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7298A -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7298A
KR20020057298A KR1020010000002A KR20010000002A KR20020057298A KR 20020057298 A KR20020057298 A KR 20020057298A KR 1020010000002 A KR1020010000002 A KR 1020010000002A KR 20010000002 A KR20010000002 A KR 20010000002A KR 20020057298 A KR20020057298 A KR 20020057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ld
opening
hot wat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근 기 이
Original Assignee
이근기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기, 주식회사 기승금속 filed Critical 이근기
Priority to KR102001000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7298A/ko
Publication of KR20020057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수되는 냉,온수의 수압에 의해 개폐부가 승,하강 작동시 급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에 구애됨이 없이 정확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져 일정시간동안만 정확한 량의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욕조에 물을 담수하여 줄때 욕조내에 담수되는 물이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될수 있도록 한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거으로, 이는 하부로 결합된 냉,온수관(110a)(110b)에 의해 냉,온수가 급수되어 토출관(130)을 통해 물이 토수되는 수도전몸체(100)에 갖추어진 수용실(120)에 삽입시켜 좌,우로 회전되면서 냉,온수의 량을 조절시켜 주는 급수온도조절수단(200)과; 상기 급수온도조절수단의 하단 내부에 갖추어져 급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함에 따라 배수구를 개폐시켜 주는 개폐수단(300)과; 상기 급수온도조절수단의 상단 중앙으로 부터 관통시켜 이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과 아울러, 개폐수단을 작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수수단(400)과; 수도전몸체(100)의 상단측 후면으로부터 연결되는 호오스(510) 선단에 연결시켜 욕조에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시켜 주는 욕조수위조절수단(50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Auto-shutting type cold and warm water faucet and water level controlling device of bath tub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되는 냉,온수의 수압에 의해 개폐부가 승,하강 작동시 급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에 구애됨이 없이 정확한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져 일정시간동안만 정확한 량의 급수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욕조에 물을 담수하여 줄때 욕조내에 담수되는 물이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될수 있도록 한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급수가 이루어지는 냉,온수가 개폐부의 일측에 갖추어진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로 서서히 유입되어 상기 실린더와 냉,온수가 혼합되는 혼합실에 동일한 압력이 이루어지게 되면 개폐부가 배수구를 긴밀히 밀폐시켜주어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고, 냉,온수를 급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누름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상기 누름버튼의 하부로 연결되어 있는 작동축의 작동으로 인해 실린더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여 실린더내의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면 혼합실로 부터 혼합된 상태에서 급수가 이루어지는 수압에 의해 개폐부가 작동되어 배수구를 개방시켜 주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눌러준 누름버튼을 놓아주게 되면 강제로 압축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이 상승하게 되고, 이때부터 배수구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개폐부의 일측에 갖추어진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급수가 서서히 공급되어 실린더내로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개폐부가 하강하다가 개폐부가 배수구에 긴밀히 밀착되면 물의 급수가 차단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는 수단이 개폐부의 일측에 갖추어진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공급되도록 하여 혼합실과 실린더내가 동일한 압력을 유지해야만 개폐부가 배수구를 긴밀히 밀착시켜 주므로서 물의 급수를 차다시켜 주도록 되어있는데, 급수되는 물에는 각종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이물질이 오리피스공을 차단시켜 주게 되면 실린더내로 물이 공급되지 않아 일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개폐부가 배수구를 밀착시켜 주지 못해 계속해서 물이 급수되는 오동작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에는 수도관이나 수도전의 부식으로 인해 떨어지는 미세한 금속물질이 섞여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물에 섞여있는 각종의 이물질이 오리피스공에 끼일경우 상기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공급되는 물의 량이 상대적으로 늦어져 실린더와 혼합실의 수압이 동일하기 까지 오랜시간이 걸려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는 시간이 설정된 시간보다 늦어져 필요이상의 물이 급수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물질이 오리피스공을 완전히 차단시켜 줄 경우에는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물이 공급되지 못해 혼하실내로 공급되는 물이 계속해서 배수구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물의 낭비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또한, 욕조에 설치된 수도전은 사용자가 수도전을 열어 욕조내에 급수되는 물의 량을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하여 일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수도전을 잠그어 주어 욕조내에 저장되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으로서, 욕조내에 물을 급수시켜 줄때 사용자가 일정수위에 도달할때까지 지켜서있다가 수도전을 잠그어줄수가 없어 수도전을 틀어놓은 상태에서 다른 일을 하다가 사용자가 수시로 욕조내에 담수되는 물의 량을 확인하여 일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수도전을 잠그어 주어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고, 수도전을 열어준 상태에서 다른 일을 하다가 수도전을 틀어준 것을 깜박 잊을 경우에는 욕조내로 급수되는 물이 욕조를 넘쳐 흘르게 되어 있어 필요이상으로 물을 낭비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되는 냉,온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에 구애됨이 없이 개폐부의 작동이 항상 일정하게 작동되어 적정량의 물이 급수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욕조내에 담수되는 급수량이 일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개폐부를 자동을 차단시켜 주어 욕조내로 물이 넘쳐흐르는 일이 없도록 하여 물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욕조에 물을 담수하기 위해 수도전을 틀어준 상태에서 다른일을 하는도중에 수시로 욕조에 담수되는 물의 량을 확인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a 는 본 발명중 수도전으로만 사용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물이 급수되기전 상태도.
