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568B1 -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 Google Patents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568B1
KR0156568B1 KR1019900014176A KR900014176A KR0156568B1 KR 0156568 B1 KR0156568 B1 KR 0156568B1 KR 1019900014176 A KR1019900014176 A KR 1019900014176A KR 900014176 A KR900014176 A KR 900014176A KR 0156568 B1 KR0156568 B1 KR 015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wire
coil
lead
sta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210A (ko
Inventor
유타카 노주에
Original Assignee
히노 노보루
가부시끼 가이샤 미쯔바 덴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400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14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34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07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911193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822Y2/ja
Application filed by 히노 노보루, 가부시끼 가이샤 미쯔바 덴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히노 노보루
Publication of KR910007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ground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02K21/222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48Generators with two or more outp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자석발전기의 고정자(1)이며, 복수의 돌극부(5)가 원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코어본체(4)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점화전원코일(6)이 하나의 소정의 돌극부(5A)둘레에 감겨지며, 일반부하용 코일들(7A-7G)은 다른 돌극부 둘레로 감겨진다. 리드선 인출공(11)은 코어본체(4)의 점화전원코일(6) 반대편에 위치부근에 뚫려지며, 복수의 터미널 부재들(12-17)의 리드선 결선부들(12a-17a)은 리드선인출공(11)내에 밀집하게 배열된다. 일반부하용 코일들(7A-7G)은 점화전원코일(6)의 반대편부근에서부터 감기가 시작되며, 크로스오버선(18)에 의하여 점화전원코일(6)을 걸치며 점화전원코일(6) 반대편부근에서 끝난다. 리드선 결선부들(12a-17a)은 리드선 인출공(11)의 일 구멍측에 배열된다. 리드선들(33)과 함께 관통되어 삽입되는 리드선홀더(20)는 리드선인출공(11)속으로 삽입되며 리드선들은 리드선결선부들에 결선된다.

Description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발전기의 고정자의 일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저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부분생략 및 부분단면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확대된 부분을 보이는 평면도.
제6도는 리드선 홀더와 함께 거기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를 보이는 저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측단면도.
제8도 (a)-(g)는 모두 리드선홀더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측면도, 저면도, 배면도, 측단면도 및 확대된 부분의 부분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자 2 : 코어소재
3 : 코어 4 : 코어본체
5 : 돌극부 6,7A-7G : 코일
8 : 보빈 9 : 창공
10 : 취부공 11 : 인출공
12-17 : 터미널부재 17a : 리드선결선부
17b : 단말결선부 20 : 리드선 홀더
본 발명은 자석발전기의 고정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 2륜차용 자석발전기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자석발전기의 고정자로서는 일본 특개소 61-22744와 일본 실개소 61-7276에 설명되어 있는 것들이 지금까지 알려져 있다. 상기 형태의 고정자의 코일 보빈에는 램프 점등코일, 바테리 충전코일, 그립히터 코일(grip heater coil)등을 포함하는 수종의 일반부하용 코일과 점화코일이 감겨져 있으며, 이러한 코일의 출력은 리드선에 의하여 각각 도출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자석발전기의 고정자에서, 각각의 리드선이 접속될 때에는 터미널 부재가 제공되고, 그 리드선이 이러한 터미널부재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자석발전기의 상술한 고정자에 있어서는 일반부하용 코일군(the group of coils)을 감는 작업은 점화전원코일을 접촉하지 않도록 점화전원코일의 일측에서 감는 작업이 시작되고 점화전원코일의 반대측에서 끝내도록 수행된다. 한편 점화전원코일의 취부공과 단말결선부를 피하기 위하여 리드선용 인출구가 점화전원코일 반대위치에 제공되며, 터미널부재의 리드선결선부가 리드선인출구 근방에 제공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반부하용 코일의 단말선은 돌극부의 코일주위로 당겨지고 터미널부재의 결선부까지 넓혀지며 결선부에서 결선된다.
