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544B1 - 유제된 가죽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가죽 - Google Patents

유제된 가죽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가죽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544B1
KR0155544B1 KR1019890000091A KR890000091A KR0155544B1 KR 0155544 B1 KR0155544 B1 KR 0155544B1 KR 1019890000091 A KR1019890000091 A KR 1019890000091A KR 890000091 A KR890000091 A KR 890000091A KR 0155544 B1 KR0155544 B1 KR 0155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anhydride
acid
weight
emuls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0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008A (ko
Inventor
만쪼 지오반니
Original Assignee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엑손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1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제된 가죽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가죽
본 발명은 윤활성이 양호하며, 불투과성이고 발수성(water-repellent)이며, 또한 개선된 보풀림성(plumpness)을 가질 수 있는 가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보통의 유제(蹂製, tanning) 사이클을 별로 변화시키지 않고도 상기와 같은 가죽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신규의 유화액에 관한 것이다.
가죽을 방수(waterproofing)시킨 제품 및 가죽을 방수시키는 방법들이 기술되어 왔다. 예를 들면, 불소화 화합물, 크롬 스테아레이트 에스테르 및 실리콘 유도체가 공기 및 물에 대한 불투과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단지 예외적으로 가죽섬유의 양호한 윤활성을 유도하는 성질을 가지지만 이들은 결코 불투과성, 발수성 및 윤활성을 동시에 부여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윤활성은 별개로 하더라도, 불투과성 가죽은 발수성이 아니며 발수성 가죽은 불투과성이 아닌데, 이는 불투과성은 흡수성 부위가 발수성 부위로 분자상 변환되는 것과 관련이 있고, 발수성은 어떠한 반응없이도 가죽의 섬유사이로 발수제가 실제로 침착(침투)되는 것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발수성이 결여된 불투과성 가죽은 물에 노출되면, 물이 침투되는 것을 막기 전에 이미 상당히 젖게 될 것이다. 지금까지는 코팅에 의해 발수성을 얻어왔으나 사용하는 동안 가죽이 움직여져서 코팅이 제거되어 그 결과 발수성을 잃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발수성 가죽은 아이. 유. 피.(I.U.P) 10 동적 불투과성 시험에서 좋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다. 더욱이, 가죽을 계면활성제 또는 용제로 세척하면 불투과성, 발수성 또는 윤활성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유제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죽을 황산과 같은 강산으로 처리한 다음 일반적으로 크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함유 유제화제(tanning agent)로 처리한다. 이렇게 하면, 비록 가죽의 표면은 계속해서 중화될지라도, 특히 가죽의 벌크에 양전하를 띤 가죽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3770372 호 및 제 3784400 호에는 가죽을 알킬 또는 알케닐 석신산 또는 무수물의 유화액으로 윤활화시키는 선행 방법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가죽에 방수성도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들 방법으로는 알케닐 석신산 또는 무수물이 가죽의 표면에 남아 있기 때문에 발수성이 없는 소수성(hydrophobic) 제품이 얻어진다.
미합중국 특허 제 3784400 호의 방법에서는 알킬 또는 알케닐 석신산 무수물에 대한 유화제로서 모르폴린과 같은 아민을 사용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3770372 호에서는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 평균 12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지만, 미합중국 특허 제 3784400 호에서는 알케닐 그룹이 12 내지 2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3770372 호에서는 물질들을 처리후에 재유제시키지 않고 산성 조건하에서 적용시켜 알킬 또는 알케닐 석신산 무수물(ASA)과 유제된(tanned) 가죽에 존재하는 금속 양이온 사이에 이온반응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실시예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금속 이온과의 반응에 기인하는 ASA의 침전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ASA가 가죽껍질 전체에 걸쳐서 침투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윤활 효과가 감소된다.
가죽을 처리하는데 있어서의 또다른 문제점은 가공도중에 가죽의 보풀림성이 손실되는 것이다. 보풀림성은 가죽껍질의 부풀은 감촉(bulkiness)인데, 보풀림성이 손실되면 촉감이 좋지 않고, 보다 얇아지고 보다 딱딱해지며 유연하지 않고 아름답지 않은 가죽이 된다.
