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672B1 -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672B1
KR0160672B1 KR1019950002594A KR19950002594A KR0160672B1 KR 0160672 B1 KR0160672 B1 KR 0160672B1 KR 1019950002594 A KR1019950002594 A KR 1019950002594A KR 19950002594 A KR19950002594 A KR 19950002594A KR 0160672 B1 KR0160672 B1 KR 0160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image
command
numerical control
mirror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124A (ko
Inventor
강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672B1/ko
Priority to JP8024466A priority patent/JPH08249039A/ja
Priority to GB9602795A priority patent/GB2297851B/en
Priority to US08/600,605 priority patent/US5739656A/en
Priority to DE19605258A priority patent/DE19605258B4/de
Publication of KR960032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6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data handling or data format, e.g. reading, buffering or conversion of dat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5Nc in input of data, input till input file format
    • G05B2219/35554Mirror, other conver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263Select cutting dir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9Nc machine tool, till multiple
    • G05B2219/49226Cut, up or down cutting, cutting direction right, l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 이미지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치의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장치의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주기억 장치와, 연산처리 및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타와 처리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와, 기계장치류의 서보 모터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로부와, 소정 데이타 혹은 신호를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동 입력 장치와, 기계장치류의 서보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제어장치와, 시스템 전반에 걸친 데이타 및 처리결과 등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두 축뿐만 아니라, 한 축에 대해서도 원래 형상과 동일한 절삭방향(하향절삭)을 제공함으로써 미러 이미지를 사용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가공정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 수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미러 이미지 기능을 설명하는 예시도.
제2도는 종래 프로그래머블 미러 이미지 기능을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선도.
제3도는 제2도의 종래 프로그래머블 미러 이미지 기능을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장치 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본 발명의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51 : CPU 22, 52 : ROM
23, 53 : RAM 24, 54 : I/O회로부
25, 55 : 수동입력장치 26 : 테이프 리더
27 : 테이프 28, 60 : 시스템 버스
29, 58 : 기계장치 56 : 위치제어장치
57 : 디스플레이장치 59 : 서보회로
본 발명은 공작기계 등에 사용되는 수치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가공물의 윤곽가공 등에 있어서 어떤 축에 미러 이미지(mirror image)가 걸리더라도 가공물에 대해 미러 이미지가 걸리기 전의 절삭 방향과 동일한 절삭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가공 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 제어 장치는 조작판넬 상의 각종 스위치들을 사용하거나 프로그램 자체를 이용하는 정밀가공을 위한 소정 프로그램의 쉬프트(shift)량 지시 코드를 반전시키기 위한 미러 이미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첨부 도면의 제1도는 그와 같은 종래 수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미러 이미지 기능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공물(미도시)은 X축 상의 임의의 지점(Xd)에 거울(XM)이 놓여졌을 때 3개의 꼭지점(P1, P2, P3)에 의해 한정된 소정 형상 A로부터 거울에 의해 투영된 형상 AX에 대응하여 가공되거나, Y축상의 임의의 지점(Yd)에 거울(YM)이 놓여졌을 때 형상 A에 근거한 거울에 의한 투영형상 AY, 혹은 X축, Y축 상에 각각 거울(XM, YM)이 놓여졌을 때의 형상 A에 근거한 투영형상 AXY에 대응하여 가공된다. 그와 같은 가공은 소정의 투영형상 AX, AY 또는 AXY 지시를 입력함없이 미러 이미지 기능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미러 이미지 기능은 오직 어떤 스위치나 프로그램에 의해 온/오프(ON/OFF)될 수 있고, 거울의 위치는 지정될 수 없다. 그와 같은 이유로해서, 미러 이미지 프로세싱에 종속되는 어떤 형상은 거울이 놓여진 위치로 이동되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에는 미국 특허 제4,734,86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머블(programmable) 미러 이미지 기능을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가 선을 보이고 있다. 이 수치 제어 장치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 미러 이미지 기능에서의 단점이 제거될 수 있고, 미러의 온/오프 작동 및 미러의 위치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2도를 참조하면서 다시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2도는 상기 프로그래머블 미러 이미지 기능을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블록선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프로그램머블 미러 이미지를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20)는 장치의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21)가 마련되고, 장치의 모든 시스템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롬(ROM:2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처리된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램(RAM:23)이 마련되고, 어떤 기계장치류(29)의 서보 모터(미도시)등에 연결된 I/O회로(24), 소정 데이타 혹은 신호를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동 입력 장치(25) 및 수치제어(NC) 프로그램 테이프(27)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기 위한 테이프 리더(26)가 설치되어 있다. 부호 28은 상기 각 장치요소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시스템 버스(bus)이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프로그래머블 미러 이미지를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상기 수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미러 이미지 기능 및 미러 좌표 위치는 (1)과 같은 명령문에 의해 지정된다.
