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507B1 -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 Google Patents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507B1
KR0158507B1 KR1019950024949A KR19950024949A KR0158507B1 KR 0158507 B1 KR0158507 B1 KR 0158507B1 KR 1019950024949 A KR1019950024949 A KR 1019950024949A KR 19950024949 A KR19950024949 A KR 19950024949A KR 0158507 B1 KR0158507 B1 KR 0158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rotary valve
piston
valve
refrigera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050A (ko
Inventor
가즈야 기무라
시게유끼 히다까
히로아끼 가유까와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찌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찌세이, 도요다 지도숏키 세사쿠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찌세이
Publication of KR96000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09Distribution members

Abstract

체적 효율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는 피스톤형 압축기를 제공한다.
후방 하우징(3)의 반경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실(20)내에는 원주 형상의 로터리 밸브(21)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21)가 회전축(4)의 회전에 연동한다.
로터리 밸브(21)에 흡입 통로(23)는 배단면(21-2)에서 밀폐 단면(21-3)에 거쳐서 관통 설치되어 있다. 흡입 통로(23)의 입구(23-1)는 흡입실(3-2)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흡입 통로(23)의 출구(23-2)는 미례 단면(21-3) 위에 개구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21)에 의해 구회된 배압 영역(20-2)내의 배압이 밀폐 단면(21-3)을 밸브 플레이트(11)로 눌러 접합된다. 배압 영역(20-2)의 압력은 흡입 포트(11-1,11-4)에서 도입된다.

Description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
제2도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주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6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제7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분해 사시도.
제8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9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10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11도는 또다른 예를 도시하는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블록 3 : 후방 하우징
11 : 밸브 플레이트 11-1~11-6 : 흡입 포트
16 : 실리더 보어 16-1~16-6 : 압축실
17 : 편두 피스톤 20 : 수용실
20-2 : 배압 영역 21 : 로터리 밸브
21-2 : 배단면 21-3 : 밀폐 단면
21-5, 21-6 : 배압 도입 통로 23 : 흡입 통로
23-1 : 입구 23-2 : 출구
24 : 포착홈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회전축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 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함과 함게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압축실과 흡입실과의 사이의 흡입 포트를 압축실 내의 플랩퍼(flapper) 밸브형의 흡입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서는 흡입실 내의 냉매 가스는 상사점 측에서 하사점 측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의 흡입 동작에 의해 흡입 밸브를 눌러 열어 압축실에 유입한다.
피스톤이 하사점 측에서 상사점측으로 이동하느 토출행정에서는 흡입 밸브가 흡입 포트를 닫으며, 압축실내의 냉매 가스가 토출 포트에서 토출실로 토출된다. 탄성 변형인 흡입 밸브의 휨 변형은 탄성 저항으로서 작용하며 흡입실의 압력이 압력실의 압력을 어느 정도 상회시키기 않으면 흡입 밸브는 개방하지 않는다. 즉, 흡입 밸브의 개방이 늦어진다. 또한, 냉매 가스와 함게 유동하는 윤활유가 흡입 포트를 닫고 있는 흡입 밸브와 그 밀접면과의 사이에 부착되며 이 부착 윤활유가 상기 밀접면과 흡입 밸브와의 사이의 밀접력을 높인다. 그 때문에 흡입 밸브의 휨 변형 개시가 한층 늦어진다. 이와 같은 휨 변형 개시의 늦어짐은 아축실로의 냉매 가스 유입량의 감소, 즉 체적 효율의 저하를 불러일으킨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5-231310호의 피스톤형 압축기에서는 흡입 밸브 대신에 로터리 밸브가 사용되고 있으며 로터리 밸브의 채용에 의해 체적 효율의 향상이 이루어진다. 회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로터리 밸브내에는 유입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 통로의 출구는 로터리 밸브의 둘레면에 개구되어 있다. 이 출력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압축실의 흡입 포트에 순차 연통한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로터리 밸브를 사용한 압축기에서는 플랩퍼(flapper) 밸브형의 흡입 밸브를 사용한 압축기에 내재하는 체적 효율저하의 문제는 없다. 그러나, 로터리 밸브의 둘레면과 그 수용실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밀폐성이 나쁘다면 압축 또는 토출행정중의 압축실내의 냉매 가스가 흡입 포트에서 로터리 밸브의 둘레면과 수용실의 둘레면과의 사이에서 누설되어 체적 효율이 저하한다. 로터리 밸브의 둘레면과 수용실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밀폐성은 로터리 밸브의 둘레면과 수용실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틈새 대소에만 의존하지만 둘레면 사이의 틈새 관리는 매우 귀찮은 것이다. 또한, 실린더 블록이 변형하면 틈새가 크게 되며 밀폐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체적효율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한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 보어내에 피스톤을 수용함과 함께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되어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피스톤식 압축기를 대상으로하여 청구항 제1항의 발명에서는 피스톤에 의해 실린더 보어 내에 구획되는 압축실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통로를 로터리 밸브로 형성함과 함께 흡입 통로의 출구를 로터리 밸브의 밀폐 단면위에 마련하며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동기하여 상기 압축실의 흡입 포트와 상기 흡입 통로의 출구를 순차 연통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상기 로터리 밸브를 연통하여 로터리 밸브의 배단면측에서 밀폐 단면측에 로터리 밸브를 부가하는 부가 수단을 마련한다.
청구항 제2항 발명에서는 상기 밀폐 단면을 평면으로 하였다.
청구항 제3항 발명에서는 토출 행정 종료 전후의 상태에 있는 압축실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와 압축 행정에 들어간 상태에 있는 압축실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를 회전축의 회전에 동기하여 연통함과 함게 상기 양 흡입 포트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 단면의 부분을 포위하는 포착홈을 상기 로터리 밸브의 밀폐 단면위에 형성하였다.
