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162B1 -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162B1
KR0161162B1 KR1019950010625A KR19950010625A KR0161162B1 KR 0161162 B1 KR0161162 B1 KR 0161162B1 KR 1019950010625 A KR1019950010625 A KR 1019950010625A KR 19950010625 A KR19950010625 A KR 19950010625A KR 0161162 B1 KR0161162 B1 KR 0161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yarn
base
yarn feed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842A (ko
Inventor
도시노리 나까모리
미노루 소노무라
겐지 나까이
Original Assignee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세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 마사히로, 가부시끼가이샤 시마 세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시마 마사히로
Publication of KR95003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1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9/04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apted for combined weft and warp knit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3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laid-in unlooped yarn, e.g. fleec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6Thread guide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hread guide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94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15/96Driving-gea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2Warp-thread gu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internal threads in laid-i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횡편기에 경편과 유사한 편성을 위한 편사를 공급하는 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하고, 랩핑 모션의 폭 등의 변경을 가능케 한다.
편사 공급 장치(9)는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설치되는 베이스(27)과, 베이스(27)상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한 복수의 레이스(25)를 포함한다. 레이스 바아(25)에는 유지 블록(28)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다. 각 유지 블록(28)에는 복수의 급사관(23,24)이 착탈 가능하다. 급사관(23,24)의 선단으로부터 편사가 전방 침상(11)의 편침(21)에 대하여 공급되고, 레이스 바아(25)의 길이 방향의 왕복 운동에 의해서 랩핑 모션을 행한다. 또 편사 공급 장치(9)는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의 하방에 설치되는 요동 기구에 의해 스윙축(34)을 중심으로 하는 요동 변위를 행하고, 급사관(23,24)의 선단은 스윙 모션을 행한다.

Description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편사 공급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편사 공급 장치의 측단면도.
제4도는 편사 공급 장치의 부분적 정면도.
제5도는 편사 공급 장치의 편사 공급 장치의 부분적 평면도.
제6도는 편사 공급 장치의 부분적 정면도.
제7도는 편사 공급 장치의 부분적 평면도.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유지 블록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
제9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유지 블록을 레이스 바아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유지 블록을 레이스 바아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1도는 제11도의 실시예의 요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간략화한 측면도.
제1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스윙 모션의 상태를 도시하는 간략화한 측단면도.
제1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스윙 모션의 상태를 도시하는 간략화한 측단면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랩핑 모션과 캐리지의 이동의 시간적인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15a도, 제15b도, 제15c도 및 제15d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편성 가능한 무늬와 레이스 바아의 배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
제16a도, 제16b도, 제16c도 및 제16d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편성 가능한 무늬와 제리스 바아의 배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17a도 및 제17b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편성 가능한 무늬와 레이스 바아의 배치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
제18도는 횡편기를 이용하여 경편을 행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공급장치 10 : 횡편기
11 : 전방 침상 12 : 후방 침상
13, 14 : 캐리지 15 : 브릿지
16 : 안내 가이드 17 : 롤러
18 : 지주 21 : 편침
23, 24 : 급사관 25, 26 : 레이스 바아
27 : 베이스 30 : 모터
31 : 풀리 34 : 스윙축
38 : 블록 39 : 스톱퍼
44 : 로드 46, 49 : 아암
50 : 종동기 52 : 캠 판
본 발명은 위편용횡편기를 이용하여 경편과 유사한 조직을 편성할 수 있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래 기술로서,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허 공고 소51-42225호 공보, 혹은 본원 출원인이 제조하는 횡편기(기종명 : SPL-CO92FF)가 있다.