따라서 자석발전기의 상술한 고정자에는 많은 인시(man-hour)가 배선작업에 요구되며, 감겨지는 코일들의 지름 내에서의 진동 등에 의하여, 코일들 둘레에 당겨지는 선들이 터미널 부재들의 결선부에까지 이르지 못하거나 반대로 코일들 둘레로 당겨지는 선들이 느슨해지도록 지나치게 길어지고, 진동에 의하여 단선이 쉽게 되므로써 선들의 재절단 및 박리(peeling-off)등이 필요하게되는 그러한 불리한 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는 코일들의 단말선들과 리드선들이 둘레로 당겨짐 없이 터미널부재까지 결선되는 구조를 가지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발전기의 고정자에 있어서, 복수의 돌극부(stator pole)는 원주방향에의 공간을 두고 코어본체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되며 ,점화전원코일은 하나의 설정된 돌극부둘레에 감겨지며, 일반부하용 코일들은 다른 돌극부 돌레에 각각 감겨지며, 리드선 인출공은 상기 코어본체내에서 점화전원코일 반대편에 있는 극의 부근에 뚫려져 있으며, 복수의 터미널 부재들의 리드선 결선부들은 이런 리드선인출공내에 밀집하게 배열되며, 일반부하용 상기 코일들은 상기 점화전원코일 반대편 위치의 근방에서부터 감기가 시작되고, 크로스오버선들에 의하여 점화전원코일을 위치시키며, 점화전원코일 반대편위치 근방에서 끝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발전기의 고정자에서 일반부하용 코일들의 단말선들은 각 돌극부들의 코일들 둘레로 당겨짐 없이 감겨지고 그 때 터미널부재들의 코일결선부들에까지 각각 결선됨으로써, 코일들의 단말선들이 터미널부재들의 결선부들에까지 도달 할 수 없거나 반대로 코일들을 감는 지름들 내에서의 진동에 의하여 단말선들이 느슨하게 되는 불합리한 현상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고정자는 리드선 인출공이 코어본체내의 점화전원코일 반대편 위치부근에 뚫려 있고, 복수의 터미널 부재들의 리드선 결선부들이 이런 리드선 인출공내에 집중배열되고, 또한 이러한 리드선 결선부들은 리드선인출공내의 일 구멍측에 제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고정자에는 리드선 인출공이 코어본체내에 뚫려저 있고, 복수의 터미널부재들의 리드선결선부들이 리드선 인출공내의 일 구멍측에 위치되며, 또한 리드선들을 그 속에서 붙잡으며 관통 삽입되는 리드선 홀더는 인출공내로 삽입되고, 홀더에 의하여 지탱되는 리드선들은 리드선 결선부들에 각각 결선된다.
코일들의 단말선들이 터미널부재들의 결선부들에 도달할 수 없거나, 느슨해지거나 하는 그러한 불리한 현상의 발생을 또한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한 고정자에는 다음과 같은 유리한 점이 있다. 즉 리드선 홀더내로 삽입되고 그 속에서 지탱되는 상태일 때 리드선홀더가 리드선 인출공의 일 구멍측내로 삽입될 때에는 리드선 홀더가 리드선인출공의 다른 단부에 있는 구멍측에 제공되는 리드선 결선부내로 자동적으로 삽입됨으로써 각 리드선들을 터미널 부재들에 결선하는 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리드선들은 리드선홀더와 리드선 인출공을 통하여 코너 본체에 고정되고 리드선들과 터미널부재들의 결선부들 사이의 결선은 외력(external force)에 대하여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석발전기의 고정자(1)는 거기에 코아(3)가 제공되어 있다. 코아(3)는 복수로 적층된 코아소재(2)로 형성되며, 각 코아소재(2)는 철(iron)과 같은 자성재료로 일체화되도록 제조된다. 코아(3)는 팔각판(octagonal plate-like shape) 같은 모양이 되도록 형성된 코어본체(4)와 여덟측 표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돌출된 8개의 돌극부(5)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돌극부(stator-pole;5)들에는 돌극부(5)의 전면단부에서 코어본체의 외주변 모서리까지 돌극부의 표면을 덮을 수 있도록 실제적으로 설정된 두께의 층으로 부착된 보빈(8)을 통하여 코일(6,7A-7G)들이 각각 감겨져 있다. 점화전원코일(6)은 하나의 소정의 돌극부(5A) 둘레로 감겨지며, 램프점등 코일, 바테리 충전코일 및 그립히터코일 같은 일반부하용 코일(7A-7G)들은 다른 돌극부(5)둘레로 감겨진다.