여기서, G51.1은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이고, X , Y 는 미러 이미지가 걸리는 축을 나타낸단.
미러 이미지 기능을 취소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 G51.1은 (2)와 같이 프로그램된다.
그리고, (3)과 같은 명령문이 프로그램된다.
이때 장치의 작동은 X축상의 1000이라는 지점에 위치된 미러로 말미암아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에 도시된 형상 AX의 가공 지령이 실행된다.
또한, (4)와 같은 명령문이 프로그램된다.
이때 장치의 작동은 X축상의 1000이라는 지점과 Y축상의 500이라는 지점에 각각 위치된 거울로 말미암아 수행된다. 즉, 상기 제1도에 도시된 형상 AXY의 가공 지령이 실행된다.
한편, 프로그램된 미러 이미지 기능을 내포하고 있는 수치제어 프로그램 테이프(27)는 이때 테이프 리더(26)에 위치된다. 테이프(27)가 출발되고, 수치 제어 장치는 제3도의 시스템 흐름도에 따라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그리고, 처리된 데이타는 기기 및 장치류에 공급된다. 여기서, 시스템 흐름도에 따라 프로세싱이 진행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제3도를 참조하면서 다시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종래 프로그래머블 미러 이미지 기능을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를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CPU:21)는 테이프 리더(26)를 통하여 수치 제어 프로그램 테이프(27)로부터 프로그램을 불러온다. 즉, 수치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1블록을 읽어들인다(31). 그리고, 현재의 블럭이 프로그램의 종료지령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31'). 만일 이 단계(31')에서 프로그램이 종료이면, 즉 대답이 YES이면 프로그램 수행을 종료시키게 된다. 상기의 단계(31')에서 대답이 NO이면, 미러 이미지 지령코드 G51.1이 있는가를 판별한다(32). 만일, 대답이 NO이면(즉, 지령코드 G51.1이 없으면) CPU(21)는 흐름도의 진행 순서에 따라 40단계로 넘어간다. 그에 따라 X축에 대한 변위 지령Xi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만일, 이 단계(40)에서 대답이 NO이면, 또는 비록 대답이 YES라 할지라도 플래그(flag) FX가 로직 I로 세팅되지 않았다면(41) (여기서, 플래그 FX가 로직 I로 세팅되었다는 것은 미러 이미지 지령이 후술되는 미러 이미지 기능 지령에 의존해서 실행됨을 의미함). CPU(21)는 정상적인 수치 제어 지령을 기계장치나 기구 등에 전송한다. 그리고, 43단계에서 CPU(21)는 Y축에 대한 변위 지령 Yi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만일, 이 단계(43)에서 대답이 NO이면, 또는 비록 대답이 YES라 할지라도 플래그 FX가 로직 I로 세팅되지 않았다면(44), 정상적인 수치 제어 지령이 기계 장치나 기구 등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P2,P3에 의해 한정된 형상 A를 얻기 위해 가공물이 가공될 때, 제3도에 있어서 31,32,40,41,43,44, 및 46단계에서의 작동이 정상 변위 지령 Xi와 Yi를 형성하도록 수행된다. 그러나, 읽어들인 프로그램이 변위 지령 Xi 또는 Yi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때, 프로세싱 31,32,40 및 43단계를 통하여 실행되고, 판독된 지령은 46단계에서 출력된다.
