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259B1 -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259B1
KR0158259B1 KR1019950025339A KR19950025339A KR0158259B1 KR 0158259 B1 KR0158259 B1 KR 0158259B1 KR 1019950025339 A KR1019950025339 A KR 1019950025339A KR 19950025339 A KR19950025339 A KR 19950025339A KR 0158259 B1 KR0158259 B1 KR 0158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ypsum
filtration surface
filter
flue gas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983A (ko
Inventor
아쯔시 타타니
카즈아키 키무라
요시오 나카야마
유키오 키타무라
마사카즈 오니즈카
Original Assignee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노 카네오,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기노 카네오
Publication of KR960006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01F11/46Sulfates
    • C01F11/464Sulfates of Ca from gases containing 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pervious for filtering
    • B01D33/04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pervious for filtering with endless filter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7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33/0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surface cells independently connected to pressure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8Retarding cake deposition on the filter during the filtration period, e.g. using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3/807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4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0Pressure-related systems for filters
    • B01D2201/204Systems for applying vacuum to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8Position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201/282Filtering elements with a horizontal rotation or symmetry axis

Abstract

본 발명은 배연속의 아황산가스를 칼슘화합물함유슬러리에 흡수하고, 이 흡수액을 산화해서 얻게된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간편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하는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이고 또한 간단한 구성의 고액분리장치를, 고액분리의 대상인 석고슬러리가 부생하는 탱크에 직접 장착하고, 이에 의해서 고액분리공정을 소형화하고 또한 간략화하여, 설비비, 시공비, 부지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배연속의 아황산가스를 칼슘화합물함유슬러리에 흡수하고, 이 흡수액을 산화해서 얻게된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분리 회수할때에, 이 석고슬러리에, 여과면이 순환하는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의 일부를 침지해서 석고를 부착시키고, 이 석고가 부착된 여과면을 석고슬러리의 액면위에 반송하고, 이 여과면을 통해서 액상을 흡인여과해서 여과면위에 탈수된 석고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도록 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습식배연탈황장치를 표시한 전체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인 고액분리장치부근의 부분확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실시예 2의 위치제어수단을 표시한 부분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실시예 3의 고액분리장치부근의 요부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실시예 4의 고액분리장치부근의 요부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흡인여과기의 여과포를 사용한 여과면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흡인여과기의 여과판블록을 사용한 여과면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도.
제8도는 종래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일례를 표시한 전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흡수탑 2 : 탱크
21 : 칸막이벽 22 : 고액분리부
22a : 측벽 30 : 고액분리장치
31 : 회전드럼 32 : 여과포
33,71 : 흡인여과기 34 : 회전축
35 : 격리판 36 : 회전조인트
36a : 측면 37,75,84 : 흡인파이프
38 : 버퍼탱크 39 : 진공펌프
40 : 여과액펌프 41 : 배출롤
42 : 리턴롤 43 : 테이크업롤
45 : 여과포세정용 살수기 45a : 어저스터
46 : 집수용기 47 : 반송벨트
48 : 살수기 49 : 이간부
51,76 : 석고층 52,78 : 석고플레이크
53 : 승강부 54 : 시일
55 : 구동수단 56 : 레벨센서
57 : 레벨제어기(위치제어수단)
61 : 압착롤어셈블리 72 : 스크레이퍼
73 : 여과면 74 : 중공의 회전축
81 : 프레임 82 : 여과판블록
83 : 실링체
본 발명은 배연(排煙)속의 아황산가스를 칼슘화합물함유슬러리에 흡수시키고 이 흡수액을 산화해서 얻게된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간편, 또한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회수하는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습식탈황장치로서는, 흡수탑의 탱크내에 공기를 보내넣고, 거기에서 아황산가스를 흡수한 슬러리용액(석회석 등의 칼슘화합물로 이루어진 것)과 공기를 접촉시켜서 산화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산화탑을 필요없게 한 것(소위 탱크산화방식)이 주류로 되어 있다. 제8도는 이런 종류의 습식석회석고탈황장치의 구성예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 장치는, 흡수탑(1)의 바닥부에 형성된 탱크(2)내에 중공회전축(3)에 의해 지지되고 도시생략한 모터에 의해 수평회전하는 교반막대(4)와, 상기 중공회전축(3)으로부터 뻗어서 개구단부(5a)가 교반막대(4)의 아래쪽까지 연장된 공기공급관(5)과, 상기 중공회전축(3)의 기단부쪽을 공기원에 접촉하기 위한 로터리조인트(6)를 구비하고, 공기를 압압하면서 중공회전축(3)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기공급관(5)으로부터 교반막대(4)의 회전방향배면쪽에 발생하는 기상(氣相)영역에 공기(C)를 공급하고, 교반막대(4)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소용돌이 힘에 의해 이 기상영역 종연(終演)부의 토막현상을 일으켜서 거의 균일한 미세기포를 다수 발생시키고, 탱크(2)내에서, 아황산가스를 흡수한 흡수제슬러리용액과 공기를 효율좋게 접촉시켜서, 전량 산화하여 석고를 얻는 것이다.