도 1b 는 본 발명중 수도전으로만 사용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물이 급수되는 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중 요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3 은 도1a중 A부 확대도.
도 4 는 도1a중 B-B선 평단면도.
도 5 는 도1a중 C부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의 수도전에 욕조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a 는 본 발명중 욕조수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욕조내에 물이 담수되기 전상태도.
도 7b 는 본 발명중 욕조수위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욕조내에 물이 담수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수도전몸체 200:급수온도조절수단 210:회전부
220:실린더부 230:유입홈 240:승,하강실
250:통공 270:유출구 300:개폐수단
310:개폐부 320:탄성스프링 340:고무판
400:급수수단 410:승강축 460:누름버튼
500:욕조수위조절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결합상태 측단면도로서, 하부 양측에 냉,온수가 각각 공급될수 있도록 냉,온수관(110a)(110b)이 결합되고, 상기 냉,온수관으로 부터 혼합된 물이 토수될수 있도록 하는 수도전몸체(100)와; 상기 수도전몸체의 상부로 부터 내측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전되면서 냉,온수의 량을 조절시켜 주는 급수온도조절수단(200)과; 상기 급수온도조절수단의 하단 내부에 갖추어져 급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함에 따라 배수구를 개폐시켜 주는 개폐수단(300)과; 상기 급수온도조절수단의 상단 중앙으로 부터 관통시켜 이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과 아울러, 개폐수단을 작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수수단(400)과; 수도전몸체(100)의 상단측 후면으로부터 연결되는 호오스(510) 선단에 연결시켜 욕조에 급수되는 물의 수위를 조절시켜 주는 욕조수위조절수단(500)으로 갖추어진다.
상기 수도전몸체(100)는 상면으로 부터 내측으로 요입시켜 급수온도조절수단(200)이 수용되는 수용실(120)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실의 바닥면 중앙으로 부터 전방에 갖추어진 토출관(130)으로 물이 토수될수 있도록 연통시켜준 토출구(140)를 형성하며, 수용실의 바닥면에는 중앙이 개방된 상태에서 양측에 냉,온수관(110a)(110b)과 연통될수 있도록 하는 입수공(151)(152)이 각각 형성된 판체(15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의 판체(150)는 후단측 하단면에 돌출된 돌출돌기(153)가 수도전몸체의 수용실(120) 바닥면에 갖추어진 끼움홈(121)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서 수용실내에서 임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판체(150)에 갖추어진 각각의 입수공이 수도전몸체(100)의 하부 양측으로 부터 연결되는 냉,온수관과 항상 연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급수온도조절수단(200)은 수도전몸체(100)의 수용실(120)내에 수용시켜 임의 회전되는 회전부(210)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회전부(210)는 수용실(120)내에 삽입되어 회전될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하부에는 하면을 개방시켜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하여 개폐수단(300)이 승,하강할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부(220)를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냉,온수관으로 부터 혼합되어 공급되는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유입홈(2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의 유입홈(230)은 실린더부(220) 내주면에 개폐수단(300) 외주연이 긴밀히 밀착된 상태에서 실린더의 내주연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갖추어진 유입홈(230)을 통해 실린더부내로 물이 공급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유입홈의 크기와 갯수에 따라 실린더부내로 유입되는 물의 량을 조절시켜 개폐수단이 배수구를 차단시켜 주는 시간을 조절시켜 줄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부(210)의 중앙에는 상부로 부터 수직으로 하여 하단측에 갖추어진 실린더부(220)의 직상측에 위치하는 지점까지 요입될수 있도록 한 승,하강실(240)을 형성하고, 상기 승,하강실 중앙에는 하단측에 갖추어진 실린더부(220)와 연통시켜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이 배출될수 있는 통공(250)을 형성하며, 승,하강실의 하단부 전방측에는 실린더부로부터 승,하강실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배수공(260)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배수공의 