한편, 상기 32단계에서 만일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 G51.1이 판독된다면, 즉 대답이 YES이면X와 Y의 플래그 FX 및 FY는 0(zero)으로 소거된다(33). 그런 후, CPU(21)는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 G51.1과 거울 위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34). 만일 이 단계(34)에서 대답이 NO이면, 시스템 흐름은 37단계로 넘어간다. 그러나 상기 단계(34)에서 대답이 YES이면, X플래그 FX는 로직 I로 세팅되고(35), 입력치로서 X축상에서의 거울 위치 XM이 저장된다(36). 마찬가지로, CPU(21)는 Y축상에서의 거울 위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37). 만일 이 단계(37)에서 대답이 NO이면, 시스템 흐름은 31단계로 귀환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37)에서 대답이 YES이면, Y플래그 FY는 로직 I로 세팅되고(38), 입력치로서 Y축상에서의 거울 위치 YM이 저장된다(39). 그 후, 시스템 흐름은 31단계로 귀환된다. 단계 33에서 39까지에 있어서의 작동은 미러 이미지 기능 및 대응되는 미러 위치를 세팅한다.
이 후, 제2 프로그램 블록이 읽혀지고(31), X축에 대한 변위 지령 Xi가 읽혀진다(32,40). X 플래그 FX가 로직 I로 세팅(41)될 때, 거울은 X축상에 위치된다. 그런 후, CPU(21)는 X의 거울 위치 XM과 프로그램으로부터 읽어들인 지령치 Xi에 따라 다음의 프로세싱을 수행한다(42).
따라서 (6)과 같은 새로운 지령치 Xi가 저장된다.
위와 같은 관계들은 상기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X축의 위치 P1이 Xi로 주어질 경우 Xi와 XM간의 차(Xi-XM)은 X축상의 거울좌표와 P1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이 거리가 X축의 거울 위치 XM으로부터 감산될 때, X축의 좌표 위치 P1X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지령치 Xi는 제1도에서의 X축 좌표위치 P1X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X의 좌표위치 P2,P3도 P2X,P3X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또한, Y축에 대한 변위 지령Yi가 지정되고(43), Y의 플래그 FY는 로직 I로 세팅된다. 즉, 거울이 Y축상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때, X축에 대해서와 같이 동일한 프로세싱이 식(8)을 사용하여 새로운 Y축 지령치 Yi를 끌어내기 위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새로운 값 Xi와 Yi(46단계에서 발생된)를 사용하여, 미러 프로세싱 지령이 거울(들)이 X축 및 Y축의 어느 일측에 혹은 양측 모두에 위치되도록 내려진다.
X플래그 FX가 로직 I로 세팅되고 거울이 X축의 위치 X에 위치될 때, 새로운 변위 지령 Xi(=2XM-Xi)는 프로그램으로부터 읽어들인 X의 변위 지령치 Xi에 따라 42단계에서 계산된다. 그리고, 그 계산된 값은 단계 46에서 Xi로서 출력된다. Y플래그 FY는 로직 I로 세팅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로그램으로부터 읽어들인 변위 지령치 Yi는 프로세싱 없이 출력된다. 따라서, 가공물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이 거울 위치 XM에 위치될 때, 형상 A로부터 유래된 투영화상 AX를 얻기 위해 가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오직 Y플래그 FY만이 로직 I로 세팅될 때, 거울이 거울 위치 YM에 위치될 때 형성된 형상 AY에 대한 가공 지령이 내려진다. 그리고, 플래그 FX 및 FY가 모두 로직 I로 세팅될 때, 형상 AXY의 가공 지령이 내려진다. 프로그램이 실행을 완료할 때까지 단계 31이후의 제동작들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에서 미러 이미지 기능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오직 명령문 G51.1 만이 필요하다. CPU(21)가 이 명령문을 불러올 때, 플래그 FX와 FY는 단계33에서 소거된다. X와 Y의 변위 지령치 Xi 및 Yi가 프로그램되지 않았기 때문에 플래그 FX와 FY는 로직 I로 세팅되지 않으며, 따라서 단계 42와 45에서의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다음 싸이클에서, 프로그램으로부터 읽어들인 변위 지령치는 단계 46에서 프로세싱없이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미러 이미지 출력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프로그래머블 미러 이미지를 가지는 수치 제어 장치는 두개의 축에 대해 동시에 미러 이미지가 걸리는 경우에는 미러 이미지가 걸리기 전의 절삭방향과 동일한 절삭방향을 갖는다.