즉, 이 장치에서는, 흡수탑(1)의 배연도입부(1a)에 미처리 배연(排煙)(A)을 인도하고 순환펌프(7)에 의해 헤더파이프(8)로부터 분사한 흡수제슬러리용액에 접촉시켜서, 미처리배연(A)속의 아황산가스를 흡수제거하고, 배연도출부(1b)로부터 처리완료배연(B)으로서 배출시킨다. 헤더파이프(8)로부터 분사되어 아황산가스를 흡수하면서 충전재(9)를 경유해서 흘러내리는 흡수제슬러리용액은, 탱크(2)내에 있어서 교반막대(4)에 의해 교반되면서 상기 토막현상에 의해 발생한 다수의 기포와 접촉해서 산화되고, 나아가서는 중화반응을 일으켜서 석고가 된다. 또한 이들 처리중에 일어나고 있는 주된 반응은 이하의 반응식 ① 내지 ③이다.
(흡수탑에서의 반응)
(탱크에서의 반응)
이렇게 해서 탱크(2)내에는 석고와 흡수제인 소량의 석회석이 현탁하고, 이들이 슬러리펌프(10)에 의해 흡출되어, 농축기(thickener)(11)에 의해 농축된다. 농축기(11)로부터 농축액(D)은 슬러리펌프(11a)에 의해 고액분리기(12)에 공급되어 여과되어서 수분이 적은 석고(E)(통상, 수분함유율 10%정도)로서 인출된다. 한편, 농축기(11)로부터의 상청수(F)와 고액분리기(12)로부터의 여과액은, 여과액탱크(13)에 보내지고, 여기에서 석회석(G)이 첨가되어, 흡수제슬러리용액의 일부로서 슬러리펌프(14)에 의해 재차 탱크(2)에 공급된다.
또, 운전중에는 탈황률과 석고순도를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미처리배연(A)속의 아황산가스농도와 탱크내의 pH 등이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도시생략한 제어장치에 의해 석회석의 공급량이나 흡수제슬러리의 공급량 등이 적당히 조절된다. 또 흡수제슬러리용액은, 도시생략한 별체의 석회석슬러리탱크로부터 공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습식배연탈황장치에서는, 석고슬러리의 고액분리공정을 위하여 슬러리펌프(10), (11a), 농축기(11) 및 고액분리기(12)(원심분리기, 벨트필터, 디캔터(decanter)형 원심침강기 등으로 이루어진 것)와 같은 복잡하고, 또한 대형의 복수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고액분리장치가 사용된다. 또 분리수를 재이용해서 배수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과액탱크(13)나 슬러리펌프(14)도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습식배연탈황장치의 더한층의 소형화, 설치공간의 삭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들 고액분리공정에 필요한 구성의 소형화, 간소화가 강력히 요망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이고 또한 간단한 구성의 고액분리장치를 고액분리의 대상인 석고슬러리가 생성되는 탱크에 직접 장착하고, 이에 의해서 고액분리공정을 소형화 또한 간략화하여 설비비, 시공비, 부지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방법은 배연속의 아황산가스를 칼슘화합물함유슬러리에 흡수하고, 이 흡수액을 산화해서 얻게된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분리회수할때에는, 이 석고슬러리에 여과면이 순환하는 흡인 여과기의 여과면의 일부를 침지해서 석고를 부착시키고, 이 석고가 부착된 여과면을 석고슬러리의 액면위에 반송하고, 이 여과면을 통해서 액상을 흡인여과해서 여과면위에 탈수된 석고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석고층의 여과면으로부터의 박리는 여과면의 굴곡에 의해서 행하거나, 긁어내기에 의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위에 형성된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여과면위에서 물을 살포해서 수세를 하고, 세정된 석고층을 흡인여과기에 의해 탈수하거나 여과면위에서 압착(壓搾)해서 탈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는 탑상부에서 배연속의 아황산가스를 칼슘화합물함유슬러리의 흡수제에 의해 흡수하는 동시에, 탑속을 흘러내린 흡수액을 탑바닥부를 형성하는 탱크내에서 산화해서 석고슬러리를 생성시키는 흡수탑과, 상기 탱크내의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분리회수하는 고액분리장치를 가진 습식배연탈황장치에 있어서, 이 고액분리장치가 상기 탱크내의 석고슬러리에 일부가 침지되어서 순환하는 여과면이 형성되고, 이 여과면의 석고슬러리에 침지된 부위에서 석고를 부착시키는 동시에 액면위의 부위에서 액상을 흡인여과해서 탈수한 석고층을 형성하는 흡인여과기와, 상기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시키는 박리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는 