이제 우리는, 유제된 가죽을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유기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의 유화액으로 처리함으로써, 유제된 가죽내에 존재하는 금속 이온과 상기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 반응하지 못하도록 하면, 가죽에 산이 더 많이 침투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후에 산성화를 시켜 산과 가죽사이의 유효 결합을 강고하게 하면 가죽의 윤활성 및 보풀림성이 상당히 개선된다. 우리는 특히 상기 유기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 폴리알켄쇄에 30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0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케닐,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일 때 그러한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우리는 윤활화된 가죽을 재유제시키면 방수발수성이 우수하고 보풀림성이 향상된 제품이 수득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우리는 또한 본 발명의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가죽 및 재유제화제 사이의 결합을 충분히 강하게 하여, 용제 및 계면활성제로 세척해도 가죽의 개선된 성질들이 보다 오랜 기간동안 유지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히, 상기의 바람직한 폴리알케닐 석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을 사용할 때, 처리된 가죽의 보풀림성이 상당히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유제된 가죽을, 유제된 가죽에 존재하는 유제화제가 양성으로 하전되지 않도록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알킬 또는 알케닐그룹이 1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의 수성 유화액으로 처리한 후, 산성화시킴으로써 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 가죽 또는 가죽속에 함유된 유제화제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방법에서는 단순히 침투만이 아니고 침투에 이어서 표피물질 및/또는 유제화제와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사이의 화학반응이 일어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태양에서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가죽을 재유제시켜 그의 발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는, 폴리알케닐 그룹이 25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0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케닐 석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 특히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로 침투시킨, 유제된 가죽을 제공한다. 또한 재유제시킨 상기 침투된 가죽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서는, 알칼리성 조건하에 가죽을 처리하는 데 있어서 폴리알케닐 그룹이 30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케닐 석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의 유화액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은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한 물질은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이 1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 석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다. 우리는 폴리프로페닐 또는 폴리부테닐 그룹에 30개 이상, 특히 60개 이상의 탄소원자는 함유하는 폴리프로페닐 또는 폴리부테닐 석신산이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카복실산 물질들은 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설폰화 유도체와 같은 유도체일 수 있다. 디카복실산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 침투시킨 후 이어서 산성화를 시키면 하나의 카복실 그룹이 가죽 속의 금속 유제화제와 결합하면서 유리 카복실 그룹을 남기며, 이 유리 카복실 그룹은 특히 재유제에서의 후속반응에 사용되어 발수성에 상당한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모노카복실산도 사용될 수 있으나 포름알데히드 또는 아세트알데히드와 같은 알데히드와 함께 사용하여 가죽 속의 천연발생 아미노 그룹과 상기 산의 메틸 그룹 사이에 후속 만니히(Mannich)반응을 일으켜 다시 유리 카복실 그룹을 얻고, 이를 침투 및 산성화에 이어 또다른 반응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모노카복실산의 예로는 스테아르산, 올레산, 팔미트산 및 토올유(tall oil) 지방산 또는 그의 혼합물이 있다. 모노 및 디-카복실산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는 C6내지 C19모노 및 디-카복실산의 혼합물이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람직한 조성물에서는 그러한 산의 혼합물을 알킬 또는 알케닐 디-카복실산,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와 함께 사용한다.
카복실산,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는 수성 유화액 형태로 가죽에 적용시키며, 임의의 적합한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우리는 비이온성, 유화제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며, 우리는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된 유화제가 특히 유용하고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펠렌 옥사이드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프로폭실화된 유화제가 이들의 생체분해가능성(biodegradability) 때문에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알코올, 글리콜 및 산(예, 시트르산 또는 타르타르산)과 같은 혼합물들이 사용될 수 있고, 글루타르알데히드가 다른 바람직한 유화제이고, 또다른 유화제의 예로는 양이온성 설포네이트 및 음이온성 아민 설포네이트가 있다.
유화액을 제조할 때 조심해야 한다. 유화제가 많으면 소수성이 되고, 처리 후 가죽을 세척하더라도 약간의 유화제가 가죽에 남아 있게 되어 이 때문에 발수성이 감소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적은 량의 유화제를 함유하는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는 지방산의 염들을 유화제로서, 일반적으로는 전통적 유화제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가죽성질에도 도움이 되는 보조유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유화액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서는 물, 유화제(바람직하게는 알콕시 유화제) 및 암모늄을 전형적으로 60 내지 80℃에서 5 내지 20분 동안 혼합하고 이 유화액을 물, 지방산 및 암모늄을 전형적으로 40℃에서 5 내지 20분간 혼합하여 만든 성분과 섞어서 폴리알케닐 석신산 또는 무수물을 제조한다.
