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296B1 - 실제적으로 산이없는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제조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제적으로 산이없는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제조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296B1
KR0160296B1 KR1019900007150A KR900007150A KR0160296B1 KR 0160296 B1 KR0160296 B1 KR 0160296B1 KR 1019900007150 A KR1019900007150 A KR 1019900007150A KR 900007150 A KR900007150 A KR 900007150A KR 0160296 B1 KR0160296 B1 KR 016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dextrose
composition
weight
mixture
chewing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143A (ko
Inventor
라오 체루쿠리 수브라만
피. 라만 커쉬너
리 웡 루시
만서카니 걸
오라마 앤젤
Original Assignee
다니엘 에이. 스콜라 2세
워너 램버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 에이. 스콜라 2세, 워너 램버트 컴퍼니 filed Critical 다니엘 에이. 스콜라 2세
Publication of KR90001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0/00Preparation of starch, degraded or non-chemically modified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 C08B30/12Degraded, destructured or non-chemically modified starch, e.g. mechanically, enzymatically or by irradiation; Bleaching of starch
    • C08B30/18Dextrin, e.g. yellow canari, white dextrin, amylodextrin or maltodextrin; Methods of depolymerisation, e.g. by irradiation or mechanical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chewing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23L33/25Synthetic polymers, e.g. vinylic or acrylic polymers
    • A23L33/26Polyol polyesters, e.g. sucrose polyesters; Synthetic sugar polymers, e.g. polydextr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09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alpha-D-Glucans, e.g. polydextrose, alternan, glycogen; (alpha-1,4)(alpha-1,6)-D-Glucans; (alpha-1,3)(alpha-1,4)-D-Glucans, e.g. isolichenan or nigeran; (alpha-1,4)-D-Glucans; (alpha-1,3)-D-Glucans, e.g. pseudonigera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4Treatment for improving the free-flowing characteri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01/00 or C08J2303/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제적으로 산이 없는 분쇄된 폴리텍스트로즈 제조 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제1도는 27°및 80%의 상대습도에서 실시예 7-10의 츄잉검 조성물의 5주간에 걸친 수분 흡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미립자 직경이 약 125μ 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 트로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개선된 방법은 실제적으로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없는 폴리텍스트로즈와 응고 방지제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만든는 것으로 구성된다.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여러 가지 츄잉검 제품 및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가 사용될 수 있는 츄잉검 및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덱스트로즈는 많은 식품내 당과 관련된 부피 및 텍스춰(texture)를 제공하는 수용성이고 저칼로리이며 카리에스유발성이 아닌 벌킹 에이전트 (bulking agent)이다. 폴리덱스트로즈는 촉매로서 비휘발성이고 섭취가능한 유기 폴리카복실산 및 폴리올, 가교 결합제 및/또는 중합 활성화제를 사용하여 무수 용융 중합 기술에 의해 글루코스 및/또는 말토스를 중합시킴으로써 만들어진 불규칙하게 결합된 글루코스 중합체이다. 폴리덱스트로즈 제조방법이 Rennhard에 의해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 3,766,165호 및 3,876,794호에 기재되었다.
폴리덱스트로즈는 단맛 없이 당의 많은 기술적 성질을 갖는 저 칼로리의 당 대체물 (약 1칼로리/g 함유)이다. 이러한 단맛이 없는 벌킹 에이전트는 고농도의 감미료와 함께 사용될 때 상기 생성물에 관련한 칼로리없이 원하는 텍스춰의 통상적인 당-함유식품을 갖는 저 칼로리 제품을 제공하기에 특히 유용하다.
폴리덱스트로즈는 다음 세가지 형태로 시판된다: 폴리덱스트로즈 A, 비결정질이고 다소 산성 ( pH2.3 - 3.5 )인 가용성 분말; 폴리덱스트로즈 N, 폴리덱스트로즈 A가 수산화 나트륨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화된 ( pH5 - 6 ) 밝은 색의 70% 수성 용액; 및 폴리덱스트로즈 K, 폴리덱스트로즈 A가 중탄산칼륨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화된 ( pH5-6 ) 분말 형태.
상기 폴리덱스트로즈 제품 모두는 글루코스, 소르비톨, 시트르산, 1, 6 - 안히드로글루코스 (레보글루코산) 및 5-하이드록시메틸 퓨퓨랄 같은 다량의 반응하지 않는 단량체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폴리덱스트로즈에 존재하는 시틀산 (또는 시트르산염)의 양은 약 0.9중량%이다. 이런 불순물이 존재함으로써 폴리덱스트로즈는 변질된 쓴맛 및/또는 불쾌한 이상한 향을 내기 때문에 식품내에 벌킹 에이전트로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덱스트로즈의 양을 제한해야 한다.
폴리덱스트로즈는 최근 다음과 같은 제4형태로 시판되기 시작하였다; 개선된 폴리덱스트로즈, 산이 별킹 에이전트내에 0.3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며 실제적으로 저분자량의 유기산 ( pH3 -4 )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 A의 형태, 이러한 저분자량의 산이 제거됨으로써 폴리덱스트로즈에 관련된 좋지않은 맛이 제거되지만, 벌킹 에이전트내에 상기 산이 없게되면 개선된 폴리덱스트로즈를 처리하기가 힘들다. 예를 들어, 개선된 폴리덱스트로즈는 폴리덱스트로즈 A보다 더 많은 정전하를 포함하며 더 거칠은 물질이다. 정전하 중화제 또는 안정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저 분자량의 유기산이 폴리덱스트로즈 A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정전하가 증가된다.
개선된 폴리덱스트로즈가 거칠기 때문에, 소량(예를 들어 츄잉검 조성물내 약 10-15%)의 폴리덱스트로즈가 벌킹 에이젼트로서 식품에 부가될 수 있는데, 이것은 벌킹 에이젼트의 덱스춰가 모래와 같고 식품내 기타 성분들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더우기, 개선된 폴리덱스트로즈의 거칠은 형태는 벌킹 에이전트내 정전하 때문에 다량의 개선된 폴리덱스트로즈가 식품에 부가되도록 하는 미세 형태로 쉽게 분쇄될 수 없다.
Polydextrose Research Product Bulletin, Pfizer, Central Research, Groton, Connecticut (1981), p. 11에서 폴리덱스트로즈 A, 중탄산나트륨, 소르비톨과 강한 감미료의 혼합물을 미분화하고 그후 분쇄된 혼합물을 용융된 검 베이스 혼합물에 부가함에 의해 츄잉검 조성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기재하였다.
Kloss 및 그 의 동료에 의해 특허되고 General Foods Corporation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 4,382,963 호에서 단일 벌킹 에이전트로서 분무 건조된 분말인 폴리덱스트로즈 A를 함유하는 저칼로리의 당이 없는 츄잉검 조성물을 기재하였다.
Cherukuri 및 그의 동료에 의해 특허되고 Warner-Lambert Company 에 양도된 미 합중국 특허 제 4,765,991호에서 non-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탄성중합체 츄잉검 베이스가 높은 비율로 들어있고 폴리텍스트로즈, 폴리말토스, 변형된 폴리덱스트로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다당류가 낮은 비율로 들어있는 칼로리가 감소된 츄잉검 조성물을 기재하였다.
Torres 에 의해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 4,622,233 호 및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 043-793호 및 제193,961호는 Warner - Lambert Company 에 영도되었으며 폴리덱스트로즈를 정제하는 방법을 기재하였다.
