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672B1 - 유동성개량제, 그 제조방법 및 그 개량제 사용 - Google Patents

유동성개량제, 그 제조방법 및 그 개량제 사용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672B1
KR0161672B1 KR1019920701857A KR920701857A KR0161672B1 KR 0161672 B1 KR0161672 B1 KR 0161672B1 KR 1019920701857 A KR1019920701857 A KR 1019920701857A KR 920701857 A KR920701857 A KR 920701857A KR 0161672 B1 KR0161672 B1 KR 016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s
formula
oxyethylen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손 라스-리지
하마섹 켄트
Original Assignee
잉브 스덴버그
페르스토르프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잉브 스덴버그, 페르스토르프 에이비 filed Critical 잉브 스덴버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0/00Processes, in general, for influencing 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mpositions, e.g. their setting or hardening ability
    • C04B40/0028Aspects relating to the mixing step of the mortar preparation
    • C04B40/0039Premixtures of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03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06Bor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32Polyethers, e.g. alkylphenol polyglycol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Paper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하여 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살포네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설포네이티드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A) 60-99wt%와, 보론함유폴리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또는 이와 같은 산의 수용성염(C) 0.5-40wt%와, 선택적으로 다음 일반식(a)을 가진 화합물(D) 0.5-30wt%로 구성되는 유동성 개량제, 그 유동성개걍제의 제조방법 및 시멘트 함유조성물에서 그 유동성개량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동성 개량제, 그 제조방법 및 그 개량제 사용
본 발명은 수용성시멘트함유 조성물의 워커빌리티시간(workability time)연장을 나타내는 유동성개량제, 그 개량제의 제조방법 및 그 개량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유동성개량제는 시멘트, 석회(lime) 및/또는 석고(gypsum)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첨가제로서 종래에 널리 공지되었다.
그라우트(grout), 모르타르, 콘크리트, 퍼티(putty) 및 자동레벨 플로어 스크리드(selfevelling floor screeds)는 시멘트 기재혼합물의 여러 가지실예에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의 혼합물은 그 시켄트의 경화반응 또는 결합반응에 필요한 최소량과 비교할 때 잉여수(surplus of water)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경화에 필요한 수량을 정확하게 사용할 경우, 그 혼합물은 그 시멘트 입자사이에 인력( attractive force)이 강하기 때문에 컨시스턴시(consistency)와 워커빌리티(workability)가 불충분하다.
반면에, 상기 혼합물중 과잉의 수분함유량은 경화혼합물의 강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그러나, 어느정도 이것은 그 혼합물의 조성물에서 그 시멘트함유량의 증가에 의해 보상받을 수 있다. 단뒤용적당 시멘트의 지나친 고함유량은 경화반응을 할 때 열의 방출로 크랙(cracks)이 형성되고 기타 바람직하지 아니한 효과를 나타내는 악영향을 준다.
또, 경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필요이상의 고함유량의 시멘트는 바람직하지 않다. 현재, 시멘크기재혼합물은 서로 다른 건축작업현장에서 사용하는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가압하에 펌핑(pumping)을 할대가 자주있다.
이 혼합물은 펌핑할 수 있는 컨시스턴시를 가지나 지나친 고함유량의 물을 갖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콘크리트첨가제를 사용하기에 앞서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물함유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유동성 좋게 얻을 수 있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들 첨가제 중 가장 널리 공지된 첨가제 또는 설포네이티드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설포네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와, 리그닌설포산의 소듐 및 칼슘염에 있다.
이와같이, 이들의 공지된 첨가제는 위에서 설명한 분야에서 효과를 나타낸다.
워커빌리티시간에 대한 개념이 이 기술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바, 위에서 설명한 타입의 유동성개량제를 콘크리트혼합물과 혼합한 후의 시간으로 정의되며, 그 워커빌리티시간동안 그 혼합물은 유동성개량제의 혼합물이 없는 그 대응되는 콘크리트 혼합물보다 유동성이 더 양호하다.
서로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워커빌리티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해, 기준이 되는 스웨덴방법 S S 137121을 사용하여 컨시스턴시 측정을 하였다.
그리고 금속제 코운(cone)을 콘크리트 혼합물로 충전시킨다음 즉시 들어 올려 제거하였다.
그 다음 그 콘크리트 코운을 아래로 내려앉도록 하였다.
그 콘크리트 코운과 금속제 코운의 높이차이, 즉 슬럼프(slump)는 그 콘크리트의 컨시스턴시의 측정에 사용된다.
그 슬럼프는 유동성개량제의 혼합전과 그 혼합후에 대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에 측정한다.