반대 위치에는 실린더부와 연통시켜 급수수위조절수단(500)으로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하는 유출구(270)로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210)의 하단측에 결합되는 회전체(280)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회전체(280)는 중앙에 개폐수단(300)의 승,하강 작동에 따라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하는 배수관(281)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관의 상면 테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하부로 단차지도록 하는 단차홈(282)을 형성하며, 배수관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회전체에는 판체(150)의 입수공(151)(152)에 동일하게 연통되어 회전체의 회전각도에 따라 입수공과 연통되는 크기를 조절시켜 물의 량을 조절시켜 주는 냉,온수조절공(283)으로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개폐수단(300)은 회전체(280)의 배수관(281) 상부로 부터 내측으로 끼워져 수용실(290)내에 위치한 탄성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배수관(281)을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상단 외주연에 밀폐판(311)이 갖추어진 개폐부(310)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폐부는 배수관(281) 내주면과 소정의 틈새(L)가 갖추어질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하여 승,하강관체가 상승하여 배수관(281)이 실린더(220)와 연통될 경우 틈새(L)를 통해 물이 배수될수 있도록 하고, 개폐부의 하단부 외주연에는 개폐부가 승,하강시 틈새(L)로 인해 좌,우로 임의 유동되지 않고 수직상태에서 정확히 승,하강할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을 갖는 가이드돌기(330)를 형성하며, 밀폐판(331)의 하단면에는 연질의 고무판(340)을 갖추어 상기 고무판이 배수관 상면에 면접촉시 자체의 쿠션력에 의해 배수관(281) 상면 테두리에 갖추어진 단차홈(282)을 긴밀히 밀착시켜 물의 누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의 고무판(340)은 외주연이 실린더부(220)의 내주연이 긴밀히 면접촉될수 있도록 하여 냉,온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실린더부(220) 내주연에 갖추어진 유입홈(230)만을 통해 유입될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급수수단(400)은 회전부(210)의 승,하강실(240)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에 연장된 작동핀(411)이 통공(250)을 관통하도록 하는 승강축(410)을 형성하고, 통공(250)을 관통하여 실린더부(220)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작동핀(411)에는 통공(250)을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밀폐관(420)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승강축의 상단축 외주연에 갖추어진 멈춤링(430)과 회전부의 수용실(290) 사이에 갖추어진 탄성스프링(440)에 의해 승강축이 상승하여 실린더부(220)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밀폐관(420)이 항상 통공(250)을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탄성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승강축(410)이 하강시 통공(250)을 밀폐시켜 주고있던 밀폐관(420)이 작동핀(411)과 함께 하향되어 통공(250)으로 부터 떨어지게 되면 상기 통공(250)과 작동핀(411) 사이의 틈새(L')를 통해 실린더부(220)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통공(250)을 통해 승,하강실(240)을 거쳐 배수공(2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축(410)의 상단에는 회전부(210)의 상단부분이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450)에 의해 탄지되는 누름버튼(460)이 갖추어지게 되는데, 상기의 누름버튼(460)은 수도전몸체(100)의 상단에 나선체결된 고정관체(470)의 상단 외주연부에 갖추어진 단턱에 걸쳐지도록 하여 수도전몸체(100)의 상면과 누름버튼(460)의 하단면 사이에 갖추어진 작동거리(W)내에서 누름버튼(460)이 상,하로 작동될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욕조수위조절수단(500)은 도 7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전몸체(100)로 부터 연결된 호오스(510)의 선단부분이 결합되어 물의 흐름을 개폐시켜 주는 개폐부(520)와; 상기 개폐부의 하부로 연장된 연장편(530)에 고정시켜 욕조에 담수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회동하면서 개폐부(520)를 작동시켜 주어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는 수위조절부(540)로 갖추어진다.