그러나, 한개의 축에만 미러 이미지가 걸리게 되면 절삭방향이 바뀌게 되어 가공정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막기 위하여 종래에는 한축에 대한 미러 이미지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을 취해보기도 했지만,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지 못했으며, 그에 따른 부수적인 문제가 파생되는 등 근본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어떤 축에 미러 이미지가 걸리더라도 가공물에 대해 미러 이미지가 걸리기 전의 절삭 방향과 동일한 절삭 방향이 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동일한 가공 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은, 1) 중앙처리장치에서 소정의 수치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1블럭을 읽어들이는 단계; 2) 현재의 블럭이 프로그램의 종료지령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3) 현재의 블럭에 소정의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4) 상기의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의 존재여부에 따라 소정의 미러 이미지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5) X축에 대한 지령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6) Y축에 대한 지령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7) 다시 처음단계로 귀환하여 다음 블럭을 읽어들이는 단계; 및 8) 상기 2)∼7)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는, 장치의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장치의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주기억 장치와, 연산처리 및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타와 처리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와, 기계장치류의 서보 모터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로부와, 소정 데이타 혹은 신호를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동 입력 장치와, 기계장치류의 서보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제어장치와, 시스템 전반에 걸친 데이타 및 처리결과 등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두축뿐만 아니라, 한 축에 대해서도 원래 형상과 동일한 절삭방향(하향절삭)을 제공함으로써 미러 이미지를 사용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가공정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50)는 장치의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CPU:51)가 마련되고, 장치의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주기억 장치로서 롬(ROM:52)이 설치된다. 또한, 연산처리 및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타와 처리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로서 램(RAM:53)이 마련되고, 기계장치류(58)의 서보 모터등과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위한 I/O회로부(54)와, 소정 데이타 혹은 신호를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동 입력 장치(55)가 설치된다. 그리고, 기계장치류의 서보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제어장치(56)와, 시스템 전반에 걸친 데이타 및 처리결과 등을 나타내보이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57)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 디스플레이장치(57)로는 통상 컴퓨터 모니터가 사용되지만, 컴퓨터 시스템과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이외의 다른 디스플레이용 장치가 사용되어도 관계없다. 부호 59는 서보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서보회로이고, 60은 상기 각 장치요소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시스템 버스이다.
그러면,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의 작동과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치 제어 장치에서는 우선 미러 이미지 축과 기능의 유효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문을 지령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문(10)과 같이 지령되어 있을 때, 이후 지령된 이동지령은 X=100.에 대하여 미러 이미지가 걸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명령문(11)의 경우는 X=100., Y=100. 에 대하여, 그리고 명령문(12)의 경우는 Y=100.에 대하여 미러 이미지가 걸린다.
한편, 미러 이미지의 취소는 다음과 같은 명령문으로써 지령한다.
명령문(13)의 지령후, 이동지령은 원래의 공구경로와 일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시스템은 본격적인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에 대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CPU(51)는 수치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1블럭을 읽어 들인다(71). 그리고 현재의 블럭이 프로그램의 종료 지령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72). 만일 이 단계(72)에서 프로그램이 종료이면, 즉, 대답이 YES이면 프로그램 수행을 종료시키게 된다. 상기의 단계(72)에서 대답이 NO이면, CPU(51)는 미러 이미지 취소 지령 G50.1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73). 만일, 이 단계(73)에서 미러 이미지 취소 지령 G50.1이 없으면 CPU(51)는 현재의 블럭에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 G50.1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74). 만일 존재하면 미러 이미지 모드에 0을 설정한다(75). 여기서, 이 미러 이미지 모드는 나중에 미러 이미지중임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미러 이미지 모드에 0을 설정한 후, X가 지령(76)되어 있으면 미러 이미지 모드 1을 증가시키고, XM에 X값을 저장한다(77). 여기서, XM은 X좌표에 대한 미러 이미지축이다. 그런 후, Y가 지령(78)되어 있으면, 미러 이미지 모드1을 증가시키고 YM(Y좌표에 대한 미러 이미지 축)에 Y값을 저장한다(79).
