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285B1 - 방전가공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가공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285B1
KR0158285B1 KR1019950004742A KR19950004742A KR0158285B1 KR 0158285 B1 KR0158285 B1 KR 0158285B1 KR 1019950004742 A KR1019950004742 A KR 1019950004742A KR 19950004742 A KR19950004742 A KR 19950004742A KR 0158285 B1 KR0158285 B1 KR 015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ime
discharge machining
workpiece
loa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597A (ko
Inventor
아끼라 후지이
기요시 가네다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마끼노 지로
가부시끼가이샤 마끼노후라이스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뽕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마끼노 지로, 가부시끼가이샤 마끼노후라이스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5002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14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 B23H7/18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for maintaining or controlling the desired spacing between electrode and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1/00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e. removing metal with a series of rapidly recurring electrical discharges between an electrode and a workpiece in the presence of a fluid dielectric
    • B23H1/02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control,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 B23H1/022Electr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power supply, control, preventing short circuits or other abnormal discharges for shaping the discharge pulse t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Abstract

방전 가공 방법은 가공 전극과 피가공물 사이의 방전 가공 간격에 소정의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에 따라 간헐적으로 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방전 발생중에 가공 전극과 피가공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방전가공중에 방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방전 주파수에 근거한 방전 반복 주기로부터 소정의 통전시간과 휴지시간을 감산함으로써 무부하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무부하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가공 전극과 피가공물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전 가공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전 가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2a도 및 제2b도는 각각 제1도에 있어서의 장치의 극간 전압의 파형과 방전 개시 신호를 나타내는 차트.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방전 개시 검출기의 블럭도.
제4도는 무부하시간을 얻는 흐름도.
제5도는 무부하시간(tw) 과 전극 및 피가공물의 상대적인 이송 속도(Fp)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을 사용한 단계적 가공 표면의 가공을 설명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스위칭 소자 20 : 방전 개시 검출기
20a : 연산 증폭기 20b : 비교기
20c : 미분기 21, 41 : 카운터
30a : 주파수 검출기 30b : 무부하시간 연산기
30c : 위치 제어기 30d : 메모리
32 : 펄스열 발생기 41 : 쇼트 신호 발생기
본 발명은 방전 가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무리 가공등의 고주파 영역에서도 안정한 서보 이송 가공을 가능하게 하는 방전 가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전 가공에 있어서, 전극과 피가공물 사이 (가공간극) 에 전압 펄스가 인가되어 그 사이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소정의 통전시간(Ton) 및 휴지시간(Toff) 이 반복 되어 피가공물을 가공한다. 일반적으로 전압 펄스 인가시부터 방전 개시 까지의 시간을 무부하 전압 인가 시간이라 칭한다.(이후로는 간단하게 무부하시간이라 칭함). 방전 개시시 부터 방전 종료까지의 시간을 통전시간(Ton),,방전 종료시 부터 다음 전압 펄스 인가시까지의 시간을 휴지시간(Toff)으로 한다.
방전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극과 피가공물간의 상대적 이송 속도가 제어되어야 한다. 이러한 형태의 이송 속도 제어로서, 통상적으로 가공 간극에서 발생되는 전극간 전압(펄스 전압)이 필터 회로에 의해 평균화 되어 평균 전압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도록 이송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 클럭 펄스등을 사용함으로서 직접적으로 무부하시간을 카운트하고, 얻어진 무부하시간에 근거하여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본국 특허 공개번호 제 50-1499호 및 제 2-109633호).
필터 회로를 사용해서 전극간 전압의 평균 전압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극간 전압의 평균 전압은 듀티비(duty ratio) (1주기 동안 무부하시간의 비)에 따라 변화한다. 높은 방전 주파수의 가공 영역(마무리 가공등)에서는, 일반적으로 무부하시간이 휴지시간등 보다 짧은 가공 방법이 이용되었다. 이러한 경우 , 듀티비는 작게 되며, 평균 전압값은 또한 크게 감소되어서, 분해능이 떨어지고, 결국 평균 전압을 기초로하는 안정한 서보 이송을 실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무부하시간이 직접적으로 카운트되는 방법은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애벌(rough) 가공 영역에서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방전 주파수가 1MHZ정도 높은 마무리 영역에서는, 무부하시간이 상당히 짧아지며, 무부하시간을 카운트하는 회로 배치가 복잡하고, 카운트의 정확성이 떨어진다. 또한, 이 방법에 있어서, 무부하시간은 미리 설정된 샘플링 주기에서 카운트되고 측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전 주파수가 변화할 경우에, 미리 설정된 방전 주파수에서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무부하시간이 항상 정확하게 측정될 수는 없다.