유동성개량제 함유 콘크리트 혼합물의 슬펌프는 그 콘크리트 혼합물이 그 유동성 개량제를 첨가하기전에 가했던 동일한 값으로 될 때까지 균등한 간격에서 샘플(sample)을 꺼낸다.
그 측정시간은 워커빌리티시간으로 된다.
현재 콘크리트생산업자와 건축계약자들은 그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시간이 너무 짧아 이에 따르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점을 가질때가 자주 있다.
이와 같이 그 콘크리트에서 유동성개량제의 효과는 너무 빨리 감소되었다.
예로서, 콘크리트 공장에서 건축현장에 이르기까지 그 콘크리트의 운송은 그 유동성을 살실하기 전에 그 콘크리트를 몰들에 충전하도록하는데 너무 장시간이 소요된다.
또, 건축현장에서 주입정지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 주입이 다시 개시될 때 그 콘크리트는 상당히 워커빌리티를 상실한다. 이것은 유동콘크리트를 펌핑할 때 특히 큰 문제를 발생한다. 플러그 펄프 도관(plugged pump conduit)은 경제적으로 대단히 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워커빌리티시간의 극히 짧은 문제는 여름에 높은 콘크리트 온도에서 그리고 겨울에 가온 콘크리트로 주입할 때 특히 심각하다.
위 유동성개량제중에서 위에서 설명한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폴름알데히드 수지와 설포네이티드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모두가 유동콘크리트에 사용된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시간이 너무 짧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세계적으로 부단히 연구와 노력을 하였다. 어느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그 워터빌리티시간의 연장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다른 문제, 즉 단시간강도 감소, 공기량증가, 거짓응결(false set)의 위험 또는 콘크리트의 초기경화시간의 최대연장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같은 문제는 그 자체가 대단히 중요하며, 워커빌리티시간이 짧은 것으로 그 문제가 만족스럽게 해결되었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다른 문제를 발생함이 없이 짧은 워커빌리티시간으로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용성시멘트함유조성물의 워커빌리티시간을 연장해주는 유동성개량제에 관한 것이다.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그 유동성개량제는 (A)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설포메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설포네이티드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 60-99wt%와, (C)보론함유폴리히드록시 키르복실산 또는 다음 일반식(b)를 가진 상기 카르복실산의 수용성 알카리염 또는 알칼리 토류금속염 0.5-40wt%와, (D)선택적으로 다음 일반식(a)를 가진 화합물 0.5-30wt%로 구성된다.
위 식(b)에서 R1이고, n은 3-8이다.
위식(a)에서,
Ar은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벤젠기 또는 나프탈렌기이고,
R1은 식의 옥시에틸렌기, 식의 옥시프로필렌기, 15개이내의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를 가진 옥시에틸렌 또는 옥시프로필렌체인 또는 상기 기(gruops)의 전체합이 15개인 체인내에서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의 결합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식의 포스포네기트기(여기서 M1및 M2는 수소 또는 알카리금속이온임)또는 식의 기(M2는 상기 정의를 가지고, M3이다. 여기서 R1,n,Ar은 상기 정의를 가짐)이다.
위 유동성개량제의 화합물(A)는 여러 가지의 다른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하나의 적당한 방법은 스웨덴특허 제7414830-5호에 기재되어 잇는 바, 이 특허에서는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다.
시멘타(cementa)유동첨가제V33을 상품명으로 하여 시멘타 회사에 의해 스웨덴에서 시판되는 멜멘트 L-10(Melment)제품과 상품명 제품 PERAMIN(본원 출원인에 의해 시판되고 있음)는 본 발명에 의해 구성성분화합물(A)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본국 특공소 57-100959에서도 설포메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제조에 대해서 기재되었다.
이 방법은 위 구성성분화합물(A)의 제조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미국특허 제2,730,516호, 오스트리아특허 제263,6087호 및 유럽특허 제59,353호에서는 설포메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제조에 대하여 기재된 바 있다.
설포네이티드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 역시 예로서 프랑스 회사(compagnie Francaise De proudits Industriels)에서 제조하여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화합물(D)에서 R1은 옥시에틸렌기이고은 1-6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화합물(D)에서의 R1는 일반식을 가진 포스포네이트기이다(위 식에서 M1및 M2는 수소이온 또는 알카리금속 이온임).
화합물(A)에서와 같이 설포메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설포네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위 화합물(D)에서 Ar은 알킬기로 치환될 경우 이것은 CH3, C2H5또는 C3H7등 짧은 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화합물(A)와 (D)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유동성개량제는 스웨덴특허 8800295-1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인용특허에 의한 그 유동성개량제는 예로서 콘크리트에 대한 유동성 개량효과가 현저하게 양호하다.