상기 방법들은 어떤 형태의 폴리덱스트로즈를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였지만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이 단일의 벌킹 에이전트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텍스 춰가 충분히 미세하고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적으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제공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식품 조성물에 대한 당 대체물로 제공되는 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법은 식품이 좋지 않은 맛 또는 모래같은 텍스춰 없이 벌킹 에이전트로서 폴리덱스트로즈만을 함유하도록 하여 칼로리 흡수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전기 공지된 생성물들의 단점 없이 개선된 분쇄 폴리덱스트로즈 생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생성물은 개선된 맛 및 텍스춰를 가지며 칼로리가 감소된 여러 가지 무가당 및 가당 츄잉검 조성물 및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는 무가당 및 가당 츄잉검 조성물 및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 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로부터 미립자 직경이 약 125μ 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것은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b)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다.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는 여러 가지 츄잉검 생성물 및 식품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가 사용될 수 있는 츄잉검 및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27℃ 및 80%의 상대습도에서 실시에 7-10의 츄잉검 조성물의 5주간에 걸친 수분흡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로부터 미립자 직경이 약 125μ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것은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 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b)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다.
출원인은 저 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가 응고방지제와 혼합될 때 굵은 별킹 에이전트가 분쇄되어 텍스춰가 충분히 미세하게 됨으로써 폴리덱스트로즈가 좋지않은 맛 및 모래같은 텍스춰 없이 식품내에 단독의 벌킹 에이전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이 이론적인 개념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출원인은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내에 응고 방지제가 존재함으로써 정전하를 중화시키거나 안정시켜 굵은 벌킹 에이전트의 미립자 직경이 약 125μ미만으로 분쇄될 수 있는 것으로 믿는다.
본 발명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로 제조된 츄잉검 조성물은 통상적인 무가당 검 조성물에 상당하는 견고성 및 텍스춰를 가지면서 이보다 습기를 덜 빨아들이고 (낮은 흡습성을 가짐) 덜 상한다. 더우기, 본 발명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로 제조된 츄잉검 생성물의 향미는 저장동안 실제로 산이 없고 분쇄되지않은 폴리덱스트로즈 또는 폴리덱스트로즈 A로 제조된 츄잉검 생성물의 향미보다 더 안전성이 있다. 예를들어, 페퍼민트 향미제를 함유하는 츄잉검은 향미제가 산화되기 때문에 저장동안 맛이 변질되는 것으로 공지되었다. 본 발명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로 제조되고 박하향이 첨가된 츄잉검 조성물은 벌킹 에이전트이 수분 및 산 함량이 낮아 향미제가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향상된 향미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덱스트로즈 출발물질은 저분자량의 유기산 및 유기산염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덱스트로즈내 저분자량 유기산의 농도는 약 0.3중량% 미만, 바람직하게 0.2중량% 미만, 및 더 바람직하게 약 0.1중량% 미만이다. 더욱이,
실제로 산이 없는 폴리덱스크로즈는 입자가 굵은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산이없은 폴리덱스트로즈의 미립자 크기는 커서 약 35%의 미립자이 직경이 약 125μ미만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응고방지제에 안산칼슘, 규산칼슘, 스테아린산칼슘, 셀룰로즈, 카올린,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활석),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W.R. Grace에 의해 SYLOID 상표명으로 시판). 페로시안화나트륨,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소듐 칼슘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수크로스 에스테르, 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응고방지제는 SYLOID 및 셀룰로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응고장지제는 SYLOID 이다.
폴리덱스트로즈에 부가될 응고방지제의 양은 폴리덱스트로즈가 분쇄되어 약 80%의 미립자의 직경이 약 125μ 미만인 미립자가 형성되도록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중의 정전하 함량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양이다. 일반적으로, 폴리덱스트로즈 벌킹 에이전트에 부가되는 응고방지제의 양은 약 0.1 - 약 5중량%, 바람직하게 약 0.5 -약 3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약 1 - 약 2중량 %이다.
희석제는 임의로 본 발명의 응고방지제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희석제에는 말토덱스트린, 소르비톨, 말리톨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응고방지제에 대해 전기한 바와같이 폴리덱스트로즈에 부가될 희석제의 양은 폴리덱스트로즈가 분쇄되어 약80%의 미립자의 직경이 약 125μ 미만인 미립자가 형성되도록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중의 정전하 함량을 감소 시키는데 필요한 양이다.
본 발명에 따라, 미립자의 직경이 약 125μ 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생성물은 산이없는 폴리덱스트로즈를 응고방지제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혼합물을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만듦에 의해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로부터 제조 될 수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표준 기술 및 장치를 이용하여 실제로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부서지게 하거나 분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장치는 당과 제조 업게에 공지된 분쇄 장치로 구성되며, 따라서 특별한 장치 및 분쇄 조건은 당 기술자에 의해 쉽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a) 실제로 저 분자량의 유기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 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b)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립자의 직경이 약 125μ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번 제조된 실제로 산이 없는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은 또 다른 사용을 위해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제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당과 성분같은 통상적인 부가제로 제제화되어 식료품, 음료, 젤리, 엑스(extract), 딱딱한 당과, 부드러운 당과, 경구 투여되는 제약학적 조성물 및 츄잉검 같은 여러 가지의 섭취 가능한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에서,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미립자 직경 약 125μ 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폴리덱스트로즈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b)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은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까지 이른다. 이러한 방법에서, 미립자의 지경이 약 125μ 미만이고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로 이루어진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록 (b) (a)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만들며, (c) (b)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혼합함에 의해 제조된다. 기타 성분들은 당업계의 통상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바와같이 원하는 조성물의 성질에 의해 지시된 조성물에 함침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식품 업계 및 제약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중요한 일면은 (A) 검 베이스, (B) 저 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고 미립자 직경이 약 125μ 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 (C) 연화제, (D) 감미제, 및 (E) 향미제로 구성되는 개선된 츄잉검 조성물에 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츄잉검 및 버블 검(bubble gum) 제제를 포함하여 개선된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은 스틱검, 편평한검, 덩어리검, 둥그런검, 로우프검, 정제형검 및 내부가 충진된 검같은 여러 가지 츄잉검 생성물 및 당과로 피복된 검 생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다른 일면은 (A) 검 베이스, (B)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고 미립자의 직경이 약 125μ 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 (C) 연화제, (D) 감미제, 및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은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실제로 없는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들고 (b) 혼합물을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 만드는 단계로 구성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은 검 베이스의 함량이 높은 츄잉검 조성물내에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 약 35- 약 85중량 %로 존재하는 검 베이스, 및 약 15-약 65중량%로 존재하는 산이 없으며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 약 40 - 약 75 중량%로 존재하는 검 베이스 및 (2) 약 25 - 약 60중량 %로 존재하는 산이 없으며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로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 약 50 - 60중량%로 존재하는 검 베이스, 및 (2) 약 35-약 50중량%로 존재하는 산이 없으며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은 검 베이스의 함량이 통성적인 (낮음) 츄잉검 조성물 내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 약 15- 약 35중량%로 존재하는 검 베이스, 및 (2) 약 65-약 85중량 %로 존재하는 산이 없으며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로 구성된다. 더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 약 15 - 약 30중량 %로 존재하는 검 베이스, 및 (2) 약 70-약 86중량%로 존재하는 산이 없으며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로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1) 약 20-30중량 %로 존재하는 검 베이스, 및 (2) 약 70 -약 80중량%로 존재하는 산이 없으며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로 구성된다.