바람직한 유화액은 1000 중량부의 알킬 또는 알케닐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에 대해,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물, 50 내지 200 중량부의 유화제 및 pH를 8 내지 10의 범위내에 있도록 하는 충분량의 염기(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를 함유한다. 지방산도 함유하는 경우, 알킬 또는 알케닐 카복실산 도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를 기준으로 100 내지 3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화액은 30 내지 50 중량%의 알킬 또는 알케닐 카복실산을 함유한다.
수성 유화액에 의한 처리는 가죽처리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드럼기법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가죽처리에서는, 전형적으로 유제된 가죽을 약 50 내지 60℃에서 6 내지 7의 pH에서 수중 드럼에 넣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록 아민, 무기 수산화물, 탄산염 및 중탄산염과 같은 염기 또는 그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암모니아수를 가하여 드럼속의 pH를 약 8로 올린다. 지방산을 사용하는 경우, 지방산을 중화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염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탄산 나트륨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처리용 유화액을 가한다. 일반적으로 털을 깎은 가죽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0 중량%의 본 발명의 제제를 사용한다.
이 방법으로 양호하게 윤활화된 가죽을 제조하며, 특히 30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케닐 물질을 사용할 때 윤활화된 가죽의 보풀림성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양호하게 윤활화된 가죽은 유리 카복실 그룹의 존재 때문에 물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다. 설폰화된 카복실산을 사용할 경우 커플화되지 않은 설폰 그룹이 그 물질의 흡수성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크롬 또는 알루미늄 염기성 염으로 추가의 유제 처리를 하면 이 그룹들이 차단되어, 적절히 세척 및 건조시키면 불투과성이고 양호하게 윤활된 가죽이 제조된다.
그러나, 크롬 또는 알루미늄 염으로 재유제시키면 궁극적으로 발수특성을 부여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처리된 가죽이 가죽의 몸체내에 약간의 잔류하는 카복실산 또는 카복실산 금속염 착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들은 흔히 수소결합에 의해 가죽에 결합되므로, 수소결합을 파괴시키는 처리를 하면 수소 결합이 가죽표면으로 이동하여 발수성을 부여함으로써 발수성이 더욱 향상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경우에 따라서는 물과 함께 염화메틸렌으로 처리하면 매우 효과적이며, 또다르게는, 재유제시킨 가죽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고 이어서 약 15분동안 염기성 암모니아 용액과 접촉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유제된 가죽을 알칼리성 조건하에서 처리하면, 크롬 또는 기타 다른 유제 금속이 산,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에 불활성이 되어, 다른 사람들에 의해 기술된 것과는 대조적으로, C16의 카복실산, 특히 폴리에틸 석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가 가죽껍질의 구조내에 깊이 침투할 수 있다. 이렇게 되었을 때 최종 산성화에 의해 산이 고정되고 또한 염료 및 재유제화제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알칼리성 조건하의 가죽의 처리는 유화제:산의 비가 1:50인 산,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의 수성 유화액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선택하면 가죽의 염색, 재유제 및 오일화 방법에서 통상 사용된 것과 같거나 또는 그보다 묽은 욕조에서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죽에 불투과성 및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 비용이 매우 많이 드는 기존시약에 비하여, 낮은 가격으로, 향상된 보풀림성과 감촉을 지니면서, 윤활성이 양호하고, 불투과성이며, 발수성인 가죽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이나 드라이크리닝할 때에도 윤활성, 불투과성 및 발수성을 잃어버리지 않는 가죽이 제조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폴리이소부테닐 그룹이 9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엑손케미칼(Exxon Chemical)의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을 사용한다.
실시예 1은 상기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의 설폰화를 기술한다.
[실시예 1]
100g의 엑손광유를 1㎏의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에 가하고 이 혼합물을 50℃로 가열한다. SO3중의 36% 올레움(oleum) 250g을 4개의 동등량으로 분할하여 교반하면서 1시간의 간격으로 가한다. 첨가를 끝내고 계속하여 4시간동안 추가로 교반시킨다. 그런다음 반응 생성물을 분리시키고 약 1/3의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이 설포화되었음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2 및 3은 실시예 1의 설포화된 생성물 및 모노카복실산의 혼합물의 유화액을 제조하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생성물 1㎏을, 교반하면서, 밀도 22Be의 암모니아용액 15㎖를 함유하는 알칼리 용액에 용해시킨 지방산(올레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혼합물 150g을 함유하는 용액에 가한다. 암모니아를 더 가하여 pH를 약 8 내지 10으로 조절한다. 약 125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에틸렌 옥사이드 중합체 100g을 미리 물 100㎖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교반하에 상기 덩어리에 가하고 약 20분 동안 계속 교반시킨다.
