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711B1 -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711B1
KR101332711B1 KR1020110074209A KR20110074209A KR101332711B1 KR 101332711 B1 KR101332711 B1 KR 101332711B1 KR 1020110074209 A KR1020110074209 A KR 1020110074209A KR 20110074209 A KR20110074209 A KR 20110074209A KR 101332711 B1 KR101332711 B1 KR 10133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nnector
capillary
tube
capilla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809A (ko
Inventor
박용석
박규진
Original Assignee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정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7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6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metal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어셈블리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핀이 구비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냉매를 감압시키는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과 열교환기를 연결하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모세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킹부가 구비되는 커넥터가 포함되며, 상기 모세관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모세관 본체; 및 상기 모세관 본체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의 일측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at exchanger assembly}
본 발명은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 시스템은 압축기-응축기-팽창장치-증발기로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또는 증발기는, 내부의 냉매가 외부의 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므로, 열교환기로도 통칭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와, 마이크로 채널튜브 타입 열교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에는, 다수 개의 핀과 상기 다수 개의 핀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원형 또는 원형과 유사한 형상의 튜브가 포함된다. 반면, 상기 마이크로 채널 튜브타입 열교환기는, 다수 개의 플랫 튜브와, 상기 각 플랫 튜브 사이에 제공되며 다수 회 절곡되는 핀이 포함된다.
상기 마이크로 채널 튜브타입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플랫 튜브 양측에는 냉매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입출 헤더가 구비된다. 상기 입출 헤더의 내부에는 냉매가 유동될 수 있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입출 헤더의 일측에는 열교환기와 팽창장치를 연결시키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냉매가 상기 팽창장치와 열교환기의 사이에서 누설없이 원활하게 유동되기 위하여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팽창장치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종래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팽창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된다. 이 때, 용접시 발생하는 물질이 팽창장치 또는 커넥터의 주변에 고착됨으로써 냉매의 유동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팽창장치와 커넥터 사이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상기 팽창장치가 상기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팽창장치와 커넥터의 조립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열교환기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어셈블리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튜브와, 상기 냉매튜브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핀이 구비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에 배치되어 냉매를 감압시키는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과 열교환기를 연결하며, 커넥터 본체 및 상기 커넥터 본체보다 내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모세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코킹부가 구비되는 커넥터가 포함되며, 상기 모세관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모세관 본체; 및 상기 모세관 본체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코킹부의 일측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과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의 외측에 용접제가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에 구비되는 돌출부가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모세관이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모세관과 커넥터가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커넥터의 외경을 축관하는 단계; 및 상기 모세관과 커넥터를 용접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와 모세관의 조립과정이 간단하고, 그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세관의 단부가 커넥터의 내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용접제의 유동을 팽창장치와 커넥터의 사이로 가이드 할 수 있으므로, 냉매 유동이 용접제에 의하여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팽창장치를 알루미늄으로 제조함으로써, 다른 금속부재에 비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표면조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불량률이 감소되고, 완성된 제품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을 보여주는 시스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과 커넥터의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과 커넥터의 결합모습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을 보여주는 시스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동 사이클(1)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되도록 하는 응축기(20)와, 상기 응축기(20)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응축기(20)를 향하여 열교환 유체를 공급하는 응축팬(22)과, 상기 응축기(20)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장치"로서의 다수의 모세관(40)와, 상기 응축기(20)에서 응축된 냉매를 상기 다수의 모세관(40)로 분배하는 분배기(30)와, 상기 모세관(40)에서 팽창된 저온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50) 및 상기 증발기(50)를 향하여 열교환 유체를 공급하는 증발팬(52)이 포함된다.
상기 냉동 사이클(1)에는,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냉매배관(6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10), 응축기(20), 분배기(30), 모세관(40) 및 증발기(50)는 상기 냉매배관(60)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40)에는 모세관(capillary tube)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모세관(40)를 모세관(40)으로 설명한다.
