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251B1 -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251B1
KR0154251B1 KR1019950008090A KR19950008090A KR0154251B1 KR 0154251 B1 KR0154251 B1 KR 0154251B1 KR 1019950008090 A KR1019950008090 A KR 1019950008090A KR 19950008090 A KR19950008090 A KR 19950008090A KR 0154251 B1 KR0154251 B1 KR 0154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eriod
column
voltag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578A (ko
Inventor
다까후미 가와구찌
아끼라 도미요시
마꼬또 다께다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5003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2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1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amplitude modul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는 전기광학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매체, 표시 매체를 사이에 끼워두고 서로 대향하는 1쌍의 기판, 한쪽 기판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전극,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전극의 각 행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행전극, 매트릭스상의 화소 전극의 각 열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열전극, 각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대응하는 화소 전극을 이와 대응하는 열전극에 접속하고, 제어단자를 통해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행전극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들과, 각 행전극에 할당된 수평 주사 기간내의 행전극 주사기간에만 스위칭 소자를 도통시키도록 전압을 각각의 행전극에 인가하는 행전극 구동회로, 각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듀티비로 반복적으로 상기 각 열전극에 2종류의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는 열전극 구동 회로 및 어느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기간으로서 할당되지 않은 기간의 적어도 일부 기간에 대해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가 열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스위칭을 억제하는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티브 미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계조 신호 발생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4도는 실시예1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행전극 주사 기간동안 진동 전압의 인가가 지연되는 경우의 타이밍 선도.
제5도는 실시예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행전극 주사기간의 전반부에서 진동 전압의 인가가 억제되는 경우의 타이밍 선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7도는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 클럭 주기 스위칭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8도는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 EXNOR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9도는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10도는 실시예 2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제12도는 실시예 3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동되는 클럭 주기 가변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13도는 실시예 3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EXNOR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14도는 실시예 3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에서의 전압 파형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15도는 실시예 3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클럭주기 가변 회로의 다른 한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계조 신호 발행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8도는 종래의 제1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9도는 제18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 열전극 그동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0도는 제18도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선도.
제21도는 제18도의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등가 회로도.
제22도는 제18도의 액정 표시 장치의 호소 주변의 등가 회로도.
제23도는 제18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펄스 신호의 타이밍 선도.
제24도는 충방전 회로에서 듀티비가 다른 펄스 신호를 평균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타이밍선도.
제25도는 종래의 제2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6도는 제25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7도는 제25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열전극 구동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8도는 제25도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선도.
제29도는 더 짧은 시정수를 갖는 충방전 회로에서 펄스 신호들의 평균화를 보여주는 타이밍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펄스 신호 발생 회로 2 : AND 회로
3 : EXNOR회로 4 : 클럭 주기 스위칭 회로
5 : 클럭 주기 가변 회로 14 : 계조 신호 발생 회로
16 : 열전극 구동 회로 17 : 행전극 구동 회로
본 발명은 화소 전극에 듀티 비가 다른 펄스형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계조 표시 (gray scale D1splay)를 할 수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8도는 전압 레벨이 다른 아날로그전압을 이용하여 계조 표시를 할 수 있는 종래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8도 및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행 3열의 화소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들(11,12)을 포함한다. 이 기판들 사이에는 액정이 끼워져 있다. 기판 (12)과 대향하는 기판(11)의 일면에는 투명 전도막으로 이루어진 화소 전극들(P11~P33)이 3행 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화소 전극들(P11~P33)의 부근에는 3행의 전극들(게이트 라인들) (G1~G3)과 3열의 전극들 (소스 라인들) (S1~S3)이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행전극들(G1~G3)과 열전극들(S1~S3)의 각 교차부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Q11~Q33)이 배치되어 있다. 화소 전극들 (P11~P33)각각은 이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TFT들(Q11~Q33)중 하나의 소스 및 드레인을 거쳐 대응하는 열전극 S1, S2 또는 S3에 접속되어 있다. TFT들(Q11~Q33)각각의 게이트 단자는 대응하는 행 전극 G1, G2 또는 G3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11)과 대향하는 기판(12)의 전체표면에는 대항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12)상의 대향 전극과 기판(11)상의 화소 전극(P11~P33)사이에는 그 사이에 액정을 개재시킴으로써 액정 셀들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각각의 화소 전극들 (P11~P33)에 충전된 전압 (즉, 대향 전극과의 전위차)에 따라서 광의 투과율을 변화시킴으로써 계조 표시를 할 수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주변 회로로서 타이밍 컨트롤러(13), 계조 전압원(15), 열전극 구동 회로(16), 및 행전극 구동 회로(17)를 구비하고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13)는 외부에서 보내져오는 표시 데이터 D와, 수직 동기 신호 VS, 수평 동기 신호 HS 및, 도트 클럭 신호 CLK를 받아서 여러 가지 동기 신호를 발생시킨다. 타이밍 컨트롤러(13)는 그 발생된 동기 신호를 계조 전압원(15), 열전극 구동 회로 (16), 및 행전극 구동 회로(17)로 보낸다. 그 열전극 구동 회로(16)에는 동기 신호뿐 아니라 표시 데이터 D도 전달된다.