[실시예 3]
암모니아 용액 15㎖ 대신에 물 100㎖ 중의 중탄산나트륨 10g의 용액을 사용하고, pH를 조절하는데 중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를 반복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 및 3의 최종 혼합물을 pH 약 9 내지 10의 암모니아 용액에 가함으로써 물에 유화시킨다. 이 유화액은 1:30까지의 비율로 물과 혼합시킬 때까지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상에서는 유화가능성이 불확실해지고, 유화가능 화합물 대 물의 비율이 1:50일 때 침전이 일어난다. 이 한계는 가죽처리 사이클에서 통상 사용되어온 조건과 비교해 볼 때 상당히 여유가 있는 셈이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의 유화가능 조성물의 제조를 보여준다.
[실시예 5]
물 450㎖에 탄산나트륨 45g 및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혼합물 180g을 용해시킨 알칼리성 용액을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 1㎏에 가했다. 암모니아를 가하여 알칼리성(pH 8 내지 10)으로 만든 조성물이 1:50의 비율까지 물에서 완벽하게 유화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은 산 혼합물로부터 유화가능 조성물의 제조를 보여준다.
[실시예 6]
C6내지 C19범위의 모노 및 디-카목실 지방산의 혼합물 1㎏을 교반하에, 수산화 암모늄 200㎖ 및 글루타르알데히드 50g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서서히 가하여 25 중량%의 산을 함유하는 유화액을 제조한다.
실시예 5 및 6의 생성물을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유화시켰다.
실시예 7 내지 9는 실시예 4의 유화액 및 실시예 5 및 6으로부터 수득된 유화액으로 가죽으로 처리하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7]
중성화되지 않았던 크롬 가죽을 회전드럼에서 가죽 중량을 기준으로 200 중량%의 알칼리 용액(수산화 암모늄 20 내지 25g/리터를 함유)으로 처리한다. 드럼을 20 내지 30분동안 회전시키고 드럼 내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2중량%의 실시예 4의 설폰화된 화합물의 유화액을 가한다. 드럼을 가죽의 두께에 따라 40분 내지 2시간동안 회전시킨 다음 포름산을 가하여 pH를 7 내지 7.5로 만들고 필요량의 염료를 가한다 . 이것을 pH가 3 내지 3.5로 될 때까지 포름산으로 재유제시킨다.
욕조액을 버리고 가죽을 물 100㎖중의 8 내지 10% 크롬염으로 재유제시킨다. 드럼을 가죽의 두께에 따라 약 40분 내지 1시간 30분동안 회전시킨다. 중탄산나트륨의 묽은 용액으로 pH 5로 염기성화시키고 욕조액을 버린 다음 가죽을 하룻밤 동안 정치시킨다.
그 다음날 가죽을 약 20분 동안 10㎖ 물 및 5㎖ 염화메틸렌의 혼합물로 처리한다. 욕조액을 보리고 가죽을 약 20분 동안 계속 세척하면 대부분의 물-흡수물질이 가죽표면에 존재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가죽을 통상의 방법으로 다시 마무리 처리한다.
[실시예 8]
물-염화메틸렌 혼합물 대신에 계면활성제 용액을 사용하고 이어서 약 20분 동안 5g/리터 암모니아 용액 100㎖와 접촉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을 반복한다.
[실시예 9]
실시예 2의 생성물 대신에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유화액을 원료가죽 6 내지 10%에 상응하는 양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을 반복한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사용된 폴리이소부테닐 석신산 무수물 1㎏:40% 에틸렌 옥사이드 및 60% 프로필렌 옥사이드로 구성되고 3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롱프랑(Rhone Poulenc)회사의 소프로퍼(Soprofer) PL/64인 유화제 100g:물 300g: 및 암모니아 80㎖를 60 내지 80℃에서 10분동안 혼합하여 유화액을 만든다. 이 유화액은 300g의 물: 실시예 6에서 사용된 지방산 혼합물 200g: 및 암모니아 50㎖를 40℃에서 10분간 혼합하여 만든 별도의 용액과 혼합시켰다.