상기 검 베이스의 함량이 높은 츄잉검 조성물에서, 연화제는 총 츄잉검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 약 10중량 %까지, 더 바람직하게 약 2-6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 약 3-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의 통상적인 검 베이스 츄잉검 조성물에서, 연화제는 총 츄잉검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 약 18중량%까지, 더 바람직하게 약 5- 약 15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약 7-약 12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검 베이스 함량이 높은 검 베이스 츄잉검 조성물 및 통상적인 검 베이스 츄잉검 조성물에서, 감미제는 총 츄잉검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 약 0.001-약 3중량%, 더 바람직하게 약 0.01-약 1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 약 0.02-약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상기 검 베이스 함량이 높은 검 베이스 츄잉검 조성물 및 통상적인 검 베이스 츄잉검 조성물에서, 감미제는 총 츄잉검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 약 0.001-약 3중량%, 더 바람직하게 약 0.1-약 1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 약 0.02-약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유사하게, 전기한 츄잉검 조성물내 향미제는 총 츄잉검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 약 0.02-약 5중량%, 더 바람직하게 약 0.1-약 2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 약 0.8-약 1.8중량%의 양으로 츄잉검 조성물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검 베이스는 원하는 베이스의 형태, 원하는 검의 농도 및 최종 츄잉검 생성물을 만들기 위해 조성물내에 사용된 기타 성분 같은 여려가지 요소에 따라 크게 변할 것이다. 검 베이스는 당 업계에 공지된 어떤 수불용성 검 베이스일 수 있고 이것으로는 츄잉검 및 버블검에 사용된 검 베이스가 포함된다. 검 베이스내 적당한 중합체의 예로는 천연 및 합성 탄성중합체 및 러버(rubber)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검 베이스로서 적당한 중합체에는 치클, 천연고무, 크라운 검,니스페로, 로시디나, 젤루통, 페릴로, 니거구타, 투누, 발라타, 구타-퍼카, 레키-켑시, 소바, 구타케이, 및 이것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및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합성탄성합체가 특히 유용하다.
적당한 검 베이스는 또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것의 부분적인 가수분해물,폴리비닐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비독성 비닐 종합체를 포함한다. 사용될 때 비닐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2000-94000일 수 있다.
츄잉검 베이스 함량이 높은 츄잉검 조성물에서, 츄잉검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a) 약 0.5-약 20%의 탄성중합체, (b) 분자량이 약 35,000-약 55,000인 약 10-약 25%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c) 약 4.5-약 10%의 아세틸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 (d)융점이 약 60℃미만인 약 6-약 10%의 왁스, 및 (e) 탄성중합체, 유화제, 가소제, 충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나머지 양의 물질로 구성된다. 츄잉검 베이스를 많은 양 사용한 츄잉검 조성물이 1986년 12월 10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일련번호 제939,918호에 완전히 기재되었는데 이것은 본원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사용된 검 베이스의 양은 사용된 베이스의 형태, 원하는 검의 농도 및 최종 츄잉검 생성물을 만들기 위하여 조성물내에 사용된 기타 성분같은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크게 달라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 베이스는 최종 츄잉검 조성물의 약 15중량%-약 7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검 베이스는 탄성 중합체의 베이스 성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탄성중합체 용매를 함유할 것이다. 이러한 탄성 중합체 용매는 알파-피넨 또는 베타-피넨의 중합체 같은 테프피넨 수지, 로진 또는 수소첨가된 로진, 이량체화된 로진 또는 중합화도니 로진같은 변형된 로진 및 검의 메틸, 글리세롤 또는 펜타에 리스리톨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탄성중합체의 용매의 예로는 부분적으로 수소첨가된 나무 또는 검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 나무 또는 검 로진의 펜타에리스리톨 로진, 나무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부분적으로 이량체화된 나무 또는 검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중합된 나무 또는 검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롤 오일(tall oil)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나무 또는 검 로진 및 부분적으로 수소 첨가된 나무 또는 검 로진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나무 또는 로진의 부분적으로 수소 첨가된 메틸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된다. 탄성중합체 용매는 검 베이스의 약 5중량%-약 75중량% 및 바람직하게 검 베이스의 약 45중량%-약 7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라놀린, 팔미틴산, 욜레인산,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 나트륨, 스테아린산 칼륨,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아세틸화된 모노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가소제 또는 연화제가 검 베이스내에 포함될 수 있다. 왁스, 예를들면 천연 및 합성 왁스, 수소첨가된 식물성 기름, 폴리우레탄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왁스같은 페트롤륨 왁스,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탈로우(tallow),프로필렌 글리콜, 이들의 혼합물 등이 검 베이스내에 함침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검 베이스에 함침되어 여러 가지 원하는 정도의 텍스춰 및 농도를 제공한다. 이 성분들은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검 베이스의 기본 구조를 통과하여 검 베이스가 휘기쉽고 점성을 덜 갖도록 한다. 이러한 부가의 물질들은 츄잉검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일반적으로 약 18중량%까지, 바람직하게 약 5-약 18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 약10-약 14중량%의 양으로 츄잉검 베이스 함량이 높은 조성물내에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연화제는 United States Pharmacopeia(USP)등급으로 시판되는 것과 같은 무수 글리세린이다. 글리세린은 따뜻한 단맛을 내는 시럽성 액체이며 사탕수수 설탕 감도의 약 60%의 감도를 낸다. 글리세린은 흡수성이 있기 때문에,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동안 무수 글리세린을 무수 상태하에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검 베이스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활석, 인산삼칼슘, 인산이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효과적인 양의 무수물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기물 보조제는 충진제(filler) 및 텍스처럴 에이전트(textural agent)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양의 충진제 또는 보조제가 검 베이스내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시 바람직한 충진제의 양은 츄잉검 베이스의 약 0중량%-약 60중량%보다 많은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착색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같은 효과적인 양의 여러 가지 통상적인 성분들이 검 베이스내에 함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식품, 약품, 및 화장품 용도에 적당한 F.D..C. 염료로 공지된 염료 및 이산화티타늄이 사용될 수 있다.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BHT),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BHA), 프로필 몰식자산염, 및 이들의 혼합물같은 산화 방지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츄잉검 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기타 통상적인 츄잉검 부가제가 츄잉검 베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검 조성물은 감미제(감미료), 가소제, 연화제, 유제, 왁스, 충진제, 무기물 보조제, 향미제(향료, 향미), 착색제, 산화방지제, 산성화제, 농후제, 벌킹 에이전트(담체,확장제) 및 이들의 혼합물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통상적인 부가제를 효과적인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어떤 부가제는 하나 이상의 용도를 제공한다. 예를들어, 무가당 검 조성물에서, 감미료, 예를 들면 소르비톨, 기타 당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또한 벌킹 에이전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검 베이스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상기 가소제, 연화제, 무기물 보조제, 착색제, 왁스 및 산화방지제가 또한 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기타 통상적인 부가제의 예로는 레시틴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라레이트 같은 유제, 단독으로 또는 기타연화제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메틸 셀룰로즈, 알기네이트, 카라게난, 크산탄 검, 젤라틴, 카로브, 트라가칸드, 로커스트 빈(locust bean) 및 카복시 메틸 셀룰로즈 같은 농후제, 말레인산, 아디핀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퓨마트산, 및 이들의 혼합물같은 산성화제, 및 무기물 보조제의 범위하에서 전기된 바와 같은 충진제가 포함된다. 충진제는 사용시 검 조성물의 약 0중량%-약 60중량%보다 많은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킹 에이전트는 저 분자량의 유기산이 없고 미립자직경이 약125μ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이다. 일반적으로, 벌킹 에이전트는 최종 츄잉검 조성물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15-약 85중량%의 양으로 츄잉검 조성물내에 존재할 것이다.