계조 전압원(15)은 계조 표시의 각각의 계조 레벨들에 따라 전압 레벨이 다른 복수의 아날로그 계조 전압들(V0~V3)을 발생하여 이들을 열전극 구동 회로(16)에 공급한다. 그 계조 전압원 (15)은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동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각 수직 주사 기간 TV에 전압 레벨이 변화하는 대향 전극 신호 VC를 발생하여 이를 기판(12)상의 대향 전극에 공급한다.
행전극 구동 회로(17)는 타이밍 컨트롤러(13)로 부터의 동기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각 수평 주사 기간 TH 에 순차로 활성화되는 3종류의 행전극 주사 신호(OG1~OG3)를 발생하여, 이 행전극 주사신호 (OG1~OG3) 각각을 대응하는 행전극 G1,G2 또는 G3에 보낸다. 그 행전극 주사 신호들 (OG1~OG3)이 각기 출력되면, 행전극들 (G1~G3)이 활성화되고, 이 행전극들(G1~G3)에 접속된 대응하는 TFT들 (Q11~Q33)이 도통한다. 따라서, 예컨대, 행전극(G2)으로 출력된 행전극 주사 신호(OG2)가 활성화되면, 행전극(G2)에 접속된 모든 TFT(Q21, Q22 및 Q23)가 도통되어, 대응하는 행의 화소 전극들 (P21, P22, P23)을 각각의 열전극들 (S1~S3)에 접속시킨다.
열전극 구동 회로 (16)는 표시 데이터 D, 즉 디지털 신호를 1회에 3개의 화소씩 직렬/병렬 변환함과 동시에, 이들 3개 화소의 표시 데이터 D 각각에 대응하도록 계조 전압원 (15)이 공급하는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전압을 열전극 구동 신호 (OG1~OG3)로서 기판(11)상의 각각의 열전극 (G1~G3)에 동시에 출력한다.
제19도에는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16)의 구체적인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열전극 구동 신호 (OSi)가 하나의 열전극 (Si) (여기서 i는 1,2 또는 3)에 출력되는 회로 부분만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실제의 열전극 구동 회로 (16)에는 제19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회로가 열전극(Si)의 갯수만큼 설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 데이터 D는 2개의 데이터 비트 (d0, d1)로 이루어져 4단계의 계조 표시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데이터 D는 1 수평 주사 기간 TH내에 3개의 화소분씩 순차적으로 직렬로 타이밍 컨트롤러(13)로부터 열전극 구동 회로(16)로 보내지는 반면에, 1개의 화소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 D내의 2데이타 비트(d0, d1)는 병렬로 열전극 회로(16)로 보내진다. 이들 데이터 비트(d0,d1)는 샘플링 펄스(TSi)에 응하여 샘플 래치 회로 (16a)에 래치된다. 그 샘플링 펄스(TSi)는 타이밍 컨트롤러(13)가 공급하는 동기 신호들중 하나이며, 제18도는 표시 장치에서는, 타이밍 컨트롤러(13)가 3개의 펄스들(TS1~TS3)을 보낸다. 샘플링 펄스 (TS1~TS3)는 1화소분의 표시 데이터 D 가 공급될 때마다 순차적으로 일어난다. 이것은 3 화소분의 표시 데이터 D 가 공급되는 각각의 수평 주사 기간 TH에서 반복된다. 샘플 래치 회로(16a)에 래치된 데이터 비트(d0, d1)는 홀드 펼스(OE)에 응하여 홀드 래치 회로 (16d)에 래치된다. 이 홀드 펄스(OE)도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3)가 공급하는 동기 신호들중 하나로서 수평 주사 기간 TH마다 한번씩 상승한다. 따라서, 하나의 수평 주사 기간 TH에 전달된 3 화소분의 데이터 비트 (d0, d1)는 샘플 래치회로 (16a)에 연속해서 래치되고, 홀드 래치 회로(16b)에 동시에 래치되어 직력/병렬 변환된다.