청구항 제4항 발명에서는 상기 로터리 밸브를 수용하는 수용실 내에 상기 로터리 밸브의 배단면에 의해 배압 영역을 구획하며 흡입압 보다도 높은 압력 영역과 상기 배압영역을 연통하여 상기 부가 수단을 구성한다.
청구항 제5항 발명에서는 상기 압력 영역을 흡입 포트로 하며 배압 영역과 흡입 포트를 로터리 밸브의 표면에 따라서 간격을 거쳐서 연통한다.
청구항 제6항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 영역을 흡입 포트로하여 로터리 밸브에 관통 마련된 배압 도입 통로를 거쳐서 상기 흡입 포트와 배압 영역을 연통한다.
청구항 제7항 발명에서는 상기 압력 영역을 상기 포착홈으로 하며, 로터리 밸브에 관통 마련된 배압 도입 통로를 거쳐서 상기 포착홈과 배압 영역을 연통한다.
청구항 제8항 발명에서는 상기 실린더 보어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에 조합되어 토출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내에 상기 로터리 밸브의 수용실을 형성하였다.
청구항 제9항 발명에서는 상기 로터리 밸브의 밀폐단면과 미끄럼 접합하는 밸브 시트를 상기 실린더 블록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개재된 밸브 플레이트로 하였다.
[작용]
로터리 밸브 내의 흡입 통로는 로터리 밸브의 회전에 따라서 흡입 포트를 거쳐서 복수의 압축실에 순차 연통한다.
이 연통은 압축실에 대한 피스톤의 흡입 동작에 동기되어 행하여진다. 흡기 통로와 압축실이 연통되어 있는 때에 피스톤이 하사점측에 향하여 흡입 통로내의 냉매 가스가 압축실에 유입된다. 로터리 밸브는 부가 수단에 의해 배단면 속에서 밀폐 단면측에 부가되며 로터리 밸브의 밀폐 단면이 이것과 미끄럼 접합하는 밸브 시트에 눌러 접합된다. 이 눌러 접합되는 작용이 밀폐 단면과 이것에 대한 미끄럼 접합면과의 사이를 작게하여 밀폐 성능을 높인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서는 밀폐 단면이 평면이며 평면의 밀폐 단면과 이것에 미끄럼 접합하는 평면과의 사이의 밀폐성의 확보는 무엇보다도 용이하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에서는 포착홈은 토출 행정 종료 전후의 상태에 있는 압축실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와 압축 행정에 들어간 상태에 있는 압축실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를 로터리 밸브의 회전에 따라서 순차 연통되어 간다. 토출 행정 종료 전후의 상태로 있는 압축실의 냉매 가스의 일부는 흡입 포트에서 밀폐 단면에 따라서 누설되어가지만, 이 누설 가스는 포착홈에 포착된다. 냉매 가스를 포착한 포착홈은 압축 행정으로 들어간 상태에 있는 압축실의 흡입 포트에 연통한다. 이 연통에 의해 포착홈내의 냉매 가스가 압축 행정 개시의 상태에 있는 압축실에 유입된다. 즉, 흡입 포트에서 밀폐 단면을 따라서 누설되는 냉매 가스 및 압축실에 잔류하는 냉매 가스가 토출 행정으로 들어간 압축실에 보내 들어가며 체적 효율이 향상한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에서는 흡입압 보다도 높은 압력의 냉매 가스가 배압 영역으로 도입되며, 배압 영역내의 압력이 로터리 밸브를 배단면측에서 밀폐 단면측에 부가한다.
이 부가 작용에 의해 밀폐 단면상의 밀폐성이 높아진다.
청구항 제5항의 발명에서는 흡입 포트에서 밸브 플레이트의 둘레면에 따라서 누설되는 냉매 가스가 배압 영역에 도입되며 이 누설 가스의 압력이 로터리 밸브의 배단면에 작용한다.
청구항 제6항의 발명에서는 압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 내의 냉매 가스가 배압 도입 통로를 거쳐서 배압 영역에 도입되며 이 도입 가스압이 로터리 밸브의 배단면에 작용한다.
청구항 제7항의 발명에서는 포착홈내의 냉매 가스가 배압 병역에 도입되며 배압 영역내의 압력이 로터리 밸브를 배단면측에서 밀폐 단면측에 부가한다.
청구항 제8항의 발명에서는 로터리 밸브가 하우징 내의 수용실에 수용된다. 이 수용 구조는 실린더 블록 내에 로터리 밸브를 수용하는 구조에 비교하여 실린더 블록의 경도 확보 면에서 유리한다.
청구항 제9항의 발명에서는 로터리 밸브의 밀폐 단면이 밸브 플레이트에 미끄럼 접합한다. 밸브 플레이트에는 압축실에서 토출실에 냉매 가스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포트가 마련된다. 로터리 밸브의 지름은 이 토출 포트의 배열 반경에 의해 제약을 받는 범위까지 크게 되며 상기 밀폐 단면위의 밀폐면적이 가급적으로 확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실린더 블록(1)의 전후에는 전방하우징(2) 및 후방 하우징(3)이 가스켓(28), 밸브 플레이트(11), 토출 밸브 형성 플레이트(12) 및 가스켓 형의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3)를 거쳐서 접합 고정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11)와 토출 밸브 형성 플레이트(12)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가스켓(29)이 개재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11)와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3)와의 사이에는 링 형상의 가스켓(30)이 개재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 및 전방 하우징(2)는 회전축(4)이 레디얼 베어링(5,6)을 끼워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디얼 베어링(6)을 거쳐서 회전축(4)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구멍(1-1)은 전방하우징(2)내의 크랭크실(2-1)에 연통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2)내에서 회전축(4)에는 회전 지지체(7)가 장착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하듯이 회전 지지체(7)의 둘레 테두리부에 형성된 지지암(7-1)에는 가이드 구멍(7-2,7-3)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4)에는 사판(8)이 회전축(4)의 축선방향으로 경사 운동 가능하며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사판(8)에는 연결편(8-1,8-2)이 장착되어 있는 것과 함께 연결편(8-1,8-2)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핀(9,10)이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핀(9,10)은 가이드 구멍(7-2,7-3)에 결합되어 있으며 가이드 구멍(7-2,7-3)은 가이드 핀(9,10)을 거쳐서 사판(8)의 경사 운동을 안내한다. 이것에 의해 사판(8)이 회전축(4)의 축선 방향에 요동 가능하며 회전축(4)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지지 구멍(1-1)내에는 미끄럼 베어링(14) 및 사전 하중부여 스프링(15)이 수용되어 있다. 사전 하중 부여 스프링(15)은 미끄럼 베어링(14)을 거쳐서 회전축(4)에 사전하중을 부여한다. 사전 하중은 회전축(4), 회전 지지체(7) 및 미끄럼 베어링(22)을 거쳐서 전방 하우징(2)에서 받아진다.
