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245B1 - 5-알킬퀴놀론 카복실산 - Google Patents

5-알킬퀴놀론 카복실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245B1
KR0156245B1 KR1019900004548A KR900004548A KR0156245B1 KR 0156245 B1 KR0156245 B1 KR 0156245B1 KR 1019900004548 A KR1019900004548 A KR 1019900004548A KR 900004548 A KR900004548 A KR 900004548A KR 0156245 B1 KR0156245 B1 KR 0156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diazabicyclo
alkyl
compoun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186A (ko
Inventor
슈리베르 미카엘
그로헤 클라우스
크레브스 안드레아스
페테르센 우베
쉔케 토마스
할레르 인고
게오르그 메쯔게르 칼
엔데르만 라이너
차일러 한스-요아힘
Original Assignee
비르트 데너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르트 데너, 바이엘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비르트 데너
Publication of KR90001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8Bridg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5-알킬퀴놀론카복실산
본 발명은, 알킬을 지닌 신규한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제 및 식품 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하기 일반식(I)의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및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수화물 및 산부가염, 또한 이들을 기재로 한 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은 및 구아니디늄염이 특히 그람-양성 영역에서 높은 항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밝혀내었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히드록실, 할로겐, C1-C3-알콕시 또는 C1-C3-알킬티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직쇄 또는 분지쇄 C1-C4-알킬, 할로겐 또는 C1-C3-알킬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C1-C4-알케닐, 또한 C1-C3-알콕시, 아미노,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모노알킬아미노,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디알킬아미노 또는 할로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페닐을 나타내며, R2는 수소,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 또는 (5-메틸-2-옥소-1, 3-디옥솔-4-일)-메틸을 나타내고,
R3는 C1-C4-알킬을 나타내며
R4는 고리계에서 히드록실 또는 메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일반식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j는 1, 2 또는 3을 나타내는
E는 R5-N(여기서, R5는 수소, 히드록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니트로 또는 아미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벤질, 탄소 원자수 2 내지 4의 옥소알킬 또는 (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을 나타낸다), 0 또는 S를 나타내고, G는 -(CH2)j-, -CH2-O-CH2-, -CH2-S-CH2-, -CH2-S-,
Figure kpo00003
(여기서, R6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를 나타낸다]의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R4는 또한 일반식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P는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는데, p+m은 함께 1, 2 또는 3이 될 수 있으며,
n은 1 또는 2를 나타내고,
W는
Figure kpo00005
, OR9, SR9, 할로겐 또는 수소를 나타내며,
X1
Figure kpo00006
, OR9, SR9, 할로겐, CN, CONH2또는 COO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여기서, R7은 수소, C1-C3-알킬, 알릴 또는 프로파길을 나타내고, R8은 수소, C1-C3-알킬 또는 C3-C6-시클로알킬을 나타내며, R7+R8은 또한 함께 -CH2CH2-O-CH2-CH2- 또는 -(CH2)k-(여기서, k는 3, 4 또는 5일 수 있다)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C1-C3-알킬 또는 C1-C3-아실을 나타낸다).
X2및 X3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산소, 황, NH 또는 N-CH3를 나타내며, R10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을 나타낸다]의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Figure kpo00007
[상기식에서,
R11은 H, C1-C3-알킬 또는 C1-C2-아실을 나타낼 수 있고,
R12는 H, C1-C3-알킬, OH 또는 OCH3를 나타낼 수 있으며,
R11과 R12는 또한 함께 메틸에 의해 임의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C1-C3-알킬렌다리를 나타낼 수 있고,
R13은, H, 또는 C1-C3-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벤질,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아실 또는(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을 나타낼 수 있으며,
R14는 H 또는 C1-C4-알킬을 나타낼 수 있고,
R15는 H 또는 CH3또는 페닐을 나타낼 수 있으며,
R16은 H 또는 CH3또는 페닐을 나타낼 수 있고,
R17은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으며,
Y는 O, CH2, CH2CH2, 또는 0 및 CH2에 의해 질소에 연결될 수 있는 CH2-0를 나타낼 수 있고,
Z는 0 또는 S를 나타낼 수 있다]의 라디칼을 나타내며,
A는 수소, 할로겐, 메틸, 시아노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거나 R1과 함께 R- 또는 S- 배위를 갖는 구조식
Figure kpo00008
또는 -CH2CH2-CH-CH3의 다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들은 의약 및 감염으로부터 어류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것을 포함한 수의약용 활성 화합물로서 적절하다.
일반식(1)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이 에틸,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비닐, t-부틸, 2-히드록시에틸, 2-플루오로에틸, 아미노, 메틸아미노, 페닐, 4-플루오로페닐 또는 2,4-디플루오로페닐을 나타내며,
R2가 수소,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 또는 (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을 나타내고,
R3가 C1-C3-알킬을 나타내며,
R4가 고리계에서 메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일반식
Figure kpo00009
상기 식에서,
j는 1, 2 또는 3을 나타내고,
E는 R5-N(여기서, R5는 수소, 히드록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탄소 원자수 1내지 3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니트로 또는 아미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벤질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4의 옥소알킬 나타낸다) 또는 0를 나타내고,
G는 -(CH2)j-, -CH2-O-CH2- 또는
Figure kpo00010
(R6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를 나타낸다]의 치환된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R4가 또한 일반식
Figure kpo00011
[상기 식에서,
P는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는데, p+m은 함께 1, 2 또는 3이 될 수 있으며, n은 1 또는 2를 나타내고,
W는
Figure kpo00012
, OR9또는 수소를 나타내며,
X1
Figure kpo00013
, OR9, 불소, 염소 또는 C1-C2-알킬을 나타내고(여기서, R7은 수소, C1-C2-알킬 또는 아세틸을 나타내고, R8은 수소 또는 C1-C2-알킬을 나타내며, R7+R8은 또한 함께 -CH2CH2-O-, -CH2CH2- 또는 -(CH2)k-(여기서 k는 3, 4 또는 5를 나타낼 수 있다)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C1-C2-알킬 또는 아세틸을 나타낸다)
X2및 X3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산소, 황, NH 또는 N-CH3를 나타내며, R10은 수소 또는 C1-C2-알킬을 나타낸다]의 치환된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R4가 또한 일반식
Figure kpo00014
[상기 식에서,
R11은 H, C1-C3-알킬 또는 C1-C2-아실을 나타낼 수 있고,
R12는 H, C1-C3-알킬, OH 또는 OCH3를 나타낼 수 있으며,
R11및 R12는 또한 함께 메틸에 의해 임의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된 C1-C2-알킬렌다리를 나타내고,
R13은 H, C1-C3-알킬, 페닐, 벤질, C1-C4-알콕시카보닐, C1-C2-아실 또는 (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을 나타낼 수 있으며,
R14는 H 또는 C1-C2-알킬을 나타낼 수 있고,
R15는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으며,
R16은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고,
R17은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으며,
Y는 O, CH2, CH2CH2, 또는 O 및 CH2에 의해 질소에 연결될 수 있는 CH2-O를 나타낼 수 있고,
Z는 O를 나타낼 수 있다]인 라디칼을 나타내며,
A가 R1과 함께 R- 또는 S-배위를 갖는 구조식
Figure kpo00015
의 다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H, 불소, 염소, 메틸, 시아노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는 것들이다.