홀드 래치 회로(16b)에 래치된 데이터 비트 (d0, d1)는 디코더 회로(16c)로 전달된다. 그 디코더 회로 (16c)는 입력 (D0, D1)으로서 수신된 데이터 비트 (d0, d1)의 디지털값에 따라서 4개의 출력 (S0~S03)중 하나를 활성화시킨다. 4개의 출력 (S0~S3)은 각기 4개의 아날로그 수의치(ASW0~ASW3)의 제어 입력 단자들로 보내진다. 이 아날로그 스위치 (ASW0~ASW3)는 디코더 회로 (16c) 의 출력 (S0~S3)에 따라 계조 전압원(15)이 공급한 아날로그계조 전압 (V0~V3)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 선택된 전압을 열전극 구동 신호 (OSi)로서 출력한다. 열전극 구동 신호(OSi)는 대응하는 열전극(Si)에 공급된다.
이제, 제20도에 도시된 타이밍 선도를 기초로 그러한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화소 전극 (P11~P33)이 3행 3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정열되어 있으므로, 수직동기 신호VS의 1주기에는 수평 동기 신호 HS 가 3 주기 존재한다. 이 수직 동기 신호 VS의 1 주기가 수직 주사 기간 TV에 해당하고, 수평 동기 신호 HS의 1주기는 수평 주사 기간 TH 에 보내지고, 각각의 수직 주사기간 TV에 전체의 화소 전극 (P11~P33)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 D (제20도에는 설명의 편이상 D11~D33의 기호가 부여되어있음)가 보내진다.
열전극(S1~S3)으로 출력된 열전극 구동 신호(OS1~OS3)는 각각의 표시 데이터 (D11~D33)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에 대응한다. 예를들면, 열전극 구동 신호 (OS2)는 포시 데이터(D12, D22, D32)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중 하나로서 각각의 수평 주사 기간 TH에 스위칭된다. 또한, 열전극 구동 신호 (OS2)가, 예를들면, 이 표시 데이터 D12가 열전극 구동 회로 (16)로 보내지는 수평 주사 기간 TH의 다음의 수평 주사 기간 TH의 표시 데이터 D12에 대응하는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중 하나이다.
행전극 (G1~G3)으로 출력된 행전극 주사 신호 (OG1~GO3)중 어느 하나는 각각의 수평 주사 기간 TH에 순차적으로 저레벨에서 고레벨로 전이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의 행전극 주사 신호 (OG1)는 1수직 주사 기간내 제2수평 주사기간 TH에 고레벨에 있고, 제2의 행전극 주사 신호 (OG2)는 같은 수직 주사기간 TV 내 제3수평 주사 기간 TH에 고레벨에 있으며, 제3의 행전극 주사 신호 (OG3)는 다음의 수직 주사 기간 TV내 제1수평 주사 기간 TH에 고레벨에 있는다. 그러한 레벨 변화는 각각의 수직 주사 기간 TV마다 반복되는 반면에, 행전극 주사 신호(OG1~OG3)는 전체 수평주사 기간 TH이 아닌 그 수평 주사 기간 TH의 대부분을 점하는 행전극 주사 기간 TG에서 실질적으로 고레벨 상태에 있게 된다.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은 각기 다른 고정 전압 레벨을 갖는 구동 신호이다.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의 전압 레벨은 각각의 수직 주사 기간 TV 동안에 상호간의 고저 관계가 역전되도록 스위칭될 수 있다. 또한, 기판(12)의 대향 전극으로 공급된 대향 전극 신호(VC)는 소정의 전압 레벨을 가지는 구동 신호로서, 각각의 수직 주사 기간 TV동안 고저 전위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 각각과 대향 전극신호(VC)사이의 전위차의 절대값은 각기 일정하며, 각각의 수직 주사 기간 TV 동안에 전위차의 극성만이 역전된다. 따라서 각각의 수직 주사 기간 TV에 극성이 역전된 전압이 기판(11)상의 각각의 화소 전극(P11~P33)과 기판(12)상의 대향 전극 사이에 인가된다. 그러한 AC 구동은 액정의 열화를 방지한다. 교류 AC 구동으로, 대향 전극 신호(VC)는 항상 일정 전압 레벨에 유지되고, 그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의 전압 레벨만이 일정 전압 레벨에 관하여 대칭으로 스위칭된다.