그런 다음 이 혼합물을 60℃에서 물로 희석시켜 20 중량%의 산을 함유하는 유화액으로 만든 다음 이를, 50 내지 60℃의 물(여기에 암모니아를 가하여 원래의 pH 6 내지 7로부터 pH를 8로 올렸음)에 크롬유제시킨 가죽을 함유하는 드럼에 가했다. 가죽을 드럼에서 40 내지 90분간 방치시켰다. 산성화시키고 크롬염으로 더욱 처리하여 재유제시킨 다음 건조시켰다.
실시예 7 내지 10으로부터 수득된 가죽은 I.N.P.10 테스트에서 10 시간까지의 내성에 상응하는 불투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다른 특성들도 전통가죽의 특성들과 견줄만 했으며 이들의 보풀림성은 가죽의 감촉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향상되었고 본 발명의 기법은 보풀림성을 부여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Claims (28)

  1. (a) 크롬 또는 알루미늄 이온을 함유하는 중화되지 않은 유제된(tanned) 가죽을, pH 8 내지 10에서, 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에 1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케닐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의 수성 유화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의 가죽 내부로 침투시키는 단계; 및 이어서 (b) 이렇게 처리된 가죽내부를 산성화시켜 상기 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를 가죽내부 이온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제된 가죽을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있어서, 상기 알킬 또는 알케닐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인 방법
  3. 제1항에있어서, 상기 알킬 또는 알케닐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 폴리알케닐 석신산 무수물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케닐 그룹이 25 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방법.
  5. 제1항에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이 설폰화된 방법.
  6. 제1항에있어서, 상기 카복실산이 모노카복실산이고 상기 카복실산을 알데히드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
  7. 제1항에있어서, 상기 수성 유화액이 물, 상기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폴리옥시알킬렌 옥사이드인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인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가 글루타르 알데히드인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가 폴리알킬 또는 알케닐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액이 지방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액이 1000 중량부의 상기 알킬 또는 알케닐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에 대해,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물; 50 내지 200 중량부의 유화제; 100 내지 300 중량부의 지방산; 및 pH를 8 내지 10 범위내로 하기에 충분한 염기를 함유하는 방법.
  15. 제1항에있어서, 상기 처리된 가죽을 산성화하기 전 또는 후에 금속염으로 재유제시키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가죽을 재유제시키기 전에 산성화시키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된 가죽을 크롬 또는 알루미늄 염으로 재유제시키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재유제시킨 후 상기 재유제시킨 가죽을, 상기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와 가죽 사이의 수소결합을 파괴시키는 시약으로 처리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이 염화메틸렌인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약이 암모니아인 방법.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처리된 가죽.
  22. 폴리알케닐 그룹이 25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케닐 석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로 침투시킨, 유제된 가죽.
  23. 제22항에 있어서, 지방산으로 추가로 침투시킨, 유제된 가죽.
  24. 제22항 또는 제 23 항의 재유제시킨 가죽.
  25. 유제된 가죽을 알칼리성 조건하에 처리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폴리알케닐 그룹이 30 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폴리알케닐 석신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의 유화액.
  26. 제25항에 있어서, 지방산과 혼합된 유화액.
  27. 1000 중량부의 폴리부테닐 디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 또는 유도체에 대해, 300 내지 1000 중량부의 물; 50 내지 200 중량부의 유화제; 및 100 내지 300 중량부의 지방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수성 유화액.
  28. 제27항에 있어서, pH를 8 내지 10 범위내로 하기에 충분한 염기를 함유하는 수성 유화액.