사용된 감미제(감미료)는 수용성 감미제, 수용성 인공 감미료,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감미료로부터 유도된 수용성 감미제, 디펩타이드에 기초한 감미료 및 단백질에 기초한 감미료 및 이것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물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 것들의 포함되지만 특별한 감미료에 제한되지 않는다:
(a) 본원의 참고문헌으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619,834호에 기재된 것들과 같은 L-아미노디카복실산 아미노 알켄산에스테르 아미드,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같은 당 α알콜 및 디하이드롬칼콘, 모넬린, 스테비오사이드, 글리시리진, 디하이드로플라베놀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수용성 감미제.
(b) 수용성 사카린 염, 즉 나트륨이나 칼슘 사카린 염, 시클라메이트 염,3.4-디하이드로-6메틸-1,2,3-옥시티아진-4-온-2,2-디옥사이드의 나트륨, 암모늄 또는 칼슘 염, 3,4-디하이드로-6-메틸-1,2,3-옥사티아진-4-온-2,2-디옥사이드의 칼륨 염(아세설팜-K), 사카린의 산의 없는 형태등과 같은 수용성 인공 감미료;
(c) L-아스파라긴산으로 유도된 감미료, 예를들어 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아스파탐) 및 미합중국 특허 제3,492,131호에 기재된 물질, L-α-아스파틸-N-(2,2,4,4-테트라메틸-3-디에타닐)-D-알라닌아미드 하이드레이트(알리탐), L-아스파틸-L-2,5-디하이드로페닐글리신 및 L-아스파틸-L-페닐글리세린의 메틸 에스테르, L-아스파틸-L-2,5-디하이드로-L-페닢알라닌; L-아스파틸-L-(1-사이클로헥센)알라닌 등과 같은 디펩타이드에 기초한 감미료;
(d) 예를들어 수크랄로스의 제품명으로 공지된 통상의 당(수크로스)의 염소화된 유도체, 예컨데 클로로데옥시수크로스 또는 클로로데옥시갈락토수크로스의 유도체 같은 클로로데옥시당 유도체 같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수용성 감미료로 부터 유도된 수용성 감미료; 여기서 클로로데옥시수크로스 및 클로로데옥시갈락토수크로스 유도체의 예에 다음 것들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1-클로로-1'-데옥시수크로스; 4-클로로-4-데옥시-알파-D-갈락토피라노실-알파-D-프럭토푸라노사이드, 또는 4-클로로-4-데옥시갈락토수크로스; 4-클로로-4-덱옥시-알파-D-갈락토피라노실-1-클로로-1-데옥시-베타-D-프럭토-프라노사이드, 또는 4,1-디클로로-4,1'-디데옥시갈락토수크로스; 1',6'-디클로로-1',6'-디데옥시수크로스; 4-클로로-4-데옥시-알파-D-갈락토피라노실-1,6-디클로로-1,6-디데옥시-베타-D-프럭토푸라노사이트, 또는 4,1',6'-트리클로로-4,1',6'-트리데옥시갈락토수크로스; 4,6-디클로로-4,6-디데옥시-알파-D-갈락토피라노실-6-클로로-6-데옥시-베타-D-프럭토푸라노사이드, 또는 4,6,6'-트리클로로-4,6,6'-트리데옥시갈락토수크로스, 6,1',6'-트리클로로-6,1',6'-트리데옥시수크로스; 4,6-디클로로-4,6-디데옥시-알파-D-갈락토피라노실-1,6-디클로로-1,6-디데옥시-베타-D-프럭토푸라노사이드, 또는 4,6,1',6'-테트라클로로-4,6,1',6'-테트라데옥시갈락토-수크로스; 및 4,6,1',6'-테트라클로로-4,6,1',6'-테트라데옥시-수크로스; 및
(e) 타우마오코우스 다니엘리(Thaumatin I 및 II)같은 단백질에 기초한 감미료.
본 발명의 강한 감미제는 당 업계에 공지된 여러 다른 물리적 형태로 사용되어 초기에 강한 단맛을 내면서 및/또는 이 단맛을 오래 지속시킨다. 상기 물리적 형태에 분무 건조된 형태, 분말 형태, 구슬 형태같은 자유로운 형태, 캡슐화된 형태, 및 이들의 혼합 형태같은 형태가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정도의 감미 정도를 제공하기 위해 효과적인 양의 감미료를 사용하며 이러한 양은 선택된 감미료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감미료의 양은 보통 사용된 감미료에 따라 검 조성물의 약 0.001중량%-약 3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감미료의 각 형태에 따른 정확한 양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니다.
사용될 수 있는 향미제에는 천연 및 인공 향미제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향미제가 포함된다. 이들 향미제는 합성 향미유 및 향미용 방향족 및/또는 오일, 올레오수지 및 식물, 잎, 꽃, 과일등 및 이것의 결합체로 부터 유도된 추출물로 부터 선택될 수 있다. 향미유에는 스피아민트 오일, 게피유, 등록유(메틸 살리실레이드), 페퍼민트 오일, 정자유, 베이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티미안유, 참죽나무잎유, 육두구유, 올스파이스, 세이지유, 고편도유, 및 카시아유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바닐라 및 레몬,오렌지, 라임, 그레이프프루트를 포함하는 감귤오일같은 인공, 천연 및 합성 과일향 및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딸기,나무딸기, 버찌, 플럼, 파인애플, 살구 등을 포함하는 과일 엣센스(essences)가 유용한 향미제이다. 이들 향미제는 액체 또는 고체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향미제에는 페퍼민트 같은 민트, 멘톨, 인공 바닐라, 사나몬 유도체 및 여러 가지 과일향이 포함되는데,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된다.