사전 하중 부여 스프링(15)은 회저눅(4)의 미끄럼 방향의 흔들거림을 방지한다.
회전축(4)의 주위에서 실린더 블록(1)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16)(본 실시예에서는 6개)가 같은 간격 각도 위치로 배열 형성되어 왔으며 각 실린더 보어(16)내에는 편두 피스톤(17)이 수용되어 잇다. 사판(8)의 회전은 1쌍의 슈(18,19)를 거쳐서 편두 피슨톤(17)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며 편두 피스톤(17)이 실린더 보어(16)내를 전후 운동한다.
제3도에 도시하듯이 후방 하우징(3)내의 주변측에는 토출실(3-1)이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하듯이 후방 하우징(3)내의 반경 중심부에는 흡입실(3-2)이 형성되어 있다.
편두 피스톤(17)에 의해 각 실린더 보어(16)내에 구획되는 압축실(16-1 내지 16-6)은 밸브 플레이트(11)에 의해 토출실(3-1)에서 구획되어 있으며, 밸브 플레이트(11) 위에는 토출 포트(11-7)가 형성 되어 있다. 토출 밸브 형성 플레이트(12)위는 플랩퍼 밸브형의 토출 밸브(1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리테리너 형성 플레이트(13) 위에는 리테이너(13-1)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밸브(12-1)는 토출실(3-1)측에서 토출 포트(11-7)를 개폐하며 리테이너(13-1)는 토출 밸브(12-1)의 휨 변위량을 규제한다.
후방 하우징(3)의 반경 중심부에는 원주 형상의 수용실(20)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실(20)은 흡입실(3-2)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실(20)내에는 원주 형상의 로터리 밸브(21)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11)에 대한 로터리 밸브(21)의 대향 단면에는 긴 구멍 형상의 연결 오목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오목부(21-1)는 로터리 밸브(21)의 직경 선성에 설정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21)의 중심축선은 회전축(4)의 회전축선과 거의 일치되어 있다.지지 구멍(1-1)내에서 지지되는 회전축(4)의 단부의 선단은 수용실(20)내에 돌출되어 있으며 그 돌출선단부(4-1)는 연결 오목부(21-1)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운동가능하다. 회전축(4)의 회전은 돌출선단부(4-1) 및 연결 오목부(21-1)를 거쳐서 로터리 밸브(21)에 전달되며 로터리 밸브(21)가 회전축(4)의 회전에 연동된다.
로터리 밸브(21)에는 흡입 통로(23)가 배단면(21-2)에서 밀폐단면(21-3)에 걸쳐서 관통 설치되어 있다. 흡입 통로(23)의 입구(23-1)는 흡입실(3-2)에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제2도의 도시하듯이 흡입 통로(23)의 출구(23-2)는 밀폐 단면(21-3) 위에 개구되어 있다. 밀폐 단면(21-3)은 밸브 플레이트(11)에 미끄럼 접합한다. 즉, 밸브 플레이트(11)는 로터리 밸브(21)의 밸브 시트로 된다.
편두 피스톤(17)이 상사점 위치에서 하사점 위치로 향하는 흡입 행정에 들어간 압축실(16-j)(j=1~6)은 흡입 통로(23)의 출구(23-2)에 접속하며 도입구(3-3)에서 흡입실(3-2)에 도입되는 냉매 가스가 흡입 통로(23)를 경유하여 흡입 행정에 있는 압축실(16-j)에 흡입된다.
밸브 플레이트(11)에는 압축실(16-1~16-6)과 동일한 수의 흡입 포트(11-1, 11-2, 11-3, 11-4, 11-5, 11-6)가 회전축(4)의 주위에 같은 간격 각도 위치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흡입 포트(11-j)와 압축실(16-j)과는 1 대 1로 연통되어 있으며 제3도에 도시하듯이 각 흐빕 포트(11-j)는 흡입 통로(23)의 출구(23-2)의 둘레회전 영역에 접속되어 있다. 제3도에서는 압축실(16-1)내의 편두 피스톤(17)이 상사점 위치에 있으며 압축실(16-4)내의 편두 피스톤(17)이 하사점 위치에 있다.
회전축(4)은 화살표(R)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로터리 밸브(210의 밀폐 단면(21-3)에는 포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포착홈(24)은 로터리 밸브(21)의 회전 중심에 관하여 흡입 통로(23)와는 반대측에 있다. 포착홈(24)은 반경 방향의 입구홈(24-1) 및 출구홈(24-2)과 입구홈(24-1)과 출구홈(24-2)을 반경 중심측에서 긴밀하게 둘레 방향의 우회홈(24-3)으로 된다. 제3도에 도시하듯이 입구홈(24-1)과 출구홈(24-2)과는 반둘레 가까이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21)의 중심 축선을 주심으로 한 입구폭(24-1)의 폭 각도(θ1)는 출구홈(24-2)의 폭 각도(θ2)보다 작게 되어 있다. 출구폼(24-2)의 폭 각도(θ2)는 흡입 포트(11-j)의 폭 각도(θ0) 보다도 크게 되어 왔다. 흡입 통로(23)의 출구(23-2)의 폭 각도(θ3)는 반둘레 가까이로 되어있다.