상술한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마무리 가공등의 고주파 영역에서는 안정한 서보 이송 가공이 수행될 수 없으므로, 많은 경우에 일정한 속도의 이송 가공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부하시간에 근거하여 방전 가공 간극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방전 가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높은 방전 주파수 영역에서도 안정한 서보 이송을 할 수 있는 방전 가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 전극과 피가공물 사이의 방전 가공 간극에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에 따라 간헐적으로 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와, 방전 발생중에 가공 전극과 피가공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방전 가공중에 방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방전 주파수에 근거하여 무부하시간을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된 무부하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가공 전극과 피가공물간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방전 가공 방법을 제공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전 가공 장치를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전 장치로서 와이어 방전 가공 장치 뿐만 아니라 형조방전 가공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피가공물(1)과 와이어 전극(2)의 상대적인 위치는 각각 서보 모터(5, 6)에 의해 X축 및 Y축을 따라 제어된다. 상기 피가공물(1)과 상기 와이어 전극(2) 사이에는 가공 간극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 전극(2)은 가이드 (3)사이에 연장하여 설치된다. 상기 가공 간극에는 DC 전원 (7), 스위칭 소자 (트랜지스터) (8), 저항(9), 그리고 급전자(4)를 통해서 전압 펄스가 간헐적으로 인가된다.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간극에 전압 펄스가 인가되어 방전이 발생할 경우에, 극간 전압은 감소한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간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아질 경우, 방전 개시 검출기(20)는 방전 개시 신호를 방생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전개시 검출기(20)는 극간 전압을 분압하여 받는 연산 증폭기(20a)와, 분압된 극간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V0)과 비교하여 상기 극간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V0)보다 낮아지면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20b)와, 상기 비교기(20b)로 부터의 출력을 미분하는 미분기(20c)로 구성된다. 참조 부호(R1~ R5)는 저항 소자를 나타낸다.
CPU(중앙 처리장치) (30)는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이며, 가공중의 방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기 (30a), 무부하시간을 연산하기 위해서 상기 주파수 검출기(30a)로 부터의 방전 주파수를 기초로 하여 방전 반복 기간으로부터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을 감산하는 무부하시간 연산기(30b), 무부하시간 연산기(30b)로 부터의 무부하시간을 기초로 하여 모터 드라이버(31)를 통해 서보 모터(5, 6)를 구동시켜 가공 전극 (2)과 피가공물(1)간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기(30c), 그리고, 미리 설정된 데이타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 되는 통전시간(Ton) 및 휴지시간(Toff)를 저장하는 메모리(30d)를 구비한다.
펄스열 발생기(32)는 CPU(30)로 부터 메모리(30d)에 저장된 통전시간(Ton), 휴지시간(Toff)등과 같은 펄스 발생 데이타를 받아서 미리 설정된 펄스 열을 발생한다. 상기 펄스열 발생기(32)는 이 펄스열을 아이솔레이션 증폭기(10)로 출력하여 스위칭 소자(8)를 온/오프 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펄스열은 방전 개시 신호 발생후의 통전시간(Ton)동안에만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킨다. 그 이후에, 이 스위칭 소자(8)는 휴지시간(Toff)동안에만 턴오프 된다. 상기 휴지시간(Toff)경과 후에, 이 스위칭 소자(8)는 다시 턴온 된다.(제2b도 ).
카운터(21)는 상기 방전 개시 신호가 발생하는 매 시간 마다 펄스의 수를 카운트 한다. 상기 CPU(30)는 미리 설정된 샘플링 주기 (TSAM)마다 상기 카운터(21)로 부터의 출력인 방전 펄스 데이타(Nd)를 읽는다. 상기 카운터(21)는 이 방전 펄스 데이타의 판독시에 리셋된다.