상기 흡인여과기가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에 병설된 롤러기구와, 이들 회전드럼의 외주면과 롤러기구와의 사이를 한바퀴돌아서 장착됨으로써 상기 여과면을 형성하는 여과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박리수단이 상기 석고층을 상기 여과면의 굴곡에 의해 박리하는 롤러기구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 상기 흡인여과기가 외주면에 상기 여과면이 형성된 회전드럼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박리수단이 이 회전드럼의 여과면에 형성된 석고층을 긁어내기에 의해 박리시키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흡인여과기가 상기 탱크의 측벽내부가장자리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여과면의 석고슬러리에 침지된 부분이 석고슬러리의 액면의 변동에 대응해서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고액분리장치가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위에 형성된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여과면위에서 수세하는 살수기를 구비하거나, 여과면상에서 압착해서 탈수하는 압착롤러를 구비한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방법에 의하면 여과면이 순환하는 흡인여과기를 사용하였으므로, 이 순환하는 여과면에 의해 석고슬러리의 부착, 석고층의 형성, 그 탈수, 세정 및 박리의 일련의 조작을 순차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해서 더 상세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효과를 명백히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8도를 사용해서 설명한 종래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마찬가지의 요소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해서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실시예 1]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흡수탑(1)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탱크(2)의 배연도출쪽 측면에서 칸막이벽(21)에 의해 배연도출부(1b)와는 격리된 고액분리부(22)가 형성된다. 이 고액분리부(22)에는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분리하여, 회수하는 고액분리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벽(21)은 석고슬러리의 액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까지 형성됨으로써 고액분리부(22)를 교반기쪽으로부터 구획하고 있다.
고액분리장치(30)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회전드럼(31)과 이 회전드럼(31)의 표면에 장착되어서 여과면을 형성하는 여과포(32)에 의해 구성되는 흡인여과기(3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드럼(31)은 고액분리부(22)의 측벽(22a)의 내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드럼(31)의 중심에는 회전축(34)이 형성되고, 이 회전축(34)에는 회전드럼(31)의 내벽에 접동해서 회전하지 않는 격리판(35)이 배설되어 있다. 회전축(34)은 고액분리부(22)의 측벽(22a)과 평행으로 배설되고 또한 회전드럼(31)의 둘레면의 일부가 고액분리부(22)내의 석고슬러리에 소정의 깊이로 침지되게 되는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드럼(31)의 양측면은 밀폐되고 또한 한쪽의 측면(31a)에는 회전드럼(31)에 대해서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회전조인트(36)가 설치된다. 이 회전조인트(36)의 측면(36a)에는 회전드럼(31)내부를 감압해서 회전드럼(31)이 표면에 석고를 부착시키는 동시에, 내부에 여과액을 흡인하기 위한 2개의 흡인파이프(37)가 접속된다. 이 흡인파이프(37)는 버퍼탱크(38)를 개재해서 진공펌프(39)에 접속되어 있다. 또 버퍼탱크(38)에는, 이 버퍼탱크(38)의 바닥부에 고인 여과액을 회수하는 여과액펌프(40)가 접속되어 있다. 흡인파이프(37)의 버퍼탱크쪽에는 게이트밸브(37a)가 설치되고, 이것을 개폐함으로써 회전드럼(31)내부의 감압부위를 절환하도록 하고 있다.