특히 바람직한 일반식(I)의 화합물은,
R1이 에틸, 비닐, t-부틸, 시클로프로필, 2-히드록시에틸, 2-플루오로에틸, 메틸아미노, 4-플루오로페닐 또는 2, 4-디플루오로페닐을 나타내며,
R2가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의 알킬을 나타내고,
R3가 C1-C3-알킬을 나타내며,
R4가 고리계에서 메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일반식
Figure kpo00016
[상기 식에서,
j는 1 또는 2를 나타내고,
E는 R5-N(여기서, R5는 수소, 히드록실에 의해 임의로 치환되고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 니트로 또는 아미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벤질,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4의 옥소알킬을 나타낸다)을 나타내며,
G는 -(CH2)j-을 나타낸다]의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R4가 또한 일반식
Figure kpo00017
[상기 식에서,
P는 0, 1 또는 2를 나타내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는데, p+d은 함께 1, 2 또는 3일 수 있으며, n은 1을 나타내고,
W는
Figure kpo00018
, OR9또는 수소를 나타내며,
X1
Figure kpo00019
, OR9, 염소 또는 알킬을 나타내고(여기서, R7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고, R8은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내며, R9는 수소 또는 메틸을 나타낸다)
X2및 X3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산소 또는 N-CH3를 나타내며,
R10은 수소 또는 C1-C3알킬을 나타낸다]의 라디칼을 나타내거나,
R4는 또한 일반식
Figure kpo00020
[상기식에서,
R11은 H, C1-C2-알킬 또는 아세틸을 나타낼 수 있고,
R12는 H 또는 C1-C2-알킬을 나타낼 수 있으며,
R11및 R12는 함께, 메틸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 C1-C2-알킬렌 다리를 나타낼 수 있고,
R13은 H, C1-C2-알킬, 히드록시에틸, 벤질, C1-C4-알콜시카보닐 또는 C1-C2-아실을 나타낼 수 있으며,
R14는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고,
R15는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으며,
R16은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고,
R17은 H 또는 CH3를 나타낼 수 있으며,
Y는 O, CH2, CH2CH2또는 O 및 CH2에 의해 질소에 연결될 수 있는 CH2-O를 나타낼 수 있고,
Z는 O를 나타낼 수 있다]의 라디칼을 나타내고,
A가 R1과 함께 R- 또는 S- 배위를 갖는 구조식
Figure kpo00021
의 다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H, 불소 또는 염소를 나타내는 것들이다.
또한, 일반식(II)의 화합물을
Figure kpo00022
(상기 식에서, R1, R2, R3및 A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으며, R4는 할로겐 특히, 불소 및 염소를 나타낸다), 필요할 경우 산제거제(acid scavanger)의 존재하에 일반식(III)의 화합물 [R4-H(III), 여기서 R4는 상기한 바와 같다]과 반응시키고, 필요한 경우 R4에 포함된 보호기를 제거하여 일반식(I)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1-시클로프로필-6, 7, 8-트리플루오로-1, 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및 1-메틸-옥타히드로피롤로[3, 4-b]피리딘이 출발물질로 사용된다면, 반응 경로는 하기의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4
예를 들어, 8-클로로-1-시클로프로필-6, 7-디플루오로-1, 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및 3-에틸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돈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는 경우는, 반응 경로를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25
예를 들어, 1-시클로프로필-7-(2, 7-디아자비시클로[3. 3. 3.]옥트-7-일)-6-플루오로-1, 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및 에탄올/염화 수소를 출발 물질로 사용하는 경우라면, 반응경로는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출발 물질로서 사용된 일반식(II)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으며 또한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로서는 하기의 것이 있다.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30
하기의 구조를 갖는 일반식(III) 의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다(유럽 특허 공개 제230, 274호) :
Figure kpo00031
일반식(III)의 화합물 중 일부는 출발 화합물로 사용되었으며, 하기의 구조를 갖는 것은 신규한 것이다.
Figure kpo00032
이들은 하기와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
1. 질소 원자 상에서 보호된 스피로-옥시란(I)[참조 : J. Med. Chem. 30, 222 (1987) : 미합중국 특허 제4, 508, 724호 : 유럽 특허 공개 제189, 370호]을 아민(2)과 반응시켜 개환하여 히드록실아민(3)을 생성시킨다. 보호기를 제거하면 일반식(IIIa)의 출발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33
R18= COO- 알킬 또는 CH2C6H5
Figure kpo00034
2. 벤질 아민을 사용하여 숙신산 에스테르(4)를 고리화[참조: Tetrahedron Letters 46, 4561(1973)]하면, 알킬 1-벤질-3-히드록시-5-옥소-피롤리딘-3-카복실레이트(5)가 수득되며, 이는 아민(2)과의 반응하여 아미드(6)를 생성한다. 이어서 LiAlH4와 반응시키고 벤질기를 가수소 분해하면 일반식(IIIb)의 출발 화합물이 수득된다.
Figure kpo00035
3. (1-벤질-3-히드록시-2,5-디옥소-피롤리딘-3-일)-아세트산(7)을 반응시켜[참조: Gazz. Chim. Ital. 24, 226(1894)] 아미드(8)를 수득하고 이어서 LiAH4로 환원시킨 후 벤질기를 제거하여 일반식(IIIc)의 출발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36
4. 4-히드록시-4-메틸-피롤리딘-2-온을 LiAlH4환원시키거나[참조: Zh. Org. Khim. 14, 7, p.1420(1978)] 또는 1-벤질-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을 탈벤질화시켜 3-히드록시-3-메틸-피롤리딘을 제조할 수 있다(참조: 유럽 특허 제132, 845호).
5. 보호기에 의해 질소 상에서 장해된 시클릭 옥소-아민(9)로 출발하여 일반식들(IIId), (IIIe) 및 (IIIf)인 출발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다(참조: Acta Chem. Scand. B 34, 319(1980)].
Figure kpo00037
6. 히드록실아민(IIIa) 내지 (IIIe)의 히드록실기를 알킬화 또는 할로겐화시킬 수 있다.
7. 케탈, 티오케탈 또는 아미날을 시클릭 옥사민(9)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참조: Helv. Chim. Acta 50, 1289(1967)].
