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22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22B1
KR101362222B1 KR1020070029680A KR20070029680A KR101362222B1 KR 101362222 B1 KR101362222 B1 KR 101362222B1 KR 1020070029680 A KR1020070029680 A KR 1020070029680A KR 20070029680 A KR20070029680 A KR 20070029680A KR 101362222 B1 KR101362222 B1 KR 10136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der tank
manifold
residual flux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7439A (ko
Inventor
김재호
이동석
김기홍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9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28D1/034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with U-flow or serpentine-flow inside th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4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 F28F9/16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 F28F9/18Arrangements for sealing elements into header boxes or end plates by permanent joints, e.g. by rol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28F9/0251Massive connectors, e.g. blocks; Plate-like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8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permanent joints, e.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매니폴드에 접합될 때 발생되는 잔류 플럭스 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이 형성되어 플럭스의 날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9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이 형성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1) 및 상기 튜브(31) 사이에 개재되는 핀(32)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3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또는 제 2 헤더탱크(20)에 연결되는 매니폴드(40); 및 상기 매니폴드(40)의 단부와 접합되어 각각 접합부(70)를 형성하고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 파이프(50) 및 출구 파이프(60); 를 포함하여 형성된 열교환기(90)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90)는 상기 접합부(70)에 인접하여 잔류 플럭스(Flux)의 날림을 방지하는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매니폴드의 접합부위에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차의 실내로 잔류 플럭스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쾌적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플럭스(Flux), 브레이징, 열교환기, 클래드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도 1a는 종래의 열교환기에 따른 사시도.
도 1b는 상기 도 1a에 도시한 열교환기의 A부분 확대도.
도 2 (a)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열교환기의 접합부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 (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열교환기의 접합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다른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헤더탱크 20 : 제 2 헤더탱크
30 : 코어부 31 : 튜브
32 : 핀
40 : 매니폴드
50 : 입구 파이프 60 : 출구 파이프
70 : 접합부 80 :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
90 : 본 발명의 열교환기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매니폴드에 접합될 때 발생되는 잔류 플럭스 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이 형성되어 플럭스의 날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열교환기는 온도차가 있는 두 환경 사이에서 한쪽의 열을 흡수하여 다른 쪽으로 열을 방출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열교환기는 송풍장치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내부의 열교환매체와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따뜻해진 공기를 실내로 방출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난방 장치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어 차가워진 공기를 실내로 방출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냉방장치로 작용된다.
일반적인 종래의 열교환기를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였다.
종래의 열교환기(1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을 구비하고,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헤더탱크(110) 및 제 2 헤더탱크(120); 상기 제 1 헤더탱크(110) 또는 제 2 헤더탱크(120) 사이에 양단이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 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튜브(131)와 상기 튜브(131) 사이에 개재되는 핀(132)으로 이루어진 코어부(130); 상기 제 1 헤더탱크(110) 또는 제 2 헤더탱크(120)에 연결되는 매니폴드(140); 및 상기 매니폴드(140)의 단부와 접합되어 각각 접합부(170)를 형성하고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 파이프(150) 및 출구 파이프(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a)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열교환기의 접합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고, 도 2 (b)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열교환기의 접합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매니폴드는 상기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와 토치 브레이징 공법에 의해 접합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도 2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매니폴드와 상기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가 접합되는 접합부분에 플럭스(Flux)와 클래드재가 포함된 브레이징 링을 구비하고 상기 부위를 용접하여 상기 입구 파이프와 매니폴드 및 상기 출구 파이프와 매니폴드를 접합하게 된다.