그러나, 그 유동성 개량제를 함유한 콘크리트 혼합물의 워커빌리티시간은 어느 적용부야에서도 만족스럽지 않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얻게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초기경화시간은 예로서 평편하게 할 수 있는(flattened)정도로 콘크리트를 경화하도록 그 콘크리트를 혼합한 후에 필요한 시간으로 통상 정의된다.
물론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혼합물의 긴 초기경화시간은 대단히 바람직하지 않다. 그 작업은 장시간 동안 정지하면서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대기한다. 초기 경화시간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스웨덴 표준 SS 137126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다음 스탬프(stamps)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모멘트(moment)에서 그 콘크리트에 밀어 넣어 침입도(Penetration)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였다.
이 표준에 의한 초기경화시간 종료 범위는 그 침입도저항이 3.5MPa에 이르게 될 때의 시점이다.
콘크리트의 높은 단시간 강도는 여러 가지 서로 다른 관점에서 볼 때 중요하다.
무엇보다 가급적 신속하게 탈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그 단시간 강도는 24시간 압축강도로 정의된다.
영국특허 제1,389,407호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C)에 대한 한 실시예의 제조는 종래에 공지되어 있다.
그 공지화합물의 사용에 대해서는 그 영국특허에서 전혀 언급한 바 없다.
미국특허 제3,856,541호에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C)를 함유한 콘크리트 혼합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한 고온(200°F~93°C)에서 신속하게 경화되지 않게 방지하는 콘크리트의 초기경화시간의 연장에 관한 이 미국특허에서는 다른 성분과의 혼합에 대하여 기재된 바 없다.
워커빌리티시간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이 미국특허에서는 전혀 언급된 바 없다.
따라서, 콘크리트혼합물등의 워커빌리티시간을 연장하는 위 화합물(C)는 종래에 사용된 바 없다.
본 발명에 의해, 화합물(A)만을 함유한 콘크리트 혼합물은 작업시간 연장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합물(A) 및 (D)의 혼합에 대해서도 역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인용특허의 서로다른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해 유동성 개량제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기대이상으로 확인하였다.
그 유동성개량제는 유동성 개량효과가 양호하며, 구성성분화합물(A)와 (C) 및 선택적으로 (D)의 혼합에 의해 수용성조성물 함유시멘트의 워커빌리티시간연장을 나타내었다.
그 구성성분화합물(C)는 어떤 워커빌리티시간연장도 나타내지 않는다.
또, 구성성분화합물(A)는 그 어떤 워커빌리티시간연자델 나타내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양호한 유동성개량효과도 나타내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유동성개량제는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화합물(A)70-99wt%, 바람직하게는 80-99wt%, 화합물(C) 0.5-30wt%, 바람직하게는 0.5-20wt%, 선택적으로 화합물(D) 0.5-20wt%로 구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라, 그 유동성개량제는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하여 화합물(A) 70-99wt%, 화합물(C) 0.5-20wt%, 화합물(D)0.5-20wt%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유동성개량제가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화합물(A) 70-99wt%, 화합물(C)0.5-30wt%를 구성한다.
그 화합물(C)의 일반식에서 n은 5가 바람직하다.
화합물(C)에서 보론은 착체(complex)로 존재할 때가 많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수종의 착체의 일반식은 위에서 인용한 영국특허 1,289,407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에에 따라, 그 구성부분성분(C1)은 붕산 또는 그 붕산의 수용성염으로 구성되고 그 구성성분(C2)은 폴리히드록시키르복실산 또는 다음일반식(b)을 가진 상기 카르복실산의 수용성 알카리염 또는 알카리토류금속염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 식(b)에서, R1이고, n은 3-8, 바람직하게는 4-6이며, 위 부분성분(C1) 및 (C2)는 유동성개량제에 존재한 다른 구성성분과 혼합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동성 개량제의 제조의 적합한 하나의 방법에서, 그 부분성 분화합물(C1)을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설포네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A)의 제조시에 첨가한다.
통상적으로, 신방응 공정은 위와같은 수지의 제조시에 포함된다.
예로서 황상든의 무기산, 유기산 또는 다른 산화합물로 구성되는 산촉매에 의해 낮은 PH값이 얻어진다.
특히 그 화합물(C1)은 붕산으로 구성되어 잇는 경우 위 산방응공정에 첨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붕산은 산촉매로서 작용하며,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통상적인 위 촉매로 대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 부분성분화합물(C1) 및 (C2)는 또 상기 수지(A)의 제조의 또 다른 공정에 첨가할 수도 있다.
한 공정이상에서 위 부분성분화합물(C1) 및 (C2)를 또 첨가할 수 있다.