고액분리부(22)의 바깥쪽에는 롤러기구가 병설되고, 이 롤러기구는 회전드럼(31)의 회전축(34)과 회전축이 평행으로 설치된 소직경의 배출롤(41) 그 아래쪽에 배치된 리턴롤(42), 또 그 위쪽의 고액분리부(22)의 측벽(22a)의 상부에 배치된 테이크업롤(4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31)과 배출롤(41)과 리턴롤(42)과 테이크업롤(43)을 한바퀴 돌아서 여과포(32)가 장착되어 있다.
또 배출롤(41)과 테이크업롤(43)과의 사이에는 석고에 의한 눈막힘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포(32)의 표면이나 이면을 고압세정수로 세정하기 위한 여과포세정용 살수기(45)나, 여과포(32)의 지그재그행을 수정하기 위한 어저스터(45a)등이 배설된다. 또 배출롤(41), 리턴롤(42), 테이크업롤(43)의 아래쪽에는 세정수의 집수용기(46)가 설치되고, 이 집수용기(46)안에 고인 세정액은 배관에 의해 배출된다.
또 배출롤(41)의 아래쪽에는 분리회수된 석고플레이크(52)를 반송하는 반송벨트(47)가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드럼(31)의 정상부근처에는 여과포에 부착된 석고를 세정하기 위한 살수기(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드럼(31)을 여과포(32)가 액면(L)으로부터 배출롤(41)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전시키면, 드럼면과 여과포(32)가 이간부(49)에 있어서 이간하게 된다. 드럼둘레면의 흡인은 이간판(35)을 조절해서 이 회전드럼(31)이 석고슬러리에 침지된 부분으로부터 이 이간부(49)까지의 영역에서 행하여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서 흡인여과기(33)는 고액분리부(22)내의 여과액을 회전드럼(31)이 항상 특정영역으로 이동한 둘레면에 있어서만 흡인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영역으로부터 회전드럼(31)내부에 흡인된 액상은 회전조인트(36)의 측면(36a)으로부터 흡인파이프(37), 버퍼탱크(38)를 거쳐서 여과액펌프(40)에 의해 회수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격리판(35)을 1장 형성해서, 회전드럼(31)내부를 2개의 방으로 분할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격리판(35)을 복수장 형성해서 회전드럼(31)내부를 더욱 작은 방으로 분할하고, 이들 분할된 방을 적당히 선택해서 최적의 특정영역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방법, 특히 고액분리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제2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먼저 드럼(31)의 회전축(34)을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전시켜 진공펌프(39)를 작동하면, 회전드럼(31)의 둘레면의 상기 흡인영역이 감압상태로 되므로 이 부분의 여과포(32)는 순환하면서 흡인된다.
