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297B1 - 자동차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자동차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297B1
KR0156297B1 KR1019950024937A KR19950024937A KR0156297B1 KR 0156297 B1 KR0156297 B1 KR 0156297B1 KR 1019950024937 A KR1019950024937 A KR 1019950024937A KR 19950024937 A KR19950024937 A KR 19950024937A KR 0156297 B1 KR0156297 B1 KR 015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mplete
jig
panel
curv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973A (ko
Inventor
김규탁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2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297B1/ko
Publication of KR97000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06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작품으로 제작되는 승용자동차의 바디 부분에 있어서, 전방 측편에 있는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한 컴플리트 패널의 기본적인 위치를 쉽게 잡아 줄 수 있는 지그를 마련하여 기준이 되게 한 후, 컴플리트 멤버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지그는 하측 컴플리트 멤버의 융기부분을 감안해 절첩식으로 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지지기둥위에 나란히 입설 시키되, 곡선홈과 그 양쪽의 핀구멍과, 단속구멍을 각각 형성한 한쌍의 격판부재, 상기한 격판부재의 사이에 꼭 맞게 삽입시키되, 상측에는 셋팅구멍을 가진 원판을 가지고, 측편으로는 체결보울트를 꽂기 위한 통공과 핀구멍을 가지는 받침블럭으로 구성하여 곡선홈의 안내로 승강되는 상기한 받침블럭의 원판의 셋팅구멍이 컴플리트 패널의 연결구멍에 간섭없이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제1도는 본 발명의 요부 판넬을 분리해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용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 2 :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
3 : 지지기둥 4A,4B : 격판부재
5 : 받침블럭 6 : 체결보울트
11 : 융기부 12 : 결합공
13 : 연결구멍 14 : 하단
21 : 돌설부 22 : 상단
41 : 곡선홈 42 : 핀구멍
43 : 단속구멍 51 : 셋팅구멍
52 : 원판 53 : 통공
54 : 핀구멍 55 : 고정핀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시작품(始作品)으로 제작되는 승용자동차의 바디 부분에 있어서, 전방 측편에 있는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이하 컴플리트 패널이라 약칭 함)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이하 컴플리트 멤버라 약칭 함)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시작품으로 제작되는 승용자동차의 바디중에서 앞쪽 바퀴의 윗부분 즉, 스트러트 및 스프링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제1도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들을 받쳐줄 수 있는 구조의 컴플리트 패널(1)과 이 패널의 아래에 연장 접착될 컴플리트 멤버(2)가 있다.
이들 컴플리트 패널(1)과 컴플리트 멤버(2)를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상측의 컴플리트 패널(1)을 정확히 셋팅을 한 후, 그 컴플리트 패널(1)의 하단(14)과 컴플리트 멤버(2)의 상단(22)을 용접하여야 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컴플리트 패널(1)과 컴플리트 멤버(2)를 용접 접착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법을 살펴 보면 대량생산이 아닌 시작품이기 때문에 각각의 컴플리트 패널(1)과 컴플리트 멤버(2)를 단순히 손으로 붙잡고 용접하는 수작업 공정을 통해 완성하였는 바, 일관성이 없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정확히 용접하기 위한 기준이 없어 작업성이 불량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해 이를 시정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한 컴플리트 패널의 기본적인 위치를 쉽게 잡아 줄 수 있는 지그를 마련하여 기준이 되게 한 후, 컴플리트 멤버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지그는 하측 컴플리트 멤버의 융기부분을 감안해 절첩식으로 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이를 위한 특징적인 구성은 지지기둥 위에 한쌍의 격판부재를 나란히 입설시키되, 격판부재의 중앙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곡선홈을 형성하고, 이 곡선홈의 주변에 핀구멍과 단속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안내수단과; 상기한 격판부재의 사이에 받침블럭을 유동가능하게 삽입시키되, 받침블럭의 상측에는 셋팅구멍을 가진 원판을 형성하고, 측편으로는 체결보울트를 꽂기 위한 통공과 핀구멍을 형성하여서 된 이동 수단; 으로 구성하여 상기 안내수단의 곡선홈에 안내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한 받침블럭의 원판의 셋팅구멍이 컴플리트 패널의 연결구멍에 일치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컴플리트 패널(1)과 컴플리트 멤버(2)를 보인 사시도로서 컴플리트 패널(1)은 상측의 융기부(11)와, 그 융기부(11)에 형성된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어셈브리(도시하지 않았음)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2)과 그 주위에서 삼각위치에 형성된 연결구멍(13)들을 볼 수 있으며, 컴플리트 멤버(2)는 이면 쪽으로 융기되어 제2도 및 제3도에서 볼 수 있는 돌설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는 컴플리트 패널(1)과 컴플리트 멤버(2)의 단면도를 볼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부착된 상태이고, 그 아랫쪽으로 본 발명의 지그를 볼 수 있다.