이때, 상기의 개폐부(520)는 내부에 승강실(522)이 갖추어지고, 하단 중앙에 작동실과 연통되는 연통공(523)이 갖추어진 관체(521)를 형성하고, 상기 관체의 승강실(522) 내에 수납시켜 자체의 중량에 의해 연통공(523)을 밀폐시켜 주는 밀폐관(524)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관의 하부에는 연통공(523)을 통해 하부로 노출시켜 수위조절부(540)에 의해 밀폐관을 승,하강시켜 주는 승강핀(525)으로 형성한다.
또한, 수위조절부(540)는 연장편(530)의 끝단측에 갖추어진 회동축(541)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 회동 하면서 일단이 승강핀(525)의 하단부를 접촉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회동편(542)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의 타단에는 욕조(600)내에 급수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부상되어 회동편을 회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부구(543)로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면대 또는 욕실등에 수도만을 전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전몸체(100)의 상단부 후면에 연통되어 있는 유출구(270)를 밀폐캡(700)을 이용하여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물을 급수하지 않을 경우 도 1a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부(220)내에 갖추어진 탄성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310)가 배수관(281)을 긴밀히 밀착시켜 주게 되는 것이고, 회전부(210)의 상단측 수용실(290)내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탄성스프링(440)(450)은 각각 승강축(410)과 누름버튼(460)을 상부로 탄지시켜 주고 있는 상태이어서 밀폐관(420)이 통공(250)을 긴밀히 밀폐시켜 주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온수관을 통해 회전체(280)의 냉,온수조절공(283)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된 물은 실린더부(220)의 내주면에 수직으로 갖추어진 유입홈(230)을 통해 실린더부(220)내로 유입되어 개폐부(310)를 지점으로 하여 실린더부(220)의 상,하단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개폐부가 배수관을 긴밀히 밀착시켜 주고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도전을 통해 물을 급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1b 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 상단에 갖추어져 있는 누름버튼(460)을 눌러주게 되면 탄성스프링(450)을 압축하면서 작동거리(W)내에서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누름버튼에 의해 승강축(410)이 눌려 탄성스프링(440)을 압축하면서 하향함에 따라 회전부(210)에 갖추어진 실린더부(220)내의 상단측에 위치하여 통공(250)을 밀폐시켜 주고 있던 밀폐관(420)이 하향하므로 인해 실린더부(220)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통공(250)의 틈새(L')를 통해 승,하강실(240)을 거쳐 일측에 연통되어 있는 배수공(260)을 통해 빠져나가 수도전몸체(100)의 토출구(140)와 연통되어 있는 배수홀(141)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린더부(220)내에 잔류하고 있던 물이 배수됨에 따라 동일한 압력을 갖고있던 실린더부(220)내의 압력이 약해져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탄성스프링(320)으로 탄지되어 있는 개폐부(310)가 탄성스프링을 압축하면서 상부로 상승하여 배수관(281)을 개방시켜 주게 되어 냉,온수관을 거쳐 회전체(280)의 냉,온수조절관(283)을 통해 공급되는 혼합된 물은 개방된 배수관(28)을 빠져나가 토출구(140)와 연통되어 있는 토출관(130)을 통해 토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냉,온수의 조절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체(280)의 냉,온수조절공(283)이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판체(150)의 냉,온수유입공(151)(152)과 동일하게 위치하면 동일한 량의 냉,온수가 급수되는 것이고, 회전부를 일측방향으로 돌려 회전체의 회전각도에 따라 서로 연통되는 크기의 조절에 의해 냉,온수의 량을 조절시켜 주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얻을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적당히 조절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많은 량의 물의 급수받고자 할 경우에는 누름버튼(460)을 지속적으로 눌러주면 되는 것이고, 일정량의 물이 급수될 경우 눌러주고 있던 누름버튼(460)을 놓아주면 탄성스프링(440)(450)의 탄성압력에 의해 하향되어 있던 누름력에 의해 누름버튼(460)과 승강축(410)이 상승하게 되어 작동축(411)에 결합되어 있는 밀폐관(420)이 통공(250)을 긴밀히 밀폐시켜 실린더부(220)내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온수조절공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배수관(281)을 통해 배수됨과 아울러, 일부의 물은 회전부(210)의 실린더부(220) 내주연에 갖추어진 유입홈(230)을 통해 실린더부(220)내로 유입되어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강제 압축된 탄성스프링(320)의 탄성력과 