이제, 표시 데이터 D22가 아날로그 계조 전압(V2)에 대응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 설명한다. 아날로그 계조 전압 (V2)과 대향 전극 신호 (VC)사이의 전위차가 행전극 주사 신호(OG2)가 고레벨에 있는 행전극 주사 기간 TG동안에 대향 전극과 화소 전극(P22)간에 인가되기 때문에, 대향 전극의 전위를 기준으로 이용하면, 제20도에 파형(VP2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 (P22)에서의 파형이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행전극 신호(OG2)가 고레벨인 행전극 주사 기간 TG 에 TFT (Q22)는 도통 상태이고, 따라서, 화소 전극 (P22)은 아날로그 계조 전압 (V2)으로 정해지는 전압 레벨을 갖도록 충방전된다. 그후, 이 전압레벨은 TFT (Q22)를 차단함으로써 그 행전극 주사 신호(OG2)가 다시 액티브로 될 때까지 유지된다. 이 행전극 주사 신호(OG2)가 다시 액티브로 되어 있는 경우, 화소 전극 (P22) 은 역전 전압 레벨이 같은 절대값을 갖도록 충방전된다. 이 과정은 그후로 반복된다.
이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4종류의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이 계조 전압원(15)에서 발생되는데, 그 전압 종류의 수는 계조 표시 레벨의 수와 같다. 그러나, 이들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은 일반적으로 연가 증폭기, 전류증폭용 트랜지스터등을 조합한 아날로그 회로에서 생성된다. 그러므로 그러한 아날로그 회로가 장착 공간에서 뿐 아니라 생산 비용에 있어서도 전체 구동 회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아울러, 계조 표시 레벨의 수가 증가될 경우 더 많은 종류의 아날로그 걔조 전압이 필요하여, 이러한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한다. 더욱이, 열전극 구동 회로(16)의 열전극 (S1~S3) 각각에 대해 필요한 제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날로그 스위칭(ASW0~ASW3)의 갯수가 계조 표시 레벨의 수와 같은, 전술한 설명에서 처럼 4개이다. 그렇게 많은 아날로그 스위치는 또한 각각의 칩에서 큰 공간을 차지한다. 또한, 아날로그 스위치들(ASW)의 갯수는, 계조 표시 레벨의 수가 증가하거나, 혹은 고해상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열전극의 수가 증가하면, 누적적으로 증가한다.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듀티비가 다른 펄스형 전압이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계조 표시용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한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의 1화소의 등가 회로를 제21도에 도시한다.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액정이 개재된 호소 전극(P)과 대향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화소 용량(CP)은 게이트가 행전극(G)에 접속되어 있는 TFT (Q)의 소오스와 드레인을 거쳐 열전극(S)에 접속된다.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도는, TFT Q의 ON 저항을 RON 으로 표시하고, 열전극(S)의 용량과 열전극(S)과 대향전극간의 분포 용량을 각각 집중 정수의 열전극 저항(RS)과 열전극 용량(CS)으로 표시하면 된다. 이제 ON 저항 (RON)과 화소 용량(CP)으로 구성된 회로와 열전극 저항(RS) 및 열전극 용랑(CS)으로 구성된 회로에 대해서 고찰한다. 전압(V)이 저항(R)과 용량(C)으로 이루어진 직렬 회로에 계단형으로 인가되면, 용량(C)의 단자 전압(V)은 시간(t)의 경과에 수반하여 다음의 식1로 표현된 바와 같이 변화한다.