상기한 타입의 횡편기에는 전후방 침상 사이의 치형 입구 상방에 가설된 사도레일 상을 왕복 이동하는 급사관에 의해 편사를 침에 합사할 뿐 아니라 전후 어느 한 쪽의 침상의 상방 위치에서 대향하는 침상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는 임의 수의 급사관을 갖고, 경편 조직의 편성을 가능케 하는 급사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 급사 장치에는 대향하는 편침에 편사를 감아 걸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고, 또 침상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한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편 조직의 편성을 가능케 하는 급사 장치에 의한 편성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우선 침상 상에 임의 편침을 캐리지의 캠 박스를 통과시킴으로써 치형 입구 상방으로 진출시킨다. 상기 편침이 진출한 상태에서. 대향하는 침상의 상방에 있는 급사 장치를 하강 위치로부터 각 급사관을 상기 진출 위치에 있는 편침 측방을 통과시켜서 상승 위치로 요동시킨다(급사개시점). 다음에, 급사관을 후속하는 캠 박스의 진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소망하는 편침 개수 만큼 이동시킨 후, 다시 편침의 측방을 통과시켜서 하방 위치까지 요동시킨다(급사 종료점). 상기 작동에 의해 편침이 급사 개시점과 급사 종료점 사이에 있는 편침의 복부에 감겨 걸쳐진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캠 박스를 주행시켜서 진출 위치에 있었던 편침을 후퇴시키고, 상기 편침을 인입하여 편목을 형성한다. 상기 편성을 반복하고, 급사관의 횡방향의 이동량을 조정하면서 지그재그형으로 급사시킴으로써 소망의 패턴이 형성된다.
즉,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 침상, 예를 들면 전방 침상의 복수의 편침(1)에 대하여 편사(2)를 공급하기 위해 2그룹의 급사관(3, 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 1그룹의 복수의 급사관(3)으로부터는 동일 또는 다른 색의 사(5)를 각각 경사로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경사로서 편사(2)를 공급하기 위해, 편침(1)에 대하여 급사관(3, 4)가, 수평 방향 L, R에 상대적으로 1 또는 복수의 편침(1)의 개수 만큼의 피치로 요동하는 랩핑 모션과, 편침(1) 사이를 급사관(3, 4)이 상하로 가로지르는 스윙 모션이 행해진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복수의 급사관(3, 4)을 동일 기판에 부착하고, 그 기판에 외부로부터 랩핑 모션 및 스윙 모션을 각각 발생시키는 구동을 행한다. 랩핑 모션은 링크 기구에 의해, 스윙 모션용의 축에 따라서 침상의 길이 방향으로 변위시켜서 행하고 있다. 다른 선행 기술에서, 랩핑 모션을 볼 나사나 선형 모터를 이용하여 행하는 것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급사관에 스윙 모션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과 랩핑 모션을 얻기 위한 구동은 각각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행하고 있으므로, 다른 쪽 변위를 허용하면서 한 쪽의 구동을 행해야 한다. 이들 기구는 횡편기의 프레임에 고정되므로, 구동력의 전달 기구에는 푸쉬 로드 등의 자재 기구가 필요해진다. 횡편기의 프레임측에 설치하는 기구에 의해 행하고 있기 때문에, 푸쉬 로드 등을 사용하여 비틀림이 발생하여도 대응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 기술에 의한 편사 공급 장치에서는 랩핑 모션의 변위량인 스트로크를 크게 하려면 스윙 모션용의 축 혹은 볼 나사나 선형 모터의 길이를 길게 해야 하고, 랩핑 모션을 위한 기구가 횡편기의 횡폭 내에 수납되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복수의 급사관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랩핑 모션을 일으키거나 스윙 모션을 일으키거나 하므로 그 움직임의 범위인 비틀림 스트로크 등의 조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편과 유사한 편성을 행하는 경우의 랩핑 모션의 진동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며, 다종 다양한 편성을 행할 수 있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횡편기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침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경로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베이스의 안내 경로 상을 왕복 가능하며, 침상으로부터 예정 높이 까지 돌출하는 상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 부재와,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걸쳐 설치되고, 한 변에 급사 부재가 연결되는 구동 벨트와, 베이스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구동 벨트를 거쳐서 급사 부재를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모터와, 베이스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인 일평면 내에서 변위 구동하는 요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 상에는 복수의 안내 경로가 설치되고, 복수의 급사 부재가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안내되고, 각 급사 부재에 대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벨트 및 복수의 모터가 각각 설치되고,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복수 태양의 