이후는 다시 다음 블럭을 읽어들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74단계에서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 G51.1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즉 대답이 NO이면 시스템 흐름은 80단계로 넘어간다. 그리고, 이 80단계에서 미러 이미지 모드가 0이 아니고 2이면(81), 이것은 X축과 Y축이 동시에 미러 이미지가 걸린 경우이다. 이때는 목표위치 Xo, Yo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84).
여기서, Xi와 Yi는 프로그램에서 지령된 수치이다.
이후 이 좌표값 Xo, Yo를 출력하게 된다(85). 상기 80단계에서 미러 이미지 모드가 0이면 미러 이미지 모드가 아니므로 지령된 이동방향과 공구경로는 일치하게 된다(83). 그리고, 미러 이미지 모드가 1인 경우(82)는 X축 또는 Y축의 어느 한 축에 대해서만 미러 이미지가 걸린 경우이다. 따라서, 한 축에 대해서만 미러 이미지가 수행된다(86). 즉, XM이 0이 아니면, X축에 대한 미러이미지(Xo=2XM-Xi)가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YM이 0이 아니면, Y축에 대한 미러 이미지(Yo=2YM-Yi)가 수행된다.
위와 같이 해서 구해진 목표위치 Xo,Yo는 원래의 형상과 동일한 절삭방향을 갖기 위해 메모리에 보간정보(G00, G01, G02, G03)와 함께 저장된다(87). 그리고, 상기 86단계와 87단계의 동작은 미러 이미지 취소 명령문 G50.1이 지령될 때까지 계속된다.
한편, G50.1이 지령되면(73), 미러 이미지 모드가 1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88). 그 결과 1이면 한 축에 대한 미러 이미지 이므로 저장된 역순으로 저장정보를 읽어 들여 Xo, Yo를 출력한다(89,90). 이와 같은 동작은 저장정보를 다 사용할 때까지 반복된다(91). 만일, 상기 88단계에서 미러 이미지 모드가 1이 아닌 경우, 두 축에 대한 미러 이미지 이므로 미러 이미지 모드는 0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두 축에 대한 미러 이미지는 종래의 방식과 동일하게 처리되며, 한 축에 대한 미러 이미지는 원래의 형상과 동일한 절삭방향을 갖기 위해 이동지령 반대순으로 공구경로가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주의할 점은 Z축 이동지령이다. 통상 Z축 이동은 절삭전까지 급속이송으로 이동하며, 절삭시점에서 직선보간을 행하게 되므로 이동 지령의 역순으로 이동될 때 Z축의 이동형태가 달라져야 한다. 즉, Z축의 가공을 위해 내려갈 때, 급속이든 직선보간이든지 간에 직선보간으로 처리하고 올라올 때 급속이송으로 처리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는 두 축뿐만 아니라 한 축에 대해서도 원래 형상과 동일한 절삭방향(하향절삭)을 제공함으로써 미러 이미지를 사용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가공정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중앙처리장치에서 소정의 수치 제어 프로그램으로부터 1블럭을 읽어들이는 단계; 2) 현재의 블럭이 프로그램의 종료지령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3) 현재의 블럭에 소정의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4) 상기의 미러 이미지 지령 코드의 존재여부에 따라 소정의 미러 이미지 코드를 설정하는 단계; 5) X축에 대한 지령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6) Y축에 대한 지령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7) 다시 처음단계로 귀환하여 다음 블럭을 읽어들이는 단계; 8) 상기 2)∼7)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의 블럭이 프로그램의 종료지령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다음에 미러 이미지 취소 지령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이미지 취소 지령은 G5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이미지 지령코드의 명령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 X축에 대한 지령이 되어 있으면, 미러 이미지 코드 1을 증가하여 XM에 X값을 저장하는 단계를상기 단계 5) 다음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6)에서 Y축에 대한 지령이 되어 있으면, 미러 이미지 코드 1을 증가하여 YM에 Y값을 저장하는 단계를 상기 단계 6) 다음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장치의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장치의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주기억 장치와, 연산처리 및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데이타와 처리된 결과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보조기억장치와, 기계장치류의 서보 모터 등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회로부와, 소정 데이타 혹은 신호를 작업자가 직접 입력하기 위한 수동 입력 장치와, 기계장치류의 서보 모터 등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제어장치와, 시스템 전반에 걸친 데이타 및 처리결과 등을 나타내 보이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억장치가 롬(ROM)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억장치가 램(RAM)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장치.