실린더부(220)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개폐부(310)가 서서히 하향하다가 실린더부(220)내의 유입되는 물의 압력과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동일할 경우 하향되던 개폐부(310)가 배수관(281)의 상단 테두리부를 긴밀히 밀착시켜 주므로서, 배수관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던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도전을 욕조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수도전몸체(100)의 후면 상단측에 갖추어져 유출구(270)를 밀폐시켜 주고 있는 밀폐캡(700)을 열고 이에 욕조수위조절수단(500)과 연결되어 있는 호오스(510) 선단부를 연결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 욕조수위조절수단(500)을 욕조(600)의 내부 상단측 적정위치에 고정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서, 욕조(600)내에 담수되지 않거나 담수되는 물의 수위가 회동편(542)의 부구(543)에 까지 급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부구(543)의 작체 중량에 의해 부구가 하향됨에 따라 회동축(541)을 중심으로 하여 부구(543)가 갖추어지지 않은 타측의 회동편(542)이 상승하여 승강핀(525)을 상부로 밀어올려주므로서 상기 승강핀의 상단에 갖추어진 밀폐관(524)이 상승하여 연통공(523)을 개방시켜 주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욕조내에 물을 급수시켜 주기 위해 누름버튼(460)을 눌러주게 되면 토출관(130)을 통해 물이 토수되는 상태는 전자에 설명한 작동상태와 동일하면 다면, 본 발명에서는 실린더부(220)내에 잔류하고 있던 물이 통공(250)을 통해 배수공을 거쳐 배수됨에 따라 실린더부내의 수압이 급작스럽게 떨어져 급수되는 수압에 의해 개폐부(310)가 상승시 실린더부(220)내에 잔류하고 있던 물의 일부는 유출구(270)를 통해 호오스(510)를 거쳐 관체(521)의 승강실(522)로 유입되어 개방되어 있는 연통공(523)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개폐부(310)의 상승으로 인해 배수관(28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토출관(130)을 거쳐 욕조내로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급수가 이루어지는 도중 배수관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물중 일부의 물은 실린더부(220) 내주연에 갖추어진 유입홈(230)을 통해 실린더부(220)내로 유입되어 상승되어 있는 개폐부(310)를 하향시켜 주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실린더부내로 유입되는 물은 욕조수위조절수단(500)의 개폐부(310)가 열려있는 상태이므로서 유출구(270)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출이 이루어져 실린더부(220)내의 수압이 높아지지 않아 개폐부(310)가 배수관(281)을 차단시켜 주지 못해 지속적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욕조내에 일정수위의 물이 급수 즉,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향되어 있는 부구(543)에 접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급수가 이루어져 수위가높아지게 되면 물의 부력에 의해 부구(543)가 수위에 따라 서서히 부상하게 되므로서, 상기 부구와 연결되어 있는 회동편(542)이 회동축(54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즉, 하향되어 있는 부분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어 있던 타측은 하향하게 되어 상부로 밀어주고 있는 승강핀(525)의 누름력이 없어져 강제로 밀려 상승되어 있던 밀폐관(524)이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하향되어 연통공(523)을 차단시켜 주게되면 실린더(220)내의 물이 더이상 유출구(270)를 통해 배수되지 못하게 되면 이때부터 유입홈(230)을 통해 실린더부(220)내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작용하여 전자와 동일한 작동에 의해 개폐부(310)가 배수관(281)을 차단시켜 주므로서, 물의 급수가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물을 급수도중 수도관이나 수도전으로 부터 떨어지는 미세한 금속물질의 이물질이 수도물에 함침된 상태에서 급수가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물에 함침된 이물질에 의해 개폐부의 작동에 아무런 장애를 받지않아 오동작이 발생됨이 없는 상태에서 항상 일정하게 원하는 량의 물만을 급수시켜 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의 수도전에 욕조수위조절수단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욕조내에 물을 담수하기 위해 수도전을 열어준 상태에서 다른 일을 하더라도 일정의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수도전이 자동을 닫혀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므로서, 사용자가 욕조내에 담수되는 물의 량을 수시로 확인하는 불편함이 없는 것이고, 욕조내로 물이 넘치는 일이없어 물의 낭비를 줄일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하부로 결합된 냉,온수관(110a)(110b)에 의해 냉,온수가 급수되어 토출관(130)을 통해 물이 토수되는 수도전몸체(100)에 갖추어진 수용실(120)에 삽입시켜 좌,우로 회전되면서 냉,온수의 량을 조절시켜 주는 급수온도조절수단(200)과; 상기 급수온도조절수단의 하단 내부에 갖추어져 급수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함에 따라 배수구를 개폐시켜 주는 개폐수단(300)과; 상기 급수온도조절수단의 상단 중앙으로 부터 관통시켜 이를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줌과 아울러, 개폐수단을 작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수수단(40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2.