구동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급사 부재와, 복수이 구동 벨트 및 모터는 연결하는 조합을 변경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급사 부재가 베이스 상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급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조정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급사 부재에는, 선단으로부터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관과, 급사관을 끼워 넣어서 유지하는 유지 블록과, 끼워 맞춤 홈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가 포함되고, 유지 블록은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끼워 맞춤 홈에 장착하기 위한 탄성 스프링에 의한 스톱퍼를 갖고, 스톱퍼를 가압 변형시킴으로써 지지 부재로부터 유지 블록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사 부재는 침상으로부터 예정 높이 만큼 돌출하는 상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한다. 또, 급사 부재는 베이스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 벨트를 거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이에 의해 급사 부재는 편침을 거쳐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이에 의해 급사 부재는 편침에 대하여 경편과 유사한 조직을 편성하기 위한 랩핑 모션이 가능해진다. 이 랩핑 모션은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장가되는 구동 벨트에 의해 행해지므로, 랩핑 모션의 진동 스트로크는 한정된 베이스의 횡폭을 이용하여 크게 할 수 있다. 구동 벨트와 모터는 베이스에 부착되고, 이 베이스를 외부로부터 급사 부재의 선단이 편침의 선단 위치를 전후로 가로지르도록 변위 구동하면 되므로 간단한 기구로 스윙 모션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급사 부재가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안내된다. 각 급사 부재는 복수의 모터 및 구동 벨트에 의해 각각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태양으로 구동되므로, 각 급사 부재는 각각 별개로 랩핑 모션을 행할 수 있다. 각 급사 부재는 베이스 상에 부착되므로, 모든 급사 부재는 동일 스윙 모션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급사 부재와 복수의 구동 벨트 및 모터는 연결하는 조합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급사 부재는 동일 구동 벨트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연결되어 다른 무늬를 편성하거나 하도록 자유로이 조합할 수 있다. 또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다른 스트로크의 랩핑 모션도 행할 수 있고 한정된 수의 급사 부재와 안내 경로의 조합으로 다양한 무늬를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급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조정 가능하다. 급사 부재의 간극은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의 랩핑 모션의 스트로크 범위를 결정하므로, 이 간극의 범위에서 급사 부재의 길이와, 스트로크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급사관이 삽통되는 유지 블록을 급사 부재에 대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급사관의 조합의 변경이 요이해지며, 다양한 경편 조직의 편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걸쳐지는 구동 벨트에 의해 급사 부재가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구동 벨트를 거쳐서 모터가 급사 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면 편침에 대하여 랩핑 모션을 생기게 할 수가 있다. 베이스를 그 길이 방향으로 수직 평면 내에서 변위 구동하면, 스윙 모션을 행할 수 있다. 길이 방향의 왕복 이동을 구동 벨트에 의해서 행하므로, 길이 방향의 구동을 위한 기구가 대형화하지 않고 횡편기의 횡폭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경편과 유사한 편성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복수의 급사 부재가 안내되고, 각 급사 부재는 개별적으로 왕복 구동된다. 이로써 좁은 베이스 상에도 많은 급사 부재를 설치할 수 있고, 게다가 개별적으로 왕복 구동되므로, 다양한 무늬를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안내 경로 상을 안내되는 복수의 급사 부재와 복수의 구동 벨트 및 모터와의 연결 조합은 변경 가능하므로, 편성할 모양 등에 맞추어서 급사 부재의 조합을 변경하고, 다양한 모양 편직 등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급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조정 가능하므로, 다른 길이의 급사 부재를 여러 가지로 교환하여, 랩핑 모션의 스트로크와 편성하는 무늬의 폭을 변화시키고, 다양한 모양을 편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유지 블록을 지지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유지 블록에 유지되는 급사관의 교환이나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그 이외의 목적과 특색과 잇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제1도는 횡편기의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주요부의 