질소 원자 상에서 보호된 스피로 옥시란(1)과 트리메틸실일 시아나이드를 반응시켜[참조: J. Amer. Chem. Soc. 104, 5849(1982)], 이소니트릴(14)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가수분해하고 보호기를 제거하고 반응시켜, 하기 일반식(IIIg)의 출발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Figure kpo00038
일반식(III)의 출발 화합물로서는 하기의 것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키랄(Chiral) 화합물을 라세메이트 및 에난티오머 상으로 순수한 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3-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딘,
3-아세틸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딘,
3-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딘,
3-히드록시-3-메틸아미노메틸-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딘,
3-히드록시-3-프로필아미노메틸-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3-메톡시-피롤리딘,
3-에톡시-3-에틸아미노메틸-피롤리딘,
3-클로로-3-에틸아미노메틸-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3-플루오로-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3-메틸-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3-머캅토-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3-메틸티오-피롤리딘,
3-아세톡시-3-에틸아미노메틸-피롤리딘,
3-디메틸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딘,
3-히드록시-3-피롤리디노메틸-피롤리딘,
3-히드록시-3-모폴리노메틸-피롤리딘,
3-아미노-3-에틸아미노메틸-피롤리딘,
3-아세틸아미노-3-에틸아미노메틸-피롤리딘,
3-에틸아미노메틸-3-메틸아미노-피롤리딘,
3-디메틸아미노-3-에틸아미노메틸-피롤리딘,
3-아미노-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
3-아세틸아미노-3-히드록시메틸-피롤리딘,
3-아미노-3-메톡시메틸-피롤리딘,
3-3급-부톡시카보닐아미노-3-메톡시메틸-피롤리딘,
3-아미노-3-메틸티오메틸-피롤리딘,
3-아미노-3-머캅토메틸-피롤리딘,
3-시클로프로필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딘,
3-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3-히드록시-피롤리딘,
1,4-디옥사-7-아자스피로[4,4]노난,
1-옥사-4,7-디아자스피로[4,4]노난,
4-메틸-1-옥사-4,7-디아자스피로[4,4]노난,
1-티아-4,7-디아자스피로[4,4]노난,
1,4,7-트리아자스피로[4,4]노난,
1,4-디메틸-1,47-트리아자스피로[4,4]노난,
출발 물질로서 사용되고, 하기의 구조를 갖는 몇몇 일반식(III)의 화합물 역시 신규한 것이다. 이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39
1. 임의로는 한 개 또는 두 개의 메틸 또는 페닐 라디칼을 추가로 가질 수 있는 N-보호된 3,4-에폭시피롤린(I)로부터 출발하여 [참조: German offenlegungsschrift 1,929,237, 미합중국 특허 제4,254,135호], 일반식(IIIa) 내지 (IIIe)의 출발 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40
R18= 벤질, 아실, 알콕시카보닐, 벤질옥시카보닐, 트리알킬실릴 또는 술포닐 (보호기의 예),
X = 할로겐, 알킬 - 또는 아릴술포닐옥시와 같은 이탈기
Figure kpo00041
Figure kpo00042
2. 일반식(IIIm)의 출발 화합물을 하기의 반응 순서를 통해 2-(1,2-디클로로에틸)-옥시란으로부터 수득한다:
Figure kpo00043
Figure kpo00044
3. 아자이드를 한 개 또는 두 개의 메틸 또는 페닐 라디칼로 임의로 치환된 N-벤질 말레이미드에 부가함으로써, 일반식(IIIn)의 출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45
R19= H, 알킬 또는 벤질.
4. 티오닐클로라이드의 고리화에 의해 3,4-에폭시피롤리딘(1)로부터 일반식(IIIo)의 출발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46
5. 3,4-에폭시피롤리딘(I)과 에탄올아민을 분자내 에테르화 반응으로 반응시켜, 일반식(IIIp)의 출발 화합물을 수득한다:
Figure kpo00047
6. 일반식(IIIq)의 출발 화합물은, 분자내 1,3-이극성 시클로부가를 통해 아미노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아세탈로부터 수득한다:
Figure kpo00048
7. N-벤질-피리딘-2,3-디카복시미드로부터 출발하여 출발 화합물(IIIr) 또는 (IIIℓ)을 하기의 반응 단계를 통해 제조한다:
Figure kpo00049
8. N-벤질-말레이미드를 2-클로로에틸아민에 부가하여 3-(2-클로로에틸아미노)-숙신이미드를 수득하고, 이를 반응시켜 일반식(IIIt)의 출발 화합물을 수득하다:
Figure kpo00050
9. 2-메틸-2-프로페날디메틸히드라존을 N-벤질말레이미드와 반응시켜 시클로부가염을 수득하고 이를 하기의 반응 단계를 통해 출발 화합물(IIIu)로 전환시킬 수 있다.
Figure kpo00051
예를 들어, 이러한 일반적인 반응도식에 따라, 하기의 출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은 디아스테레오상으로 그리고 에난티오머상으로 순수한 형태의 디아스테레오머 혼합물로써 제조 및 사용될 수 있다.
4-아미노-3-히드록시피롤리딘,
3-히드록시-4-메틸아미노피롤리딘,
4-디에틸아미노-4-히드록시피롤리딘,
4-에틸아미노-3-히드록시피롤리딘,
3-아미노-4-메톡시피롤리딘,
4-메톡시-3-메틸아미노피롤리딘,
3-디메틸아미노-4-메톡시피롤리딘,
3-에틸아미노-4-메톡시피롤리딘,
3-아미노-4-에톡시피롤리딘,
4-에톡시-3-메틸아미노피롤리딘,
3-디메틸아미노-4-에톡시 피롤리딘,
4-에폭시-3-에틸아미노피롤리딘,
3-히드록시-4-히드록시아미노피롤리딘,
3-히드록시-4-메톡시아미노피롤리딘,
3-히드록시아미노-4-메톡시피롤리딘,
4-메톡시-3-메톡시아미노피롤리딘,
3-벤질아미노-4-메톡시피롤리딘,
4-메톡시-3-((5-메틸-2-옥소-1,3-디옥솔-4-일)-메틸아미노) 피롤리딘,
3-아미노-4-메틸머캅토피롤리딘,
3-아세톡시-4-디메틸아미노피롤리딘,
3-아세트아미도-4-메톡시피롤리딘,
4-메톡시-3-메톡시카보닐아미노피롤리딘,
3-포름아미도-4-메톡시피롤리딘,
3-아미노-4-메톡시-2-메틸피롤리딘,
3-아미노-4-메톡시-5-메틸피롤리딘,
4-메톡시-2-메틸-3-메틸아미노피롤리딘,
4-메톡시-5-메틸-3-메틸아미노피롤리딘,
3-아미노-4-메톡시-2-페닐피롤리딘,
4-메톡시-3-메틸아미노-5-페닐피롤리딘,
3-메틸-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4-메틸-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5-메틸-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3,5-디메틸-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1,5-디메틸-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2-옥사-4,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3,3-디메틸-2-옥사-4,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3-옥사-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1,2-디메틸-3-옥사-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2,5-디메틸-3-옥사-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2,8-디메틸-3-옥사-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5-메틸-3-옥사-2,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2-옥사-4,7-디아자비시클로[3.3.0]옥트-3-앤,
3-메틸-2-옥사-4,7-디아자비시클로[3.3.0]옥트-3-앤,
3-페닐-2-옥사-4,7-디아자비시클로[3.3.0]옥트-3-앤,
6-메틸-2-옥사-4,7-디아자비시클로[3.3.0]옥트-3-앤,
8-메틸-2-옥사-4,7-디아자비시클로[3.3.0]옥트-3-앤,
3-메틸-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4-메틸-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5-메틸-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6-메틸-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3-메틸-2-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4-메틸-2-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1-메틸-2-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3,5-디메틸-2-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2-티아-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5-메틸-2-티아-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3,5-디메틸-2-티아-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3-옥사-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2-메틸-9-옥사-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4-메틸-3-옥사-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2,5-디메틸-3-옥사-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3-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5-메틸-3-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1,5-디메틸-3-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4,4-디메틸-3-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화합물(II)와 히드로클로라이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III)의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술폭사이드, N, 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헥사메틸포스포르아미드, 술포란, 아세토니트릴, 물, 알콜(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또는 피리딘과 같은 희석제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들 희석제의 혼합물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 제거제들은 모두 통상적인 무기 및 유기 산-결합 제제들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알칼리금속 히드록사이드, 알칼라금속 카보네이트, 유기아민 및 아미딘을 포함한다. 특별히 적절하게 예로 들 수 있는 것은; 트리에틸아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타노(DABCO),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크-7-엔(DBU) 또는 과량의 아민(III) 등이 있다.