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온도조절수단(200)은 수도전몸체(100)의 수용실(120)내에 수용시켜 임의 회전되는 회전부(210)와; 상기의 회전부(210) 하부로 부터 요입되는 실린더부(220)와; 상기 실린더부의 내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냉,온수관으로 부터 혼합되어 공급되는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하는 유입홈(230)과; 회전부(210)의 상부로 부터 중앙에 갖추어지는 승,하강실(240)과; 상기 승,하강실 중앙에는 하단측에 갖추어진 실린더부(220)와 연통시켜 실린더내로 유입된 물이 배출될수 있는 통공(250)과; 승,하강실의 하단부 전방측에 승,하강실과 연통되어 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는 배수공(260)과; 회전부(210)의 하단측에 결합시켜 중앙에 배수관(281)이 갖추어지고, 상기 배수관의 외측 바닥면에 장공형의냉,온수조절공(283)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 온수 수도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81)의 상면 테두리에 외측으로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각을 갖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단차지는 단차홈(282)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4.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수단(300)은 배수관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관의 상면을 밀착시켜 줄수 있도록 상단 외주연에 밀폐판(331)이 갖추어진 개폐부(310)와; 상기 밀폐판의 하단면에 갖추어져 배수관의 상면을 긴밀히 밀착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연지의 고무판(340)과; 상기 개폐부의 상면과 실린더의 상단면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고무판이 배수관을 눌려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20)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 온수 수도전.
  5. 제 4 항에 있어서, 개폐부(310)과 배수관(281) 사이에 물이 흐를수 있는 틈새(L)를 형성하고, 상기 개폐관이 승,하강시 틈새내에서 유동됨이 없이 수직 상승될수 있도록 개폐부의 하단 외주연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가이드돌기(330)가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 온수 수도전.
  6.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수단(400)은 승,하강실(240)내에 삽입시켜 통공(250)을 관통하도록 하단에 작동핀(411)이 갖추어진 승강축(410)과; 실린더(220)의 내부로 부터 작동핀(411)에 결합시켜 통공(250)을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밀폐관(420)과; 승강축의 상단에 갖추어진 멈춤링(430)과 회전부의 상면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관이 통공을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440)과; 승강축(410)의 상단에는 회전부(210)의 상단부분이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450)에 의해 탄지되는 누름버튼(460)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7. 자폐식 수도전을 욕조에 설치하여 물을 급수받고자 할때 회전부(210)의 후방측 일단에 실린더(220)와 연통시켜 실린더내의 물이 유출될수 있도록 하는 유출구(270)와;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수도전몸체에 갖추어진 관통공에 호오스(510)의 선단부분을 연결시켜 주고, 상기 호오스의 끝단에는 욕조내에 급수되는 수위에 따라 부상되어 실린더(220)를 개폐시켜 주면서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는 욕조수위조절수단(500)이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을 이용한 욕조의 수위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욕조수위조절수단(500)은 내부에 승강실(522)이 갖추어지고, 하단 중앙에 작동실과 연통되는 연통공(523)이 갖추어진 관체(521)를 형성하고, 상기 관체의 승강실(522) 내에 수납시켜 자체의 중량에 의해 연통공(523)을 밀폐시켜 주는 밀폐관(524)을 형성하며, 상기 밀폐관의 하부에는 연통공(523)을 통해 하부로 노출되는 승강핀(525)으로 형성된 개폐부(520)와; 연장편(530)의 끝단측에갖추어진 회동축(541)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 회동 하면서 일단이 승강핀(525)의 하단부를 접촉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회동편(542)을 형성하고, 상기 회동편의 타단에는 욕조내에 급수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부상되어 회동편을 회동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부구(543)로 형성된 수위조절부(540)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을 이용한 욕조의 수위조절장치.