정면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제4도 및 제5도는 제2도의 좌측부를 각각 확대하여 도시하고, 제6도 및 제7도는 제2도의 우측부를 각각 확대하여 도시하며,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는 유지 블럭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제9도는 유지 블록과 레이스 바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고, 제10도는 유지 블록의 레이스 바아에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고, 제11도는 스윙 모션을 위한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12도 및 제13도는 스윙 모션일 때의 치형 입구 부근의 구성을 도시하고, 제14a도, 제14b도 및 제14c도는 급사와 캐리지 이동의 시간적인 관계를 도시하고, 제15도, 제16도 및 제17도는 레이스 바아와 구동 벨트의 연결 조합을 변경하여 동일한 무늬를 편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주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사공급 장치(9)는 횡편기(10)를 구성하는 장치의 하나로서 설치되어 있다. 횡편기(10)에는 전방 침상(11)과 후방 침상(12)가 설치되고, 각각 캐리지(13,14)가 길이 방향으로 왕복 주행 가능하다. 또, 캐리지(13,14)는 전후 별도의 구동도 가능하다. 전방 침상(11)상을 주행하는 캐리지(13)로부터는 브릿지(15)가 상방으로 연장되고, 또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어 후방 침상(12)측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에서는 안내 가이드(16)와의 사이에서 롤러(17)에 의해 안내된다. 안내 가이드(16)은 지주(18)에 의해 지지된다. 지주(18)은 브릿지(15)의 수평부의 하방에서 사도 레일(19)을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지지된다. 사도 레일(19)에는 복수의 사도(20)가 길이 방향으로 주행하고, 각 사도(20)의 선단은 전방 침상(11)과 후방 침상(12)의 사이에 형성되는 치형 입구에 마주한다.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으로부터 치형 입구에 대하여 출목 가능하게, 복수의 편침(21)이 각각 설치된다. 각 편침(21)은 캐리지(13,14)의 캠 박스 내에 설치되는 캠의 작용에 의해서 그 주행에 따라서 치형 입구에 대하여 출몰 변위한다. 편사 공급 장치(9)는 한 쪽 침상,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침상(11)의 편침(21)에만 편사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편사 공급 장치(9)는 지주(22)에 의해 횡편기(10)의 프레임에 지지된다. 편사 공급 장치(9)에서는 복수의 급사관(23,24)이 복수의 지지 부재인 레이스 바아(25,26)에 각각 창작되어 형성되는 급사 부재로부터,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 사이의 치형 입구 부근에 편사가 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2열의 레이스 바아(25,26)와 같은 레이스 바아가 또 한 쌍 배치되어 있으며, 전체로는 4열이다. 편사 공급 장치(9) 내에는 각 급사관(23,24)을 유지하는 레이스 바아(25,26)을,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변위 구동하는 랩핑 모션을 행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편사 공급 장치(9) 전체는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의 하방의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요동 기구에 의해서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의 하방의 프레임 내에 설치되는 요동 기구에 의해서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의 축선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 요동 변위되고, 스윙 모션이 발생한다.
주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사 부재의 기초가 되는 레이스 바아(25,26)는 하나의 베이스(27)의 동일 안내 경로 상에 복수, 예를 들면 두 개 설치할 수 있다. 물록, 한 개 만 설치하게 해도 좋다. 각 레이스 바아(25,26)에는 복수의 유지 블록(28)이 착탈 가능하다. 각 레이스 바아(25,26)는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 벨트(29) 및 모터(30)에 의해 베이스(27)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주행 가능하다. 각 유지 블록(28)에는 복수의 급사관(23,24)이 장착 가능하며, 레이스 바아(25,26)의 왕복 이동에 의해 랩핑 모션이 달성된다. 랩핑 모션이 가능한 스트로크는 레이스 바아(25,26) 사이의 간극 D로 결정된다. 각 레이스 바아(25,26)의 길이를 L1, L2라 하고, 베이스(35a,35b) 사이에서 레이스 바아(25,26)가 이동 가능한 베이스(27)의 범위의 길이를 L0라 하면, D = Lo(L1 + L2)가 된다. 즉, 각 레이스 바아(25,26)의 길이 L1, L2에 의해서 간극 D가 결정되게 된다. 구동 벨트(29)는 베이스(27)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설치되는 모터(30)과, 그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풀리(31)와의 사이에 걸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왕복 방향으로 걸쳐지는 구동 벨트(29)에 의해 길이 방향의 왕복 운동을 행하므로, 이동 스트로크가 커져도 레이스 바아(25,26)의 랩핑 모션을 행하기 위한 기구가 대형화하지 않고, 따라서, 횡편기(10)의 폭방향의 길이가 커지는 일도 없다.