반응 온도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응은 약 2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80℃에서 수행된다.
이 반응은 통상의 기압에서 수행하나, 승압하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반응은 1 내지 100 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바 사이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과정을 수행할 경우, 카복실산(II), 몰 당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1 내지 15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몰로 사용한다.
자유 히드록시 기는 반응 동안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피나릴 라디칼과 같은 적절한 히드록시 보호기를 사용하여 보호할 수 있고, 반응 완료 후에는 다시 유리시켰다(참조: J. F. W. McOmi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1973), page 104).
자유 아미노 관능기는 반응 동안 예를 들어 에톡시카보닐 또는 3급-부톡시카보닐 라디칼과 같은 적절한 아미노 보호기를 사용하여 보호할 수 있으며, 반응 완료 후에는 염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같은 적절한 산으로 처리하여 다시 유리 시켰다[참조: Houben-Wey1,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ume E4, page 144(1983); J. F. W. McOmi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1973), page 43).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해, 카복실산을 기재로 한 것들은 약 20°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약 60°내지 120℃의 온도에서 황산, 무수염화 수소,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또는, 산성 이온 교환제와 같은 강산의 존재하의 과량의 알코올 중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으로 생성된 물은 클로로포름, 테트라클로로메탈, 벤젠 또는 톨루엔을 사용하여 공비 증류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에스테르의 제조는 또는 산을 기재로 한 것들을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디알킬 아세틸과 함께 가열하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구약물로 사용되는(5-메틸-2-옥소-1,3-디옥소-4-일)-메틸에스테르는 카복실산을 기재로 한 것들의 알칼리 금속염을 약 0°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0°내지 50℃의 온도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딘, 디메틸술폭사이드 또는 테트라에틸우레아와 같은 용매 중에서 4-브로모메틸 또는 4-클로로메틸-5-메틸-1,3-디옥솔-2-온과 반응시켜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산 부가염 제조는, 예를 들어 베탄인(betaine)을 과량의 수성산에 용해시키고,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염을 침전시키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한다. 등량의 베탄인 및 산 역시 물 또는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와 같은 알콜 중에서 가열한 다음 증발 건조시키거나 또는 침전된 염을 흡인 여과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아세트산, 글리콜산,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메탄술폰산, 4-톨루엔술폰산, 갈락투론산, 글루콘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팔트산을 염을 뜻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복실산의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 히드록사이드 용액의 아등량(subequivalent amount) 중에 베타인을 용해시키고, 용해되지 않은 베타인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건조 증발시켜 수득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의 것들이다.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을 질산은과 같은 적절한 은염과 반응시킴으로써 상승하는 은염을 수득한다.
실시예에서 언급된 활성 화합물에 부가하여, 표1의 예에 나타낸 것 같은 화합물들 역시 제조할 수 있으며, 이들 화합물이 디아스테레오머 혼합물로서 그리고 또한 디아스테레오상으로 순수한 화합물 또는 에난티오머상으로 순수한 화합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은 낮은 독성과 아울러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 박테리아, 특히 엔테로박테리아 속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무엇보다도 여러 가지 항생제, 예를 들면,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아미노글리코시드, 술폰아미드 및 테트라사이클린들에 대해 내성을 지닌 것들에 또한 광범위한 항균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런 유용한 특성들은 이들의 의학에서의 화학요법 활성 화합물로서의 용도 및 무기 및 유기 물질, 특히 모든 유형의 유기 물질, 예를 들면 중합체, 윤활제, 염료, 섬유, 피혁, 종이 및 목재, 및 음식물 및 물의 보존을 위한 물질로서의 용도를 촉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대단히 광범위한 미생물 스펙트럼에 대해 활성적이다. 이들을 이용하여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 박테리아 및 박테리아-유사 미생물을 구제할 수 있으며, 이들 병원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질병 역시 예방, 개선 및/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박테리아 및 박테리아-유사 미생물에 대해 특히 활성적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병원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국부 및 계통적 감염의 예방 및 화학요법을 위한 의약 및 수의약에 특히 잘 적용된다.
예를 들어, 하기의 병원균 또는 하기 병원균의 혼합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국부 및/또는 계통적 질병을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다. 그람-양성 구균, 예를 들면 포도상구균(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Staph. aureus,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 Staph. epidermidis) 및 연쇄상구균(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애; Strep. agalactiae, 스트렙토코커스 페칼리스; Strept. faecalis,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애; Strept,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피오제네스; Strept. pyogenes); 그람-음성 구균(임균; Neisseria gonorrhoeae) 또한 장내균과(Enterobacteriaceae)와 같은 그람-음성 간균, 예를 들면 대장균(Escherichia coli), 혈호균속(Haemophilus) 인플루엔자, 시트로박터균(시트로박터 푸룬디; Citrob. freundii, 시트로박터 디버니스; Citrob. divernis), 살모넬라 및 쉬겔라; 또한 크랩시엘라(크랩시엘라 뉴모니애; Klebs. pneumoniae, 크랩시엘라 옥시토카; Klebs. oxytoca), 엔테로박터(엔테로박터 에어로젠스; Ent. aerogenes, 엔테로박터 아글로메란스; Ent. agglomerans), 하프니아속, 세라티아속(세라티아 마르세센스; Ser. marcescens), 프로테우스(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Pr. mirabilis, 프로테우스 레트게리; Pr. rettgeri, 프로테우스 불가리스; Pr. vulgaris), 프로비덴시아속(Providencia), 예르시니아속(Yersinica) 및 또는 아시네토박터목(Acinetobacter). 또한, 항균성 스펙트럼은 슈도모나스목(Pseudomonas)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 Ps. aeruginosa, 슈도모나스 말토필리아; Ps. maltophilia) 및 예를 들면 펩토코커스(Peptococcus) 목의 대표적인 것인 박테로이데스 프라질리스(Bacteroides fragilis), 펩토스트렙토코커스 및 또한 클로스트리디움속과 같은 절대적 혐기 박테리아를 포함하며; 또한 마이코플라즈마(마이코플라즈마 뉴모니애; M. pneumoniae,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M. hominis, 마이코플라즈마 우레알리티쿰; M. purealyticum) 및 또한 예를 들면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클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같은 마이코박테리아가 포함된다.
상기 병원균의 목록은 단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병원균 또는 혼합 감염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 및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의해 예방, 개선 또는 치환될 수 있는 것들은 다음을 예로 들 수 있다. 사람에 있어서의 감염성 질환; 예를 들면 이염, 인듀염, 폐렴, 복막염, 신우신염, 방광염, 심내막염, 계통적 감염, 기관지염(급성, 만성), 폐혈성 감염, 상기도질환, 비만성 전기관지염, 폐기종, 이질, 장염, 간종양, 요도염, 전립선염, 부고환염, 위장감염, 골(뼈) 및 관절감염, 낭모성 섬유종, 피부감염, 수술-후 상처 감염, 종양, 붕과직염, 상처감염, 감염된 회상, 버짐, 구강부위감염, 치과 수술후 감염, 골수염, 폐혈성 관절염 담낭염, 충수염에 의한 복막염, 담도염, 내복강종양, 췌장염, 정맥동염, 유양돌기염, 유선염, 편도선염, 티푸스, 뇌막염 및 신경계감염, 이관염, 자궁내막염, 생식기감염, 골반복막염 및 눈감염.