그 부분성분화합물(C1) 및 (C2)는 역시 마무리 수지(finished resin)(A)에 첨가할 수 있다.
위 구성성분 화합물(D)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서 혼합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유동성개량제는 본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와같이, 그 구성성문화합물(A) 및 (C) 및 선택적으로(D)를 동시에 알맞게 혼합할 수 있다.
그 유동성개량제의 다른 부분구성성분화합물 역시 시멘트함유조성물에 분리하여 별도로 첨가시켜 주의있게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동성개량제는 수용액 또는 건조생성물의 상태로 있게 할 수 있다.
그 건조 생성물은 그 대응되는 수용액의 스프레이건조(spray drying)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 수용성 조성물 함유 시멘트는 콘크리트, 자동레벨플로어 스크리드(Self levelling floor screeds), 그라우트(grouts), 모르타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그 유동성 개량제는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수분함량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동시에 양호한 유동성과 그 혼합물의 워커 빌리티시간연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그 실시예 중 실시예 2,7.8 및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동성 개량제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며, 실시예 1,3,4,5 및 6은 본 발명의 범위밖에 있는 대비테스트에 관련된 것이다.
시멘트(Slite standard Portland)290kg/cm3, 건조자갈(gravel)(0-8mm) 1063kg/cm3거친자갈(Coarse gravel)(8-16mm) 730kg/cm3, 물 228kg/cm3을 2분간 혼합시켜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후 바로 그 콘크리트 혼합물은 위 방법에 의해 측정한 슬럼프(slump)는 80mm이었다.
그 다음, 설포네이티드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3.8kg/cm3(시멘트 1.3wt%)상표, 성분(A)(페르스토르프에이비)를 2시간 혼합하였다.
그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혼합직후 그 콘크리트혼합물은 슬럼프가 220mm이었다.
그 다음 그 슬럼프를 20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 측정치가 얻어졌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지를 혼합하여 80분후에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슬럼프는 220에서 그 수지첨가전에 얻는 측정치80으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위 정의에 따라 측정한 워커빌리티시간은 80분이었다.
그 콘크리트혼합물로 구성된 테스트샘플은 24시간후에 압축강도 7.3MP이었다.
초기 경화시간은 위 스웨덴 표준 SS 137126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6.7±0.5시간을 얻었다.
[실시예 2]
상품(구성성분화합물 A) 3.6kg/cm3과 소듐보로헵토네이트(구성성분화합물 C) 0.19kg/cm3의 혼합물을 제조하여 상품대신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와 소듐보로헵토네이트의 혼합재물을 그 콘크리트에 혼합할 때 그 콘크리트는 슬럼프가 220mm이었다.
시간의 진행에 따른 다음의 슬럼프변화 측정에서 다음 측정값이 얻어졌다.
그 화합물(A)와 (C)의 혼합물 첨가전에 그 콘크리트는 물론 제조방법과 조건이 동일하기 때문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슬럼프가 80mm이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워커빌리티시간은 약130분이 얻어졌다.
이것은 실시예 1에 의한 것보다 약 50분간 더 길다.
그 결과, 그 구성성분화합물(A)와 (C)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동성개량제는 구성성분화합물(A)로 구성되는 공지의 유동성개량제보다 워커빌리티시간이 상당히 더 길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 유동성개량제를 그 콘크리트에 혼합할 때 그 전후에 각각의 슬럼프 값간의 차이에서 그 유동성 개량제의 유동개량효과에 대한 현저한 측정치를 나타낸다.
두 경우 그 차이 140(220-80)이 얻어졌다.
이것은 유동성개량제의 양호한 값이 된다.
실시예 2에 의한 콘크리트 혼합물로 구성된 샘플은 24시간 후 압축강도 7.2MP를 나타내며, 이것은 실시예 1의 결과와 직접대비할 수 있다.
초기경화시간은 6.9±0.5시간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과 2의 콘크리트혼합물사이의 초기경화시간 차이는 유의성이 없었고, 본 발명을 실제로 사용할 때 중요하지 않다.
[실시예 3]
소듐보로헵토네이트(구성성분화합물 C)단독으로 0.19kg/cm 를 사용하고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처리를 반복하였다.
소듐보로헵토네이트의 첨가전에 그 콘크리트는 슬럼프가 80mm이었고, 그 첨가후에는 슬럼프가 95mm이었다.
이것은 소듐 보로헵토네이트가 유동성개량효과에 있어서, 유의성이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의 진행에 따르는 슬럼프 변화 측정에서 다음의 슬럼프 값이 얻어졌다.
따라서, 그 소듐보로헵토네이트는 약25분의 워커빌리티시간을 나타내었다.