KR1019890000091A 1988-01-07 1989-01-07 유제된 가죽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가죽 KR0155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00299 1988-01-07
GB888800299A GB8800299D0 (en) 1988-01-07 1988-01-07 Process for production of improved lubricated leather
GB8800299 1988-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008A KR890012008A (ko) 1989-08-23
KR0155544B1 true KR0155544B1 (ko) 1998-11-16

Family

ID=1062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0091A KR0155544B1 (ko) 1988-01-07 1989-01-07 유제된 가죽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가죽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457835A (ko)
EP (1) EP0324536B1 (ko)
JP (1) JPH01308500A (ko)
KR (1) KR0155544B1 (ko)
AR (1) AR242993A1 (ko)
CA (1) CA1332661C (ko)
DE (1) DE68910539T2 (ko)
ES (1) ES2048277T3 (ko)
GB (1) GB8800299D0 (ko)
MX (1) MX170021B (ko)
TR (1) TR25221A (ko)
YU (1) YU465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06791D0 (en) * 1992-03-27 1992-05-13 Exxon Chemical Patents Inc Improved leather
DE10143948A1 (de) * 2001-09-07 2003-03-27 Basf Ag Polyisobuten als Austauschstoff für Wollfett in Fettungsmitteln für die Ledererzeugung, die Fettungsmittel, ihre Verwendung und die erzeugten Leder
US6753369B2 (en) * 2001-10-16 2004-06-22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Leather waterproofing formulation and leather goods waterproofed therewith
KR20020015712A (ko) * 2002-01-11 2002-02-28 주식회사 한울림 북가죽 제조방법
EP1680070B1 (en) * 2003-05-07 2008-04-23 The Lubrizol Corporation Emulsifiers for multiple emuls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3996A (en) * 1949-11-28 1954-11-09 Fuchs George Hugo Von Water resistant leather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GB964994A (en) * 1961-09-12 1964-07-29 Y B Bavon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making of leather resistant to water penetration
GB1297942A (ko) * 1969-03-04 1972-11-29
US3770370A (en) * 1969-06-16 1973-11-06 Eastman Kodak Co Polyamide fibers dyed with a thiadiazolyl azo compound
US3784400A (en) * 1970-05-13 1974-01-08 Pennwalt Corp Method of preparing dry-cleanable soil-resistant leathers
US3770372A (en) * 1971-01-05 1973-11-06 Us Agriculture Process for lubricating leather
US3749669A (en) * 1971-06-21 1973-07-31 Us Agriculture Lubricants for hides and leather
DE3507241A1 (de) * 1985-03-01 1986-09-04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dichter leder oder pel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5221A (tr) 1992-11-26
EP0324536A1 (en) 1989-07-19
JPH01308500A (ja) 1989-12-13
AR242993A1 (es) 1993-06-30
DE68910539D1 (de) 1993-12-16
CA1332661C (en) 1994-10-25
KR890012008A (ko) 1989-08-23
US5457835A (en) 1995-10-17
GB8800299D0 (en) 1988-02-10
DE68910539T2 (de) 1994-02-24
MX170021B (es) 1993-08-04
YU2589A (en) 1990-12-31
YU46553B (sh) 1993-11-16
ES2048277T3 (es) 1994-03-16
EP0324536B1 (en) 199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665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waterproof leather or skins
US5686011A (en) Process for waterproofing materials having a fibrous structure and agents used to carry out this process
US5658484A (en) Agents and a process for waterproofing leathers and furs
KR0155544B1 (ko) 유제된 가죽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처리된 가죽
EA001976B1 (ru) Дубление кожи
DE19629986A1 (de) Verfahren zum Hydrophobieren von mit Polymergerbstoffen gegerbten Ledern und Pelzfellen
US4875900A (en) Method of treating leather
EP0632840B1 (en) Improved leather
KR100194826B1 (ko) 피혁 개질제, 피혁 방법 및 개질된 무두질한 피혁
US4309176A (en) Process for the oiling and impregnation of leather and pelts
EP0027964B1 (de) Verfahren zum Weichen und Äschern von Häuten und Fellen
DE2709507C3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Eigenschaften von Leder
US3927966A (en) Process of producing a fatliquoring chrome tanning agent,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180009576A (ko) 백화현상이 방지된 천연가죽의 제조방법
SU1306963A1 (ru) Способ золени свиного сырь
SU1715841A1 (ru) Способ эмульсионного жировани и гидрофобизации кож
SU1051126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олуфабриката дл выработки одежного велюра
SU1100317A1 (ru) Способ жировани и гидрофобизации кож
JPH09510490A (ja) ダイマーおよび/またはトリマーアミノプロピオン酸の革類のオイリング仕上げへの使用
US3013858A (en) Process of and composition for neutralizing chrome-tanned leather
SU1735375A1 (ru) Состав дл золени -обезволашивани шкур
JPH0768560B2 (ja) 皮革に防水性および撥水性をもたせる方法
JPH09510491A (ja) 革類をオイリング仕上げするためのアルキレンジアミノテトラプロピオン酸の使用
JP2001516803A (ja) 両親媒性ペルフルオロアルキル変性ポリジエンおよび皮革の処理におけるそれらの使用
JPH015772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