큰 창공(large window hole;9)은 코어본체(4)내에 동심으로 그와 더불어 형성되며, 한 쌍의 취부공(10,10)이 창공(9)을 마주보는 편에 좌우로 각각 대칭되게 제공된다. 또한 코어본체(4)에는 리드선 인출공(11)(이하 인출공이라 함)이 점화전원코일(6)반대편에 위치되는 일반부하용 코일(7F)의 근방에 제공되며, 두께방향(이하 수직방향이라 함)으로 관통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출공(11)은 일반부하용 코일들이 감겨진 코일들이 코일보빈들(8)과 코어본체(4)에 의하여 한정된다.
인출공(11)은 코일(7F)이 감겨지는 주위에서 돌극부(5)의 기단부(11a)에 의하여 좌우로 2개의 방으로 나눠진다. 따라서 코일(7F)의 보빈(8)의 플랜지부와 코일(7E, 7G)들의 보빈플랜지부들은 코어본체(4)의 돌극부들(5)사이에 있는 공간에 형성된다. 코어본체(4)에는 제1-제6 터미널부재(12-17)들의 부분들이 보빈들(8)에 일체로 형성된 수지부에 박히도록 삽입몰딩된다. 터미널부재들(12-17)은 코어본체(4)로부터 서로서로 수지부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터미널부재들(12-17)은 터미널부재들의 리드선 결선부들(12a-17a)이 인출공내에 밀집될 수 있도록 코어본체(4)의 외주부에 제공된다.
특히 평면상에서 제1터미널부재(12)는 실제로 L자 형상이며, 리드선결선부(12a)는 L의 일단에 원형 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결선부(12b)는 L의 타탄에 실제로 정사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때 제5도에서와 같이 코어본체(4)의 외주부내에 있는 제1터미널부재(12)에는 리드선결선부(12a)가 인출공(11)의 내측에 위치되며, 코어단말결선부(12b)가 점화 전원코일(6)의 터미널(6a)에 납땜되어 점화 전원코일용 리드선이 리드선 결선부(12a)에 전기적으로 결선된다.
제2터미널부재(13)는 평면형상이 실제로 L자 형상이며, 리드선결선부(13a)는 L의 일단에 원형 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코어단말결선부(13b)는 L의 타탄에 럭(lug) 형상이 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5도에서와 같이, 코어본체(4)의 외주부내에는 제2터미널부재(13)가 일반부하용 코일들을 위한 보빈들(8)의 플랜지들내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2터미널부재(13)에서 제2터미널부재의 리드선 결선부(13a)는 인출공(11)의 내측에 위치되며, 코어단말결선부(13b)는 코어들(7E,7F)사이의 경계선부근에 위치된 보빈(8)의 플랜지들로부터 윗방향으로 돌출된다. 상술한 제2터미널부재(13)의 구성에서 코일(7E)이 끝나는 단부(Ee)는 코일단말결선부(13b)가 납땜된다.
제3터미널부재(14)는 평면상에서 실제로 L자 형상이며, 리드선결선부(14a)는 L의 일단에 원형 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코어단말결선부(14b)는 L의 타탄에 럭 형상이 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때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코어본체(4)의 외주부내에 있는 이러한 제3터미널부재(14)에는 제3터미널부재의 리드선결선부(14a)가 인출공(11)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3터미널부재의 코일단말결선부(14b)는 코일(7F)의 중앙부위 근방에 위치된다. 제3터미널부재(14)의 상술한 구성에서 코일(7F)이 끝나는 단부(Fe)는 코일단말결선부(14b)에 납땜된다.
제4터미널부재(15)는 평면상에서 실제로 U자 형상이며, 리드선결선부(15a)는 U의 일단에서 원형 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코일단말결선부(15b)는 U의 타탄에서 럭 형상이 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때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코어본체(4)의 외주부에 있는 제4터미널부재(15)에는 리드선결선부(15a)가 인출공(11)의 내측에 위치되며, 코일단말결선부(15b)는 코일(7F)의 중앙부근에 위치된다. 제4터미널부재(15)의 상술한 구성에서 코일(7G)의 시작단부(Gs)는 코일단말결선부(15b)에 납땜된다.