그 콘크리트 혼합물로 구성된 테스트샘플은 24시간후 압축강도 7.5MPa를 나타내었다.
또, 초기 경화시간은 7.1±0.5시간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4]
소듐보로헵토네이트(구성성분화합물 C)단독으로 3.8kg/cm 를 사용하고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소듐 보로헵토네이트 첨가전에 콘크리트는 그 슬럼프가 80mm이었고, 그 첨가후에는 슬럼프가 220mm이었다.
따라서, 그 유동성개량효과는 실시예 1 및 2에서와 같이 양호하였다.
시간의 진행에 따르는 슬럼프 변화의 측정치는 다음값이 얻어졌다.
위 실험에 의해 소듐보로헵토네이트는 워커빌리티시간이 대단히 길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7일후 그 콘크리트 혼합물로 구성된 테스트샘플은 경화되지 아니하였으나, 압축강도가 0MPa이었다.
실시예 3 및 4에 의한 결과와 대비할 때 낮은 함유량의 소듐 보로헵토네이트의 사용할시에 유동성개량효과와 워커빌리티시간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1일후에는 양호한 압축강도가 얻어졌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높은 함유량의 소듐 보로헵토네이트를 사용할 때 양호한 유동성 개량효과와 워커빌리티 시간이 얻어졌다.
반면에 초기 경화시간은 너무 길어졌으며(7일)7일후 압축강도는 존재하지 아니하였다.
이와같이, 소듐보로헵토네이트 그 자체는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나타내지 아니하였다.
[실시예 5]
단독으로 소듐헵토네이트 0.19kg/cm (따라서, 어떤 보론도 포함되지 아니하였다)를 사용하고,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소듐헵토네이티드 첨가전에 그 콘크리트는 슬럼프가 80mm이었고, 그 첨가후에는 슬럼프가 96mm이었다.
이것은 그 소듐헵토네이트가 유동성개량효과에 있어서 유의성이 없음을 나타낸다.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슬럼프 변화의 측정에서 다음의 측정치가 얻어졌다.
이와같이, 그 소듐헵토네이트는 워커빌리티시간이 불과 20분을 나타내었다.
그 콘크리트혼합물로 구성된 테스트샘플은 1일후 압축강도 7.7MPa를 나타내었으며, 초기경화시간은 7.0±0.5시간이었다.
[실시에 6]
화합물(A)(상표, perstorp AB제품) 970g과, 다음일반식 (a)●를 가진 화합물(D) 30g을 균질혼합물이 얻어질때까지 30℃의 온도로 교반하면서 혼합하였다. (위 일반식(a)에서 Ar은 페놀기, R1
그 다음 소듐히드록시드를 첨가시켜 PH를 11.0으로 조절하였다.
유동성개량제에 있어서 위 화함물(A) 및 (D)의 혼합은 스웨덴특허 88.00295-1에 기재되어 있다.
시멘트(Slite standard Portland) 420kg/m3, 건조자갈(0-8mm) 88kg/m3, 거친자갈(8-16mm) 98kg/cm3을 2분간 혼합시켜 콘크리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콘크리트 혼합물제조직후, 그 콘크리트혼합물은 위 방법에 따라 측정한 슬럼프가 60mm이었다.
그 다음, 위에서 제조한 화합물(A)와 (D)의 혼합물 5.5kg/m3(그 시멘트 1.3wt%)를 2분간 혼합시켰다.
상기 화합물(A) 및 (D)의 혼합물과 혼합한 직후 그 콘크리트 혼합물은 슬럼프가 220mm이었다.
그다음 20분 간격으로 슬럼프를 측정한 결과 다음값이 얻어졌다.
이와같이 워커빌리티시간은 약90분이 되었다.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테스트샘플은 1일후 압축강도가 23.5MPa이었다.
그 콘크리트 혼합물의 초기 경화시간은 6.7±0.5시간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위 화합물(A)와 (D)의 혼합물 5.3kg/m 을 위 화합물(C), 소듐보로헵토네이트 0.2kg/m 와 혼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6의 공정은 반복하였다.
그 다음 그 화합물(A),(C) 및 (D)의 혼합물을 그 콘크리트에 혼합시켰다.
제조한 화합물((A),(C) 및 (D)의 혼합물을 그 콘크리트에 혼합한 직후 그 콘크리트혼합물은 슬럼프가 230mm이었다. 그 다음 그 슬럼프를 20분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다음의 측정치가 얻어졌다.