사람 이외에도, 박테리아성 감염은 따른 종에서 치료할 수 있다. 예로서는 하기의 것이 있다: 돼지; 대장-설사, 장성 중독증, 패혈증, 이질, 살모넬라 감염증, 유선염-자궁 근충염-무유증 증후군, 유선염; 반추동물(소, 양, 염소): 설사, 패혈증, 기관지-폐렴, 살모넬라 감염증,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증, 생식기 감염; 말; 기관지 폐렴, 관절-질환, 산전 후 산후 감염, 살모넬라 감염증;
개 및 고양이 : 기관지 폐렴, 설사, 피부염, 이염, 요도 감염, 전립선염;
가금류(암탉, 칠면조, 메추라기, 비둘기, 관상조류 및 기타) :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 대장균 감염, 만성기도질환, 살모넬라 감염증, 파스퇴렐라 감염증, 앵무병.
식용 및 관성어를 키우고 유지시키는데 있어서의 박테리아 질환 역시 유사하게 치료할 수 있으며, 항균성 스펙트럼은 상기한 병원균 범주를 훨씬 넘어서 예를 들면, 파스퇴렐라(Pasteurella), 브루셀라(Brucella), 캠필로박터(Campylobacter), 리스테리아(Listeria), 에리시펠로트릭스(Erysipelothrix), 코린박테리아(Corynebacteria), 보렐리아(Borrellia), 트레포네마(Treponema), 노카르디아(Nocardia), 리케치아(Rickettisia) 및 예르세니아(Yersenia) 등에 이른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거나 또는 비-독성, 불활성의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활성 화합물로 구성된 제약 제제, 및 이들 제제의 제조에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투여 단위의 제약 제제를 포함한다. 이것은 제제가 예를 들면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좌약 및 앰플의 형태이며, 이들의 활성 화합물 함량은 개인 투여량의 일부(fraction) 또는 배수에 대응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제형은 예를 들면, 1, 2, 3 또는 4인 투여량 또는 1/2, 1/3 또는 1/4의 1인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1인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한 번에 투여되는 활성 화합물의 양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일일 투여량(daily dose)의 1, 1/2, 1/3 또는 1/4에 해당한다.
비-독성, 불활성의 제약상 적절한 부형제는 임의 유형의 고상, 반-고상 또는 액상 희석제, 충전제 또는 제제 보조제를 의미한다.
바람직한 제약 제제의 예로는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좌약, 용액제, 현탁액제 및 에멀젼제, 페이스트제, 고약제, 겔제, 크림제, 로션제, 분말제 및 분무제 등을 들 수 있다.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활제 및 과립제는 활성 화합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a)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 실리카와 같은 충전제 및 확장제, (b)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긴산염,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결합제, (c) 글리세롤과 같은 보습제, (d) 아가-아가, 탄산 칼슘 및 탄산 나트륨 등의 붕해제, (e) 용액 지연제(예, 파라핀) 및 (f) 4차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흡착 촉진제, (g) 세틸알콜,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습윤제, (h)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와 같은 흡착제 및 (i) 탈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고형 폴리에틸렌글리콜과 같은 윤활제 또는 (a) 내지 (i)에서 상기한 물질의 혼합물.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들은 통상의 피복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외피는 투명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지연에 의해 소장관에서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소장관의 임의 부분에서,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도록 조성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봉입 물질로서 중합체 물질 및 왁스를 사용하도록 조성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 활성 화합물(들)은 하나 이상의 상기 부형제를 가진 마이크로-캡슐화 형태로 전재할 수 있다.
좌약은 활성 물질(들)에 부가하여 수용성 또는 수 불용성 부형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유지(예를 들면 코토아 유지 및 고급 에스테르: 예를 들면 C16-지방산을 가진 C14-알콜) 또는 이들 물질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잇다.
고약제, 페이스트제, 크림제 및 겔은 활성 화합물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동물 및 식물성 유지,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즈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및 산화 아연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분말제 및 분무제는, 활성 화합물(들)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규산 칼슘 및 폴리아미드 분말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과 같은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분무제는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과 같은 통상의 추진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용액제 및 에멀젼제는 활성 화합물(들)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물, 에틸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틸 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면실유, 그라운드 넛트 오일, 옥수수 배유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유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글리세롤 포르말,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 물질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용해제 및 유화제 등의 통상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 용액제 및 에멀젼제는 또한 멸균 및 혈액-등장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현탁액제는, 활성화 화합물(들)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물, 에틸 알콜, 프로필렌 글리콜 같은 액상 희석제, 예를 들면,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아가 및 트리가칸트 또는 이들 물질들의 혼합물과 같은 현탁제 등의 통상의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또한 착색제, 보존제 및 또한 악취-개선 및 풍미-개선 첨가물, 예를 들면 페퍼민트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 및 감미제, 예를 들면 사카린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치료학상 활성인 화합물은 상기한 제약 제제 중에 총 혼합물의 약 0.1 내지 99.5,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95 중량%로 존재하여야 한다.
상기 언급한 제약 제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부가하여 추가의 제약활성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제약 제제의 제조는, 예를 들면 부형제(들)과 활성 화합물(들)을 혼합하는, 공지된 방법으로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한다.
상기 언급된 제제들은 경구로, 직장으로, 비경구로(정맥내로, 근육내로, 피하로), 자궁내로, 질내로, 복막내로, 국부적으로(분말제, 고약제, 드로프스제) 인체 및 동물에 사용될 수 있고 및 빈 공간과 체강 감염의 치료 요법으로 쓰일 수 있다. 적합한 제제들은 주사 용액, 구강 치료 요법을 위한 용액 및 현탁액, 겔, 도포(pour-on) 제형물, 에멀젼, 고약 또는 드로프스들이다. 국소 치료 요법을 위해, 안과학상 및 피부학상 제형물, 은염 및 기타염, 귀 드로프스, 안 연고, 분말제 또는 용액제가 사용될 수 있다. 동물에 있어서의 투여는, 먹이 또는 음료수를 통하여 적절한 제제로 이루어진다. 또한 겔제, 분말제, 정제, 서방형 정제, 전혼합물, 농축물, 과립제, 펠렛, 볼리(boli), 캡슐제, 에어로졸제, 분무제 및 흡입제들이 인체와 동물에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국부 치료 요법을 위한 플라스틱쇄), 콜라겐 또는 접골제와 같은 다른 부형 물질 중으로 혼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 및 동물 모두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합물(들)을 매 24시간마다 체중 kg당 총량 약 0.5 내지 약 5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mg으로, 목적하는 결과를 수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 몇몇 개별 투여량의 형태로 투여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점이 입증됐다. 개인 1회 복용량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을 체중 1kg당 약 1 내지 약 80, 특히 3 내지 30mg을 함유한다. 그러나, 치료해야 할 대상의 유형의 체중, 질병의 성격과 심한 정도, 제형의 타입 및 의약품의 투여 형태 및 또한 투여가 실시되는 시간 주기 또는 간격에 따라 상기한 투여량을 벗어나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몇몇의 경우는 상기 언급한 활성 화합물의 양이하로 투여해도 충분하며 반면에 다른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활성 화합물의 양을 초과해야만 한다. 각각의 경우 요구되는 최적 1회 투여량 및 활성 성분의 투여 유형은 본 기술 영역에 숙련된 기술자는 그의 숙련된 지식을 바탕으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가 있다.
