉매과열도 개선구조
KR100406047B1 (ko)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한 실외열교환기 냉각장치
KR200264555Y1 (ko) 보조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어컨의 효율향상 구조
KR200239504Y1 (ko) 냉난방기의 공냉식 응축기 열교환 장치
KR100352432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020019369A (ko) 분리형 에어 컨디셔너
KR200261937Y1 (ko) 분리형에어컨의실외기
KR200253514Y1 (ko) 송풍팬의 구조를 이용한 공냉식 응축기
KR20030082314A (ko) 과냉각응축기 일체형 증발기
KR200366368Y1 (ko) 수냉식 이동형 에어콘
KR101114325B1 (ko) 공기조화기
KR100339565B1 (ko) 냉장고용 응축기
KR100396836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