주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레이스 바아(25)는 베이스(27)에 설치되는 복수의, 예를 들면 두 개의 트랙(27a,27b)의 각각 표면 및 이면의 양면을 이용하여 복수, 예를 들면 네 개 설치되는 안내 경로에 각각 배치할 수가 있다. 트랙(27a,27b)과 레이스 바아(25)를 연결하는 연결판(36a)에는 롤러(32,33)가 설치된다. 제2도에서는 중량화를 피하기 위해 가장 표면측의 안내 경로 상에 설치되는 레이스 바아(25,26)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두 개의 트랙(27a,27b)의 표면 및 이면을 이용하고, 4열의 안내 경로에 합계8개의 레이스 바아를 부착할 수도 있다.
주로, 제4도에 정면도, 제5도에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7)의 일단측에는 복수의 모터(30)가 설치된다. 구동 벨트(29a,29b)는 모터(30a,30b)에 의해 각각 구동된다. 각 모터(30)는 예를 들면 서보 모터에 의해 실현되고, 회전 변위량, 즉 구동 벨트(29)의 이송량이나 방향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레이스 바아(25)를 거쳐서 급사관(23)에 스윙 모션을 일으키기 위해, 스윙축(34)에 설치된다. 스윙축(34)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방 침상(11) 및 후방 침상(12)의 하방에 설치되는 요동 기구(43)에 의해 스윙축(34)을 중심으로 한 요동 변위를 행한다. 복수의 모터(30)는 베이스(27)의 좌측에 설치되는 베이스(35a) 상에 부착된다. 레이스 바아(25)와 연결판(36a)과의 부착은 볼트(25a,25b)에 의해 행해진다. 볼트(25a,25b)는 레이스 바아(25)에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25c)을 삽통하고, 연결판(36a)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 구멍에 나사 결합한다(제2도에 도시). 다른 연결판(36b,36c)과 레이스 바아(25,26)의 부착도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진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극 D는 예를 들면 레이스 바아(25)에 있어서 좌측의 연결판(36a), 우측의연결판(36b), 중앙의 연결판(36c)으로부터 벗어나서 우측 및 중앙의 연결판(36b,36c)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다른 길이의 레이스 바아(25)를 각각의 연결판에 부착함으로써 조정한다. 레이스 바아(25)의 제거는 전부의 연결판(36)으로부터 벗겨서 행한다. 또, 누름판(37)을 벗기면 연결판(36)과 구동 벨트(29a)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연결판(36a)을 베이스(27)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누름판(37)을 하측의 구동 벨트(29b)에 결합시키면, 레이스 바아(25)를 다른 모터(30)로 이동할 수 있다.
주로, 제6도에 정면도, 제7도에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7)의 타단측의 베이스(35b)에는 복수의 풀리(31)가 설치되고, 구동 벨트(29)를 감는다. 지주(22)를 tm윙축(34)가 삽통하는 부분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주로 제8a도, 제8b도 및 제8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 각 유지 로크(28)에는 블록(38), 스톱퍼(39)가 포함된다. 블록(38) 및 스톱퍼(39)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품이며, 스톱퍼(39)에는 갈고리(40)가 설치된다. 블록(38)에는 복수의 급사관(23,24)용의 관통 구멍(41) 및 양측의 돌조부(38a,38b)가 형성된다. 이 관통 구멍(41)의 내경은 급사관(23,24)의 외경 보다도 약간 작게 하고, 급사관(23,24)를 삽통하여 소망의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한다. 제8a도는 정도면으로 도시하고, 제8b도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제8c도는 측면도를 도신한다.