KR1019950002594A 1995-02-13 1995-02-13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KR0160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594A KR0160672B1 (ko) 1995-02-13 1995-02-13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JP8024466A JPH08249039A (ja) 1995-02-13 1996-02-09 ミラーイメージ制御のための数値制御方法
GB9602795A GB2297851B (en) 1995-02-13 1996-02-12 Numerical control method with mirror image function
US08/600,605 US5739656A (en) 1995-02-13 1996-02-13 Numerical controlling method with mirror image function
DE19605258A DE19605258B4 (de) 1995-02-13 1996-02-13 Numerisches Steuerverfahren mit einer Spiegelbildfunk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594A KR0160672B1 (ko) 1995-02-13 1995-02-13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124A KR960032124A (ko) 1996-09-17
KR0160672B1 true KR0160672B1 (ko) 1999-03-20

Family

ID=1940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594A KR0160672B1 (ko) 1995-02-13 1995-02-13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39656A (ko)
JP (1) JPH08249039A (ko)
KR (1) KR0160672B1 (ko)
DE (1) DE19605258B4 (ko)
GB (1) GB2297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2458B (zh) * 2020-09-21 2023-03-17 四川南玻节能玻璃有限公司 一种异形玻璃镜像切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639A (en) * 1976-10-26 1977-06-28 Mccabe Logan D Spreader-feeder for flatwork ironer
US4409650A (en) * 1981-03-04 1983-10-11 Shin Meiwa Industry Co., Ltd. Automatic position controlling apparatus
JPS588310A (ja) * 1981-07-07 1983-01-18 Fanuc Ltd 座標更新方式
JPS58175003A (ja) * 1982-04-07 1983-10-14 Fanuc Ltd 数値制御指令方式
JP2701022B2 (ja) * 1984-05-22 1998-01-21 ファナック 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ミラーイメージ機能を有する数値制御装置
JPH0719173B2 (ja) * 1988-03-30 1995-03-06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ラーイメージによる加工方法およびその加工方法を使用した数値制御装置
JPH036709A (ja) * 1989-06-05 1991-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数値制御装置
EP0433460A1 (en) * 1989-06-07 1991-06-26 Fanuc Ltd. Nc data ed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39656A (en) 1998-04-14
KR960032124A (ko) 1996-09-17
JPH08249039A (ja) 1996-09-27
DE19605258A1 (de) 1996-08-14
GB2297851A (en) 1996-08-14
GB9602795D0 (en) 1996-04-10
GB2297851B (en) 1999-04-14
DE19605258B4 (de)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3369B1 (en) Numerically controlled device with working simulation function
EP2098931A2 (en) Numerical controller controlling five-axis processing machine
EP0397887B1 (en) Method of correcting machining program
EP0780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e curve interpolation
EP0182918B1 (en) Numerically controlled apparatus having programmable mirror image function
EP0529239B1 (en) Numerical control unit with position counter control and display
KR0160672B1 (ko) 미러 이미지 제어를 위한 수치 제어 방법 및 장치
EP00476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ircular interpolation
US4495561A (en) Numerical control method
US5347461A (en) Tool travel path creating method
EP0334963A1 (en) Method of controlling laser power
JP6871280B2 (ja) 数値制御装置
EP0200788A1 (en) Method of returning rotary shaft to reference point
EP0328665B1 (en) Numerical controller
JPH0969003A (ja) Cncの工具径補正方式
JP4560191B2 (ja) 数値制御装置
EP0414919A1 (en) Robot capable of forming operating path pattern
EP0530364A1 (en) Interactive numerical controller
KR0178585B1 (ko) 와이어 컷 방전 가공기의 코너 가공방법
KR0136142B1 (ko) 수치제어장치를 이용한 그래픽 시뮬레이션방법
JPH05165514A (ja) 数値制御装置の補間方式
JPH08263121A (ja) Cncの加工経路逆行方式
JP2549932B2 (ja) 数値制御装置及びその指令方法
KR0123856B1 (ko) 공작기계용 수치제어장치 및 방법
JPH0895623A (ja) Cncの工具移動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