제5터미널부재(16)는 평면상에서 실제로 L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리드선 결선부(16a)는 L의 타탄에서 럭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다. 그때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코어본체(4)의 외주부내 있는 제5터미널부재(16)에는 리드선결선부(16a)가 인출공(11)의 내측면에 위치되고, 그리고 코일단말결선부(16b)는 코일들(7F,7G)사이에 있는 경계선 부근에 위치된다. 제5터미널부재(16)의 상술한 구성에서 코일(7G)이 끝나는 단부(Ge)는 코일단말결선부(16b)에 납땜된다.
제6터미널부재(17)는 평면상에서 실제로 L자 형상이며, 리드선결선부(17a)는 L의 일단에 원형 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며, 제2코일단말결선부(17c)는 L의 타탄에서 직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되고 그리고 제1코일단말결선부(17b)는 L의 중앙부위에서 후크(hook)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형성된다. 더구나 이런 제6터미널부재(17)의 중간부위에는 코어본체(4)의 취부공(10)과 일치하는 취부공(17d)이 뚫려 있다. 그때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코어본체(4)의 외주부내에는 있는 이런 제6터미널부재(17)에는 리드선결선부(17a)가 인출공(11)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2코일단말결선부(17c)는 코일(7B)의 부근에 제공되며, 제1코일단말결선부(17b)는 코일(7G)의 부근에 제공되고, 취부공(17d)는 코어본체(4)의 취부공(10)에 위치된다. 제6터미널부재(17)의 상기의 구성에서 코일(7A)의 시작단(As)는 제1코일단말결선부(17b)에 납땜이 되며 그리고 접지용 리드선을 리드선 결선부(17a)에 전기적으로 결선된다.
일반부하용 코일들(7A-7G)의 코일선 재료를 감는 작업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첫째 코일(7A)을 감는 작업은 코일(7A)에 감긴방향이 제1도에 화살표A로 표시한 바와 같은 그러한 방향이 되도록 수행된다. 이때 감는 작업은 코일선 재료의 시작단부(As)가 제6터미널부재(17)의 제1코일단말결선부(17b)에 납땜이 될 수 있도록 수행된다.
코일(7A)의 설정된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코일(7B)을 감는 작업은 코일(7B)에 감는 방향이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이 되도록 수행된다. 이때 권선작업은 코일(7A)로부터 감겨져나오고 코일(7B)로 감겨지는 코일선 재료의 끝단 및 시작단이 코어본체(4)의 측면위에 위치된 돌극부(5)의 기단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수행된다.
코일(7B)의 소정의 감는 작업이 끝났을 때 감는 선 재료는 크로스오버선(crossover line;18)에 의하여 점화전원코일(6)에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다음 코일(7C)를 감는 작업은 코일(7C)에 감는 방향이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과 같이 되도록 수행된다.
코일(7B)의 감는 작업을 완료한 코일선 재료가 제3,4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점화전원코일(6)에 위치할 때 크로스오버선(18)은 점화전원코일(6)둘레에 감겨진 보빈(8)내에 있는 돌극부(5A)의 기단부에 형성된 크로스오버선용 고정홈(19)내에 놓여진다. 특히 크로스오버선용 고정홈(19)은 돌극부(5A)와 교차하도록 보빈(8)내에 있는 돌극부(5A)하면의 기단부에 제공되며, 일체로 낮아지게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홈(19)의 홈바닥은 볼록한 중앙부를 갖는 원형의 아크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코일(7B)의 감는 작업은 하면의 기단부에서 끝나게되며, 끝나는 단부로되는 크로스오버선 일단으로부터 고정홈(19)속으로 끼워지며, 크로스오버선 타단으로 당겨진다, 다음에 이런 감는 작업은 코일(7C)의 감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홈(19)내에 놓여진 크로스오버선(18)은 홈바닥이 볼록하게 커브되어진 표면을 제공하도록 커브되어져 있으므로 느슨해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코일(7C)의 소정의 감는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코일(7D)의 감는 작업은 코일(7D)에 감는 방향이 화살표D에 의하여 표시된 방향이 되도록 수행된다. 이때 감는 작업은 코일(7C)로부터 풀어져나오고 코일(7D)로 감겨지는 코일선재료의 끝나는 단부 및 시작하는 단부가 코어본체(4)의 측면위에 위치되도록 수행한다.