지그는 지지기둥(3)상에서 한쌍의 격판부재(4A)(4B)와 받침 블럭(5)으로 이루어 지는데 격판부재(4A)(4B)는 지지기둥(3)의 측변과 나란하게 세워져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곡선홈(41)이 있고, 그 홈의 양쪽에는 복수개의 핀구멍(42)이 있으며, 또한 하측에는 단속구멍(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받침블럭(5)은 상면에 셋팅구멍(51)을 가지는 원판(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셋팅구멍(51)은 상기한 컴플리트 패널(1)의 연결구멍(13)들과 일치하는 방향의 삼각모양을 갖는 것이고, 또 측편으로는 체결보울트(6)를 끼우기 위한 통공(53)이 있고, 그 일측으로 또 다른 핀구멍(5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조립상태를 보면 받침블럭(5)을 격판부재(4A)(4B)의 사이에 끼운 후, 체결보울트(6)를 상기한 격판부재(4A)(4B)의 곡선홈(41)과 받침블럭(5)의 통공(53)을 통해 끼운 후 조여줄 수 있게 하고, 고정핀(55)은 격판부재(4A)(4B)의 핀구멍(42)과 받침블럭(5)의 핀구멍(54)을 일치시켜 꽂을 수 있고, 혹은 격판부재(4A)(4B)의 단속구멍(43)과 받침블럭(5)의 핀구멍(54)을 일치시켜 꽂을 수도 있다.
제2도 및 제3도의 미설명 부호 7은 셋팅핀이고, 8은 용접 포인트, 9는 휀더 패널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하여 조립 완성된 지그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지그가 조립 완성되면 체결보울트(6)를 완전히 빼지 않은 상태에서 받침블럭(5)의 위치를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완전히 풀지 않은 체결보울트(6)를 곡선홈(41)을 따라 위로 밀어 올리면 받침블럭(5)이 곡선홈(41)에 안내되어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이동되어 원판(52)의 위치가 최대의 높이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 각각의 핀구멍(42)(54)을 통해 고정핀(55)을 끼워 넣고, 다시 체결보울트(6)를 조여 주면 받침블럭(5)은 양측의 격판부재(4A)(4B)상에서 견고하게 위치 조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블럭(5)이 곡선홈(41)을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이동하면, 받침블럭(5)이 컴플리트 멤버(2)의 돌설부(21)에 간섭(부딪히거나 접촉되지 않음)되지 않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제2도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기둥(3)의 측편으로 컴플리트 멤버(2)가 근접되어 있고, 그 위로 컴플리트 패널(1)이 올려졌을 경우 받침블럭(5)이 컴플리트 멤버(2)의 돌설부(21)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컴플리트 패널(1)의 융기부(11)안쪽으로 대각선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융기부(11)의 안쪽 위에 위치한 연결구멍(13)과 원판(52)의 셋팅구멍(51)을 일치시킨 다음 그 구멍에 셋팅핀(7)을 꽂으면 컴플리트 패널(1)의 위치가 이 지지기둥(3)상에서 정확히 자리 잡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컴플리트 패널(1)의 위치가 정확히 결정되었으므로 이 컴플리트 패널(1) 하단(14)과 여기에 접착시킬 컴플리트 멤버(2)의 상단(22)을 맞대어 간편하고 편리하게 용접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이 끝난 후에는 받침블럭(5)을 낮추어 꺼내야 하는데 이때는 앞에서의 경우와 반대로 체결보울트(6)를 느슨하게 풀고 고정핀(55)을 모두 뽑은 후, 곡선홈(4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다시 고정핀(55)을 단속구멍(43)에 꽂으면 유동없이 단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도 받침블럭(5)은 컴플리트 멤버(2)의 돌설부(21)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는 것이다.