기타 유용한 항미제에는 시나밀 아세테이트, 시남알데히드,시트랄 디에틸아세탈, 디하이드로카빌 아세테이드, 유제닐 포르메이트 같은 알데히드 및 에스테트가 포함되고 P-메틸아니솔등이 사용될 수 있다.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에 의한 Chemicals Used in Food Processing, Publication 1274, pp 63-528에 기재된 바와같은 어떤 향미제 또는 식품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알데히드 향미제의 또 다른 예에 아세트알데히드(사과), 벤즈 알데히드(버찌,아몬드), 아니스 알데히드(감초, 아니스), 시남알데히드(시나몬), 시트랄, 예를들면 알파-시트랄(레몬, 라임), 네랄, 예를 들면 베타-시트랄(레몬, 라임), 데카날(오렌지, 레몬), 에틸 바닐린 (바닐라,크림), 헬리오트로프, 예를들면 피페로날(바닐라, 크림), 바닐란(바닐라,크림), 알파-아밀 시남알데히드(향긋한 과일향), 부티르알데히드(버터, 치즈),발레르알데히드(버터,치즈), 시트로넬랄(변형체, 여러형태), 데카날(감귤), C8알데히드(감귤), C9알데히드(감귤), C12알데히드(감귤), 2-에틸 부티르알데히드(딸기류), 헥사날, 예를들면 트란스-2(딸기류), 토릴 알데히드(버찌, 아몬드), 베라트르알데히드 (바닐라), 2,6-디메틸-5-헵테날, 예를들면 멜로날(메론), 2,6-디메틸옥타날(녹색 과일), 및 2-도데케날(감귤,중국귤), 버찌, 포도, 딸기 쇼오트 케이크, 및 이들의 혼합물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향미제는 액체 형태 및/또는 건조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건조된 형태로 사용될 때 분무 건조같은 건조 방법에 적당한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르게, 향미제는 셀룰로즈, 전분, 당, 말토덱스트린, 아라비아, 검 등과 같은 수용성 물질에 흡수될수 있거나 또는 캡슐화 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 형태를 제조하는 실제적인 방법이 공지되었으며 본 발명의 일부분을 차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향미제는 당 업계에 공지된 여러 가지 별개의 물리적 형태로 사용되어 초기에 맛을 내고 및/또는 맛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형태에는 분무 건조된 형태, 분말형태, 구슬형태, 캡슐화된 형태 및 이들의 혼합형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향미제의 양은 최종 섭취 가능한 조성물의 형태, 각 향, 사용된 검 베이스, 원하는 향미 강도같은 인자가 속하는 기호성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향미제의 양은 최종 생성물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다양할 수 있고 이러한 여러 가지 양은 불필요한 실험을 할 필요 없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검 조성물을 사용하는데, 향미제는 일반적으로 검조성물의 약 0.02중량%-약 5중량%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향미제는 약 0.1중량%-약 2중량%양으로 존재하고 더 바람직하게 향미제는 검 조성물의 약 0.8중량%-약 1.8중량%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착색제는 바람직한 색깔을 나타내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사용된다. 이들 착색제에는 검 조성물의 약 6중량% 양이 함침될 수 있는 피그먼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피그먼트인 이산화티타늄은 조성물의 약 2중량%, 바람직하게 약1중량%미만의 양으로 함침될 수 있다. 착색제에는 또한 천연 식품 색, 식품, 약품 및 화장품 용도에 적당한 염료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착색제는 F.D. C.염료 및 레이크로서 공지되어있다. 전술한 사용에 적당한 물질은 바람직하게 수용성이다. 이러한 예에 F.D. C. Blue 제2번으로서 공지된 인디고이드 염료, 즉 5.5-인디고틴디설폰산의 디소듐 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F.D. C. Green 제 1번으로서 공지된 염료는 트리페닐메탄 염료로 구성되며 4-4-(N-에틸-p-설포늄벤질아미노)디페닐메틸렌-1-(N-에틸-N-p-설폰늄벤질)-델타-2,5-시클로헥사디엔이민의 모노소듐 염이다. 모든 F.D. C.착색제의 상세한 설명 및 이들의 당해 화학구조가 본원의 참고문헌인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3rd Edition, in Volume 5, pp 857-884에 기재되어 있다.
검 조성물에 사용가능한 적당한 오일 및 지방은 코코넛 오일, 팜커넬 오일, 쇠기름, 라아드 등과 같은 부분적으로 수소첨가된 야채 지방 또는 동물성 지방을 포함한다. 이들 성분은 사용할 때 검 조성물의 약7.0중량%, 및 바람직하게 약 3.5중량%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이른다. 개선된 츄잉검 조성물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표준 기술 및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장치는 츄잉검 제조 업계에 이미 공지된 장치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특별한 장치는 당 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선택될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츄잉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벌킹 에이전트 조성물과 최종 원하는 츄잉검 조성물의 기타 성분들을 혼합함에 의해 만들어진다. 기타 성분들은 당업계의 통상 숙련자에게 공지된 바와같이 원하는 조성물의 성질에 의해 지시된 조성물에 함침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섭취가능한 조성물은 식품업계 및 제약업계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쉽게 만들어진다.
예를들어, 베이스의 물리적 형태 및 화학적 형태에 역효과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베이스를 연화시키기에 충분히 높은 온도까지 검 베이스를 가열한다. 이용된 최적 온도는 사용된 검 베이스 조성물에 따라 변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온도는 불필요한 실험을 할 필요없이 당 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검 베이스를 통상적으로 약 60℃-약 120℃ 온도에서 베이스를 용융시키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용융시킨다. 예를들어, 검 베이스를 가소제, 연화제, 본 발명의 벌킹 에이전트, 감미료, 및/또는 착색제 및 향미제 같은 검 베이스의 남아있는 성분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가소화시키고 베이스의 경도, 점탄성 및 성형력을 완화시키기 전에 검 베이스를 상기 조건하에서 약 30분동안 가열할 수 있다. 검 조성물의 균일한 혼합물이 얻어질때까지 혼합을 계속하였다. 그후 검 조성물의 혼합물을 원하는 츄잉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다른 구체예로, 본 발명은 (1) (A)검 베이스, (B)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없고 미립자 직경이 약125μ 미만인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로 이루어진 벌킹 에이전트,(C)연화제, (D)감미제 및 (E)향미제 성분을 제공하고 (2) 검 베이스를 약 60-약 120℃의 온도까지 가열하며,(3) 연화제, 감미제, 향미제 및 벌킹 에이전트를 단계 (2)의 혼합물과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만들고 (4) 균일한 혼합물을 냉각시켜, (5) 혼합물을 츄잉검 생성물로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는 무가당 츄잉 검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은 중요한 다른 일면은 본 발명은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로 이루어지 개선된 딱딱한 당과 조성물 및 부드러운 당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과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매년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당과 제품은 딱딱한당과 또는 부드러운당과로 분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통상적인 딱딱한 당과 및 부드러운 당과에 혼합시킴에 의해 벌킹 에이전트로서 당과 조성물에 함침될수 있다.
당과 물질에 로젠지, 정제, 토피, 누가, 현탁액, 씹는 캔디, 검 등과 같은 예시의 물질들이 포함될 수 있다. 벌킹 에이전트는 조성물의 총양이 100%로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로젠지는 입속에서 빨므로서 효력이 있는 향 및 약물 첨가된 복용 형태이다.로젠지는 판형, 구형, 8각형, 양쪽이 볼록한 형태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일수 있다. 로젠지 베이스는 가열하여 딱딱해진 캔지 로젠지 및 압축된 정제 로젠지의 두 형태이다.
다령하여 딱딱해진 캔디 로젠지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처리되고 제제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하여 딱딱해진 캔디 로젠지는 비결정 상태 또는 유리질 상태로 유지되는 벌킹 에이전트로 구성된 베이스를 갖는다. 이러한 비결정 형태 또는 우리질 형태는 수분이 일반적으로 약 0.5-약 1.5%인 고체시럽으로 여겨진다. 더욱이 향미제, 감미제, 산성화제, 착색제등이 또한 부가될 수 있다.
가열된 캔디 로젠지는 또란 포릴덱스트로트로 구성된 벌킹에이전트로 부터 제조될 수 있다. 사탕 로젠지는 고체 시럽성분의 중량에 기초하여 약 95%까지의 벌킹 에이전트를 함유할 수 있다.
가열된 캔디 로젠지는 파이어 쿠커(fire cooker), 배큼 쿠커(vacuum cooker), 및 고속 대기 쿠커로 언급되는 스트랩드-스피스 쿠커(scraped-surface cooker)를 포함하는 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파이어 쿠커는 가열된 캔디 로젠지 베이스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벌킹 에이전트가 용해될 때까지 케톨내 시약을 가열하여 바람직한 양의 탄수화물 벌킹 에이전트를 물내에 용해시킨다. 그후 부가적인 벌킹 에이전트를 부가할 수 있고 최종 온도가 145-156°가 될 때까지 쿠킹을 계속한다. 배치를 냉각하고 가소성을 갖는 덩어리로 만들어 향미제, 착색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함침시켰다.
고속 대기 쿠커는 열 고환 표면에서 캔디막이 퍼지는 열교환 표면을 사용하는데, 캔디를 165-170℃까지 수분간 가열한다. 그후 캔디를 100-120℃ 까지 빠르게 냉각시키고 향미제, 착색제등과 같은 첨가제를 함침시킬 수 있는 가소성의 덩어리로 만들었다.