코일(7D)의 소정의 감는 작업이 끝났을 때 코일(7E)의 감는 작업은 코일(7E)에 감는 방향이 화살표E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이 되도록 수행된다. 이때 감는 작업은 코일(7D)로부터 풀어져 나오고 코일(7E)로 감겨지는 코일선재료의 끝나는 단부(Ee)는 중간탭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2터미널부재(13)의 코일단말결선부(13b)에 의하여 당겨진다.
코일(7E)는 소정의 감는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코일(7F)의 감는 작업은 코일(7F)에 감는 방향이 화살표F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이 되도록 수행된다. 이때 코일(7E)로부터 풀어져 나오고 코일(7F)로 감겨지는 코일선재료의 끝나는 단부 및 시작단부는 코어본체(4)의 측면위에 위치된다. 이때, 코일(7F)의 끝나는 단부(Fe)는 코일단말결선부(14b)에 결선된다.
코일(7G)의 감는 작업은 사용된 다른 코일선 재료로 독자적으로 수행된다. 특히 코일(7G)의 감는 작업은 시작단부(Gs)가 제4터미널부재(15)의 코일선 단말결선부(15b)에 결선되며, 끝나는 단부(Ge)가 제4터미널부재(16)의 코일선단말결선부(16b)에 결선되며, 그리고 이 코일(7G)에 감는 방향이 화살표G에 의하여 지시된 방향이 되도록 수행된다.
말하자면, 코일(7G)는 예를들어 그립히터용과 같은 옵션으로 사용되는 일반부하용 코일로 사용됨으로써 감는 작업이 일반부하용 다른 코일들의 감는 작업과는 분리되어 수행된다. 일반부하용 옵션코일을 준비한 필요가 없을 때에는 이 코일(7G)는 코일(7A)대신에 감는 작업의 시작점이 된다.
또한 코일단말결선부들(17b,12b,13b,14b,15b,16b)을 납땜하는 작업들은 적합한 경우에 각각 수행된다.
리드선들을 터미널부재들에 결선하는 작업은 다음에 설명되어진다.
제6도 및 제7도에 보여진 바와 같은 구성에서 리드선들 결선작업은 각 리드선들을 고정하는 리드선홀더(20)가 코어본체(4)의 하면으로부터 인출공(11)내로 삽입되고 리드선홀더에 의하여 고정되는 리드선들의 앞단 도전부들이 인출공(11)내에 위치된 터미널부재들의 리드선결선부들(12a-17a)속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수행된다.
특히 리드선홀더(이하 홀더라함)(20)은 수지와 같은 절연재료로 제조되며, 제8도에 보인바와 같이 단면이 호형인 실제의 원주형상을 제공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며, 홀더본체(21)를 갖는다. 이런 홀더본체(21)에는 6개의 리드선 고정공들(22-27)이 뚫려져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리드선 고정공들(22-17)은 인출공(11)내에 정렬된 터미널부재들(12-17)이 각 리드선 결선부들(12a-17a) 맞은 편에 배열되며, 이런 리드선 고정공들은 관통삽입되는 리드선들을 확실하게 각각 고정한다.
홀더본체(21)는 홀더본체가 인출공(11)속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인출공(11)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단부(11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낮아진 위치홈(28)을 그 상부표면에 제공받도록 되는 외형을 갖는다.
한 쌍의 멈춤구(pawl;29)가 홀더본체(21)의 오목한 측의 외부 표면위에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홀더본체와 일체로 하여 돌출되어 좌우로 대칭되게 배열된다. 이러한 멈춤구들(29)는 홀더(20)가 인출공(11)속으로 결합될 때 코어본체(4)의 상부표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조립된다.