주로,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유지 블록(28)은 돌조부(38a,38b)를 레이스 바아(25,26)의 양측의 끼워 맞춤 홈(42a,42b)에 꽂고, 스톱퍼(39)를 중앙의 끼워 맞춤 홈(42c)에 꽂고, 결합 요부(42d)에 들어가는 갈고리(40)에 의해 걸어 지지한다. 제거할 때는 스톱퍼(39)의 선단(39a)을 가압하고, 갈고리(40)에 의한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행한다. 또, 제2도, 제4도, 제6도 및 제9도에서는 중앙의 결합 홈(42c)을 결합 홈(42)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주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사 공급 장치(9)를 요동 변위하는 요동기구(43)는 스윙축(34)의 좌측단에서,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왕복 변위하는 로드(44)의 상부에 핀(45)을 거쳐서 연결되고, 스윙축(34)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 변위 가능한 아암(46)과, 로드(44)의 하부에서 핀(47)을 거쳐서 연결되고, 축(4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변위 가능한 아암(49)과 조합하여 실현할 수 있다. 스윙축(34)은 아암(46) 및 베이스(35a)에 연결되어 있으며, 우단측에서는 베이스(35b)에 연결되어 있다. 로드(44)의 상하 변위는 아암(49)에 부착되는 종동기 (50)에 결합하는 캠 홈(51)이 편심되어 형성되는 캠 판(52)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스윙 모션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12도는 급사관(23,24)의 선단이 전방 침상(11)로부터 돌출할 때의 편침(21)의 하측, 제13도는 같은 경우의 편침(21)의 상측에 있는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또, 편성에는 복합 침을 사용하고 있지만, 랫치 침등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편기는 침상 상의 임의의 부위에서 도중 반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침(21)을 돌출시키는 캐리지가 완전히 침상 상에서 빠져 버리지 않아도 된다.
통상은 제1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랩핑이 완료되고 나서 캐리지(13)을 이동시켜서 편성을 행한다. 제14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랩핑을 행하고 있는 레이스 바아(25)를 쫓아 가도록 캐리지(13)를 이동시키면, 레이스 바아(25)가 랩핑 모션을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고 나서 캐리지(13)가 이동하는 경우에 비해서 편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W는 캐리지(13)의 이동에 의해 W1의 범위에서는 편침이 후퇴하고 W2의 범위에서는 돌출하고 있다.
제15a도 내지 제17b도는 복수의 레이스 바아와 구동 벨트르르 연결하는 조합을 변경하여 동일 무늬의 편지를 편성하는 예를 도시한다.
제15a도, 제15c도 및 제16a도, 제1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늬(60,61,62,63)은 제15b도 및 제15d도, 또는 제16b도 및 제16d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2열의 안내 경로를 사용하여 편성할 수 있다. 제15a도의 무늬(60,62)는 제15b도의 레이스 바아(25,26)에 의해, 제15c도의 무늬(61,63)는 제15d도의 레이스 바아(65,66)에 의해 각각 편성되고, 각 열에서는 각각 하나의 구동 벨트(29a,29b)를 사용한다. 다른 구동 벨트(29b,29c)는 다른 레이스 바아를 구동하여 다른 무늬를 편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 각 열에 하나씩, 레이스 바아를 배치하여 마찬가지 편성을 행할 수도 있다. 제16a도 및 16c도에 도시한 무늬(60,61,62,63)는 레이스 바아(25,65,26,66)에 의해 각각 편성된다. 각 레이스 바아(25,26,65,66)는 구동 벨트(29a,29b,29c,29d)에 의해 각각 별개로 구동된다. 물론, 각 무늬(60,61,62,62)는 다른 패턴이라도 좋다.
제17b도에서는 동일 안내 경로에, 네 개의 레이스 바아(75,76,77,78)와 두 개의 구동 벨트(29a,29b)를 배치하고, 연결판(36,79)으로 접속한다. 누름판(37)에 의해서 레이스 바아(75,77)와, 구동 벨트(29a), 레이스 바아(76,78)와 구동 벨트(29b)가 각각 결합한다. 연결판(79)에서는 구동 벨트(29a,29b)와의 결합은 행해지지 않고, 제3도에 도시한 길이를 짧게 하고, 구동 벨트(29a,29b)를 별개로 구동함으로써, 각 레이스 바아(75,76,77,78)의 이동에 따라서, 제17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무늬(60,61,62,63)를 각각 편성할 수 있다.