배큼 쿠커에서, 탄수화물 충전제를 125-132℃까지 비등시키고 진공을 걸어 더 이상 가열하지 않고 부가의 물을 비등시켜 제거하였다. 쿠킹이 완결되었을 때 덩어리는 반고체 상태이고 플라스틱 같은 경도를 가졌다. 이때에 향미제,착색제 및 기타 첨가제를 일반적인 기계 혼합조작에 의해 덩어리내에 혼합시켰다.
가열된 캔디 로젠지를 만드는 동안 향미제, 착색제 및 기타 첨가제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최적 혼합은 물질이 균질하게 분배되는데 필요한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4-10분의 혼합 시간의 사용가능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가열된 캔디 로젠지가 알맞게 반죽되면, 이것은 사용가능한 부분으로 잘라져 원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모양을 만드는 여러 가지 기술이 원하는 최종 생성물의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딱딱한 과자의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가 본원의 참고문헌인 H.A. Lieberman, 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Volume 1 (1980),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pp 339-469에 기재되어있다.
비교하여 압착된 납작한 당과는 특별한 물질을 함유하여 가압하에서 상기 구조물로 만들어진다. 이들 각자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약 95중량%까지의 벌킹 에이전트 및 결합제, 윤활유, 향미제, 착색제 등과 같은 납작한 당과에 쓰이는 대표적인 부형제를 포함한다.
딱딱한 당과 물질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로젠지는 누가내에 함유된 것과 같은 부드러운 당과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누가와 같은 부드러운 당과를 제조하는 방법에는 두 개의 주요성분, 즉 (1) 옥수수 시럽, 또는 전분 가수분해물 당과 같은 고비등점의 시럽 및 (2) 달걀 알부민, 젤라틴, 콩에서 유도된 화합물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 우유 단백질 같은 무가당 우유에서 유도된 단백질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일반적으로 제조된 비교적 가벼운 질감의 프레이프(frappe)을 결합시키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이 포함된다. 프레이프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가벼우며 예를 들어 밀도는 약 0.5-약 0.7g/cc일 수 있다.
부드러운 당과의 보브 시럽(bob syrup) 또는 고비등점의 시럽은 비교적 점도가 높으며 프레이프 성분보다 밀도가 크고 때때로 다량의 탄수화물 벌킹 에이전트를 대부분 함유한다. 통상적으로 최종 누가 조성물은 보브 시럽을 교반하에 프레이프에 부가하여 누가의 기본 조성물을 만들므로써 제조된다. 향미제, 부가적인 탄수화물 충전제, 착색제, 방부제, 약재, 이들이 혼합물 등과 같은 성분을 교반하에 부가할 수 있다. 누가 당과의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의 본원의 참고 문헌인 B.W. Minifie, Chocolate, Cocoa and Confectionery; Science and Technology, 2nd edition, AVI Publishing Co., Inc.,Westport, Conn, (1980), pp 424-425에 기재되어 있다.
부드러운 당과의 제조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프레이프 성분을 처음으로 만들며 최소한 약 65℃, 바람직하게 최소한 약 100℃ 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시럽 성분을 천천히 부가한다. 균일한 혼합물로 될 때까지 성분의 혼합물을 계속 혼합한후 혼합물을 80℃미만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이때에 향미제를 부가할 수 있다. 혼합물을 더 혼합한 후 빼내어 적당한 형태의 당과로 만들었다.
본 발명의 당과 조성물은 또한 씹을 수 있는 형태일수 있다. 씹을 수 있는 제제로 좋은 맛과 입안의 느낌 뿐만 아니라 만족할만한 안정성 및 이루기 위하여 몇 가지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사용한 향미제, 정제의 압축정도 및 조성물의 감각수용성이 포함된다.
씹을 수 있는 캔디는 부드러운 당과를 만드는데 이용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인 방법에서, 가열된 벌킹 에이전트 시럽 혼합물을 만들어 프랩 혼합물에 부가한다. 벌킹 에어전트 시럽 혼합물을 약 120℃이상의 온도까지 가열하여 물을 제거하고 용융된 덩어리로 만들었다. 프랩을 일반적으로 젤라틴, 달걀 알부민, 카세인 같은 우유 단백질, 및 콩 단백질같은 식물성 단백질 등으로 부터 만들고 젤라틴 용액에 부가하며 주변 온도에서 빠르게 혼합하여 발포 스폰지같은 덩어리로 만들었다. 그후 프랩을 용융된 캔디 덩어리에 부가하고 약 65℃-약 120℃의 온도에서 균일해질때까지 혼합하였다.
온도가 약 65℃-95℃까지 낮추어졌을 때 향미제 및 착색제 같은 부가적인 성분들을 균일한 혼합물에 부가할 수 있다. 제제를 더 냉각시키고 원하는 크기의 조각으로 만들었다.
당과의 로젠지 및 씹을 수 있는 정제 형태가 본원의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 H.A. Lieberman and L. Lachman, Pharmaceutical, Dosage Forms; Tablets Volume 1,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p 289-466에서 연구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적인 양의 폴리덱스트로즈 벌킹 에이전트 조성물을 딱딱한 당과 및 부드러운 당과에 혼합할 수 있다. 이들 양은 과도한 실험을 할 필요없이 본 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은 딱딱한 당과 및 부드러운 당과내에 약 5-약 90중량%, 더 바람직하게 약 25-약 8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 약 40-약 7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것이다. 임의의 부가제는 당과 조성물의 총 양을 100%까지로 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당과 내에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개선된 딱딱한 당과 조성물 및 부드러운 당과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벌킹 에이전트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에세 공지된 표준 기술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딱딱한 당과 조성물 및 부드러운 당과 조성물에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용한 장치는 당과 제조 업계에 공지된 쿠킹용 및 혼합용 장치로 구성되며, 따라서 특별한 장치가 당 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선택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해 더 설명되는데 이는 본 특허청구 범위의 유효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해서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다른 지시가 없는 한 최종 조성물의 중량에 의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이 아닌 실행 1-4]
[본 발명의 실행 5-6]
본 실시예는 여러 형태로 시판되는 폴리덱스트로즈의 입자크기 분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제공하는 선행업계의 방법과 본 발명의 방법을 비교 설명한다. 실시예 1-6 의 조성물을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2
실시예 1-3의 입수가능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의 입자크기분포를 표2에 나타내었다. 4750 RPM인 고 속의 해머(hammers)를 이용하여 앞부분으로 충격을 가하는 Fritz Mill Model D내에서 실시예 4-6의 조성물을 분쇄시켰다. 분쇄후 실시예 4-6에서 얻어진 조성물의 입자크기 분포(총 조성물의 중량%로)를 표 2에 나타내였다.