지지부재(30)는 홀더본체(21)의 볼록한 측 외부표면의 바닥단부 모서리로부터 홀더본체에 나란하도록 일체로 돌출된다. 이 지지부재(30)는 홀더본체(21)에 실제로 유사한 호형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한 쌍의 결합돌기들(31)은 좌우 대칭되어 위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결합돌기들(31)은 홀더(20)가 인출공(11)속에 설치될 때에 홀더본체(21)와 협력하여 일반부하용 제6코일(7F)내의 보빈(8)기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조립된다. 또한 한 쌍의 리드선 고정돌기들(32)이 지지부재(30)의 마주보는 단부들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좌우 대칭으로 배열된다. 리드선 고정돌기들(32)은 홀더(20)가 인출공(11)내에 설치될 때에 리드선의 중간부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리드선을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배열을 갖는 홀더(20)에서 각 리드선들은 홀더(20)의 하면으로부터 설정된 리드선 고정공들(22-27)속으로 삽입된다. 그다음 홀더(20)의 홀더본체(21)가 그 하면으로부터 인출공(11)속에서 결합될 때 리드선 고정공들(22-27)에 의하여 고정된 각 리드선들의 앞단 도전부들은 인출공(11)내에 밀집하여 배열된 제1-제6터미널부재들(12-17)의 리드선결선부들(12a-17a)속으로 자동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각 터미널부재들의 리드선 결선부들(12a-17a)에다 리드선을 결선하는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코어단말결선부들의 상술한 군에다 납땜작업을 함과 더불어 적합한 시간으로 한꺼번에 리드선결선부들(12a-17a)에 납땜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상당히 효과적이다.
홀더본체(21)가 인출공(11)속에서 결합될 때 위치홈(28)은 코어본체(4)의 기단부(11a)에 위치되어 결합되며, 멈춤구들(29)은 물러남이 방지되도록 코어본체(4)와 결합되며, 보빈(8)의 지지부재(30)의 결합돌기들과 홀더본체(21)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홀더(20)는 인출공(11)에 적절하게 신뢰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리드선들의 군(group)은 코어본체(4)에 의하여 신뢰감이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제6도 및 제7도에 보인 바와 같이 점화신호 방출소자(도시않음)에 전기적으로 결선된 리드선(33)은 지지부재(30)의 리드선 고정돌기(32)에 결합됨으로써 리드선(33)이 홀더에 의하여 고정된다.
말하자면, 본 발명은 상기 구조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터미널부재들의 리드선 결선부군에 리드선들을 결선하기 위해서는 결선수단으로서 인출공내에 결합되는 홀더의 사용에 제한이 되지 않으며, 리드선들은 리드선 결선부들에 리드선들의 도전부를 결선하기 위하여 인출공속에 직접삽입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또한 터미널부재들의 리드선 결선부군이 인출공속에 밀집하여 위치될 때 결선작업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며 일반부하용 코일들의 단말선들은 돌극부들의 코일들 둘레로 당겨짐이 없이 터미널부재들의 코일단말결선부들에 고정되어 결선되며, 따라서 터미널부재들의 결선부들에 코일들의 단말선들이 닿을 수 없거나 반대로 코일들을 감는 지름내의 진동에 의하여 느슨해지거나 하는 일이 발생되는 불리한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14)

  1. 원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코어본체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극부와; 하나의 소정의 돌극부 둘레로 감겨진 점화전원코일과; 다른 돌극부들 둘레에 각각 감겨지는 일반부하용 코일들과; 상기 코어본체 내에서 상기 점화전원코일반대편위치 부근에 뚫여진 리드선 인출공 및; 상기 리드선 인출공내에 밀집하여 배열되며, 상기 리드선 인출공내의 한구멍단부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터미널 부재의 리드선 결선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 인출공은 일반부하용 코일들이 감겨지는 코어본체 및 코일보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재의 일부는 리드선 인출공을 한정하는 코일보빈들의 플랜지들 속에 끼워져서 터미널 부재들의 각 일단이 코일보빈들의 플랜지로부터 위로 돌출하도록 하고 터미널 부재들의 각 타단은 리드선 인출공 속으로 돌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4. 원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코어본체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극부와; 상기 돌극부들 둘레에 각각 감겨지는 코일들과; 상기 코어본체내에 뚫려진 리드선 인출공과; 상기 리드선 인출공내에 일구멍단에 위치되는 복수의 터미널부재의 리드선 결정부들 및; 리드선들이 속에 끼워지고 안에서 고정하며, 상기 인출공 속으로 끼워지며, 상기 리드선들이 상기 리드선 결선부들에 각각 결선되어지는 리드선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홀더는 높이방향으로 복수의 리드선고정공을 통하여 관통되는 홀더본체를 가지며, 상기 각 리드선 고정공들은 상기 리드선 결선부와 반대편에 위치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상기 리드선 인출공 속으로 결합되는 외부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리드선 인출공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단부에 결합이 될 수 있도록 낮게된 위치홈을 그 상부표면의 중앙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는 오목한 측 외부표면에 좌,우로 대칭되게 한 쌍의 멈춤구가 정렬되며, 홀더본체와 일체로 돌출하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드선홀더가 상기 리드선인출공으로 결합될 때 상기 코어본체의 상부표면과 맞물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본체의 볼록한 측 외부표면의 바닥단부 모서리에는 지지부재가 홀더본체와 나란하게 돌출되며,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들이 좌우로 대칭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9.