KR1020010000002A 2001-01-02 2001-01-02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KR20020057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002A KR20020057298A (ko) 2001-01-02 2001-01-02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002A KR20020057298A (ko) 2001-01-02 2001-01-02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003U Division KR200226655Y1 (ko) 2001-01-02 2001-01-02 욕조수위조절장치를 겸비한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298A true KR20020057298A (ko) 2002-07-11

Family

ID=2769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002A KR20020057298A (ko) 2001-01-02 2001-01-02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7298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156A (ja) * 1991-07-18 1993-08-06 Friedrich Grohe Ag 混合バルブ用設定装置
JPH0666387A (ja) * 1992-08-20 1994-03-08 Sayama Seisakusho:Kk 貯液槽の給液制御装置
JPH06281030A (ja) * 1993-02-09 1994-10-07 Galatron Srl 温度自動調節式混合弁
KR950002248A (ko) * 1993-06-16 1995-01-04 김광호 바이폴라 코딩과 디코딩방법
KR960008206A (ko) * 1994-08-30 1996-03-22 김광호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9990074998A (ko) * 1998-03-17 1999-10-05 김기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수온감지 밸브의 비례제어식 자동 온도유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6156A (ja) * 1991-07-18 1993-08-06 Friedrich Grohe Ag 混合バルブ用設定装置
JPH0666387A (ja) * 1992-08-20 1994-03-08 Sayama Seisakusho:Kk 貯液槽の給液制御装置
JPH06281030A (ja) * 1993-02-09 1994-10-07 Galatron Srl 温度自動調節式混合弁
KR950002248A (ko) * 1993-06-16 1995-01-04 김광호 바이폴라 코딩과 디코딩방법
KR960008206A (ko) * 1994-08-30 1996-03-22 김광호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9990074998A (ko) * 1998-03-17 1999-10-05 김기언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수온감지 밸브의 비례제어식 자동 온도유량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2174A (en) Fill valve float arm connection
GB2233792A (en) Fill valve for toilet tanks
CA2001734C (en) Pipe interruptor
KR20030066081A (ko) 양변기용 급속 배수장치
KR200226655Y1 (ko) 욕조수위조절장치를 겸비한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KR20020057298A (ko)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US6192916B1 (en) Flow-limiting float valve
US5611090A (en) Toilet flush control assembly and methods
US20210324620A1 (en) Anti-backflow device and bidet
KR100967935B1 (ko) 절수형 밸브
CN210315847U (zh) 一种防虹吸马桶水箱进水阀
KR200239920Y1 (ko)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KR100253416B1 (ko) 절수식 대변기 세척밸브
KR200297671Y1 (ko) 무소음 볼탭
KR102107691B1 (ko) 포세식 변기용 거품생성 제어 시스템
KR200318051Y1 (ko) 급수자동차단장치
KR200243333Y1 (ko) 플로터 직결형 급수밸브
KR100618312B1 (ko) 자동 수위 조절장치.
KR20030017925A (ko) 자폐식 수도전
KR200170953Y1 (ko)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KR102035338B1 (ko) 플러싱밸브 개폐장치
KR950002248Y1 (ko)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KR200298986Y1 (ko) 샤워기의 절수용 급수장치
CN210713100U (zh) 一种手动电动一体化的排水装置
KR200202257Y1 (ko) 양변기 수조의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