상기 모세관(40) 및 분배기(3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 및 분배기(30)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면, 다른 금속(일례로, 구리)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표면 조도가 개선될 수 있으므로 냉매의 유동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의 조도는 1.0μm인 반면에, 구리의 조도는 3~4μm에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0) 및 증발기(50)는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냉동 사이클이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응축기(20) 또는 증발기(50)는 실외 열교환기 또는 실내 열교환기로 제공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되는 경우, 상기 응축기(20)는 실외 열교환기이며 상기 증발기(50)는 실내 열교환기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되는 경우, 상기 응축기(20)는 실내 열교환기이며 상기 증발기(50)는 실외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로 이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결합되는 주변 구성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어셈블리에는, 냉매가 유동하면서 특정 유체와 열교환되도록 하는 열교환기(100)와, 상기 열교환기(100)로 냉매를 분배하여 유입시키기 위한 분배기(30)와, 상기 열교환기(100)와 분배기(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냉매를 팽창(감압)시키기 위한 다수의 모세관(40) 및 상기 분배기(30)로 냉매를 전달하는 냉매배관(60)이 포함된다.
상기 냉매배관(60)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분배기(30)를 거치면서 다수의 유로(다수의 팽창장치)로 분배되며, 상기 모세관(40)를 통과하면서 저압으로 팽창하게 된다. 상기 모세관(40)를 거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00)로 분지되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0)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다수의 냉매튜브(110)와, 상기 다수의 냉매튜브(110)의 사이에 제공되어 냉매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되도록 하는 다수의 핀(112)이 포함된다. 상기 냉매튜브(110) 및 핀(112)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0)는 마이크로 채널튜브 타입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냉매튜브(110)에는, 가로 방향으로 2개의 튜브가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제 1 튜브(110a) 및 제 2 튜브(110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냉매튜브(110)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층을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튜브(110a) 및 제 2 튜브(110b)가 각각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냉매튜브(110)를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핀(112)은 상기 냉매튜브(1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냉매튜브(110) 중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층을 형성하는 일 튜브 및 인접한 타 튜브의 사이에 상기 핀(112)이 개입된다. 상기 핀(112)은 다수 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매와 열교환 유체 사이의 열교환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0)의 양측에는, 입출 헤더(120) 및 리턴 헤더(140)가 제공된다. 상기 입출 헤더(120)는 상기 열교환기(100)로 유입 또는 유출되는 냉매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열교환기(100)의 일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리턴 헤더(140)는, 상기 입출 헤더(120)로부터 상기 냉매튜브(110)를 거쳐 유동되는 냉매를 상기 입출 헤더(120)측으로 리턴시켜 주는 구성으로서, 상기 열교환기(100)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입출 헤더(120)에는, 냉매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헤드(121) 및 커버(125)가 포함된다. 상기 헤드(121) 및 커버(125)는 용접제(일례로, Clad)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125)에 용접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헤드(121)와 커버(125)는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용접로(Normal brazing furnace) 내에서 가열되어 용접될 수 있다. 상기 헤드(121)를 "제 1 헤더형성부", 상기 커버(125)를 "제 2 헤더형성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커버(125)에는, 상기 냉매튜브(110)가 결합되는 튜브 삽입부(126a,126b)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 삽입부(126a,126b)에는, 상기 제 1 튜브(110a)가 삽입되는 제 1 튜브 삽입부(126a) 및 상기 제 2 튜브(110b)가 삽입되는 제 2 튜브 삽입부(126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튜브 삽입부(126a) 및 제 2 튜브 삽입부(126b)는 상기 제 1 튜브(110a) 및 제 2 튜브(110b)에 대응하여 각각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0)에는, 상기 다수의 모세관(40)와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130)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모세관(4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커넥터(130)를 거쳐 상기 열교환기(100)로 분지하여 유입된다.
상기 커버(125)에는, 상기 커넥터(130)가 결합되는 다수의 커넥터 체결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127)는 상기 커넥터(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125)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체결부(127)는 상기 커버(125)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튜브 삽입부(126a,126b)는 상기 커버(125)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입출 헤더(120)의 내부에는, 상기 다수의 커넥터(130)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의 유동 경로를 구획하는 다수의 구획리브(135)가 제공된다. 즉, 상기 다수의 커넥터(130) 중 일 커넥터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는 타 커넥터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와 분리되어 상기 냉매 튜브(110)를 유동한다. 그리고, 각각의 냉매 튜브(110)를 유동한 냉매는 상기 입출 헤더(120)에서 합지되어 출구부(150)를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입출 헤더(120)의 냉매 유동공간에는, 입구유로(120a) 및 출구유로(120b)가 포함된다. 상기 입구유로(120a) 및 출구유로(120b)는 유로 구획부(미도시)에 의하여 구획된다. 상기 커넥터 체결부(127)는 상기 커버(125) 중 상기 입구유로(120a)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리브(135)는 상기 입구유로(120a)를 세로 방향으로 구획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리턴 헤더(140)에는, 냉매의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헤드(141) 및 커버(145)가 포함된다. 상기 헤드(141)와 커버(145)의 결합방법은 상기 헤드(121)와 커버(125)의 결합방법을 원용한다. 구성의 명칭을 구분하기 위하여, 상기 입출 헤더(120)에 구비되는 헤드(121) 및 커버(125)를 "제 1 헤드" 및 "제 1 커버"라 이름하고, 상기 리턴 헤더(140)에 구비되는 헤드(141) 및 커버(145)를 "제 2 헤드" 및 "제 2 커버"라 이름한다.