방전 주파수(fm), 무부하시간(tw), 통전시간(Ton), 휴지시간(Toff)은 하기의 식으로 나타낸 관계를 만족한다. :
fm·(tw+ Ton+ Toff) = 1 ·············· (1)
상기 방전 주파수(fm)는 방전 펄스 데이타(Nd)와 상기 샘플링 주기(TSAM)로 부터 계산되고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fm= Nd/ TSAM·············· ····(2)
그러므로, 상기 무부하시간(tw)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tw= 1 / fm- ( Ton+ Toff)
= TSAM/ Nd- ( Ton+ Toff) ······· ···· (3)
상술한 진행과정은 제 4 도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다. CPU(30)의 주파수 검출기(30a)는 카운터(21)의 출력값(Nd)을 읽는다(단계 S101). 이 출력값(Nd)을 샘플링 주기(TSAM)로 나누어 방전 주기(fm)를 구한다(단계 S102). 연속하여, 무부하시간 연산기(30b)는 메모리(30d)로부터 시간(Ton, Toff)을 읽는다(단계 S103). 상기 무부하시간(tw)은 제 (3)식에 의하여 계산된다(단계 104).
제5도는 무부하시간(tw)과 상기 전극(2) 및 피가공물의 상대적인 이송 속도(FP)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관계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 속도 (FP)는 이 관계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tw= two일 경우 FP=0가 되어 정지 상태가 설정된다. twtwo일 경우 FP0이 되어 전진 상태가 설정된다.
twtwo일 경우 FP0이 되어 후퇴상태가 설정된다. 제5도에서, 무부하시간(tw)이 목적값(tWP)보다 작을 경우, 상기 이송 속도는 낮다. 이 이유로, 가공량은 증가하고, 가공 간극은 커진다. 상기 무부하시간(tw)은 점차로 변화하여 목적값(tWP)으로 근접한다. 반면, 무부하시간(tw)이 목적값(tWP)보다 클 경우, 상기 이송 속도는 높다. 이 이유로, 가공량은 감소하고, 가공 간극은 작아진다. 상기 무부하시간(tw)은 점차로 변화하여 목적값(tWP)에 근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무부하시간(tw)은 최종적으로 상기 목적값(tWP)에 안정된다.
CPU (30)의 위치 제어기(30c)는 제 (3)식에서 얻어진 무부하시간(tw)에 의해 결정된 이송 속도 (FP)와 미리 설정된 가공궤적 데이타에 의해 결정된 위치 데이타를 모터 드라이버(31)에 지령한다. 그 결과, 서보 모터 (5, 6)를 구동하여 바람직한 무부하시간(tw)이 얻어질 수 있도록 이송 속도 (FP)를 제어한다.
안정된 방전 가공중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가공 간극 길이는 무부하시간의 함수로 고려된다. 무부하시간이 길 경우에는 상기 가공 간극의 길이도 길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무부하시간에 따라 이송 속도가 제어될 경우에, 소정의 가공 간극 길이가 얻어진다. 따라서, 매끄럽게 마무리된 표면을 제조할 수 있다. 이 공정을 제6a도 및 제 6b 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가공전에는,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가공물(1)의 A부에서 가공 간극이 비교적 작고 무부하시간도 짧아진다. 제5도로 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이송 속도(FP1)는 작아져서 가공량을 감소 시킨다. 반면, B 부에서는, 가공 간극이 커지고 무부하시간도 길어진다. 이송 속도(FP2)는 이송 속도(FP1)보다 커져서 가공량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 상기 A 부는 B 부 보다 많은 양이 가공된다. 가공후에는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가 없는 피가공물(1)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과는 상이하게 극간 전압의 평균 전압에 근거하여 제어가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극간 전압의 듀티비 (1주기 동안의 무부하시간의 비율)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서보 이송 가공을 할 수 있다. 또한, 무부하시간이 직접적으로 카운트되는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무부하시간이 방전 주파수를 기초로 하여 카운트 된다. 따라서, 고주파 영역에서도 무부하시간이 정확하게 측정되고, 안정된 서보 이송 가공이 실현된다.
제7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전 가공 장치의 주요부가 도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쇼트 신호 발생기(41)와 카운터(42)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CPU (30)에는 쇼트 검출 수단 (30e)과 리셋 수단(30f)이 제공되어 있다. 제7도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하고 그 동일한 구성 요소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 가공중에 쇼트가 검출될 경우, 통전시간(Ton) 및 휴지시간(Toff)을 새로이 설정하고, 쇼트 상태에서의 통전시간(Ton) 과 휴지시간(Toff)에 근거하여 무부하시간(tw)을 연산한다.