이 경우, 시정수는 저항(R)과 용량(C)의 곱 RC로 된다. 또한, 이 용량(C)의 단자 전압(V)을 이 회로의 출력으로 하면, 이 회로는 시정수 (RC)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 특성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입력 전압을 평활하게 평군화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2종류의 전압 (VSH, VSL)이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펄스 신호가 이와 같은 회로에 인가되면, 이 펄스 신호의 주기(T) 에 비하여 시정수(RC)가 충분히 길면, 펄스 신호의 듀티 비 m:n에 따라서 용량(C)에는 2종류의 전압(VSH, V니)을 평균화한 하기 식 2에 나타나는 평균 전압이 충전된다.
즉,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단자 전압(V)은 반복된 충방전을 통해서 서서히 평균화된다. 펄스 신호의 듀티비 m:n의 m이 큰 경우에는 단자 전압은 고전압 레벨로 평균화되고, m이 작은 경우에는 저전압 레벨로 평균화된다. 이와 같이 듀티비가 다른 펄스를 열전극(S)에 인가함에 의해 화소 용량(CP)에 충전된 전압이 변화하는 경우, 단지 두 종류의 전압(VSH, VSL)를 공급함으로써 아날로그 계조 전압을 이용하지 않고도 계조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실제로 이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ON 저항(RON)이 일반적으로 열전극 저항(RS)보다 크로, 화소 용량(CP)는 일반적으로 열전극 용랑(CS)보다 작지만, ON 저항(RON)과 화소 용량(CP)의 시정수 RON × CP 은 열저항 (RS)과 열전극 용량(CS)의 시정수 RS × CP 보다 충분히 더 길다. 그러므로, 화소 용량(RS)이 충방전되는 경우의 충방전 특성은 열전극(S)의 시정수 RS × CS 가 아닌 각각의 화소의 시정수 RON × CO 로 정의된다
펄스형 전압을 인가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구성예가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제18도에 도시된 것과 실직적으로 같은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기능의 같은 소자들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타이밍 컨트롤러(13)가 보내온 동기 신호를 기초로 4종류의 계조 펄스 신호(GS0~GS3)를 발생시키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를 포함한다.
이 계조 펄스 신호(GS0~GS3)는 열전극 구동회로 (16)로 공급된다. 계조 전압원(15)은 아날로그 계조 전압 (V0~V3) 대신에 2종류의 전압(VSH, VSL)을 열전극 구동 회로(16)에 공급한다.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는,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펄스 신호 발생 회로(1) 및 4개의 EXNOR 회로(3)를 구비하고 있다. 그 4개의 펄스 신호 발생회로(1)는 타이밍 컨트롤러(13)가 보낸 클럭 신호(CK)와 리셋트 신호(RES)를 기초로 주기는 같지만 듀티비는 다른 4종류의 펄스 신호(SP0~SP3)가 대응하는 EXNOR 회로(3)의 한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그 EXNOR 회로(3)의 다른 입력 단자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3)가 보내져 각각의 수직 주사 기간 TV 동안에 반전되는 AC 구동 신호(AD)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연산하는 회로로서, 다음에 설명하는 제2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듀티비가 다르고, 또, 수직주사 기간(TV) 동안에 이 듀티비가 반전되는 (즉, 역수로 되는) 계조 펄스 신호(GS0~GS3)를 출력한다.
계조 펄스 신호(GS0~GS3)가 공급되는 열전극 구동 회로(16)의 구체적인 구성예가 제27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제19도와 마찬가지로 열전극 구동 신호 (OSi)가 하나의 열전극(Si)으로 출럭되는 회로 부분만을 도시하는바, 표시 데이터 D도 2비트의 데이터 비트(d0, d1)로 이루어진 것이다.