상기 제 2 커버(145)에는, 상기 제 1 튜브(110a) 및 제 2 튜브(110b)가 결합되는 복수의 튜브 삽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튜브 삽입부와 관련하여서는, 상기 입출 헤더(120)의 제 1,2 튜브 삽입부(126a,126b)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참조하여, 열교환기(100)에서의 냉매 유동을 설명한다.
상기 모세관(40)은 상기 열교환기(100)의 입구측에 배치된다. 상기 모세관(40)를 거친 냉매는 상기 다수의 커넥터(130)를 통하여 상기 입출 헤더(120)로 분지되어 유입된다. 이 때, 냉매는 상기 커넥터 체결부(127)를 통하여 상기 입구유로(120a)로 유입된다. 상기 입출 헤더(12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제 1 튜브 삽입부(126a)를 통하여 상기 제 1 튜브(110a)로 유입된다.
상기 제 1 튜브(110a)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리터 헤더(140)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리턴 헤더(140)에서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 2 튜브(110b)로 유입된다. 상기 제 2 튜브(110b)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입출 헤더(120)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출구유로(120b)로 유입된다.
즉, 냉매는 상기 제 1 튜브(110a) 및 제 2 튜브(110b)를 유동하는 동안 2번의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튜브(110a)를 "제 1 열교환튜브", 상기 제 2 튜브(110b)를 "제 2 열교환튜브"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출구유로(120b)는 상기 입출 헤더(12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튜브(110)에서 각각 분리되어 유동하였던 다수의 분지 냉매들은 상기 출구유로(120b)에서 합지된다. 합지된 냉매는 상기 출구부(150)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100)에서 유출되며, 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 어셈블리에는, 상기 응축기(20)에서 응축된 냉매를 저압으로 감압시키기 위한 모세관(40) 및 상기 모세관(40)에 결합되며 상기 모세관(40)을 거친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100)로 가이드 하는 커넥터(130)가 포함된다. 상기 커넥터(130)의 일측에는 상기 모세관(40)이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130)의 타측에는 상기 입출 헤더(120)가 결합된다. 도 4에는, 상기 커넥터(130)와 모세관(40)의 결합구조가 도시된다.
상세히, 상기 모세관(40)에는, 상기 분배기(30)로부터 상기 커넥터(130)로 연장되는 돌출외부(41)와, 상기 돌출외부(41)의 단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2) 및 상기 돌출부(42)로부터 상기 모세관(40)의 일 단부로 연장되는 돌출내부(43)가 포함된다. 상기 돌출외부(41)와 돌출내부(43)를 합하여 "모세관 본체"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돌출부(42)는 상기 돌출외부(41)와 돌출내부(43)를 구획하는 부분으로서 이해되며, 상기 돌출내부(43)는 상기 커넥터(130)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13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30)에는, 상기 돌출내부(43)와 결합되는 코킹부(132)와, 상기 코킹부(132)의 단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확관되는 경사부(133) 및 상기 경사부(133)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커넥터 본체(131)가 포함된다. 상기 커넥터 본체(131)의 내경은 상기 코킹부(13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모세관(40)은 상기 커넥터(13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모세관(40)이 상기 커넥터(130)로 삽입될 수 있는 깊이는 상기 돌출부(42)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즉, 상기 모세관(40)은, 상기 돌출부(42)가 상기 커넥터(130)의 입구부, 즉 상기 코킹부(132)의 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42)는 "스토퍼"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모세관(40)이 상기 커넥터(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내부(43)는 상기 커넥터(13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돌출외부(41)는 상기 커넥터(130)의 외부에 위치한다.