고액분리부(22)내부의 석고슬러리는 여과포(32)가 침지된 부분에서 액상이 흡수되므로, 그 근방에서 농축되어서 수렁상태로 되어 석고가 여과포(32)에 부착한다. 이 석고와 부착한 여과포(32)는 흡인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해서 액면(L)위에 반송된다. 액면(L)위에서 더욱 흡인은 계속되므로, 석고의 수렁상태물은 탈수되어 석고층(51)을 형성한다. 탈수된 석고층(51)은 살수기(48)의 하부를 통과할 때 물의 분사를 받아서 수재되고, 세정수는 여과포(32)를 통해서 흡인된다. 수세된 석고층(51)은 또 회전드럼(31)에 의해 탈수된 후 이간부(49)를 떠나 여과포(32)위를 따라 반송되어서 배출롤(41)에 도달한다. 배출롤(41)은 소직경이므로 이 부분에서 여과포(32)는 급격히 굴곡한다. 석고층(51)은 이 굴곡에 추종할 수 없어 여과포(32)로부터 박리되어 석고플레이크(52)로 되어서 낙하한다. 이에 의해서 석고를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탱크(2)에 직접 부착된 극히 간단한 구성의 고액분리장치(30)에 의해 수분이 적은 석고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슬러리펌프, 농축기 및 고액분리기와 같은 복잡하고도 대형의 기기를 필요로 하지 않게 할 수 있어 설비비, 시공비, 부지 등의 대폭적인 비용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제3도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는 고액분리장치(30)를 탱크(2)에 대하여 상하움직임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도록 승강부(53)의 상단부에 설치한 것이다. 승강부(53)는 시일(54)를 개재해서 탱크(2)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승강부(53)에는 회전드럼(31)이나 여과포(32)등으로 이루어지는 흡인여과기(33)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부(53)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구동수단(55)에 의해 구동되고, 이 구동수단(55)은 탱크(2)의 액면을 검출하는 레벨센서(56)의 출력에 의거해서 레벨제어기(위치제어수단)(57)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레벨제어기(57)는 예를 들면 포텐센미터 등의 위치검출기(도시생략)에 의해 승강부(53)의 상하위치를 검출하면서 예를 들면 유압서보밸브 등(도시생략)을 개재해서 구동수단(55)을 제어함으로써 승강부(53)의 상하위치를 서보제어하여 회전드럼(31)에 대한 액면의 상대높이가 항상 최적으로 되게 제어한다. 이 때문에 탱크(2)내부의 슬러리용액의 액면의 높이에 변동이 있어도, 회전드럼(31)을 최적의 높이가 되도록 위치를 결정해서 효율좋게 석고분리(석고채취)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제4도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제3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의 고액분리장치(30)의 이간부(49)와 배출롤(41)과의 사이에 석고층(51)을 여과포(32)와 함께 삽입하여 압압하는 1쌍의 압착롤어셈블리(61)를 배설한 것이다.
이 고액분리장치(30)가 설치된 습식배연탈황장치에 있어서 고액분리부(22)속의 석고슬러리는 액면(L)밑에서 드럼(31)에 흡인되어서 석고가 농축되어 여과포(32)에 부착하고, 여과포(32)가 액면위로 이동하면 탈수되어서 석고층(51)을 형성한다. 여과포(32)가 더욱 이동하면, 이 석고층(51)은 세정살수기(48)에 의해서 수세되고, 또 드럼(31)에 흡인되어서 어느 정도 탈수된다. 이어서 이 석고층(51)은 이간부(49)를 넘어서 반송되어 압착롤러셈블리(61)에 이른다. 석고층(51)은 여기에서 강하게 압축되어, 석고입자사이의 물이 짜내어진다. 압착되어 강하게 탈수된 석고층(51)은 배출롤(41)에 의해서 여과포(32)로부터 박리되어 석고플레이크(52)로서 인출된다.
[실시예 4]
다음에 제5도를 사용해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고액분리장치(30)는 드럼형의 흡인여과기(71)와 스크레이퍼(72)를 가지고 있다. 이 흡인여과기(71)에서는 드럼면이 여과면(73)을 형성하고 있으며, 드럼의 양측면은 밀폐되고 중공의 회전축(74)에 의해서 회전되어서 여과면(73)이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 흡인여과기(71)에서는 고액분리부(22)의 측벽(22a)의 내부가장자리에, 회전축(74)이 측벽(22a)과 평행하게 되도록 장착되어 있어서, 여과면(73)의 일부가 석고슬러리속에 침지되고, 석고가 부착한 여과면(73)은 회전해서 석고슬러리의 액면(L)위에 반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흡인여과기(71)의 회전축(74)은 석고슬러리의 액면(L)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 회전축(74)은 상기한 실시예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상하움직임이 자유롭게 될 수 있도록 구성해서 액면(L)과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액면센서(도시생략)와 위치제어수단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공의 회전축(74)으로부터는 흡인파이프(75)가 뻗어서, 버퍼탱크(38)를 개재해서 진공펌프(39)와 여액펌프(40)에 접속되어 있다.