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부하용 코일은 상기 점화전원코일반대편 부근에서부터 감기가 시작되어, 크로스오버선에 의하여 상기 점화전원코일을 걸치고, 상기 점화전원코일 반대편부근에서 감기가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극부의 기단부에 하나의 크로스오버션용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크로스오버선은 상기 고정홈내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돌극부를 가로지를 수 있도록 상기 돌극부의 기단부의 하면에 낮아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그 중앙부에 볼록한 커브면을 가지는 원형의 아치형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홈 바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부하용 코일들의 각 돌극부들은 인접한 돌극부의 반대방향으로 코일선재료와 함께 둘레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부하용 코일들의 한 돌극부로부터 다음 돌극부로 감겨지는 하나의 라인 재료의 끝단부 및 시단부가 코어본체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KR1019900014176A 1989-09-08 1990-09-08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KR0156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400089A JPH0681467B2 (ja) 1989-09-08 1989-09-08 磁石発電機の固定子
JP1-234000 1989-09-08
JP1234001A JP2520741B2 (ja) 1989-09-08 1989-09-08 磁石発電機の固定子
JP1-234001 1989-09-08
JP1989111934U JPH0727822Y2 (ja) 1989-09-25 1989-09-25 磁石発電機の固定子
JP1-111934 1989-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210A KR910007210A (ko) 1991-04-30
KR0156568B1 true KR0156568B1 (ko) 1998-12-15

Family

ID=27312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176A KR0156568B1 (ko) 1989-09-08 1990-09-08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56568B1 (ko)
FR (1) FR2651935B1 (ko)
IT (1) IT12477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464A (ko) 2018-06-15 2019-12-27 성이바이오(주) 콜린 알포세레이트 함유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07429A3 (en) * 1999-12-01 2005-06-15 Kabushiki Kaisha MORIC Stator winding connections of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9092A (en) * 1959-07-29 1961-11-14 Syncro Corp Generator system
JPS59162756A (ja) * 1983-03-03 1984-09-13 Nippon Denso Co Ltd 磁石発電機の固定子
JPS60213254A (ja) * 1984-04-04 1985-10-25 Nippon Denso Co Ltd 磁石発電機の固定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2464A (ko) 2018-06-15 2019-12-27 성이바이오(주) 콜린 알포세레이트 함유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210A (ko) 1991-04-30
FR2651935B1 (fr) 1994-10-07
IT1247715B (it) 1994-12-30
FR2651935A1 (fr) 1991-03-15
IT9048262A1 (it) 1992-03-07
IT9048262A0 (it) 199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3105B2 (ja) 圧縮機用電動機の固定子
KR0156568B1 (ko) 자석발전기의 고정자
JPH0727822Y2 (ja) 磁石発電機の固定子
JP3382590B2 (ja) コイルボビン
JPS62125610A (ja) 変成器
JPH03112335A (ja) 電動機の端子装置
JP3454577B2 (ja) トランス
JP2595164B2 (ja) 電動機の巻線固定子
JP2520741B2 (ja) 磁石発電機の固定子
JP3648328B2 (ja) 電動機固定子のリ−ド線固定装置
JPH0681467B2 (ja) 磁石発電機の固定子
JP2511836Y2 (ja) トランス
JP3572656B2 (ja) 電気線取付部材を備えた電動機
JPH0519938Y2 (ko)
JPH0521850Y2 (ko)
JPS62230014A (ja) トランス
KR0134104Y1 (ko) 정류자 전동기의 고정자용 절연물 구조
JPH0723011Y2 (ja) 回転電機ステータの口出線接続装置
JPH0538119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3111801B2 (ja) 樹脂モールド型点火コイルの製造方法
JPH0438500Y2 (ko)
JPS5940740Y2 (ja) トランス
JPH0741138Y2 (ja) トランス
JPS635208Y2 (ko)
JPS6026438A (ja) コネクタ付キコイルボビ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