로터리 밸브(21)의 회전 중심 부근에는 방압 통로(21-4)가 밀폐 단면(21-3)측에서 배단면(21-2)측에 걸쳐서 관통설치되어 있다. 방압 통로(21-4)는 스로틀 기능을 가지며, 지지구멍(1-1)과 흡입실(3-2)이 방압 통로(21-4)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21)는 회전축(4)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회전축(4)의 회전축선과 로터리 밸브(21)의 중심축선이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 경우에도 회전축(4)의 돌출선단부(4-1)와 연결오목부(21-1)와의 끼어 맞는 관계에 의해 상기 벗어남이 흡수된다. 즉, 상기 벗어남이 있는 경우에는 로터리 밸브(21)는 약간 선회하면서 회전한다. 따라서, 수용실(20)의 둘레면과 로터리 밸브(21)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틈새는 조립 오차에 의한 상기 벗어남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입구홈(24-1) 및 출구홈(24-2)은 로터리 밸브(21)의 회전에 딸서 흡입 포트(11-j)에 순차 연통되어 간다. 또한, 포착홈(24)에 의해 포위되는 밀폐 단면(21-3)의 영역은 로터리 밸브(21)의 회전에 따라서 흡입포트(11-j)를 순차 폐쇄되어 가며 편두 피스톤(17)이 하자점 위치에서 상사점 위치에 향하여 토출 행정에 있는 아축실(16-j)과 흡입 통로(23)와의 접속이 단절된다.
압축실(16-j)에 흡입된 냉매 가스는 편두 피스톤(17)이 하사점 위치에서 상사점 위치로 향하는 토출 동작에 의해 토출 포트(11-7)에서 토출 밸브(12-1)를 밀어 내어 토출실(3-1)에 토출된다. 편두 피스톤(17)의 스토로크는 크랭크실(2-1)내의 압력과 압축실(16-j)내의 흡입압과의 편두 피스톤(17)을 낀 차에 따라서 변하며 사판(8)의 경사각이 변환된다. 토출실(3-1)내의 냉매 가스는 흡입압에 감응하여 밸브 개도를 변화하는 용량 제어 밸브(25) 및 압력 공급 통로(26)를 거쳐서 크랭크실(2-1)에 공급된다. 크랭크실(2-1)내의 냉매 가스지지 구멍(1-1) 및 방압 통로(21-4)를 거쳐서 흡입실(3-2)에 방출되어 있다.
크랭크실(2-1)내의 압력은 토출실(3-1)에서의 냉매 가스의 공급 및 크랭크실(2-1)에서 흡입실(3-2)에의 냉매 가스 방출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실(20)의 저면에는 밀폐용의 고리 형상홈(20-1)이 흡입실(3-2)을 포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리 형상홈(20-1)내에는 고리 형상의 칩 밀폐(27)가 수용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21)의 배단면(21-2)은 수용실(20)내에 배압 영역(20-2)을 구획하고 있다. 배압 영역(20-2)은 로터리 밸브(21)의 둘레면과 수용실(20)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틈새, 밀폐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의 약간의 틈새를 거쳐서 흡입 포트(11-j)에 연통되어 있다.
플랩퍼 밸브형의 흡입 밸브를 이용한 압축기의 경우에는 윤활유가 흡입 밸브와 그 밀접면과의 사이의 흡착력을 크게 해버리며 흡입 밸브의 개방 개시 타이밍이 상기 흡착력에 의해 늦어진다. 이 늦어짐 및 흡입 밸브의 탄성 저항에 의한 흡입 저항이 체적 효율을 저하시킨다. 그러나, 강제 회전되는 로터리 밸브(21)의 채용에서는 윤활유에 기인하는 흡착력 및 흡입 밸브의 탄성 저항에 의한 흡입 저항의 문제는 없으며 압축실(16-j)내의 압력이 흡입실(3-2)내의 흡입압을 약간 내리면 냉매 가스가 즉시 압축실(16-j)에 유입된다. 따라서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16-j)내의 고압 냉매 가스가 흡입 포트(11-j)를 경유하여 크랭크실(2-1), 흡입실(3-2)이라는 저압 영역에 누설되지 않는 한 로터리 밸브(21) 채용의 압축기의 체적 효율은 플랩퍼 밸브형의 흡입 밸브 채용의 압축기에 비교하여 큰 폭으로 향상한다.
포착홈(24)에 의패 포위되는 밀폐 단면(21-3)의 영역은 로터리 밸브(21)의 회전에 따라서 흡입 포트(11-j)를 순차 폐쇄하여 가며 편두 피스톤(17)이 하사점 위치에서 상사점 위치에 향하여 압축 또는 토출 행정에 있는 압축실(16-j)과 흡입통로(23)와의 접속이 단절된다. 즉, 압축실(16-j)이 압축 또는 토출 행정에 있을때에는 흡입 포트(11-j)와 흡입 통로(23)와의 연통이 차단되지만 압축실(16-j)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11-j)내는 압축실(16-j)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11-j)내는 압축실(16-j)과 마찬가지로 승압한다. 밸브 플레이트(11)와 실린더 블록(1)과의 사이의 가스켓(28)은 흡입포트(11-j)에서 지지구멍(1-1)에의 고압 냉매 가스 누설을 저지한다. 수용실(20)에의 로터리 밸브(21)의 끼어 넣는 용이성, 수용실(20) 내에서의 로터리 밸브(21)의 회전 용이성을 고려하여 로터리 밸브(21)의 둘려면과 수용실(20)의 둘려면과의 사이에는 적정한 틈새가 마련된다. 또한,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는 평면 접속이지만 자세히 보면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가 있다. 따라서, 흡입 포트(11-j)내의 고압 냉매 가스는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의 틈새 및 로터리 밸브(21)의 둘레면과 수용실(20)의 둘레면과의 사이의 틈새를 경유하여 배압 영역(20-2)에 누설된다. 토출실(3-1)과 수용실(20)과의 사이에는 가스켓형의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13) 및 카스켓(29)의 밀폐 기능에 의해 냉매 가스의 누설이 저지되어 있다. 거기에다 배압 영역(20-2)에 누설된 냉매 가스의 압력이 제5도에 도시하듯이 배단면(21-2)과 고리 형상홈(20-1)의 내주면등이 칩 밀폐(27)를 눌려 접합한다. 이 눌러 접합 작용이 배압 영역(20-2)과 흡입실(3-2)과의 사이의 연통을 차단한다. 즉, 배압 영역(20-2)내의 압력은 흡입 포트(11-j)에서 배압 영역에 유입된 냉매 가스의 압력으로 된다.