따라서, 첨가전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슬럼프가 60mm이므로, 그 워커빌리티시간은 140분이 되었다.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테스트샘플은 1일후 압축강도가 24.MPa이었다.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초기경화시간은 7.0±0.5시간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6 및 7의 성적에서 다소 더 양호한 유동성 개량효과로서 실시예 6의 220mm와 대비할 때 본발명(실시에 7)에 의해 230mm가 얻어졌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위 워커빌리티시간은 실시예 6에서 90분과 비교할 때 실시예 7에서 최대범위 140분까지 연장되었다.
[실시예 8]
물 800g과 37%포름알데히드 700g을 글라스제 반응구(reaction bulb)에 넣었다.
멜라민 350g과 소듐메타비스설피트 285g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그 반응혼합물을 교반하면서 75℃로 가열하였다.
그 멜라민과 소듐메타비스설피트를 완전히 용해시켜 그 반응혼합물이 맑아졌을 때, 46%소듐히드록시드 180g을 첨가하여 PH 10.5-11.2가 얻어졌다.
그 반응혼합물은 유리설피트가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때까지(0.5-2h), 75℃에서 유지시켰다.
그리고 그 반응혼합물을 50℃로 냉각하였다.
그다음 붕산으로 구성되는 화합물(C ) 7.0g과 황산(96%) 18.0g을 첨가시켜 PH 5.8-6.1을 얻었다.
그다음 점도 170cp(Emilia)가 얻어질때까지 약4시간 축합반응을 계속해서 행하였다.
그리고 그 반응혼합물을 35℃로 냉각시킨다음, 46%소듐히드록시드 25.0g을 사용하여 PH 11.4로 조절하여 만족스러운 저장안정성이 있는 축합생성물을 얻었다.
그 다음 소듐헵토네이트로 구성되는 화합물(C ) 104g과 물 300g을 혼합시켜 그 고형함유량을 약35%로 조절하였다.
위에서 제조한 화합물(A),(C ) 및 (C )의 혼합물 3.8kg/m 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이 혼합물을 그 콘크리트에 혼합시킬 때 그 콘크리트는 슬럼프가 215mm이었다.
시간의 진행에 따라 슬럼프변화측정치는 다음의 값으로 얻어졌다.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약130분의 워커빌리티시간이 얻어졌다.
그 콘크리트 혼합물의 테스트샘플은 1일후 압축강도 7.8MPa를 나타내었다.
그 콘크리트혼합물의 초기경화시간은 7.0±0.5시간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9]
상품와 소듐보로헵토네이트 0.19kg/m3를 서로 혼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의 공정을 반복하였다.
그 대신 그 콘크리트혼합물에 이들 화합물을 별도로 첨가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였다.

Claims (10)

  1. 수용성 조성물함유 시멘트의 워커빌리티시간(workability time)을 연장하는 유동성 개량제(folwability improving agent)에 있어서,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설포네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설포네이티드 나프탈렌-포름알데히드수지(A) 60-99wt%와, 보론함유 폴리히드록시드 카르복실산 또는 다음 일반식(b)를 가진 상기 카르복실산의 수용성알카리염 또는 알카리 토류금속염(C) 0.5-40wt%와, 선택적으로 다음 일반식(a)를 가진 화합물(D) 0.5-30wt%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개량제.
    위 식(a)에서,
    Ar은 선택적으로 치환 되는 벤젠기 또는 나프탈렌기이고, R1은 식의 옥시에틸렌기, 식의 옥시프로필렌기, 15개이내의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를 가진 옥시에틸렌 또는 옥시프로필렌체인 또는 상기 기(groups)의 전체합이 15개인 체인내에서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의 결합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식의 포스포네이트기(여기서 M1및 M2는 수소 또는 알카리 금속이온임)또는 식의 기(M2는 상기 정의를 가지고, M3이다. 여기서 R1,n,Ar은 상기 정의를 가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화합물(A) 70-99wt%와 상기 화합물(C) 0.5-20wt%와, 선택적으로 상기 화합물(D) 0.5-20wt%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 개량제.
  3. 제1항에 있어서,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화합물(A) 80-99wt%, 상기 화합물(C)0.5-20wt%, 상기 화합물(D) 0.5-20wt%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개량제.
  4. 제1항에 있어서,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화합물(A) 70-99wt%, 상기 화합물(C)0.5-20wt%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유동성개량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의 일반식(b)에서 n은 5임을 특징으로하는 유동성개량제.
  6. 제1항에 있어서, 그 보론(boron)은 상기 화합물(C)에서 착체로 존재함을 특징으로하는 유동성개량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는 두 개의 부분성분 C1및 C2로 구성되며, C1는 붕산 또는 그 붕산의 수용성염이고, C2는 폴리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또는 아래에 나타낸 일반식(b)을 가진 상기 카르복실산의 수용성알카리 또는 알카리 토류금속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유동성 개량제.