스크레이퍼(72)는 여과면(73)의 둘레선을 따라서 뻗는 칼날형판으로서 이 칼날형판이 여과면(73)의 회전방향에 대향해서 여과면(73)에 일정한 압력으로 압압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크레이퍼(72)는 여과면(73)이 회전해서 재차 액면(L)과 접촉하는 바로 앞의 액면위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습식배연탈황방법 특히 고액분리장치(3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흡인여과기(71)의 회전축(74)을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회전시켜, 진공펌프(39)를 작동하면 흡인여과기(71)의 드럼내부는 감압상태로 되므로, 여과면(73)은 회전하면서 흡인된다. 이 상태에서 고액분리부(22)속의 석고슬러리는, 여과면(73)의 침지된 부분과 접촉한다. 여과면(73)은 흡인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 액상이 흡수되고, 여과면(73)의 근처에서는 석고가 농축되어서 수렁상태로 되어, 여과면(73)에 부착하게 된다. 이 석고가 부착한 여과면(73)은 흡인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해서 액면(L)위에 반송된다. 액면(L)에서도 흡인은 계속되고 있으므로, 석고의 수렁상태물은 탈수되어 석고층(76)을 형성한다. 충분히 탈수된 석고층(76)은 회전해서 스크레이퍼(72)의 칼날형부에 도달하면 긁어내어지고, 여과면(73)으로부터 박리해서 석고플레이크(78)로 되며, 스크레이퍼(72)로부터 낙하하여 반송용 벨트(47)에 의해 소정의 장소에 반송된다.
여과면(73)으로부터 흡수된 액상은 공중회전축(74)으로부터 흡인되어, 흡인파이프(75), 버퍼탱크(38)를 거쳐서 여과액펌프(40)에 의해 배출된다. 이 배출된 수성액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석회석을 혼입해서 석회석슬러리로 하고, 흡수제의 일부로서 흡수탑내에 순환시킬 수 있다. 또 흡인여과기(71)는 회전축(74)과 액면(L)과의 거리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되어 있으므로 액면(L)의 수위가 변동해도 석고슬러리에 침지되어 있는 여과면(73)의 깊이는 일정하며, 고액분리부(22)내에 생성한 석고는 연속적으로 탈수석고로서 분리회수된다.
상기한 각 실시예의 흡인여과기(33) 및 (71)의 여과포(32) 및 여과면(73)의 재질, 구성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드럼의 둘레면에 둘레선방향으로 뻗는 프레임(81)이 형성되고, 이 프레임위에 여과포(32)가 팽팽히 걸쳐진 것이라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드럼의 둘레면에 둘레선방향으로 뻗는 여과판블록(82)이 배열되고, 각 여과판블록(82)의 경계가 실링체(83)로 차단되고, 각 여과판블록(82)이 각각 독립적으로 흡인파이프(84)를 구비하고, 이 흡인파이프(84)가 흡인파이프(75)를 개재해서 진공펌프(39)에 접속된 구성의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방법은 석고슬러리에, 여관면이 순환하는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의 일부를 침지해서 석고를 부착시키고, 이 여과면을 석고슬러리의 액면위에 반송하고, 이 여과면을 통해서 액상을 흡인여과해서 여과면위에 석고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므로, 소형이고 또한 조작이 간단한 장치에 의해 탱크내의 석고슬러리로부터 즉각적으로 고순도의 석고를 분리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적용한 본 발명의 습식배연탈황장치는, 흡수탑의 탱크에 고액분리장치를 직접 부착한 콤팩트한 장치가 되고, 석고분리를 위한 많은 장치류나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설비비, 시공비, 부지 등의 비용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어 탈황장치의 보급이나 수용확대에 공헌할 수 있다.