제17도에서는 1열의 안내 경로에서, 2열을 사용하는 제15도 및 제16도와 같은 무늬를 편성할 수 있다. 게다가, 레이스 바아(75,76,77,73)와 구동 벨트(29a,29b)를 연결하는 조합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무늬(60,61,62,63)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레이스 바아(75,76,77,78)의 길이는 짧게 되어 있지만 더욱 짧게 하거나, 급사관(23,24)을 직접 연결판(36)에 부착하게 해도 좋다. 종래 기술에서는 침상의 전폭에 가까운 길이의 레이스 바아(일본국 특허 공고 소 51-42225호 공보에서는 『급사 로드』)의 복수 부위에 급사관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랩핑 모션의 스트로크가 제한된다. 1트랙에 한 개의 급사관만을 사용하도록 한 경우에는 랩핑 모션의 스트로크가 제한되자 않고, 예를 들면 침상의 전복을 랩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도시한 것이고, 명세서 본문에는 아무런 구속도 받지 않는다.
또,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Claims (5)

  1. 횡편기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침상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경로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베이스의 안내 경로 상을 왕복 가능하며, 침상으로부터 예정 높이 까지 돌출하는 상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 부재와,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도록 걸쳐 설치되고, 한 변에 급사 부재가 연결되는 구동 벨트와, 베이스의 길이 방향 단부에 설치되고, 구동 벨트를 거쳐서 급사 부재를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키는 모터와, 베이스를 그 길이 방향에 수직인 일평면 내에서 변위 구동하는 요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상에는 복수의 안내 경로가 설치되고, 복수의 급사 부재가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안내되고, 각 급사 부재에 대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구동 벨트 및 복수의 모터가 각각 설치되고,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복수 태양의 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안내 경로 상에서 안내되는 복수의 급사 부재와 복수의 구동 벨트 및 모터는 연결하는 조합을 변경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급사 부재가 베이스 상을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며, 급사 부재 사이의 간극이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사 부재에는, 선단으로부터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관과, 급사관을 끼워 넣어서 유지하는 유지 블록과, 끼워 맞춤 홈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가 포함되고, 유지 블록은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끼워 맞춤 홈에 장착하기 위한 탄성 스프링에 의한 스톱퍼를 갖고, 스톱퍼를 가압 변형시킴으로써지지 부재로부터 유지 블록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KR1019950010625A 1994-05-02 1995-04-29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KR0161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355094A JP3452639B2 (ja) 1994-05-02 1994-05-02 横編機への編糸供給装置
JP94-93550 1994-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842A KR950031842A (ko) 1995-12-20
KR0161162B1 true KR0161162B1 (ko) 1998-12-01

Family

ID=1408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0625A KR0161162B1 (ko) 1994-05-02 1995-04-29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44502A (ko)
EP (1) EP0682133B1 (ko)
JP (1) JP3452639B2 (ko)
KR (1) KR0161162B1 (ko)
DE (1) DE69503831T2 (ko)
ES (1) ES2121285T3 (ko)
TW (1) TW290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370B2 (ja) * 1997-08-21 2000-05-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糸供給装置
DE19936067A1 (de) * 1999-07-30 2001-02-01 Stoll & Co H Flachstrickmaschine mit mindestens einem Nadelbett
WO2001064989A1 (fr) * 2000-02-29 2001-09-07 Shima Seiki Mfg.,Ltd. Jeteur pour metier a tricoter trame
CN101310055B (zh) * 2005-11-17 2010-12-08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机的经纱切断及保持方法以及装置
EP1972706B1 (en) * 2005-11-17 2013-09-04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Wef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inserting warp and knitting method by that weft knitting machine
WO2007058274A1 (ja) * 2005-11-17 2007-05-24 Shima Seiki Manufacturing Limited 横編機の編糸切断・保持方法および装置
WO2007132559A1 (ja) 2006-05-17 2007-11-22 Shima Seiki Mfg., Ltd. インターシャ柄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WO2008081578A1 (ja) * 2006-12-27 2008-07-10 Shima Seiki Mfg., Ltd. 経糸挿入可能な横編機での編地編成方法およびデザイン装置