  8. 수용성조성물함유시멘트의 워커빌리티시간연장을 나타내는 유동성 개량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붕산 또는 그 붕산의 수용성염으로 구성되는 화합물 C1는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 또는 설포네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데히드수지로 구성되는 화합물(A)를 제조할 때 첨가하며, 그 결과 얻어진 화합물(A)은 폴리히드록시카르복실산 또는 다음일반식(b)을 가진 상기 카르복실산의 수용성알카리 또는 알카리토류금속염으로 구성되는 화합물 C2와, 선택적으로 다음 일반식(a)의 화합물(D)과 혼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위식에서 R1이고, n은 3-8이다.
    위식(a)에서, Ar은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벤젠기 또는 나프탈렌기이고, R1은 식의 옥시에틸렌기, 식의 옥시프로필렌기, 15개이내의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를 가진 옥시에틸렌 또는 옥시프로필렌 체인 또는 상기 기(groups)의 전체합이 15개인 체인내에서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의 결합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의 포스포네이트기(여기서 M1및 M2는 수소 또는 알카리금속이온임)또는 식의 기(M2는 상기 정의를 가지고, M3는 -(R1)n-O-Ar이다. 여기서 R1, n, Ar은 상기 정의를 가짐)이다.
  9. 워커빌리티시간(workability time)을 연장하며, 수용성 시멘트 함유 조성물중에서 건조생성물을 기준으로하여 설포네이티드 멜라민포름히드수지, 설포네이티드 멜라민-우레아-포름알레이드 수지 또는 설포네이티드 나프탈렌-포름알레히드수지(A) 60-99wt%와, 보론 함유 폴리히드록시 키르복실란 또는 다음 일반식(b)를 가진 상기 카르복실산의 수용성 알카리 또는 알카리 토류금속염 0.5-40wt%와, 선택적으로 다음 일반식(a)를 가진 화합물(D) 0.5-30wt%로 구성되는 유동성개량제의 사용
    위 식(a)에서, Ar은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벤젠기 또는 나프탈렌기이고, R1은 식의 옥시에틸렌기, 식의 옥시프로필렌기, 15개이내의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를 가진 옥시에틸렌 또는 옥시프로필렌 체인 또는 상기 기(groups)의 전체합이 15개인 체인내에서 옥시에틸렌기와 옥시프로필렌기의 결합기이고, R2는 수소원자 또는 식의 포스포네이트기(여기서 M1및 M2는 수소 또는 알카리금속이온임)또는 식의 기(M2는 상기 정의를 가지고, M3이다. 여기서 R1,n,Ar은 상기 정의를 가짐)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그 수용성 시멘트함유 조성물은 콘크리트, 그라우트(grout), 모르타르 또는 자동레벨링플로어 스크리트(self levelling floor screed)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성개량제의 사용.
KR1019920701857A 1990-02-19 1991-02-12 유동성개량제, 그 제조방법 및 그 개량제 사용 KR0161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000585-1 1990-02-19
SE9000585A SE465622B (sv) 1990-02-19 1990-02-19 Flytfoerbaettrande medel,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samt anvaendning daerav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1672B1 true KR0161672B1 (ko) 1998-11-16

Family

ID=2037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857A KR0161672B1 (ko) 1990-02-19 1991-02-12 유동성개량제, 그 제조방법 및 그 개량제 사용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5354792A (ko)
EP (1) EP0515529B1 (ko)
JP (1) JP3163103B2 (ko)
KR (1) KR0161672B1 (ko)
AT (1) ATE130587T1 (ko)
AU (1) AU646846B2 (ko)
BR (1) BR9106067A (ko)
CA (1) CA2072250C (ko)
DE (1) DE69114831T2 (ko)
DK (1) DK0515529T3 (ko)
ES (1) ES2089193T3 (ko)
FI (1) FI98214C (ko)
GR (1) GR3018196T3 (ko)
HK (1) HK63996A (ko)
NO (1) NO304881B1 (ko)
SE (1) SE465622B (ko)
TW (1) TW214537B (ko)
WO (1) WO19910122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7181A1 (de) * 1992-05-23 1993-11-25 Chemie Linz Deutschland Verwendung von Kondensationsprodukten aus Melamin und Glyoxylsäure als Zusatzmittel für hydraulische Bindemittel und Baustoff
EP0747331B1 (en) * 1994-02-22 2003-08-27 Kao Corporation Hydraul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NL9401079A (nl) * 1994-06-28 1996-02-01 Mets Holding Bv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waterige oplossing van een polycondensaat, volgens deze werkwijze verkrijgbare produkten alsmede de toepassing daarvan.