특히, 탱크내의 슬러리용액의 액면의 높이에 따라서 고액분리장치를 승강시키는 레벨제어기를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탱크내의 슬러리용액의 액면의 높이에 변동이 있어도 효율좋게 고액분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비용저감 및 설치스페이스 저감뿐만 아니라 장치의 운전조건의 용이성이나 동작신뢰성까지도 높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1)

  1. 배연속의 아황산가스를 칼슘화합물함유슬러리에 흡수하고, 이 흡수액을 산화해서 얻게된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분리회수할때에, 이 석고슬러리에 여과면이 순환하는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의 일부를 침지해서 석고를 부착시키고, 이 석고가 부착된 여과면을 석고슬러리의 액면위에 반송하고, 이 여과면을 통해서 액상을 흡인여과해서 여과면위에 탈수된 석고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층의 여과면으로부터 박리를 여과면의 굴곡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층의 여과면으로부터의 박리를 긁어내기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위에 형성된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여과면위에서 물을 살포해서 수세를 하고, 세정된 석고층을 흡인여과기에 의해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위에 형성된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여과면위에서 압착해서 탈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방법.
  6. 탑상부에서 배연속의 아황산가스를 칼슘화합물함유슬러리의 흡수제에 의해 흡수하는 동시에, 탑속을 흘러내린 흡수액을 탑바닥부를 형성하는 탱크내에서 산화해서 석고슬러리를 생성시키는 흡수탑과, 상기 탱크내의 석고슬러리로부터 석고를 분리회수하는 고액분리장치를 가진 습식배연탈황장치에 있어서, 이 고액분리장치가 상기 탱크내의 석고슬러리에 일부가 침지되어서 순환하는 여과면이 형성되고, 이 여과면의 석고슬러리에 침지된 부위에서 석고를 부착시키는 동시에, 액면위의 부위에서 액상을 흡인여과해서 탈수한 석고층을 형성하는 흡인여과기와, 상기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시키는 박리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여과기가 회전드럼과, 이 회전드럼에 병설된 롤러기구와, 이들 회전드럼의 외주면과 롤러기구와의 사이를 한바퀴 돌아서 장착됨으로써 상기 여과면을 형성하는 여과포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박리수단이 상기 석고층을 상기 여과면의 굴곡에 의해 박리하는 롤러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여과기와 외주면에 상기 여과면이 형성된 회전드럼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박리수단이 이 회전드럼의 여과면에 형성된 석고층을 긁어내기에 의해 박리시키는 스크레이퍼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여과기가 상기 탱크의 측벽내부가장자리에 회전자재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여과면의 석고슬러리에 침지된 부분이 석고슬러리의 액면의 변동에 대응해서 일정한 깊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제어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장치가,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위에 형성된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여과면위에서 수세를 하는 살수기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장치.
  11.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장치가, 흡인여과기의 여과면위에 형성된 석고층을 여과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전에, 여과면위에서 압착해서 탈수하는 압착롤러를 구비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배연탈황장치.
KR1019950025339A 1994-08-18 1995-08-18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 KR0158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94157 1994-08-18
JP6194157A JP2989484B2 (ja) 1994-08-18 1994-08-18 湿式排煙脱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983A KR960006983A (ko) 1996-03-22
KR0158259B1 true KR0158259B1 (ko) 1998-11-16

Family

ID=1631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339A KR0158259B1 (ko) 1994-08-18 1995-08-18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02555A (ko)
EP (1) EP0697234B1 (ko)
JP (1) JP2989484B2 (ko)
KR (1) KR0158259B1 (ko)
CN (1) CN1050067C (ko)
DK (1) DK0697234T3 (ko)
ES (1) ES2152372T3 (ko)
PL (1) PL180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1767B1 (en) * 1995-05-23 2002-08-07 Ebara Corporation Carrier-separating and water-collecting mechanism of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JPH11123313A (ja) * 1997-10-21 1999-05-11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煙脱硫プラント