제7도를 참조하면, 상기 쇼트 신호 발생기(41)는 방전 개시 검출기(20)의 연산 증폭기(20a)의 출력측에 접속된다. 가공 간극에 정규 방전 전압이 인가되기 전에 낮은 서치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서치 전압의 전압값에 의해 쇼트의 발생여부가 체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쇼트 신호 발생기 (41)의 입력 전압이 소정의 서치 시간 (TS) 내에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Vref)에 달하지 못할 경우에, 이 쇼트 신호 발생기(41)는 쇼트로 결정하여 카운터(42)로 쇼트 신호(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이 쇼트 신호 발생기(41)는 예컨데, 비교기, 펄스 발생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치 시간(TS) 및 기준 전압(Vret)등의 데이타는 CPU(30)로 부터 공급된다. 상기 카운터(42)는 쇼트 신호의 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값(NS)을 CPU(30)로 출력한다. CPU(30)의 상기 쇼트 검출기(30e)는 상기 값(NS)으로 부터 쇼트 상태의 여부를 체크한다. 따라서, 상기 리셋 유닛(30f)은 메모리 (30d)에 따라서 쇼트상태시의 통전시간(Ton), 과 휴지시간(Toff),에 근거하여 제 (3)식으로 부터 결정된다. 그 이후에 제1 실시예와 같이 가공간극이 제어된다.
상기 제2실시예는 쇼트 상태를 예로 들었지만, 여타의 경우와 같이 가공중에 통전시간(Ton) 및 휴지시간(Toff)이 변하는 경우에, 동일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중에 방전 주파수를 검출하고,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에 근거하여 무부하시간을 연산하므로써, 고주파 영역에서도 무부하시간을 정확하게 연산한다. 이 이유로 마무리 가공등과 같은 고주파 영역에서, 안정한 서보 이송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2)

  1. 가공전극(2)과 피가공물(1)사이의 방전 가공 간극에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에 따라 간헐적으로 전압펄스를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방전 발생중에 상기 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을 상대적으로 이동 시켜서 방전가공을 수행하는 단계와, 방전 가공중에 방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와,상기 검출된 방전 주파수에 근거하여 무부하시간을 연산해내는 단계와,상기 연산된 무부하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시간을 연산해내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방전 주파수에 근거하여 방전 반복 주기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의 감산에 의해 무부하시간을 연산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시간을 연산해내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방전 주파수의 역수로부터 상기 방전 반복 주기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연산해 내어진 무부하시간에 의해 결정된 상대적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가공전극과 피가공물의 상대적 이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간의 쇼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쇼트 검출시에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방법.
  6. 가공전극(2)와 피가공물(1)간의 방전 가공 간극에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에 따라 간헐적으로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 유닛(7-10)과, 방전 발생중에 상기 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가공물의 방전가공을 수행하는 이동수단(5,6)과, 방전 가공중에 방전 주파수를 검출하는 주파수 검출 수단(30a)과, 상기 주파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방전 주파수에 근거하여 무부하시간을 연산해내는 연산 수단(30b)과, 상기 연산 수단으로 부터의 무부하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수단을 구동시켜 상기 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 수단(30c)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30b)는, 무부하시간을 연산해내도록 상기 주파수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방전 주파수에 근거하여 방전 반복 주기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을 감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30d)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을 판독하여 상기 무부하시간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간의 방전 가공 간극에서 발생하는 전극간 전압에 근거하여 방전의 개시를 검출하는 방전 개시 검출 수단(20)과, 상기 방전 개시 검출 수단으로부터의 방전 개시 신호를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21)을 더 구비하며, 상기 주파수 검출 수단은, 임의의 미리 설정된 샘플링 주기에서 상기 카운트 수단으로부터 카운트 값을 분리하여 상기 방전 주파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제어 수단은, 상기 연산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무부하시간에 의해 결정되는 상대적 이송속도에 따라서 상기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의 상대적 이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방전 가공중에 가공상태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양자를 미리 리셋하는 리셋수단(30f)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리셋 수단에 의해 리셋된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양자를 이용하여 상기 무부하시간을 연산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가공전극과 상기 피가공물간의 방전 가공 간극에 또다른 임의의 미리 설정된 서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방전 가공 간극의 쇼트 상태를 검출하는 쇼트 검출 수단(30e)을 더 구비하며, 상기 리셋 수단은, 상기 방전 가공 간극의 쇼트 상태의 검출시 상기 통전시간 및 휴지시간 중 어느 하나 혹은 그 양자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 가공 장치.