[작용 효과]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컴플리트 패널의 기본적인 위치를 쉽게 잡아 줄 수 있는 지그를 마련하여 기준이 되게 한 후, 컴플리트 멤버를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한 지그는 하측 컴플리트 멤버의 융기부분을 감안해 받침블럭(5)이 격판부재(4A)(4B)상에서 대각으로 움직이는 절첩식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일관성있는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히 용접 부착할 수 있는 등 작업성을 월등히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지지기둥(3)위에 한쌍의 격판부재(4A)(4B)를 나란히 입설 시키되, 격판부재(4A)(4B)의 중앙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곡선홈(41)을 형성하고, 이 곡선홈(41)의 주변에 핀구멍(42)과 단속구멍(43)을 형성하여서 된 안내수단과; 상기한 격판부재(4A)(4B)의 사이에 받침블럭(5)을 유동가능하게 삽입시키되, 받침블럭(5)의 상측에는 셋팅구멍(51)을 가진 원판(52)을 형성하고, 측편으로는 체결보울트(6)를 꽂기 위한 통공(53)과 핀구멍(54)을 형성하여서 된 이동수단; 으로 구성하여 상기 안내수단의 곡선홈(41)에 안내되어 대각선방향으로 승강되는 상기한 받침블럭(5)의 원판(52)의 셋팅구멍(51)이 컴플리트 패널(1)의 연결구멍(13)에 일치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KR1019950024937A 1995-08-14 1995-08-14 자동차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KR015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937A KR0156297B1 (ko) 1995-08-14 1995-08-14 자동차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937A KR0156297B1 (ko) 1995-08-14 1995-08-14 자동차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73A KR970009973A (ko) 1997-03-27
KR0156297B1 true KR0156297B1 (ko) 1998-11-16

Family

ID=1942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937A KR0156297B1 (ko) 1995-08-14 1995-08-14 자동차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2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73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8968A (en) Method for assembling body panels
KR0156297B1 (ko) 자동차 프론트 에이프런 컴플리트 패널과 프론트 사이드 씰 컴플리트 멤버를 접합하기 위한 지그
KR101876442B1 (ko) 자동차의 루프프레임 조립체 제조용 지그
KR890005478Y1 (ko) 자동차의 지주 구조
JPH01311967A (ja) 車体組立方法
JP3533770B2 (ja) ストラットアッセンブリとナックルスピンドルとの結合構造
CN208977160U (zh) 汽车前底板的梯形板组焊工装
JP2001260230A (ja) 振動溶着方法および振動溶着装置
JPS6017531Y2 (ja) ウエルドナツトの取付構造
JP2005075018A (ja) 車両のフレーム構造
CN208992070U (zh) 汽车前底板总成组焊工装
JPH02127175A (ja) 車体組み付け構造
KR970002613Y1 (ko) 차체의 펜더 마운트
KR200153662Y1 (ko) 차량의 로커패널 접합구조
JPS602998Y2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アンカ−取付部構造
JPH0113668Y2 (ko)
JPS6232137Y2 (ko)
JP2554784Y2 (ja) 金属製折版屋根の接合部用固定具
JPS63121575A (ja) 自動車のボデイパネルの成形方法
JP2602965Y2 (ja) 塗装用仮組治具
JPH09193640A (ja) サスペンション
KR970002724Y1 (ko) 자동차용 루프몰드 체결구조
JPH106149A (ja) ボルト案内用治具
JPH042801Y2 (ko)
JPH0721483U (ja) 自動車車体の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