FR2722718B1 (fr) 1994-07-22 1996-10-04 Sepro Robotique Dispositif de guidage lineaire a grande vitesse
US5932000A (en) * 1996-09-19 1999-08-03 Eka Chemicals Ab Method for preparation of a hardening composition
EP1250395A4 (en) 1999-12-09 2005-06-08 Valspar Sourcing Inc ABRASIVE COATING
US9731999B2 (en) 2011-09-23 2017-08-15 Iqbal Gill Chemical admixtures for hydraulic cements
JP7005990B2 (ja) * 2017-07-28 2022-01-24 テクノUmg株式会社 ゴム質重合体、グラフト共重合体および熱可塑性樹脂組成物
AT524581B1 (de) * 2020-12-30 2022-07-15 Scevic Jure Zusatz für eine Spachtelmass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992A (en) * 1971-08-10 1974-08-06 Sueddeutsche Kalkstickstoff Additive for cement based mortars
JPS5115856B2 (ko) * 1971-12-25 1976-05-20
DE2704929B1 (de) * 1977-02-07 1978-05-24 Hoechst Ag Verfluessigerkombination fuer Baustoffe
SE459968B (sv) * 1988-01-29 1989-08-28 Perstorp Ab Flytfoerbaettrande medel,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daerav samt anvaendning av detsamma
DE3929223A1 (de) * 1988-09-09 1990-03-22 Sandoz Ag Behandlung von zementpulver
AU6799190A (en) * 1989-12-14 1991-06-20 David William Spencer Sivyer Tank insulation prot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89193T3 (es) 1996-10-01
CA2072250C (en) 1996-12-10
ATE130587T1 (de) 1995-12-15
EP0515529A1 (en) 1992-12-02
FI923482A (fi) 1992-07-31
DE69114831D1 (de) 1996-01-04
TW214537B (ko) 1993-10-11
BR9106067A (pt) 1993-01-19
GR3018196T3 (en) 1996-02-29
SE9000585D0 (sv) 1990-02-19
CA2072250A1 (en) 1991-08-20
DK0515529T3 (da) 1995-12-18
SE9000585A (ko) 1991-08-20
AU646846B2 (en) 1994-03-10
HK63996A (en) 1996-04-19
AU7339391A (en) 1991-09-03
US5354792A (en) 1994-10-11
NO923215L (no) 1992-08-17
NO923215D0 (no) 1992-08-17
DE69114831T2 (de) 1996-05-15
WO1991012214A1 (en) 1991-08-22
EP0515529B1 (en) 1995-11-22
NO304881B1 (no) 1999-03-01
JP3163103B2 (ja) 2001-05-08
JPH05504329A (ja) 1993-07-08
FI98214C (fi) 1997-05-12
FI923482A0 (fi) 1992-07-31
SE465622B (sv) 1991-10-07
FI98214B (fi) 199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0720A (en) Multicomponent concrete superplasticizer
US8366825B2 (en) Rapid binder compositions containing a calcium salt for concrete components and structures
JP5634868B2 (ja) 固形体を形成する石膏混合物
MXPA04009327A (es) Aditivos de alto peso molecular para yeso calcinado y composiciones cementicias.
WO2009015520A1 (en) Cement-based grout composition
KR0161672B1 (ko) 유동성개량제, 그 제조방법 및 그 개량제 사용
KR101052602B1 (ko) 유동화 컴파운드를 이용한 고성능 바닥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2359290A1 (de) Fliessfaehige baustoffmasse mit hoher fruehfestigkeit
JPS5825061B2 (ja) セメント系セルフレベリング床材
US5010124A (en) Flowability improving age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JP2007177077A (ja) 地盤注入材
KR100502205B1 (ko) 건축 재료
JP2701028B2 (ja) セメント系セルフレベリング材
HUT67591A (en) Method for improving properties of hydraulic cements and building material
JPH0567578B2 (ko)
JPH0143703B2 (ko)
CN107892541B (zh) 一种建筑块材强度试验用的石膏浆料及其配制方法
JPH0143702B2 (ko)
WO2023126283A1 (en) Additive or sealing composition for cementitous compositions, cementitious composition,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eparing a cementitious structure and treating a surface thereof
AU2022424299A1 (en) Additive or sealing composition for cementitous compositions, cementitious composition,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of preparing a cementitious structure and treating a surface thereof
RU1662152C (ru) Тампонажный раствор
JPS5930750A (ja) セメント系セルフレベリング床材
RU2002107242A (ru) Добавка для снижения усадки и придания безусадочности твердеющим цементно-водным системам и способ её применения
JPS582188B2 (ja) 流動性フツ酸無水石膏組成物
JPS621859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