KR1019950004742A 1994-03-09 1995-03-08 방전가공방법 및 장치 KR0158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65732 1994-03-09
JP6065732A JP3006818B2 (ja) 1994-03-09 1994-03-09 放電加工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97A KR950026597A (ko) 1995-10-16
KR0158285B1 true KR0158285B1 (ko) 1999-01-15

Family

ID=13295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742A KR0158285B1 (ko) 1994-03-09 1995-03-08 방전가공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45870A (ko)
JP (1) JP3006818B2 (ko)
KR (1) KR0158285B1 (ko)
DE (1) DE1950827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9427A (en) * 1995-09-01 1997-11-1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al feedrate control on wire-cutting electric discharging machine (WEDM)
TW386921B (en) * 1998-06-24 2000-04-1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efficiency
JP4255634B2 (ja) 2001-11-29 2009-04-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および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2003165031A (ja) * 2001-11-29 2003-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005066738A (ja) * 2003-08-22 2005-03-17 Fanuc Ltd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の加工制御方法
JP5073797B2 (ja) * 2010-08-26 2012-11-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加工状態を検出するワイヤ放電加工機
US9452483B2 (en) * 2012-11-14 2016-09-27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die sinking device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JP5739563B2 (ja) 2013-07-24 2015-06-2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平均放電遅れ時間算出手段を備えたワイヤ放電加工機
US9346113B1 (en) 2015-03-19 2016-05-24 Johnson Technology, Inc.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JP6227599B2 (ja) * 2015-08-25 2017-11-0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極間距離を一定にするワイヤ放電加工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9639A (en) * 1958-06-09 1961-04-11 Firth Sterling Inc Pilot pulse spark machining methods and apparatus
US3916138A (en) * 1964-02-25 1975-10-28 Charmilles Sa Ateliers Apparatus for machining through varying-frequency constant-duration pulse-controlled electric discharges
JPS501499A (ko) * 1973-05-10 1975-01-09
US4292490A (en) * 1977-05-06 1981-09-29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power supply with digitally controlled on and off time and protective system
JPS58211826A (ja) * 1982-05-28 1983-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装置
DE3416249A1 (de) * 1983-05-02 1984-11-08 Mitsubishi Denki K.K., Tokio/Tokyo Einrichtung zum bearbeiten mittels einer entladung
JPS60197319A (ja) * 1984-03-19 1985-10-05 Brother Ind Ltd 放電加工機
JPS6188770A (ja) * 1984-10-05 1986-05-07 Amada Co Ltd 放電加工装置の電流制御回路
JPH0276625A (ja) * 1988-09-13 1990-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放電加工装置
JPH0775805B2 (ja) * 1988-10-17 1995-08-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放電加工機
DE59202455D1 (de) * 1991-12-23 1995-07-13 Agie Ag Ind Elektronik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Funkenerosionsmaschine.
JP3258368B2 (ja) * 1992-05-01 2002-0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97A (ko) 1995-10-16
DE19508271A1 (de) 1995-09-14
JP3006818B2 (ja) 2000-02-07
JPH07246519A (ja) 1995-09-26
DE19508271C2 (de) 1999-04-15
US5545870A (en) 1996-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2381B2 (en) Controller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CA1287119C (en)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KR0158285B1 (ko) 방전가공방법 및 장치
EP2272613B1 (en)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with function to suppress local production of streaks during finish machining
JP2004283968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制御装置
KR20180138158A (ko)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장치, 및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제어 방법
JP3733538B2 (ja) 放電加工機の位置決め装置及びその方法
JPH0911043A (ja) 放電加工方法及び放電加工装置
EP1410865A2 (en) Electric discharge apparatus
JP2002154015A (ja) 放電加工機の接触検出装置
JPH059209B2 (ko)
JP3367345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
JP2000015524A (ja) 放電加工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767882B2 (ja) 放電加工機
KR101760138B1 (ko) 와이어 방전기의 서보추종제어장치 및 방법
JP2801280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電源
JPS63200918A (ja) 放電加工装置
JP3006817B2 (ja) 放電加工方法および装置
EP0185101A1 (en) Power source for discharge machining
JP2657325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839628B2 (ja) 放電加工装置
JPH05212618A (ja) 放電加工装置
JPH07112325A (ja) 放電加工機用電源装置
EP0696488B1 (en)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an electrical discharge interval control method using the power supply apparatus
JP2813595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装置用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