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248Y1 -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248Y1
KR950002248Y1 KR92006770U KR920006770U KR950002248Y1 KR 950002248 Y1 KR950002248 Y1 KR 950002248Y1 KR 92006770 U KR92006770 U KR 92006770U KR 920006770 U KR920006770 U KR 920006770U KR 950002248 Y1 KR950002248 Y1 KR 950002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water level
ball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6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914U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이용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준 filed Critical 이용준
Priority to KR92006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248Y1/ko
Publication of KR930023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제1도는 주밸브 및 부밸브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욕조의 물수위에 의하여 공기통이 올라가는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주밸브 및 부밸브가 수압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은 욕조의 측상벽면에 수위조절케이스를 설치하여 물수위에 따라 밸브가 자동적으로 차단되는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조 밸브는 수위를 조절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수로 인하여 밸브를 잠그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물을 낭비하는 결과가 초래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욕조의 측상벽면에 수위조절케이스를 설치하므로써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우더라도 이 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을 차단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필요 이상의 물을 낭비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밸브(1) 상단에 수도용 콕크(도면생략)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1) 일측에 형성된 부통로관(2) 하측에는 볼(3)을 끼울수 있게한 조절몸체(4)를 연결하고, 조절몸체(4) 일측 하단에는 작동간(5)을 상하 자재토록 중심축(5')에 연결하여 볼(3)과 맞닿게 형성하며, 작동간(5) 타측에는 부력에 의한 공기통(6)을 연결하였고, 부통로관(2) 상측에는 일측 상방으로 구멍(7')이 형성된 부밸브(7)와 다수의 구멍(8')이 형성된 주밸브(8) 사이의 공간부(9)에는 실린더(10)를 이동 자재토록 개재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1은 물의 입구, 12는 욕조, 13은 수위조절케이스, 14은 재사용작동레버, 15는 다수의 구멍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밸브(1)상단에 있는 수도용 콕크(도면생략)을 개방하게 되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0)는 부밸브(7)를 항시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물은 부통로로 빠져나가고, 다수의 구멍(8')이 형성된 주밸브(8)는 실린더(10)가 차단하기 전까지 개방되어, 물을 주통로로 빠져나가게 하는 상태이다. 이렇게 하여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12)의 물은 수위조절케이스(13) 하측의 다수의 구멍(15)으로 스며들어 공기통(6)을 올라가게 하면 작동간(5)과 맞닿은 볼(3)은 중심축(5')을 지점으로 밑으로 내려와 부통로 하측을 볼(3)이 차단함과 동시에 부통로 상측의 공간부(9)에는 수압이 형성되면서 실린더(10)를 앞으로 이동하게하여 다수의 구멍(8')이 형성된 주밸브(8)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주밸브(8)및 부밸브(7)가 차단된 상태에서 욕조(12)의 물을 사용하고 배수한뒤 재차 물을 받을 경우에는 수위조절케이스(13) 상측에 있는 재사용 작동레버(14)을 인위적으로 눌러주면 작동간(5)과 맞닿는 몰(3)은 중심축(5')을 기점으로 올라가면서 부통로 하측을 개방하게 되고 부통로 상측의 공간부(9)에 형성된 수압이 빠지면서 실린더(10)가 원위치 상태로 이동함과 동시에 다수의 구멍(8')이 형성된 주밸브(8)를 개방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밸브(1) 상단의 수도욕콕크(도면생략)을 열어 입수구(11)를 개방하게 되면 욕조(12)에 물이 다 차 있지 않을 경우 입수되는 물은 주밸브(8)의 다수개의 구멍(8')을 통해 다량의 물이 배수됨과 동시에 부밸브(7)의 입수구멍을 통해 공간부(9)로 유입된 후 부통로관(2) 및 수위조절케이스(13) 내측의 조절몸체(4) 및 볼(3)을 통과한 후 수위조절케이스(13)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15)을 통해 욕조(12)로 배수된다.
이때 욕조(12)에 물이 일정수위에 다다르면 수위조절케이스(13)내의 공기통(6)이 상승된다. 이때 공기통(6)의 중심부(5')의 타측은 하강하게 되면, 하강과 동시에 조절몸체(4) 내측의 볼(3)을 하강시켜 부통로관(2)로부터 배수되는 것을 막게 된다.