이 신규의 화합물은 먹이 또는 먹이 제제 또는 음료수와 함께, 통상적인 농도 및 제제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람-음성 또는 그람-양성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이 예방, 개선 및/또는 치료될 수 있으며 성장 촉진 및 먹이 이용상의 개선이 성취될 수 있다.
최소 억제 농도(MIC)는 등감로 시험 아가(Oxoid)상에서의 연속 희석법에 의해 결정했다. 각각의 경우 2배 희석액 중에서 활성 화합물의 농도가 감소되는 아가플레이트 시리즈를 각 검정 물질에 대해 준비하였다. 이 아가 플레이드들을 다점 접종기(multipoint inoculator : Denley)를 사용하여 접종하였다. 접종을 하기 위해, 각 접종 점이 약 104-콜로니 형성 입자를 함유하도록 희석시킨 하룻밤 동안 배양한 병원균을 사용하였다. 접종된 아가 플레이트를 37℃에서 배양했으며, 박테리아의 성장을 약 20시간 후에 판독했다. MIC값(㎍/ml)은 최저 활성 화합물의 농도로도 맨눈으로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감지할 수 없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kpo00052
Figure kpo00053
Figure kpo00054
Figure kpo00055
Figure kpo00056
Figure kpo00057
Figure kpo00058
Figure kpo00059
Figure kpo00060
Figure kpo00061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Figure kpo00064
Figure kpo00065
Figure kpo00066
Figure kpo00067
Figure kpo00068
Figure kpo00069
Figure kpo00070
Figure kpo00071
Figure kpo00072
Figure kpo00073
Figure kpo00074
[실시예 A]
Figure kpo00075
8.0g의 1-시클로프로필-5,6,7,8-테트라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및 7.9ml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더 이상 가스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끓인다. 이 혼합물을 진공 중에서 농축한다. 잔사에 50ml의 에탄올을 가하고 혼합물을 2시간 끓인다. 이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고체 침전물을 분리한다.
수율 : 8.6g의 에틸 7-클로로-1-시클로프로필-5,6,8-트리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 카복실레이트.
융점 : 166 내지 168℃
Figure kpo00076
처음에 1.6ml(0.015 mol)의 에틸 시아노아세테이트를 50ml의 순수 디옥산으로 도입하고 0.58g의 나트륨수소화합물(80% 강도 물질)을 20℃에서 가한다. 30분 후, 3.45g(0.01 mol)의 a)로부터의 물질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6시간 동안 끓인다. 20℃로 냉각시킨 후, 이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염산을 사용해 산성이 되도록 한다. 이소프로판올로부터 고체를 분리, 건조 및 재결정화 한다.
수율 : 2.3g의 에틸 7-클로로-5-(시아노-에톡시카보닐메틸-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 카복실레이트.
융점 : 156 내지 157℃
Figure kpo00077
b) 로부터의 물질 2.3g을 140℃에서 6ml의 아세트산, 5ml의 물 및 0.5ml의 황산과 함께 4시간 동안 가열한다. 혼합물을 20℃로 냉각하고 물로 희석한다. 고체를 분리하고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다.
수율 : 1.6g의 5-카복시메틸-7-클로로-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융점 : 236 내지 238℃(d)
분석
계산치 : C 50.3 H 3.0 N 3.9 CI 9.9
실측치 : 50.5 3.2 3.7 10.0
50.6 3.2 3.8 9.9
Figure kpo00078
c)로부터의 물질 1.0g(2.8mmol) 및 0.9g(8.4mmol)의 1,4-디아자비사이클로[2.2.2]옥탄올, 20ml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중에서, 14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한다. 고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 한다(용출액 : 메틸렌 클로라이드/메탄올 99/I).
수율 : 0.2g의 7-클로로-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융점 : 195°내지 197℃
[실시예 1]
Figure kpo00079
0.56(2 mmol)의 1-시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 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을, 3.5ml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중에서 0.384g(3mmol)의 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 및 0.672g(6mmol)의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과 함께 1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냉각 후 고진공하에서 DMSO를 제거한다. 잔사는 아세토니트릴을 써서 수거한다. 고체를 분리시켜 버리고,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한 후 60 내지 80℃에서 건조시킨다.
수율 : 0.5g의 1-시클로프로필-7-(2,8-디아자비시클로-[4.3.0]논-8-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 카복실레이트.
융점 : 174 내지 176℃(분해 발생)
[실시예 2]
Figure kpo00080
0.28g(1mmol)의 1-시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레이트,를 3.5ml의 디메틸숙폭사이드 중에서, 0.19g(1.5mmol)의 2-옥사5,8-디자비시클로[4.3.0]노난 및 0.34g(3mmol)의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과 함께 1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고진공하에서 디메틸 술폭 사이드를 증류시켜 제거한다. 잔사를 아세토니트릴과 함께 교반시키고 고체를 분리한다.
수율 : 0.27g의 1-시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7-(2-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논-8-일)-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융점 : 273 내지 275℃
[실시예 3]
Figure kpo00081
0.14g(0.5mmol)의 1-시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을, 3.5ml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중에서, 0.084g(0.75mmol)의 2, 7-디아자비시클로[3.3.0]옥탄 및 0.17g(1.5mmol)의 1, 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과 함께 1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고진공하에서 디메틸술폭사이드를 증류시켜 제거한다. 잔사에 아세토니트릴을 가하고 여기에서 고체를 생성한다.
수율 : 0.15g의 1-시클로프로필-7-(2,7-디아자비시클로[3.3.3]옥트-7-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융점 232 내지 234℃
[실시예 4]
Figure kpo00082
0.28g(1mmol)의 1-시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을, 3.5ml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중에서, 0.213g(1.5 mmol)의 5-메틸-3-옥소-5,8-디아자비시클로 [4.3.0]노난 및 0.34g(3mmol)의 1, 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과 함께 1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고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잔사를 아세토니트릴과 함께 교반시켜, 0.22g의 1-시클로프로필-6-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7-(5-메틸-3-옥소-5, 8-디아자비시클로[4.3.0]논-8-일)-4-옥소-3-퀴놀린카복실산을 수득한다.
[실시예 5]
Figure kpo00083
0.28g(1mmol)의 1-시클로프로필-6,7-디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을, 3.5ml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존재하에, 0.17g(1.5mmol)의 1,4-디아자비시클로[3.2.1]옥탄 및 0.34g(3mmol)의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과 함께 1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다. 고진공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아세토니트릴과 함께 교반하고 고체를 분리시킨다.
수율 : 0.24g의 1-시클로프로필-7-(1,4-디아자비시클로[3.2.1]옥트-4-일)-6-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융점 : 274 내지 276℃(분해 발생)
[실시예 B]
Figure kpo00084
6,7-디플루오로-1-(2,4-디플루오로-페닐)-1,4-디히드로-5-메틸-옥소-3-퀴놀린카복실산
Figure kpo00085
21g의 에틸 3-에톡시-2-(2,4,5-트리플루오로-6-메틸벤조일)아크릴레이트를 처음에 55ml의 에탄올에 도입시킨다. 냉각시키면서, 9.4g의 2,4-디플루오로아닐린을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25℃에서 한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55ml의 물을 가하고 침전된 고체를 분리시킨다.
수율 : 25g의 에틸 3-(2,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2-(2,4,5-트리플루오로-6-메틸-벤조일)-아크릴레이트
융점 : 109 내지 110℃
Figure kpo00086
a)로부터의 물질 12.5g 및 5.1g의 탄산나트륨을, 6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14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다. 실온으로 냉각 후, 이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침전된 고체를 분리 건조한다.