상기 돌출내부(43)의 단부(44)는 상기 커넥터(1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단부(44)와 커넥터(130)의 내주면간에는 w의 이격거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부(44)와의 관계에서 이격거리 w를 형성하는 커넥터(130)의 일부분은 상기 코킹부(132) 또는 커넥터 본체(131)일 수 있다.
즉, 상기 단부(44)는 상기 코킹부(132)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도 4에서 볼때)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돌출 내부(43)의 길이는 상기 코킹부(13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내부(43)와 코킹부(132)의 사이에는, 용접층이 개입된다. 상세히, 상기 돌출내부(43)의 외측에는 용접제가 구비되며, 상기 돌출내부(43)가 상기 코킹부(132)의 내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이 수행될 수 있다. 용접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용접제가 녹은 후 굳는 과정에서 상기 용접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접제가 녹는 과정에서 용접물은 상기 돌출내부(43)와 코킹부(132)의 사이에서 흘러내려 상기 커넥터 본체(131)의 내측면 방향으로 이동한다(f1 방향). 즉, 상기 경사부(133) 또는 커넥터 본체(131)와, 돌출내부(43)의 사이에 이격거리(w)가 형성되므로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용접물이 상기 커넥터 본체(131)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모세관(40)의 단부(44)와 커넥터(130)의 내측면 사이에는, 용접물이 유동하는 가이드 공간이 형성된다.
만약, 상기 돌출내부(43)의 단부(44)가 상기 코킹부(132)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된다면, 상기 용접층이 상기 돌출내부(43)의 내부공간을 막아 냉매 유동을 방해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과 커넥터의 결합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모세관과 커넥터를 결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모세관(40)의 돌출내부(43)에 용접제를 바른다. 상기 용접제는 클래드(clad)일 수 있다(S11).
그리고, 상기 돌출내부(43)를 상기 커넥터(130)에 삽입한다. 이 때, 상기 돌출내부(43)는 상기 돌출부(42)가 상기 커넥터(130)의 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때까지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모세관(40)이 상기 커넥터(130)로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돌출내부(43)의 길이에 대응된다(S12).
그리고, 상기 커넥터(130)의 중 적어도 일부분을 코킹(caulking) 처리한다. 상기 코킹 처리는, 상기 커넥터의 내측면과 모세관의 외측면 사이에 규정되는 홈의 크기를 줄이는 공정으로서 상기 커넥터(130)의 적어도 일부분이 축관되는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코킹 처리되는 부분은 도 4에 도시되는 코킹부(132)가 형성되는 부분에 대응된다.
상기 코킹 처리에 의하여, 상기 코킹부(132) 및 경사부(133)가 형성되며, 상기 단부(44)와 커넥터(130)의 내측면 사이에는 이격거리(w), 즉 용접물 유동가이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코킹부(132)와 돌출내부(43)는 서로 더 가깝게 밀착될 수 있다(S13).
상기 모세관(40)과 커넥터(130)는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용접로(Normal blazing furnace) 내에서 가열되어 용접될 수 있다. 용접 과정에서, 상기 돌출내부(43)의 용접물은 유동가이드 공간을 따라 상기 커넥터 본체(131)의 내측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용접물이 굳으면서, 상기 모세관(40)과 커넥터(130)의 사이에는 용접층이 형성된다.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모세관(40)과 커넥터(130)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S14).
도 6은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40)에 돌출부(42)를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돌출부(42)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지그(2) 및 프레스(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그(2)에는, 상기 모세관(40)이 삽입되는 모세관 삽입부(3)가 형성된다.
상기 모세관(40)의 일측 단부를 상기 모재 삽입부(3)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모세관(40)의 타측 단부를 상기 프레스(4)로 가압하면(F 방향), 상기 모세관(4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모재 삽입부(3)간의 마찰에 의하여 돌출부(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은, 상기 모세관(40)의 외주면과 상기 모재 삽입부(3) 사이의 유격이 작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2)를 중심으로 상기 모세관(40)의 일측 부분은 돌출외부(41)를 형성하며, 상기 모세관(40)의 타측 부분은 돌출내부(43)를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과 커넥터의 결합모습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돌출부(42)가 형성된 모세관(40)은 상기 커넥터(13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돌출내부(43)에 용접제를 바른 후 상기 커넥터(130)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모세관(40)과 커넥터(130)가 결합된 부분 중 적어도 일부분을 코킹한다. 코킹된 부분은 상기 코킹부(132)를 형성하며, 상기 코킹부(132)의 내경은 상기 돌출내부(43)의 외경에 대응된다.