상기 플럭스는 모재나 부품 표면의 산화를 방지하여 접합성을 좋게 해주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토치 브레이징 공법에 사용되는 브레이징 링에 필수 요소이지만 상기 도 2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종래의 열교환기는 브레이징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접합부 주변에 플럭스가 잔류하게 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가동 시, 자동차 내부로 이동되는 공기에 상기 잔류 플럭스가 함께 실내로 토출되어 탑승객의 쾌적성을 떨어뜨리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구 파이프 또는 출구 파이프와 매니폴드가 접합될 때 발생되는 잔류 플럭스가 자동차 실내로 함께 토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이 형성되어 플럭스의 날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9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이 형성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1) 및 상기 튜브(31) 사이에 개재되는 핀(32)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3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또는 제 2 헤더탱크(20)에 연결되는 매니폴드(40); 및 상기 매니폴드(40)의 단부와 접합되어 각각 접합부(70)를 형성하고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 파이프(50) 및 출구 파이프(60); 를 포함하여 형성된 열교환기(90)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90)는 상기 접합부(70)에 인접하여 잔류 플럭스(Flux)의 날림을 방지하는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공기흐름 상류쪽에 위치한 상기 입구파이프(50) 또는 출구파이프(60)의 파이프 직경을 확관하여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의 둘레면이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의 직경보다 더 크게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상기 접합부(70)를 형성하는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와 상기 매니폴드 중의 일측 단부가 확관되어 경사를 가진 형태로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일부가 상기 확관된 영역의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공기흐름 상류쪽에 위치한 상기 입구파이프(50) 또는 출구파이프(60)의 파이프 직경을 확관하여 공기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90)에 따른 사시도로 본 발명의 열교환기(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이 형성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1) 및 상기 튜브(31) 사이에 개재되는 핀(32)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3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또는 제 2 헤더탱크(20)에 연결되는 매니폴드(40); 및 상기 매니폴드(40)의 단부와 접합되어 각각 접합부(70)를 형성하고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 파이프(50) 및 출구 파이프(60); 를 포함하여 형성된 열교환기(90)에 있어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상기 열교환기(90)의 상기 접합 부(70)에 인접하여 잔류 플럭스(Flux)의 날림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도면을 들어 그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접합부(70)는 상기 입구 파이프(50)와 매니폴드(40) 및 상기 출구 파이프(60)와 매니폴드(40)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70)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둘레면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와 매니폴드(40)의 접합시 플럭스 등의 이물질이 잔류한다 할지라도 상기 접합부(70) 부분의 공기를 양측으로 유도하여 상기 잔류 플럭스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로 토출되는 잔류 플럭스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삭제
상기 도 4 (a)는 상기 매니폴드(40)의 외부로 일정한 폭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고, 상기 도 4 (b)는 상기 매니폴드(40)의 외부로 그 폭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돌출부가 형성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90)는 잔류 플럭스의 날림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부(70)에 인접한 상기 입구 파이 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와, 매니폴드(40) 각각의 둘레면 외부로 돌출형성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70)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상기 접합부(70)를 형성하는 일측 단부가 확관되어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일부가 상기 확관된 영역의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6 (a)에 도시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상기 매니폴드(40)의 단부가 확관되어 형성되고,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의 일부가 상기 매니폴드(40)의 확관된 영역의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부(70)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도 6 (b)에 도시한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의 단부가 확관되어 형성되고, 상기 매니폴드(40)의 일부가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의 확관된 영역의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부(70)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6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공기흐름 상류쪽에 위치한 상기 입구파이프(50) 또는 출구파이프(60)의 파이프 직경을 확관하여 공기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잔류 플럭스의 날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열교환기의 부분 사시도로 상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또는 제 2 헤더탱크(20)의 양 측면에 각각 입구 파이프(50) 및 출구 파이프(60)가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또는 제 2 헤더탱크(20)의 