흡입 포트(11-j)에서 로터리 밸브(21)의 둘레면 이외로 향하는 누설 가스는 포착홈(24)에 의해 포착된다. 포착홈(24)에 포착된 누설 냉매 가스는 출구홈(24-2)에서 압출 행정에 들어간 압축실에 유입하며 흡입 포트(11-j)에서의 누설 가스가 흡입 통로(23)의 출구(23-2)에 유입하는 일이 없다. 누설 가스가 흡입 통로(23)에 유입되면 이 유입분 만큼 흡입실(3-2)에서 압축실에의 흡입이 되지 않게 되며 체적 효율이 저하한다.
그러나, 포착홈(24)을 경유하여 누설 가스를 압축 행정 개시 상태에 있는 압축실에 보내 넣으면 흡입실(3-2)에서의 냉매 가스 흡입량이 줄어드는 일은 없으며 흡입 포트(11-j)에서의 냉매 가스 누설이 체적 효율을 저하시키는 일은 없다.
배압 영역(20-2)내의 배단면(21-2)의 수압 면적(S1)은 배단면(21-2)의 둘레 테두리와 고리 형상홈(20-1)의 안 둘레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 면적이다. 한편, 밀폐 단면(21-3)에 있어서 누설 가스에 대한 수압 면적(S2)은, 많아도 포착홈(24)의 면적과 포착홈(24)에 의해 포위되는 밀폐 단면(21-3)위의 영역 면적과의 합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S1S2로 되어 있다.
누설 가스의 압력을 Pe로 하면 로터리 밸브(21)는 배단면(21-2) 측에서 밀폐단면(21-3)측에서 작용하는 Pe(S1-S2)의 압력 하중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11)에 눌러 접합된다.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의 밀폐성이 높지 않은 경우 포착홈(24)내의 냉매 가스 및 로터리 밸브(21)의 둘레면과 수용실(20)의 둘레면과의 사이에 누설되어 나온 냉매 가스가 밀폐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에서 출구(23-2)를 거쳐서 흡입 통로(23)에 유입되며 체적 효율이 저하한다.
그러나, 누설 가스를 배압으로서 이용한 부가 수단을 이용한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밸브(21)의 밀폐 단면(21-3)이 압력 하중 Pe(S1-S2)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11)에 눌려 접합되며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의 밀폐성이 높아진다.
또한,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의 밀폐성 확보는 평면 끼리의 접합을 위해 가장 용이하다.
실린더 블록내의 중심축선 부근에 로터리 밸브를 수용하는 종래 구성에서는 로터리 밸브의 수용실과 실린더 보어와의 사이벽이 얇게 되며 실린더 블록이 형성되기 쉽다.
실린더 블록이 변형되며 로터리 밸브의 수용실이 변형되며 로터리 밸브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밀폐성이 저하하거나 로터리 밸브가 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실린더 보어의 변형에 의해 피스톤 둘레면과 실린더 보어와의 사이에서 냉매 가스누설, 피스톤의 미끄럼 운동 불량이라는 문제가 생긴다. 후바 하우징(3)내의 수용실(20)에 로터리 밸브(21)를 수용하는 구성은 종래의 로터리 밸브 수용 구성에 비교하여 실린더 블록(1)의 강도 확보의 위에 유리하며 실린더 블록(1)이 변형에 기인하는 문제는 해소된다.
밸브 플레이트(11)를 로터리 밸브(21)의 밸브 시트로한 구성에서는 로터리 밸브(21)의 지름이 토출 포트(11-7)의 배열 반경의 제약을 받지만 로터리 밸브(21)의 바깥 둘레 테두리가 실린더 보어(16)의 배열 반경의 안까지 넣을 수 있다. 즉, 실린더 블록(1)을 로터리 밸브(21)의 밸브 시트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로터리 밸브(21)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밀폐 단면(21-3)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실질적인 밀폐면적의 증대는 밀폐성을 높인다.
뿐만아니라, 본 실시에에서는 포착홈(24)의 입구홈(24-1)이 예를 들면 압축실(16-1)의 흡입 포트(11-1)에 접속한 때에는 출구홈(24-2)이 압축실(16-3)의 흡입 포트(11-3)에 접속된다. 편두 피스톤(17)이 상사점 위치에 배치된 때에도 압축실의 용적은 영이 아닌 압축냉매 가스가 압축실에 잔류한다.
압축 행정에 들어간 압축실(16-1)의 잔류 냉매 가스는 포착홈(24)을 거쳐서 토출 행정에 들어간 압축실(16-3)에 유입된다.