US7536232B2 (en) * 2004-08-27 2009-05-19 Alstom Technology Ltd Model predictive control of air pollution control processes
CA2627962C (en) * 2005-11-07 2013-01-29 Specialist Process Technologies Limited Functional fluid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he functional fluid
JP2009166011A (ja) * 2008-01-21 2009-07-30 Mitsubishi Heavy Ind Ltd 石炭焚ボイラの排ガス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5371983B2 (ja) * 2008-07-08 2013-12-18 三井造船株式会社 フィルタープレス式脱水機のろ布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5314620B2 (ja) * 2010-02-26 2013-10-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脱硫設備の石膏脱水装置
US9028762B2 (en) * 2012-07-30 2015-05-12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Wet type exhaust gas desulfurization apparatus
JP6526278B1 (ja) * 2018-03-23 2019-06-0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煙脱硫装置
CN110743332A (zh) * 2019-12-15 2020-02-04 九江市美景水处理科技有限公司 一种脱色剂生产过程中的废气收集装置
CN112999768A (zh) * 2021-04-09 2021-06-22 谭卫成 一种等离子烟气脱硫脱硝除尘一体化装置
CN115178059B (zh) * 2022-08-17 2023-12-22 胡怡文 一种建筑环境碳中和排放处理设备
CN116036652B (zh) * 2023-03-06 2023-10-17 南京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连续超临界萃取反应釜、设备及萃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860A (en) * 1975-09-22 1976-10-12 Pullman Incorporated Method for oxidation of SO2 scrubber sludge
US4331640A (en) * 1978-06-26 1982-05-25 Kureha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removing sulfur dioxide from an exhaust gas containing the same
US4310424A (en) * 1980-07-23 1982-01-12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suspended solids from a stream
GB2163417A (en) * 1984-08-22 1986-02-26 Mitsubishi Heavy Ind Ltd Controlling slurry concentration in wet flue gas desulphurization apparatus
IT1239843B (it) * 1990-03-06 1993-11-15 Olimpio Stocchiero Coperchio con maniglia per contenitori di accumulatori
US5397549A (en) * 1991-11-26 1995-03-14 Newman; Dave B. Apparatus to remove acid gases from a flue gas
JPH0866606A (ja) * 1994-08-29 1996-03-12 Mitsubishi Heavy Ind Ltd 固液分離装置及び湿式排煙脱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80232B1 (pl) 2001-01-31
JP2989484B2 (ja) 1999-12-13
EP0697234B1 (en) 2000-10-11
EP0697234A1 (en) 1996-02-21
PL310031A1 (en) 1996-02-19
CN1127155A (zh) 1996-07-24
ES2152372T3 (es) 2001-02-01
JPH0857248A (ja) 1996-03-05
DK0697234T3 (da) 2001-02-12
CN1050067C (zh) 2000-03-08
KR960006983A (ko) 1996-03-22
US5902555A (en) 199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8259B1 (ko) 습식배연탈황방법 및 그 장치
US200702518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of Filter
JPH0880419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JP3268140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
KR100880947B1 (ko) 필터의 연속 자동 세정이 가능한 원심식 고형물 탈수장치
JPH10128055A (ja) 排煙脱硫装置および石膏スラリーの処理方法
KR0174770B1 (ko) 고액분리장치 및 습식배연탈황장치
CN110526461A (zh) 基于振动去污泥技术的工业污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JPH10128054A (ja) 排煙脱硫装置
JPH11165196A (ja) 汚泥脱水処理装置
CN211814097U (zh) 一种皮革加工废水污泥浓缩脱水设备
CN113828143A (zh) 一种高效半干法脱硫设备
CN2582722Y (zh) 真空或加压两用过滤机
CN212821418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螺纹离心脱水机装置
JPS63256112A (ja) 電気浸透式脱水機
CN110240384A (zh) 一种可自动清洗污泥的浓缩机
CN217312284U (zh) 污水处理系统中泥水分离器的泥水分离结构
JP3774960B2 (ja) 排煙脱硫装置および石膏スラリーの処理方法
JPS5936510A (ja) 汚泥脱水処理装置
KR20230149138A (ko) 2단 진공방식의 진공벨트 필터장치
CN116036695A (zh) 一种连续工作的固液分离清洗设备
JPH08117514A (ja) 加圧濃縮装置
JPH0574607U (ja) ベルト式真空ドラムろ過装置
CN117753097A (zh) 一种工业烟气脱硫设备及工业烟气脱硫系统
JPH06170156A (ja) 脱硫再利用水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