샘플 래치 회로(16a), 홀드 래치 회로(16b) 및 디코더 회로 (16c)는 제19도의 열전극 구동 회로(16)에 이용된 것들과 같은 기능을 하는바,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디코더 회로(16c)의 4개의 출력이 4개의 AND 회로(16d) 각각의 한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각각의 AND 회로(16d)는 디코더 회로 (16c)의 출력 (S0~S3)에 따라서 4개의 계조 펄스 신호(GS0~GS3)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각각의 AND 회로 (16d)의 출력은 함께 4개의 입력 NOR 회로(16e)에 입력되어 버퍼 회로(16f)의 입력 단자에 입력된다. 그 버퍼 회로 (16f)는 4 입력 NOR 회로 (16e)를 거쳐 보내는 논리 레벨의 계조 펄스 신호(GS0~GS3)중 하나를 열전극(S1~S3)을 그동할 수 있는 열전극 구동 신호 (OSi)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이 열전극 신호 (OSi)에서, 선택된 계조 펄스 신호(GS0~GS3)와 같은 듀티비로 계조 전압원(15)에서 공급되는 2종류의 전압 (VSH, VSL)이 교번 반복된다. 그 열전극 구동 신호(OSi)는 대응하는 열전극(Si)으로 출력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제28도에 도시된 타이밍 선도를 기초로 설명한다. 수직 동기 신호(VS), 수평 동기(HS), 표시 데이터(D), 열전극 구동 신호(OG1~OG3) 및 행전극 주사 신호(GS0~GS3)에 대해서는 제20도를 참고로 전술한 설명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계조 펄스 신호(GS0~GS3)는 주기가 같지만 듀티비는 각기 다른 펄스 신호로서, 여기에서도 교류 구등을 위하여 수직 주사기간(TV) 동안에 듀티비가 반전한 신호로 스위칭되어 있다. 또한, 이들 펄스 신호에 대응하는 대응 전극 신호(VC)도 2종류의 전압(VSH, VSL)에 근접한 전압으로 수직 주사 기간(TV) 동안에 스위칭된다.
표시 데이터(D22)가 계조 펄스 신호(GS2)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경우에 대하여 여기에 예시한다. 행전극 주사 신호(OG2)가 고레벨인 경우의 행전극 주사 기간(TG)에는, 전압(VSH, VSL)이 계조 펄스 신호(GS2)와 같은 듀티비로 교번적으로 반복되는 대향 전극 신호(VC)와 연전극 구동 신호(OS2)사이의 전위차가 화소 전극 (P22)에 인가된다.
따라서, 그 전위를 대향 전극에서 기준으로 이용하면 화소 전극 (P22)에서 제28도에 파형(VP22)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전압 파형이 얻어진다. 도통하는 TFT(Q22)와 화소 전극(P22)으로 구성된 충방전 회로는 시정수 RON × CP 로 규정되는 충방전 특성을 가지며, 따라서 진동 전압은 평균화된다. 따라서, 이 화소 전극(P22)에 2종류의 전압(VSH, VSL)이 교번하여 공급되면, 실제의 저역 통과 필터 특성을 고려한 전압 파형(VP22)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계조 펄스 신호(GS2)의 듀티비에 응하여 평균화된다. 또한, 이 평균화된 전압 레벨은 다음에 행전극 주사 신호(OG2)가 액티브로 될 때 까지 TFT (Q22)가 차단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다음에 행전극 주사 신호(OG2)가 액티브로 되면, 화소 전극(P22)은 절대치가 같고 극성이 반대인 전압 레벨로 충방전되며, 이후 이러한 절차를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제25도에 도시된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계조 전압원(15)이 계조 표시의 레벨수에 관계없이 2종류의 전압(VSH, VSL)을 공급하기만 한다. 아울러, 제19도에 도시한 열전극 구동 회로(16)의 아날로그 스위치(ASW)가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ND 회로 (16d)와 4입력 NOR 회로(16e) 및 버퍼 회로(16f)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회로로 교체되므로, 계조 표시를 위한 아날로그 회로가 높은 비용 및 넓은 부품 탑재 면적을 점유하는 결점이 해소된다.