Figure kpo00003
표 2는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실시예 3)는 폴리덱스트로즈 A(실시예 1) 및 폴리덱스트로즈 K (실시예 2)보다 더 굵은 물질이고, (b)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는 정전하가 많기(실시예 4) 때문에 잘 분쇄될 수 없으며, 및 (c)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가 응고방지제 존재 내에서 분쇄될 때 (실시예 5 및 6) 벌킹 에이전트의 입자크기는 폴리덱스트로즈 A 및 폴리덱스트로즈 K에 허용 가능한 입자 크기보다 더 작아질수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7-12]
[본 발명이 아닌 실행 7-9]
[본 발명의 실행 10-12]
실시예 7-12는 다량의 츄잉 검 베이스를 사용하는 츄잉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특별히, 실시예 7-12는 벌킹 에어전트로서 소르비톨 및 만니톨(비교대조용, 실시예 1), 폴리덱스트로즈 A (실시예 8), 실제로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실시예 9) 및 분쇄되고 산이 없는 폴리덱스트로즈(실시예 10-12)를 가지는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비교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7-12의 츄잉 검 조성물을 총 조성물의 중량에 의한 퍼센트로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4
평가원이 실시예 7-12의 츄잉검 조성물의 텍스춰 및 입의 감촉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7의 츄잉검 조성물(소르비톨/만니톨, 비교대조용)은 좋은 텍스춰와 입의 감촉을 갖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실시예 8의 츄잉검 조성물(폴리덱스트로즈 A)은 이상한 맛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9의 츄잉검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되지 않은 폴리텍스트로즈)은 실시예 8의 츄잉검 조성물보다 개선된 맛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지만 그러나 실시예 8 및 9의 츄잉검 조성물은 모래와 같이 거칠은 것으로 평가 되었다. 실시예 10의 츄잉검 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은 실시예 7의 츄잉검 조성물과 유사한 좋은 텍스춰 및 입의 감촉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0.5%의 연화제를 함유한 실시예 11의 츄잉검 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은 매끄럽고 좋은 텍스 춰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80% 츄잉검 베이스를 함유하는 실시예 12의 츄잉검 조성물은 실시예 7의 츄잉검 조성물과 유사한 좋은 텍스춰와 입의 감촉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페퍼민트 향미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7-12의 츄잉검 조성물의 향미 안정성이 또한 12주 저장된 후 평가원에 의해 평가되었다. 실시예 7의 츄잉검 조성물(소르비톨/만니톨, 비교대조용)은 좋은 향미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8의 츄잉검 조성물(폴리덱스트로즈 A)은 다소 쓴맛을 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9의 츄잉검 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되지 않은 폴리덱스트로즈)또한 다소 쓴맛을 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0의 츄잉 검 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0.5%의 연화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11의 츄잉검 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및 80% 츄잉검 베이스를 함유하는 실시예 12의 츄잉검 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은 실시예 7의 츄잉검 조성물과 유사한 좋은 향미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7-10의 츄잉검 조성물에 의해 흡수된 수분의 양을 27℃의 온도 및 80%의 상대습도(RH)에서 5주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흡수된 수분의 양을 저장 주에 대한 흡수된 수분의 중량 퍼센트로 표 4 및 제1도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5
제1도는 벌킹 에이트로서 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함유하는 츄잉검 조성물(실시예 10)은 벌킹 에이전트전로서 소르비톨 및 만니톨(실시예 7) 폴리덱스트로즈 A (실시예 8) 및 산이 없고 분쇄되지 않는 폴리덱스트로즈(실시예 9)를 함유하는 츄잉검 조성물보다 수분을 상당히 덜 흡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7-10의 츄잉검 조성물의 상대적 경도를 23℃의 온도 및 23%의 상대습도에서 12주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Valtes Associates Inc 에서 시판되고 디지탈로 독출해내는 Instron Model 1130 듀로미터(durometer)로 경도를 측정하였다. 3/16인치의 플런저(plunger)를 이용하여 검의 표면이 관통될 때까지 검의 표면을 내리눌렀다. 측정치를 저장 주에 대한 파운드 (lbs)로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6
표 5는 벌킹 에이전트로서 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함유하는 츄잉검 조성물(실시예 10)이 벌킹 에이전트로서 소르비톨 및 만니톨(실시예 7), 폴리덱스트로즈 A(실시예 8) 및 산이 없고 분쇄되지 않는 폴리덱스트로즈(실시예 9)를 함유하는 츄잉검 조성물에 상당한 경도를 갖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13-15]
[본 발명이 아닌 실행 13]
[본 발명이 실행 14-15]
실시예 13-15는 소량의 츄잉검 베이스를 사용하여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실시예 13-15는 벌킹 에이전트로서 소프비톨 및 만니톨 (비교대조용, 실시예 13), 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실시예 14), 및 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및 말티톨(실시예 15)를 가지는 츄잉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비교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7-12의 츄잉 검 조성물을 총 조성물을 중량 퍼센트로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7
평가원에서 실시예 13-15의 츄잉검 조성물의 텍스춰 및 입의 감촉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13의 츄잉검 조성물(소르비톨/만니톨, 비교대조용)은 좋은 텍스춰 및 입의 감촉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실시예 15의 츄잉검 조성물(산이 없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및 말티톨)은 졸은 텍스춰 및 입의 감촉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재된 본 발명을 여러 방법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내용 및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여겨지 지 않으며 이러한 모든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16)

1.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 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 단계(a)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는, 저 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폴리덱스트로즈로부터 직경이 125μ 미만인 입도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단계 (a)의 혼합물 내에 0.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인산칼슘, 규산칼슘, 스테아린산 칼슘, 셀룰로즈, 카올린,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페로시안화나트륨,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소듐 칼슘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수크로스 에스테르, 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미만으로 함유한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 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단계 (a)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직경이 125μ미만인 입도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단계(a)의 혼합물 내에 0.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제4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인산칼슘, 규산칼슘, 스테아린산 칼슘, 셀룰로즈, 카올린,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페로시안화나트륨,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소듐 칼슘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수크로스 에스테르, 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직경이 125μ 미만인 입도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포함하는 섭취 가능한 조성물.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 방지제를 혼합하여 만드는 단계, (b) 단계 (a)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만드는 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직경이 125μ 미만인 입도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포함하는 섭취 가능한 조성물.
제8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단계(a)의 혼합물 내에 0.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섭취 가능한 조성물.
제8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인산칼슘, 규산칼슘, 스테아린산 칼슘, 셀룰로즈, 카올린,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페로시안화나트륨,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소듐 칼슘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수크로스 에스테르, 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섭취가능한 조성물.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 단계 (a)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C) 단계 (b)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섭취가능한 조성물에 혼합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직경이 125μ 미만인 입도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를 포함하는 섭취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 (A)검 베이스; (B)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직경이 125μ 미만인 입도의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로 이루어진 벌킹 에이전트; (C)연화제; (D)감미제; 및 (E)향미제 성분을 공급하는 단계; (2) 검 베이스를 60℃-120℃의 온도까지 가열시키는 단계; (3) 연화제, 감미제, 향미제 및 벌킹 에이전트를 단계(2)의 혼합물에 혼합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4) 이 균일한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단계; (5) 혼합물을 츄잉검 제품으로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은 (a) 저분자량의 유기산을 0.3중량% 미만으로 함유한 폴리덱스트로즈와 응고방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드는 단계, (b) 단계 (a)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에 의해서 제조되는, 무가당 츄잉검 조성물 제조방법.
제12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단계(a)의 혼합물 내에 0.1-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제12항에 있어서, 응고방지제가 인산칼슘, 규산칼슘, 스테아린산 칼슘, 셀룰로즈, 카올린,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규산 마그네슘,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페로시안화나트륨, 소듐,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소듐 칼슘 실리코알루미네이트, 수크로스 에스테르, 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츄잉검 조성물로 제조하는 방법.