일측면에 상기 입구 파이프(50) 및 출구 파이프(6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열교환기(90)는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매니폴드(40)와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가 접합되는 부분에 잔존하는 플럭스의 날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접합부(70)에 인접한 상기 입구 파이프(50)와 출구 파이프(60) 또는 상기 매니폴드(40)에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열교환기(90)는 잔류 플럭스가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 함게 날려 자동차 실내로 토출되어 탑승객에게 불쾌함을 유발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자동차 실내의 쾌적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가 매니폴드의 접합부위에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을 형성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차의 실내로 잔류 플럭스가 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쾌적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실이 형성되고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는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및 제 2 헤더탱크(20)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열교환매체 유로를 형성하는 튜브(31) 및 상기 튜브(31) 사이에 개재되는 핀(32)으로 이루어지는 코어부(30); 상기 제 1 헤더탱크(10) 또는 제 2 헤더탱크(20)에 연결되는 매니폴드(40); 및 상기 매니폴드(40)의 단부와 접합되어 각각 접합부(70)를 형성하고 열교환매체가 유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입구 파이프(50) 및 출구 파이프(60); 를 포함하여 형성된 열교환기(90)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90)는
    상기 접합부(70)에 인접하여 잔류 플럭스(Flux)의 날림을 방지하는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상기 접합부(70)를 형성하는 상기 입구 파이프(50) 또는 출구 파이프(60)와 상기 매니폴드 중의 일측 단부가 확관되어 경사를 가진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일부가 상기 확관된 영역의 내부로 삽입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 플럭스 날림 방지수단(80)은
    공기흐름 상류쪽에 위치한 상기 입구파이프(50) 또는 출구파이프(60)의 파이프 직경을 확관하여 공기흐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70029680A 2007-03-27 2007-03-27 열교환기 KR10136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80A KR101362222B1 (ko) 2007-03-27 2007-03-27 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680A KR101362222B1 (ko) 2007-03-27 2007-03-27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439A KR20080087439A (ko) 2008-10-01
KR101362222B1 true KR101362222B1 (ko) 2014-02-21

Family

ID=40150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680A KR101362222B1 (ko) 2007-03-27 2007-03-27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71A (ko)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두원공조 열교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372B1 (ko) * 2012-05-11 2018-06-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교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760A (ko) * 1990-04-19 1991-11-30 나이또오 스스무 열 교환기
KR20000000870U (ko) * 1998-06-17 2000-01-15 오상수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용 커넥터
JP2001121257A (ja) * 1999-10-22 2001-05-08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010059266A (ko) * 1999-12-30 2001-07-06 신영주 적층형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8760A (ko) * 1990-04-19 1991-11-30 나이또오 스스무 열 교환기
KR20000000870U (ko) * 1998-06-17 2000-01-15 오상수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용 커넥터
JP2001121257A (ja) * 1999-10-22 2001-05-08 Showa Alum Corp 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010059266A (ko) * 1999-12-30 2001-07-06 신영주 적층형 열교환기용 매니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2271A (ko) 2021-06-01 2022-12-08 주식회사 두원공조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439A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29182A1 (en) Heat exchanger comprising a supply channel
US611934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t tubes for heat exchanger
KR20120127401A (ko) 가스용, 특히 엔진의 배기 가스용 열교환기
KR101362222B1 (ko) 열교환기
KR102150984B1 (ko) 열 회수 장치 및 대응 제조 방법
KR101372303B1 (ko) 열교환기
JP7336271B2 (ja) 燃焼装置
KR101693242B1 (ko) 열교환기
KR100895278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US11774138B2 (en) Hot water device
US11441814B2 (en) Water heating device
KR20090002707U (ko) 열교환기의 튜브 구조
JPH1089881A (ja) 積層型熱交換器
JP2005299850A (ja) 一体型複管
KR101082474B1 (ko) 열교환기
JP7424206B2 (ja) 光ファイバの冷却装置
KR100630320B1 (ko) 적층형 열교환기 조립체
JP2008309377A (ja) ラジエータのタンク構造
JP2016095083A (ja) 熱交換器
KR100972926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열교환기
KR102198007B1 (ko) 열교환기
JP2015105800A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熱交換器、車両用空調装置、および、車両
JP5872146B2 (ja) 管群構造ボイラ
KR200153778Y1 (ko) 열교환기
JPH05296683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