상기 계조 펄스 신호(GS0~GS3)의 주기는 제22도에 도시한 회소 전극(P11~P33)의 충방전 회로의 시정수 RON × CP 에 대하여 충분히 짧게 설정되므로, 열전극 구동 신호 OS1~OS3의 진동 전압이 확실하게 평균화되게 되어있다. 따라서, 열전극(S1~S3)에 이와 같은 진동 전압을 가하더라도, 화소 전극(P11~P33)의 충방전 회로에 흐르는 충방전 전류는 직접 감소된다. 그러나, 이 진동 전압은 열전극(S1~S3)자신의 충방전 회로의 시정수 RS × CS 는 화소 전극(P11~P33)의 충방전 회로의 시정수 RON × CP 보다도 극히 짧다. 여기에서,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정수 RC 가 주기(T)에 비하여 짧은 경우에는 단자 전압(V)이 평균화되지 않더라도 진동을 계속하여 충방전 전류가 연속해서 흐를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열전극(S1~S3)에 열전극 구동 신호(OS1~OS3)의 진동 전류를 인가하면, 시정수 RS × CS 가 짧아, 이 열전극(S1~S3) 자신의 충방전 회로에는 충방전 전류가 반복해서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펄스상의 전압을 인가하는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는, 열전극(S1~S3) 자신의 열전극 용량(CS)을 통해서 쓸데없이 충방전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대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물질로 제조된 표시 매체와; 표시 매체가 끼어있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기판; 그 기판들 중 하나에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매트릭스 내의 각각의 화소 전극행과 대응하게 배치된 복수의 행전극; 매트릭스내의 각각의 화소 전극열과 대응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열전극; 각기 각각의 화소 전극과 대응하게 배치되어, 대응하는 화소 전극을 그 전극에 대응하는 열전극에 접속시키며, 화소 전극의 제어 단자를 거쳐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행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 해당 스위칭 소자가 각각의 행전극에 할당된 수평 주사 기간내 행전극 주사 기간에만 도통하도록 각각의 행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행전극 구동 회로; 각각의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타에 따른 듀티비로 반복적으로 각각의 열전극에 반복해서 2종류의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는 열전극 구동회로 : 및, 어느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기간으로도 할당되지 않은 기간중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에 의해 각각의 열전극에 인가될 전압의 스위칭을 억제하는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을 구비한다.
일시시예에 있어서, 열전극 구동 회로는 듀티비가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펼스 신호 발생 회로 : 각각의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퍼릇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펄스 신호 선택 회로 : 및, 선택된 펄스 신호에 따라서 2종류의 전압사이에서 각각의 열전극에 인가될 전압을 스위칭하는 전압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다. 이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은 어떠한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 기간으로도 할당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전기간에 걸쳐 펄스 신호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복수의 펄스 신호를 일정한 전압 레벨을 가지도록 마스크하며, 그 마스크된 신호를 펄스 신호 선택 회로로 보낸다.
일시시예에 있어서, 열전극 구동 회로는, 스위칭 주기가 적어도 행전극 주사기간의 개시시보다는 각각의 행전극 주사기간 종료시에 더 짧게 되도록 각각의 수평 주사기간에 각각 열전극에 인가될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변화시키며, 표시 장치는 행전극 주사기간에 스위칭 주기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한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을 또한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물질로 제조된 표시 메체 : 표시 매체가 끼어있는 상호 대향에는 한쌍의 기판 : 그 기판중 하나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 매트릭스내의 화소 전극들의 각각의 열과 대응하도록 각기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열전극 : 각각의 화소 전극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대응하는 화소 전극을 그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열전극에 접속하고, 화소 전극의 제어 단자를 거쳐서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행전극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 :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가 각각의 행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행전극 구동 회로 : 각각의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듀티비로 반복해서 각각의 열전극에 2종류의 전압을 교번하여 인가하는 열전극 구동 회로 : 및, 스위칭 주기가 적어도 각각의 행전극 주사 기간의 개시시보다는 그 종료시에 더 짧게 되도록, 각각의 수평 주사기간에 각각의 열전극에 인가될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행전극 주사 기간에 스위칭 주기를 증대시키지 않는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을 구비한다.