DE102009032627B4 (de) * 2009-07-10 2012-10-18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mit mit einem Antriebsmittel koppelbaren Fadenführern
EP2843095A1 (de) * 2013-08-29 2015-03-04 H. Stoll GmbH & Co. KG Flachstrickmaschine mit quer zum Nadelbett bewegbarem Fadenführer
EP3115491B2 (de) * 2015-07-09 2022-08-03 H. Stoll AG & Co. KG Flachstrickmaschine
CN107541854B (zh) * 2017-10-11 2019-05-10 肇庆中特能科技投资有限公司 多工位网栅收卷装置
JP7296707B2 (ja) * 2018-10-12 2023-06-2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給糸装置
WO2020123448A1 (en) * 2018-12-10 2020-06-18 Nike Innovate C.V. Knitted component with vertical inlay, a method of making same and a knitting machine suitable therefore
KR102102336B1 (ko) * 2019-03-06 2020-04-21 파이룽 머시너리 밀 코., 엘티디. 간극 크기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횡편기 맹글링 장치
EP4019680B1 (de) * 2020-12-23 2023-06-07 KARL MAYER STOLL R&D GmbH Stricksystem für eine flachstrickmaschine, flachstrickmaschine mit demselb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flachstrick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3428A (en) * 1962-04-18 1966-05-31 Torrington Co Replaceable, reversible pattern guide jack for automatic knitting machines
US3237432A (en) * 1963-10-03 1966-03-01 Jette Emile Control for stopping yarn carriers in flat bed knitting machines
US3818725A (en) * 1971-01-28 1974-06-25 Toray Indust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warp and weft inter-knitted fabrics
JPS5142225B1 (ko) * 1971-06-12 1976-11-15
US3962890A (en) * 1974-05-13 1976-06-15 Universal Maschinenfabrik Dr. Rudolf Schieber Kg Straight knitting machine comprising rotating sliding heads
JPS5312290B2 (ko) * 1974-10-09 1978-04-28
DE2951332A1 (de) * 1978-12-29 1980-07-17 Cotton Ltd W Kuliereinrichtung fuer flachstrickmaschinen
JPS59199847A (ja) * 1983-04-19 1984-11-13 シルバー精工株式会社 横編機
DE3606821A1 (de) * 1985-08-19 1987-02-26 Stoll & Co H Einrichtung zur einstellung des verstellweges der fadenfuehrer einer flachstrickmaschine
JPH0390665A (ja) * 1989-01-06 1991-04-16 Ikenaga:Kk 横編機の柄出制御装置
KR920001657B1 (ko) * 1989-08-25 1992-02-21 이관순 횡편 인타샤기의 무늬사 자동 공급장치
JP2807848B2 (ja) * 1991-07-11 1998-10-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ヤーンフィーダの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82133A1 (en) 1995-11-15
US5544502A (en) 1996-08-13
EP0682133B1 (en) 1998-08-05
DE69503831D1 (de) 1998-09-10
DE69503831T2 (de) 1999-04-08
JP3452639B2 (ja) 2003-09-29
TW290598B (ko) 1996-11-11
JPH07305254A (ja) 1995-11-21
ES2121285T3 (es) 1998-11-16
KR950031842A (ko) 1995-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162B1 (ko) 횡편기에의 편사 공급 장치
US5031423A (en) Pattern control device for flat knitting machines
JP3731636B2 (ja) 自由に選択可能なパターンリピートを有する編布の製造方法およびたて編機
US9222207B2 (en) Cross-tufting machine and process for carpet manufacturing
CN101613905A (zh) 穿经机
WO2005054561A1 (en) Gate assembly for tufting machine
US3688525A (en) Flat bed knitting machines
JPH05209345A (ja) 平形横編機
US4395888A (en) Controlled thread guides for a weft thread magazine
CN105133174A (zh) 一种经编绣花一体机
JPS6244054B2 (ko)
IT9021302A1 (it) Apparecchio di alimentazione del filato per macchina per maglieria rettilinea a intarsio
EP195904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utting/holding warp of weft knitting machine
KR910004961B1 (ko) 복렬식 선인발기
US5205229A (en) Tufting process,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process
US4321807A (en) Draw mechanism for straight bar knitting machines
JPS6153459B2 (ko)
CN205062364U (zh) 一种经编绣花一体机
KR100836412B1 (ko) 리본 니들룸
JPS6250589B2 (ko)
US5640858A (en) Textile machine with movable thread readying device
US4380913A (en) Weft thread laying apparatus with combing element
CN108914358B (zh) 一种横机用恒速导纱系统
CN213951517U (zh) 一种电脑横机的牵拉装置
CN115305627B (zh) 一种毛衫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