수율 : 11.3g의 에틸-6,7-디플루오로-1(2,,4-디플루오로-페닐)-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 카복실레이트.
융점 : 157 내지 159℃
Figure kpo00087
b)로부터의 물질 11.2g, 70ml의 아세트산, 70ml의 물 및 3.5ml의 황산을 14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다. 실온에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킨다. 고체를 분리 건조시킨다. 10.3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한다.
융점 : 277 내지 278℃
[실시예 6]
Figure kpo00088
실시예 B로부터의 물질 0.6g, 0.57g의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및 0.25g의 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을, 6ml의 디메틸술폭사이드 중에서 출발 물질이 박층 크로마토그램에서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한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킨다. 잔사에 물을 가하고 고체를 분리한다.
수율 : 0.6g의 7-(2,8-디아자비시클로[4.3.0]논-8-일)-1-(2,4-디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복실산.
융점 : 247 내지 248℃

Claims (7)

  1. 하기 일반식(I)의 퀴놀론카복실산 유도체, 이들의 제약상 허용되는 수화물 및 이들의 제양상 허용되는 염.
    Figure kpo00089
    상기식에서, R1은 히드록실, 할로겐, C1-C3-알콕시 또는 C1-C3-알킬티오에 의해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직쇄 또는 분지쇄 C1-C4-알킬: 할로겐 또는 C1-C3-알킬에 의해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C3-C6-시클로알킬: C1-C4-알케닐, 및 C1-C3-알콕시, 아미노,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모노알킬아미노,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디알킬아미노 또는 할로겐에 의해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페닐을 나타내고, R2는 수소,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킬 또는(5-메틸-2-옥소-1, 3-디옥솔-4-일)-메틸을 나타내며, R3는 C1-C4-알킬을 나타내고, R4는 2,8-디아자비시클로[4.3.0]논-8-일 또는 2-옥사-5, 8-디아자비시클로[4.3.0] 노난을 나타내고, A는 수소, 할로겐, 메틸, 시아노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거나, R1과 함께 R-또는 S- 배위를 갖는 구조식
    Figure kpo00090
    또는
    Figure kpo00091
    의 다리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 1항에 있어서, R1이 에틸, 이소프로필, 시클로프로필, 비닐, t-부틸, 2-히드록시에틸, 2-플루오로에틸, 아미노, 메틸아미노, 페닐, 4-플루오로페닐 또는 2,4-디플루오로페닐을 나타내며, R2가 수소, 탄소 원자수 1 내지 3의 알킬 또는 (5-메틸-2-옥소-1, 3-디옥솔-4-일)-메틸을 나타내고, R3가 C1-C3-알킬을 나타내며, R4가 2, 8-디아자비시클로[4.3.0] 논-8-일 또는 2-옥사-5, 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을 나타내고, A가 R1과 함께 R- 또는 S- 배위를 갖는 구조식
    Figure kpo00092
    의 다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H, 불소, 염소, 메틸, 시아노 또는 니트로를 나타내는 일반식(I)의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1이 에틸, 비닐, t-부틸, 시클로프로필, 2-히드록시에틸, 2-플루오로에틸, 메틸아미노, 4-플루오로페닐 또는 2,4-디플루오로페닐을 나타내며, R2가 수소 또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2의 알킬을 나타내고, R3가 C1-C3-알킬을 나타내며, R4가 2,8-디아자비시클로[4.3.0] 논-8-디아자비시클로[4.3.0] 노난을 나타내고, A가 R1과 함께 R 또는 S- 배위를 갖는 구조식
    Figure kpo00093
    의 다리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H, 불소 또는 염소를 나타내는 일반식(I)의 화합물.
  4.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일반식(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94
    상기 식에서 R1, R2, R3, R4및 A는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X4는 할로겐 특히, 불소 및 염소를 나타낸다.
  5. 7-클로로-1-시클로프로필-6,8-디플루오로-1,4-디히드로-5-메틸-4-옥소-3-퀴놀린카르복실산.
  6. 제4항에 있어서, 산제거제의 존재하에 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일반식(I)의 화합물이 R4에 포함된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04548A 1989-04-03 1990-04-03 5-알킬퀴놀론 카복실산 KR0156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9106632 1989-04-03
DE3910663A DE3910663A1 (de) 1989-04-03 1989-04-03 5-alkylchinoloncarbonsaeuren
DEP39106632 1989-04-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186A KR900016186A (ko) 1990-11-12
KR0156245B1 true KR0156245B1 (ko) 1998-11-16

Family

ID=637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548A KR0156245B1 (ko) 1989-04-03 1990-04-03 5-알킬퀴놀론 카복실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EP (1) EP0391132A1 (ko)
JP (1) JP3046035B2 (ko)
KR (1) KR0156245B1 (ko)
CN (1) CN1035945C (ko)
AU (1) AU638005B2 (ko)
CA (1) CA2013449C (ko)
DD (1) DD298400A5 (ko)
DE (1) DE3910663A1 (ko)
FI (1) FI901615A0 (ko)
HU (2) HUT58056A (ko)
IL (1) IL93954A0 (ko)
NO (1) NO173547C (ko)
NZ (1) NZ233142A (ko)
PH (1) PH27364A (ko)
PT (1) PT93639A (ko)
ZA (1) ZA902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0120A (en) * 1988-01-25 1990-04-24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MY105136A (en) * 1988-04-27 1994-08-30 Daiichi Seiyaku Co Optically active pyrid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DD285601A5 (de) * 1988-07-15 1990-12-19 Bayer Ag,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7-(1-pyrrolidinyl)-3-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aeure-derivaten
US5241076A (en) * 1989-04-17 1993-08-31 Bayer Aktiengesellschaft 1,4-diazatricyclo [6.3.0.0]undecanes
EP0393424B1 (de) * 1989-04-17 1995-09-2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7-Diazabicyclo(3.3.0)octanen
US5177210A (en) * 1989-04-17 1993-01-05 Bayer Aktiengesellschaft Preparation of 2,7-diazabicyclo(3.3.0)octanes
KR100232937B1 (ko) * 1991-05-28 1999-12-01 스즈키 다다시 피리돈카복실산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제
DE4120646A1 (de) * 1991-06-22 1992-12-24 Bayer Ag 7-isoindolin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aeure-derivate
TW209865B (ko) * 1992-01-10 1993-07-21 Bayer Ag
KR960003611B1 (ko) * 1992-07-23 1996-03-20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신규한 디아자비시클로 알켄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E4234078A1 (de) * 1992-10-09 1994-04-14 Bayer Ag Chinoloncarbonsäuren
DE4234330A1 (de) * 1992-10-12 1994-04-14 Bayer Ag Chinoloncarbonsäuren
CA2112165C (en) * 1992-12-25 2003-04-08 Makoto Takemura Bicyclic amine derivatives
WO1994025464A1 (en) * 1993-04-24 1994-11-1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Novel quin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DE4329600A1 (de) * 1993-09-02 1995-03-09 Bayer Ag Pyrido [1,2,3-d,e] [1,3,4] benzoxadiazinderivate
DE4339134A1 (de) * 1993-11-16 1995-05-18 Bayer Ag 1-(2-Fluorcycloprop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äure-Derivate