흡입 행정에 들어간 압축실의 잔류 냉매 가스가 그대로 남으면 그 잔류 냉매 가스분 만큼 냉매 가스를 흡입실(3-2)에서 압축실(16-1)에 흡입되지 않게 되며 체적 효율이 저한한다. 본 실시에에서는 잔류 냉매 가스의 일부가 압축 해정에 들어간 이외의 압축실에서 압축되기 때문에 체적 효율이 향상된다.
입구홈(24-1)의 폭 각도(θ1)는 흡입 포트(11-j)의 폭 각도(θ0)보다도 가급적으로 작게 되어 있다. 입구홈(24-1)의 폭 각도(θ1)가 작은 만큼  구홈(24-1)과 흡입 포트(11-j)와의 접속 종료 타이밍이 빠르며 흡입 행정에 들어간 압축실(16-j)의 용적 증대에 의해 압축실(16-j)의 압력이 즉시 흡입 통로(23)내의 압력 보다도 저하한다. 따라서, 흡입 토로(23)와 압축실(16-j)이 연통하면 흡입실(3-2)의 냉매 가스가 압축실(16-j)에 즉시 유입된다. 즉, 입구홈(23-1)의 폭 각도(θ1)의 크기는 체적 효율의 향상에 영향을 주며 폭 각도(θ1)가 작은 만큼 체적 효율이 향상한다.
포착홈(24)내를 충분히 저압으로 하지 않은 그대로 입구홈(24-1)의 폭 각도(θ1)를 작게 하면 잔류 가스 방출을 원활히 행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포착홈(24)내의 저압화는 입구홈(24-1)의 폭 각도(θ1)을 작게 하는데에 필요하다.
출구홈(24-2)과 흡입 포트(11-j)와의 접속 기간을 길게 하면 포착홈(24)내의 저압화가 확실하게 된다. 출구홈(24-2)과 흡입 포트(11-j)와의 접속기간의 확대는 출구홈(24-2)의 폭 각도(θ2)를 넓게 하는 것으로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제6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로터리 밸브(21)에 배압 도입 통로(21-5)가 마련되어 있다. 배압 도입 통로(21-5)는 출구홈(24-2)에서 배단면(21-2)에 거쳐서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포착홈(24)내의 냉매 가스가 배압 영역(20-2)에 도입된다. 포착홈(24)내의 압력은 흡입 포트(11-j)로부터의 누설 가스의 압력보다도 낮으며 배압 영역(20-2)의 배압이 과대하게 되는 일은 없다. 과대한 배압은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미끄럼 접합저항을 과대하게하여 동력 손실이 크게 된다.
이어서, 제7도의 실시에를 설명한다. 본 실시에에서는 배압 도입 통로(21-6)는 포착홈(24)에 의해 포위된 밀폐 단면(21-3) 위의 부분에서 배단면(21-2)에 거쳐서 관통 설치되어 있다. 배압 도입 통로(21-6)는 압축 행정 중의 압축실 흡입 포트에 접속하며 압축 행정 중의 압축실의 냉매 가스가 배압 영역(20-2)에 도입된다. 이 압축 행정 중의 냉매 가스압은 흡입 포트(11-j)에서의 누설 가스의 압력 보다도 낮으며 배압 영역(20-2)의 배압이 과대하게 되는 일은 없다.
이어서 제8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실(20)의 저면과 로터리 밸브(21)의 배단면(21-2)과의 사이에 스러스트 베어링(31) 및 압축 스프링(32)이 기재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21)의 둘레면과 수용실(20)의 둘레면과의 사이에는 밀폐 링(55)이 개재되어 있다. 압축 스프링(32)은 스러스트 베어링(31)을 거쳐서 로터리 밸브(21)를 밸브 플레이트(11)에 눌러 접합한다. 즉, 스러스트 베어링(31) 및 압축 스프링(32)은 부가 수단을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밀폐 단면(21-3)과 밸브 플레이트(11)와의 사이의 밀폐성이 압축 스프링(32)의 스프링 힘에 의해 확보된다.
이어서 제9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블록(1)이 로터리 블록(21)의 밸브 시트로 되며 로터리 밸브(21)의 밀폐단면(21-3)이 실린더 블록(1)의 단면에 미끄럼 저합한다. 실린더 블록(1)을 로터리 밸브(21)의 밸브 시트로한 구성에서는 로터리 밸브(21)의 바깥 둘레가 실린더 보어(16)의 배열 반경의 제약을 받으며 로터리 밸브(21)의 바깥 둘레 테두리가 실린더 보어(16)의 배열 반경의 안까지 들어가지 않으며, 제1실시에의 경우와 비교하여 밀폐 단면(21-3)의 면적이 줄어든다. 그러나 밸브 플레이트(11)의 반경 중심부가 로터리 밸브(21)의 밀폐 단면(21-3)의 면적 분만큼 없어지면 거기에다 후방 하우징(3)의 길이가 짧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 전체가 제1실시예에 비교하여 경량으로 된다.
이어서, 제10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토출 밸브 형성 플레이트(54)가 로터리 밸브(21)의 밸브 시트로 되며 로터리 밸브(21)의 밀폐 단면(21-3)이 토출 밸브 형성 플레이트(54)에 미끄럼 접합한다. 휨 변경되는 토출 밸브(54-1)를 형성하는 토출 밸브 형성 플레이트(54)는 철 제품이지만 경량화를 위해 로터리 밸브(21)를 알루미늄 제품으로 하면 로터리 밸브(21)는 다른 금 속의 밸브 시트와 미끄럼 접합은 같은 종류 금속기리의 미끄럼 접합과 비교하여 마모방지의 유리함이 있다.