상기 코킹부(132)와 커넥터 본체(131)의 사이에는, 상기 코킹부(132)로부터 상기 커넥터 본체(132)를 향하여 내경이 확장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코킹부(132)와 돌출내부(43)가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이 수행되며, 용접 과정에서 상기 용접제가 녹아 고착되면서 상기 모세관(40)과 커넥터(130)의 사이에는 용접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용접)방식에 의하여, 상기 모세관(40)과 커넥터(130)가 견고하게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40 : 모세관 41 : 돌출외부
42 : 돌출부 43 : 돌출내부
100 : 열교환기 110 : 냉매 튜브
120 : 입출 헤더 121 : 헤드
122 : 유로 구획부 125 : 커버
130 : 커넥터 131 : 커넥터 본체
132 : 코킹부 133 : 경사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에 배치되는 모세관 및 상기 모세관과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이 지그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스에 의하여 상기 지그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부가 형성되는 단계;
    상기 모세관의 외측에 용접제가 도포되는 단계;
    상기 모세관의 돌출부가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걸림이 이루어질 때까지, 상기 모세관의 돌출내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세관의 단부가 상기 경사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커넥터를 축관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코킹부 및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상기 코킹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모세관과 커넥터를 용접하여, 상기 용접제가 상기 모세관의 단부와 상기 경사부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하여 유동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되며,
    상기 모세관의 돌출내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축관되어, 상기 돌출내부의 외경이 상기 코킹부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조립되며,
    상기 지그에는 상기 모세관이 삽입되는 모세관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세관의 일측 단부를 상기 모재 삽입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모세관의 타측 단부를 상기 프레스로 가압하여,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074209A 2011-07-26 2011-07-26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KR10133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09A KR101332711B1 (ko) 2011-07-26 2011-07-26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09A KR101332711B1 (ko) 2011-07-26 2011-07-26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09A KR20130012809A (ko) 2013-02-05
KR101332711B1 true KR101332711B1 (ko) 2013-11-26

Family

ID=47893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209A KR101332711B1 (ko) 2011-07-26 2011-07-26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3923A (zh) * 2019-09-11 2019-11-29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连接管结构及空调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56U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캐필러리 연결구조
KR200233865Y1 (ko) * 1998-06-17 2001-09-25 황한규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JP3736514B2 (ja) * 2002-09-13 2006-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7155247A (ja) * 2005-12-06 2007-06-21 Denso Corp 二重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56U (ko) * 1997-08-28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캐필러리 연결구조
KR200233865Y1 (ko) * 1998-06-17 2001-09-25 황한규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JP3736514B2 (ja) * 2002-09-13 2006-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2007155247A (ja) * 2005-12-06 2007-06-21 Denso Corp 二重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09A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2602B2 (en) Heat exchanger having a plurality of plate-like fins and a plurality of flat-shaped heat transfer pipes orthogonal to the plate-like fins
KR101902017B1 (ko) 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44851A (ko) 열교환기
JP2009085569A (ja) 蒸発器ユニット
JP2007032949A (ja) 熱交換器
KR20120044849A (ko) 헤더유닛 및 이를 가지는 열교환기
US11555655B2 (e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device
KR20130084178A (ko) 헤더 유닛 및 이를 가지는 열교환기
JP2006003071A (ja) 熱交換器
EP3054258B1 (en)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device
KR101332711B1 (ko) 열교환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JP2009041798A (ja) 熱交換器
KR101314859B1 (ko) 열교환기의 제조방법
KR101620072B1 (ko) 냉매 파이프 분배구조
JP2006317080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EP2713135B1 (en) Heat exchanger
JP2018151040A (ja) 管継手、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2008256234A (ja) エバポレータ
KR101294377B1 (ko) 분배기의 제조방법
JP2020056518A (ja) 熱交換器
JP7313529B1 (ja) 熱交換器及びこれを備える空気調和機
JP2014035169A (ja) 中間熱交換器
KR20130114522A (ko) 나선형으로 감긴 모세관을 가지는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36346B1 (ko) 냉매 시스템
US20220235981A1 (en) Water-cooling type cond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