부통로관(2)으로 빠져나가던 물이 볼(3)에 의해 차단될 때 밸브(1) 내측의 공간부(9)에는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물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 수압은 도면상 H형태의 실린더(10)를 밀어 주밸브(8)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8')를 폐쇄하므로 욕조(12)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그후 수도용콕크를 잠궈 밸브(1)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한다.
다시 욕조(12)로 물을 받으려면 수위조절케이스(13)의 재사용 작동레버(14) 눌러 조절몸체(4)의 입구를 막고 있는 볼(3)을 상승시킬 때 부통로관(2) 및 부밸브(7) 내측공간부(9)의 물을 배수할 때 도면상 H형태의 실린더(10)은 부밸브(7) 방향으로 이동되어 주밸브(8)의 구멍(8')을 개방하게 된다. 그 후 수도콕크를 틀어 급수구(11)를 통해 급수할 때 물이 주밸브(8)의 구멍(8')을 통해 배수 되어지게 된다.
상기에 있어 조절몸체(3)의 배수구를 볼(3)이 막고 있을 때에는 주밸브(10)의 공간부(G)와 부밸브(7) 내측의 공간부(9)는 동일한 압력이 작동하여 실린더(8)은 움직이지 않게 되나, 볼(3)이 상승되어 부통로관(2)을 통해 물이 배수될 때에는 부밸브(7)내측의 공간부(9)에는 마이너스 압력이 작용하고, 이와 반대로 주밸브(8) 내측의 공간부(G)에는 대기압(플러스압력)이 작용하여 실린더(10)를 부밸브(7)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욕조의 측상벽면에 간단한 수위조절케이스를 설치하므로써,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우더라도 이장치에 의하여 물을 차단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필요 이상의 물을 낭비하지 않게 한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밸브(1) 상단에 수도용 콕크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밸브(1) 일측에 형성된 부통로관(2) 하측에는 볼(3)을 끼울수 있게한 조절몸체(4)를 연결하고, 조절몸체(4) 일측 하단에는 작동간(5)을 상하자재토록 중심축(5')에 연결하여 볼(3)과 맞닿게 형성하며, 작동간(5) 타측에는 부력에 의한 공기통(6)을 연결 하였고, 부통로관(2) 상측에는 일측상방으로 구멍(7')이 형성된 부밸브(7)와 다수의 구멍(8')이 형성된 주밸브(8)사이의 공간부(9)에는 실린더(10)를 이동자재토록 개재하여서된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KR92006770U 1992-04-23 1992-04-23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KR950002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770U KR950002248Y1 (ko) 1992-04-23 1992-04-23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6770U KR950002248Y1 (ko) 1992-04-23 1992-04-23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914U KR930023914U (ko) 1993-11-26
KR950002248Y1 true KR950002248Y1 (ko) 1995-03-29

Family

ID=1933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6770U KR950002248Y1 (ko) 1992-04-23 1992-04-23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24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914U (ko) 199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248Y1 (ko) 물수위 감지에 의한 자동급수 밸브장치
US3603336A (en) Fluidically controlled refill mechanism with backflow preventer
KR100775609B1 (ko) 저수압에서도 작동 가능한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구조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KR100293591B1 (ko) 중력과 수압 및 부력을 응용한절수용 기기
JPS61165552A (ja) 太陽熱温水器の給湯装置
JP3803259B2 (ja) 空気弁内蔵消火栓
KR200437206Y1 (ko) 자동물내림장치의 실린더로 물공급을 안내하는 필밸브
KR100441454B1 (ko) 유체자동정지기
KR950001731Y1 (ko) 전자밸브의 급수자동 개폐장치
JP3049695U (ja) 直通式節水便器
JPH0932949A (ja) 空気弁
JPH047422Y2 (ko)
JPS6215727Y2 (ko)
KR100394508B1 (ko) 절수형 욕조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JP4166514B2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KR200243351Y1 (ko) 자연배출식 수세식 변기의 오동작 방지장치
JP2512800Y2 (ja) 寒冷地用減圧弁
JPS5853348Y2 (ja) 水道水流の逆流防止装置
KR820000816Y1 (ko) 수조관용 수위(水位) 조절장치
KR870002300Y1 (ko) 수도전
JPH0218124Y2 (ko)
JPS6220493Y2 (ko)
JPH0738414Y2 (ja) 注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