이어서 제11도의 실시에를 설명한다. 이 실시에에서는 1쌍의 실린더 블록(33,34)이 체결 접합되어 있다. 사판(36)을 장착한 회전축(35)의 주위에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33-1,34-1)(도시에서는 1개만을 도시함)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전후로 쌍을 이루는 실린더 보어(33-1,34-1)내에는 양두 피스톤(37)이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양두 피스톤(37)은 실린더 보어(33-1,34-1)내에 압축실(33-2,34-2)을 구획 형성한다. 사판(36)의 회전은 슈(38)를 거쳐서 양두 피스톤(37)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양 실린더 블록(33,34)에는 전방 하우징(39) 및 후방 하우징(40)이 밸브 플레이트(41,42)를 거쳐서 접합 고정되어 있다. 양 하우징(39,40)에는 회전축(3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회전축(35)에는 사판(36)이 고정 장착되어 있다. 양 하우징(39,40)내에는 흡입실(39-1,40-1) 및 토출실 (39-2),40-2)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하우징(39,40)의 반경 중심부는 수용실(43,33)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실(43,44)은 흡입실(39-1,40-1)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실(43,44)에는 로터리 밸브(45,46)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45,46)는 미끄럼 가능하며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회전축(35)에 연결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45,46)는 제1실시예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로터리 밸브(45,46)에는 유입 통로(47,48)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밸브(45,46)의 밀폐 단면(45-1,46-1)에는 포착홈(49,50)이 제1실시에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밸브(45,46)의 배단면(45-2,46-2)은 수용실(43,44)내에 배압 영역(43-1,44-1)을 구획한다.
도시하지 않은 외부 냉매 화로의 냉매 가스는 사판실(51)에 도입된다. 사판실(51)내의 냉매 가스는 통로(33-3,34-3)을 거쳐서 흡입실(39-1,40-1)로 유입된다. 흡입실(39-1,40-1)내의 냉매 가스는 밸브 플레이트(41,42) 위의 흡입 포트(41-1,42-1)에서 압축실(33-2,34-2)에 흡입된다. 압축실(33-2,34-2)내의 냉매 가스는 밸브 플레이트(41,42) 위의 토출 포트(41-2,42-2)에서 토출 밸브(52,53)를 눌러 내어 토출실(39-2,40-2)에 토출된다.
배압 영역(43-1,44-1) 위에는 흡입 포트(41-1,42-1)에서의 누설 가스가 도입되며 배압 영역(43-1,44-1)내의 배압이 로터리 밸브(45,46)의 밀폐 단면(45-1,46-1)을 밸브 플레이트(41,42)에 눌려 접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밀폐효과 및 실린더 블록(33,34)의 강도 확보의 유리성이 얻어진다.
거기에다 본 발명에서는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를 밸브 플ㄹ레이트의 밸브 시트로 하거나 로터리 밸브의 밀폐 단면을 볼록 형상 또는 오목 형상의 테이퍼 둘레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파악되는 청구상 이외의 기술 사상에 관하여 아래에 그 효과와 함게 기재한다.
(1) 청구항 제8항 기재의 로터리 밸브에 대한 밸브 시트는 실린더 블록과 하우징과의 사이에 개재된 토출 밸브 형성 플레이트인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로터리 밸브의 밀폐 단면에 있어서의 마찰 방지 및 로터리 밸브의 경량화 라는 효과가 얻어진다.
(2) 청구항 제8항 기재의 로터리 밸브에 대한 밸브 시트는 실린더 블록인 피스톤 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압축기를 경량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기한 것 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에 연동하는 로터리 밸브에 흡입 경로를 마련함과 함게 밀폐 단면위에 흡입 통로의 출구를 마련하며 로터리 밸브의 배단면측에서 밀폐 단면측에 로터리 밸브를 부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밀폐 단면에 따른 냉매 가스 누설을 제어하여 체적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이룬다.

Claims (9)

  1. 회전축(4)의 주위에 배열된 복수의 실린더 보어(16)내에 피스톤(17)을 수용함과 함게 회전축(4)의 회전에 연동하여 피스톤(17)을 왕복 운동시키는 피스톤 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구조에 있어서, 피스톤(17)에 의해 실린더 보어(16)내에 구획되는 압축실(16-1~16-6)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통로(23)를 로터리 밸브(21)로 형성함과 함께 흡입 통로(23)의 출구(23-2)를 로터리 밸브(21)의 밀폐 단면(21-3) 위에 구비하며, 피스톤(17)의 왕복 운동에 동기되어 상기 압축실(16-1~16-6)의 흡입 포트(11-6~11-6)와 상기 흡입 통로의 출구(23-2)를 순차 연통하도록 상기 회전축(4)에 상기 로터리 밸브(21)를 연동하여 로터리 밸브(21)의 배단면측(21-2)에서 밀폐 단면측(21-3)에 로터리 밸브(21)를 부가하는 부가 수단(20-2)을 구비한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단면(21-3)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토출 행정 종료 전후의 상태에 있는 압축실(16-1)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11-1)와, 압축 행정에 들어간 압축실(16-3)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11-3)를 회전축(4)의 회전에 동기하여 연통함과 함께, 상기 양 흡입 포트(11-1,11-3)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단면(21-3)의 부분을 포위하는 포착홈(24)을 상기 로터리 밸브(21)의 밀폐 단면(21-3) 위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밸브(21)를 수용하는 수용실(20)내에 상기 로터리 밸브(21)의 배단면(21-2)에 의해 배압 영역(20-2)을 구획하며 흡입압 보다도 높은 압력 영영과 상기 배압 영역(20-2)을 연통하여 부가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영역은 흡입 포트(11-1~11-6)이며, 상기 흡입 포트(11-1~11-6)와 배압 영역(20-2)과는 로터리 밸브(21)의 표면에 따른 틈새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영역은 흡입 포트(11-1~11-6)이며, 상기 흡입 포트(11-1~11-6)와 배압 영역(20-2)과는 로터리 밸브(21)에 관통 설치된 배압 도입 통로(21-5,21-6)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영역은 포착홈(24)이며, 상기 포착홈(24)과 배압 영역(20-2)과는 로터리 밸브(21)에 관통 설치된 배압 도입 통로(21-5)를 거쳐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밸브(21)를 수용하는 수용실(20)은 상기 실린더 보어(16)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1)에 조립되어 토출실(3-1)을 형성하는 하우징(3)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밸브(21)의 밀폐 단면(21-3)과 미끄럼 접합하는 밸브 시트는, 상기 실린더 블록(1)과 상기 하우징(3)과의 사이에 개재된 밸브 플레이트(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 가스 흡입 구조.