제12항에 있어서, 검 베이스가 총 츄잉검 조성물의 15-3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이 65-8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제12항에 있어서, 검 베이스가 총 츄잉검 조성물의 35-8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조성물이 15-6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츄잉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00007150A 1989-05-19 1990-05-18 실제적으로 산이없는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제조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KR0160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54,650 US5066511A (en) 1989-05-19 1989-05-19 Method for preparing pulverized polydextrose which is substantially free of aci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354,650 1989-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143A KR900018143A (ko) 1990-12-20
KR0160296B1 true KR0160296B1 (ko) 1998-11-16

Family

ID=2339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150A KR0160296B1 (ko) 1989-05-19 1990-05-18 실제적으로 산이없는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제조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066511A (ko)
EP (1) EP0398465A3 (ko)
JP (1) JP2694162B2 (ko)
KR (1) KR0160296B1 (ko)
CN (1) CN1047316A (ko)
AU (1) AU5515190A (ko)
CA (1) CA2017045C (ko)
FI (1) FI902433A0 (ko)
IE (1) IE74700B1 (ko)
MX (1) MX9300939A (ko)
NO (1) NO902204L (ko)
PT (1) PT94083B (ko)
ZA (1) ZA9038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593A (en) * 1989-01-26 1997-09-16 Cultor Ltd. Modified polydextrose and process therefor
ES2050389T3 (es) * 1990-01-23 1994-05-16 Warner Lambert Co Composiciones comestibles hipocaloricas y no cariogenicas que contienen polidextrosa y un agente sazonante encapsulado y metodos para la preparacion de las mismas.
DK0452262T3 (da) * 1990-04-09 1996-02-05 Pfizer Presset tablet med reduceret kalorieindhold og forbedret fornemmelse i munden
WO1992008370A2 (en) * 1991-12-20 1992-05-29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containing polydextrose
US5462754A (en) * 1992-03-03 1995-10-31 Wm. Wrigley Jr. Company Abhesive chewing gum with improved sweetness profile
US5437877A (en) * 1992-03-03 1995-08-01 Wm. Wrigley Jr. Company Wax-free chewing gum with initial soft bite
US5342631A (en) * 1992-12-29 1994-08-30 Wm. Wrigley Jr. Company Wax-free chewing gum including special oligosaccharide binders
US5525360A (en) * 1992-12-18 1996-06-11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products using polydextrose
US5437876A (en) * 1993-03-02 1995-08-01 Wm. Wrigley Jr. Company Wax-free chewing gums with controlled sweetener release
US5441750A (en) * 1993-03-02 1995-08-15 Wm. Wrigley Jr. Company Wax-free chewing gum with improved processing properties
US5436013A (en) * 1993-03-02 1995-07-25 Wm. Wrigley Jr.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wax-free chewing gums with fast set-up times
US5437875A (en) * 1993-03-02 1995-08-01 Wm. Wrigley, Jr. Company Wax-free low moisture chewing gum
CA2150515C (en) * 1994-06-29 2005-12-20 Amna Munji Abboud Emulsifier system
US5851576A (en) * 1994-06-29 1998-12-22 Kraft Foods, Inc. Method for making a spray dried fat replacement composition containing inulin
US6673383B2 (en) * 2001-03-26 2004-01-06 Unilever Patent Holdings Bv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food product
US6773733B2 (en) 2001-03-26 2004-08-10 Loders Croklaan Usa Llc Structured particulate systems
EP1249271A1 (en) 2001-04-09 2002-10-16 Puratos N.V. New additives for preventing caking of powdered emulsifiers
DK1971216T4 (da) * 2005-12-29 2019-07-22 Wrigley W M Jun Co Tyggegummi indeholdende styren-dien-blokcopolymerer
FR3022738B1 (fr) * 2014-06-30 2019-02-08 Roquette Freres Nouvelle confiserie sans matiere grass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889A (en) * 1900-11-12 1901-08-20 Charles G Hawley Coffee compound and process of making same.
US1357480A (en) * 1918-03-06 1920-11-02 Seattle Asbestomine Co Method of grinding diatomaceous earth
US1968628A (en) * 1931-07-07 1934-07-31 Vanderbilt Co R T Powdered soap produc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FR963737A (ko) * 1947-03-21 1950-07-19
US3333776A (en) * 1965-04-05 1967-08-01 Dow Corning Hydrophobic silica as a grinding aid
DE1642998B2 (de) * 1967-03-23 1973-05-17 Verfahren zur verhinderung der agglomeration feinteiliger, 1ulverfoermiger stoffe
US3648937A (en) * 1969-08-08 1972-03-14 Ercon Inc Method of making small plastic particles
US3876794A (en) * 1972-12-20 1975-04-08 Pfizer Dietetic foods
US4382963A (en) * 1981-11-09 1983-05-10 General Foods Corporation Low-calorie, sugar-free chewing gum containing polydextrose
US4698264A (en) * 1982-08-02 1987-10-06 Durkee Industrial Foods, Corp. Particulat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4622233A (en) * 1984-12-06 1986-11-11 Pfizer Inc. Preparation and use of a highly purified polydextrose
US4765991A (en) * 1986-05-02 1988-08-23 Warner-Lambert Company Reduced calorie chewing gums and method
US4814195A (en) * 1987-03-20 1989-03-21 Winters Canning Co. Reduced calorie peanut butter product
EP0356471B1 (en) * 1988-02-24 1992-12-09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with improved sweetness employing xylitol rolling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903852B (en) 1991-03-27
IE901802L (en) 1990-11-19
NO902204L (no) 1990-11-20
IE74700B1 (en) 1997-07-30
US5066511A (en) 1991-11-19
FI902433A0 (fi) 1990-05-16
PT94083A (pt) 1991-01-08
CN1047316A (zh) 1990-11-28
EP0398465A2 (en) 1990-11-22
CA2017045C (en) 1997-12-16
NO902204D0 (no) 1990-05-18
JPH0321649A (ja) 1991-01-30
PT94083B (pt) 1998-01-30
EP0398465A3 (en) 1991-04-24
AU5515190A (en) 1990-11-22
JP2694162B2 (ja) 1997-12-24
CA2017045A1 (en) 1990-11-19
KR900018143A (ko) 1990-12-20
MX9300939A (es) 1994-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296B1 (ko) 실제적으로 산이없는 분쇄된 폴리덱스트로즈 제조방법 및 이것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853832B2 (ja) クロロデオキシ糖およびマルチトールを含有する相乗甘味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RU2366292C2 (ru)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получения
KR0157424B1 (ko) 캡슐로 싸여진 향미제와 폴리덱스트로즈가 함유된 카리에스를 유발시키지 않는 저 칼로리 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079114B2 (ja) ポリデキストロースおよびクロロデオキシ糖を含有する相乗甘味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0416475B1 (ko) 멘톨및n-치환된p-멘탄카르복스아미드를포함하는호흡을신선하게하는식용조성물및이의제조방법
JP4117921B2 (ja) 咀嚼可能な菓子組成物及びその調製方法
RU2362325C2 (ru) Термостойкие, имеющие высокий предел прочности при растяжении, инкапсулирова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EP0371584B1 (en) Unpleasant taste masking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3168429B2 (ja) 粉末形態の安定化されたクロロデオキシ糖甘味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PT98555B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composicoes de agentes de enchimento contendo polidextrose, isomalte e manitol com fraca absorcao de humidade e reduzido valor calorico
JP3136176B2 (ja) 固体形態の安定化クロロデオキシ糖甘味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CA2095567C (en) Reduced-calorie, low-moisture absorbing bulking agent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H03119980A (ja) ジペプチド甘味料および水素化澱粉加水分解物を含有する相乗甘味組成物ならびにその製法
US5204129A (en) Method for preparing pulverized polydextrose which is substantially free of aci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EP0398466A2 (en) Synergistic swee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dipeptide sweetening agent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H04228049A (ja) キシリトールおよびエースサルフェーム−kを含有する相乗甘味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