DE4408212A1 (de) * 1994-03-11 1995-09-14 Bayer Ag 5-Vinyl- und 5-Ethin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äuren
DE19546249A1 (de) * 1995-12-12 1997-06-19 Bayer Ag Neue Kristallmodifikation des 1-Cyclopropyl-7-([S,S]-2,8-diazabicyclo[4,3,0]non-8-yl)-6-fluor-1,4-dihydro-8-methoxy-4-oxo-3-chinolincarbonsäure Hydrochlorid (CDCH),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pharmazeutische Zubereitungen
US6323213B1 (en) * 1996-02-23 2001-11-27 Bayer Aktiengesellschaft Possibly substituted 8-cyano-1-cyclopropyl-7-(2,8-diazabicyclo-[4.3.0]-nonan-8-yl)-6-fluoro-1,4-dihydro-4-oxo-3-quinolin carboxyl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DE19633805A1 (de) * 1996-02-23 1997-08-28 Bayer Ag Gegenenenfalls substituierte 8-Cyan-l-cyclopropyl-7-(2,8-diazabicyclo-[4.3.0]-nonan-8-yl)-6-fluor-1,4-dihydro-4-oxo-3-chinolincarbonsäuren und ihre Derivate
DE19652239A1 (de) 1996-12-16 1998-06-18 Bayer Ag Verwendung von 7-(2-Oxa-5,8-diazabicyclo[4.3.0]non-8-yl)-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äure-Derivaten zur Therapie von Helicobacter-pylori-Infektionen und den damit assoziierten gastroduodenalen Erkrankungen
DE19854357A1 (de) * 1998-11-25 2000-05-31 Bayer Ag Semi-Hydrochlorid von 8-Cyan-1-cyclopropyl-7-(1S,6S-2,8-diazabicyclo/4.3.0/ -nonan-8-yl)-6-fluor-1,4-dihydro-4-oxo-3-chinolincarbonsäure
DE19854356A1 (de) * 1998-11-25 2000-05-31 Bayer Ag Kristallmodifikation A von 8-Cyan-1-cyclopropyl-7-(1S,6S-2,8-diazabicyclo-/4.3.0/nonan-8-yl)-6-fluor-1,4-dihydro-4-oxo-3-chinolincarbonsäure
DE19854355A1 (de) * 1998-11-25 2000-05-31 Bayer Ag Kristallmodifikation B von 8-Cyan-1-cyclopropyl-7-(1S, 6S-2,8-diazabicyclo-/4.3.O/nonan-8-yl)-6-fluor-1,4-dihydro-4-oxo-3-chinolincarbonsäure
JP2006504690A (ja) * 2002-09-10 2006-02-09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Cns及びその他の障害の治療に有用なジアザ二環式化合物
JP4639149B2 (ja) 2003-09-10 2011-02-23 杏林製薬株式会社 7−(4−置換−3−シクロプロピルアミノメチル−1−ピロリジニル)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
WO2008143343A1 (ja) 2007-05-24 2008-11-27 Kyorin Pharmaceutical Co., Ltd. 14位置換基に複素芳香環カルボン酸構造を有するムチリン誘導体
CN101718743B (zh) * 2009-11-30 2013-03-20 宁波大学 一种混合导体致密扩散障型氧传感器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2405A1 (de) * 1985-06-22 1987-01-02 Bayer Ag 1,8-verbrueckte 4-chinolon-3-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DE3543513A1 (de) * 1985-12-10 1987-06-11 Bayer Ag Enantiomerenreine 1,8-verbrueckte 4-chinolon-3-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diese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DE3601567A1 (de) * 1986-01-21 1987-07-23 Bayer Ag 7-(azabicycloalkyl)-chinoloncarbonsaeure- und -naphthyridon-carbonsaeure-derivate
DE3702393A1 (de) * 1987-01-28 1988-08-11 Bayer Ag 8-cyano-1-cyclopropyl-1,4-dihydro-4-oxo- 3-chinolincarbonsaeur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antibakterielle mittel
US5591744A (en) * 1987-04-16 1997-01-07 Otsuk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Benzoheterocyclic compounds
US4920120A (en) * 1988-01-25 1990-04-24 Warner-Lambert Company Antibacterial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3449C (en) 2001-01-02
EP0391132A1 (de) 1990-10-10
CN1035945C (zh) 1997-09-24
JP3046035B2 (ja) 2000-05-29
NO173547C (no) 1993-12-29
AU5231790A (en) 1990-10-04
KR900016186A (ko) 1990-11-12
IL93954A0 (en) 1990-12-23
NO901274L (no) 1990-10-04
HU912263D0 (en) 1991-12-30
CN1046162A (zh) 1990-10-17
DD298400A5 (de) 1992-02-20
ZA902510B (en) 1991-01-30
NO173547B (no) 1993-09-20
CA2013449A1 (en) 1990-10-03
HUT58056A (en) 1992-01-28
JPH02289583A (ja) 1990-11-29
AU638005B2 (en) 1993-06-17
PH27364A (en) 1993-06-21
DE3910663A1 (de) 1990-10-04
HU204811B (en) 1992-02-28
HU902055D0 (en) 1990-08-28
NZ233142A (en) 1992-09-25
PT93639A (pt) 1990-11-20
HUT56563A (en) 1991-09-30
NO901274D0 (no) 1990-03-20
FI901615A0 (fi) 1990-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245B1 (ko) 5-알킬퀴놀론 카복실산
KR0156238B1 (ko) 7-(1-피롤리디닐)-3-퀴놀론-및 -나프티리돈카르복실산 유도체,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중간 생성물인 치환된 모노-및 비시클릭 피롤리딘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제 및 사료 첨가제
CA1314544C (en) 8-cyano-1-cyclopropyl-1,4-dihydro-4-oxo-3-quinoline- carboxylic aci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antibacterial agents containing these compounds
DE3711193A1 (de) 5-substituierte chinolon- und naphthyridoncarbonsaeure-derivate
JP2788043B2 (ja) キノロン−又は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類
JPH01319463A (ja) 7―置換キノロン―及び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誘導体
US5173484A (en) Quinolone- and naphthyrid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tibacterial compositions and feed additives containing them
JPS62129273A (ja) 1−シクロプロピル−6−フルオロ−1,4−ジヒドロ−4−オキソ−7−(1−ピペラジニル)−3−キノリンカルボン酸類
US4820716A (en) 7-(1-Pyrrolidinyl)-quinol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JPH02290870A (ja) 対掌体的に純粋な7‐(3‐アミノ‐1‐ピロリジニル)‐キノロン‐および‐ナフチリドンカルボン酸
JP2919910B2 (ja) 光学活性キノロンカルボン酸誘導体
EP0550016A1 (en) Novel quinol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same
AU668286B2 (en) Diazabicyclo(4.3.0)nonane and (3.3.0)octane heterocycles
US5153204A (en) 7-(1-Pyrrolidinyl)-quinol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KR890005200B1 (ko) 7-(1-피롤리디닐)-퀴놀론카르복실산 유도체
AU720322B2 (en) 7-(3-Vinyl-1,4-piperazin-1-yl)-substituted quinolonecarboxylic acids
HU209300B (en) Method for producing quinolo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preparatives containing these compounds
IE19970856A1 (en) 7-(1-Pyrrolidinyl)-3-quinolone and naphthyrido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for substituted mono- and bicyclic pyrrolidine intermediates, and their antibacterial and feed additiv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