KR1019950024949A 1994-08-16 1995-08-14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KR0158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95561 1994-08-16
JP94-192561 1994-08-16
JP6192561A JPH0861239A (ja) 1994-08-16 1994-08-16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050A KR960008050A (ko) 1996-03-22
KR0158507B1 true KR0158507B1 (ko) 1999-03-20

Family

ID=1629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949A KR0158507B1 (ko) 1994-08-16 1995-08-14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62425A (ko)
JP (1) JPH0861239A (ko)
KR (1) KR0158507B1 (ko)
DE (1) DE19530127C2 (ko)
TW (1) TW35783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6529A (ja) * 1997-01-10 1998-07-31 Sanden Corp 往復動型圧縮機
JP3832012B2 (ja) * 1997-03-31 2006-10-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可変容量型圧縮機
JP3880158B2 (ja) * 1997-10-21 2007-02-1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斜板式圧縮機
JP2000018153A (ja) 1998-06-30 2000-01-18 Sanden Corp 斜板式圧縮機
JP3896712B2 (ja) * 1998-12-09 2007-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3067107B1 (ja) * 1999-04-19 2000-07-17 富士インジェクタ株式会社 冷暖房サイクル装置と冷凍サイクル装置
US6318972B1 (en) * 2000-03-30 2001-11-20 Ford Motor Technologies, Inc. Valve recess in cylinder block of a compressor
US7367783B2 (en) * 2003-03-07 2008-05-06 Honda Motor Co., Ltd. Rotating fluid machine
US7153105B2 (en) * 2003-04-24 2006-12-26 Haldex Brake Corporation Compressor with swash plate housing inlet port
JP2005163582A (ja) * 2003-12-01 2005-06-23 Honda Motor Co Ltd 回転流体機械
JP2005163714A (ja) * 2003-12-04 2005-06-23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JP2006009789A (ja) * 2004-05-25 2006-01-12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US7255542B2 (en) * 2005-05-31 2007-08-14 Scroll Technologies Compressor with check valve orientated at angle relative to discharge tube
JP4728097B2 (ja) * 2005-11-04 2011-07-2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圧縮機
JP2008031857A (ja) * 2006-07-26 2008-02-14 Calsonic Kansei Corp 圧縮機
JP4730317B2 (ja) * 2007-02-02 2011-07-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5478579B2 (ja) 2011-09-29 2014-04-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US9765764B2 (en) 2014-04-07 2017-09-19 Hanon Systems Hinge mechanism for a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US20150285230A1 (en) * 2014-04-07 2015-10-08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 Seal structure for a rotary valve compresso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201A (en) * 1919-12-23 1920-06-10 Larsson Sven Machine, applicable as a pump or compressor
JPH04119370A (ja) * 1990-09-10 1992-04-20 Matsushita Graphic Commun Syst Inc カラー画像記録装置
JP2616295B2 (ja) * 1991-09-02 1997-06-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冷凍装置用斜板式圧縮機
US5429482A (en) * 1991-09-11 1995-07-0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Reciprocatory piston type compressor
TW223139B (ko) * 1991-10-23 1994-05-01 Toyoda Automatic Loom Co Ltd
JPH05202848A (ja) * 1992-01-29 1993-08-10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JP3079743B2 (ja) * 1992-02-21 2000-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US5419685A (en) * 1992-08-07 1995-05-30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Reciprocating-piston-type refrigerant compressor with a rotary-type suction-valve mechanism
US5397218A (en) * 1992-08-07 1995-03-1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upport mechanism for a rotary shaft used in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3111670B2 (ja) * 1992-08-07 2000-11-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JPH06117367A (ja) * 1992-10-02 1994-04-2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往復動型圧縮機
JP3080279B2 (ja) * 1992-10-05 2000-08-2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往復動型圧縮機
US5486098A (en) * 1992-12-28 1996-01-23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Swash plate type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61239A (ja) 1996-03-08
TW357839U (en) 1999-05-01
KR960008050A (ko) 1996-03-22
US5562425A (en) 1996-10-08
DE19530127A1 (de) 1996-02-22
DE19530127C2 (de) 199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507B1 (ko)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KR970001136B1 (ko) 왕복운동형 압축기
JP3111670B2 (ja) 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US6988875B2 (en) Lubricating structure in fixed displacement piston type compressor
US5947698A (en) Piston type compressor
JP2004278360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KR19980041794A (ko) 압축기에서의 하우징의 연결구조
JPH10266965A (ja) 往復動型圧縮機
KR970001133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의 냉매가스 흡입구조
US5368450A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US20030059316A1 (en) Multistage type piston compressor
US9341174B2 (en) Compressor
KR970004809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냉매가스 흡입구조
JP3111668B2 (ja) ピストン式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US5366350A (en) Gas guiding mechanism in a piston type compressor
JP3517938B2 (ja) 往復動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KR970001130B1 (ko) 경사판식 압축기
KR970001137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서 냉매가스 흡입구조
KR970004384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냉매가스 흡입구조
JP2001132629A (ja) 斜板式圧縮機
KR970004386B1 (ko) 피스톤식 압축기에 있어서 냉매가스 흡입구조
JP3520557B2 (ja) 往復動型圧縮機における冷媒ガス吸入構造
US5375981A (en) Refrigerant gas guiding mechanism in piston type compressor
JP3013617B2 (ja) 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回転軸支持構造
JPH05231308A (ja) ピストン型圧縮機における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