다른 일실시예 있어서,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는 듀티비가 다른 복수의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펄스 신호 발생 회로 : 각각의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펄스 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하는 펄스 신호 선택 회로 : 선택된 펄스 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열전극에 인가될 전압을 2종류의 전압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전압 스위칭 회로 : 및, 스위칭 주기가 적어도 각각의 행전극 주사 기간의 개시시보다는 그 종료시에 더 짧아지도록, 각각의 수평 주사 기간에 열전극에 인가될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변화시키고 행전극 주사 기간에 스위칭 주기를 증대시키지 않는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을 구비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각각의 행전극 주사기간에 2종류의 전압 스위칭 주기를 계단적으로 단축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각각의 행전극 주사 기간에 2종류의 전압 스위칭 주기를 무계단형으로 단축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2종류의 전압 스위칭 주기를 각각의 행전극 주사 기간의 동중의 시점까지 무계단형으로 단축하고 그후에는 스위칭 주기를 일정하게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액정이다.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에서는, 1수직 주사 기간내에 행전극의 갯수 이상의 수평 주사기간이 설정된다. 각각의 행전극에는, 통상은 다른 행전극과 중복하지 않도록 각각의 수평 주사 기간의 할당되며, 행전극 주사 기간은 이 할당된 수평 주사 기간내에 포함된 기간에 포함된다. 행전극 구동 회로는,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가 각각의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 기간에만 그 해당 전극에 스위칭 소자를 도통시키기 위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극 주사를 행한다. 이 행전극 구동 회로에 의한 행전극 주사는 수직 주사기간의 주기에서 반복된다. 열전극 구동 회로는 2종류의 전압을 표시 데이터에 따른 듀티비에 따른 듀티비로 교번 반복하여 각각의 열전극에 인가한다.
표시 데이터는 각각의 열전극에 대응하고, 그 경우의 수평주사 기간에 할당된 1행의 각각의 화소전극들의 계조 레벨을 결정한다. 따라서, 각각의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는 수평 주사 기간동안에 스위칭된다. 전기 광학 물질이 액정등인 경우에는, 열화 방지를 위하여 열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을 교류로 구동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경우에는 예를들면 1수직 주사 기간동안에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이 역전하도록 이 2종류의 전압을 스위칭한다.
열전극에 2종류의 전압이 인가되면, 도통한 스위칭 소자를 거쳐서 화소 전극의 충방전이 수행된다. 다만, 이 화소전극의 충방전 회로의 시정수는 충분히 크기 때문에 2종류의 전압은 평활화되어 거의 흐르지 않는다. 또한, 이 충전 정바은 2종류의 전압의 듀티비에 따른 레벨로 되므로, 이것에 의해 계조 표시가 수행된다. 그러나, 열전극에 2종류의 전압이 인가되면, 이 열전극에 분포하는 열전극 용량에 대한 충방전도 행해진다. 그리고, 이 열전극 충방전 회로의 시정수는 화소 전극의 충방전회로의 시정수보다도 작기 때문에 2종류의 전압의 스위칭될 때마다 충방전 전류가 반복해서 흐르는데, 이는 표시 장치의 전력 소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이 어떠한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 기간에도 할당되지 않은 기간중의 적어도 일부의 기간에, 열전극 구동 회로가 열전극에 인가하는 전압의 스위칭을 억제한다. 어떠한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 기간으로도 할당되지 않은 기간은 행전극 주사 기간이 수평주사 기간의 전기간을 점하지 않는 경우에 이 수평 주사 기간 전후의 행전극 주사기간으로 할당되지 않은 기간이나, 수직 주사기간의 최초와 최후의 어떠한 수평 주사기간이 행전극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이 수평 주사기간에 해당되며, 이들 기간은 열전극에 인가된 2종류의 전압이 화소 전극으로의 충전에 기여하지 않는 비구동 기간으로 된다.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은, 이 비구동 기간의 일부 또는 전부의 기간에 걸쳐 전압 수의칭을 억제한다. 또한, 각각의 화소 전극으로의 충전에 지장을 주지 않는 한, 이것에 추가하여 행전극 주사기간의 일부의 기간, 특히 개시시의 일정 기간에 걸쳐서 전압의 스위칭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는, 이 비구동기간의 전기간에 걸쳐서 열전극에서 2종류의 전압을 스위칭하여 인가하고 있었으므로 열전극 용량에만 쓸데없이 충방전이 행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벙에서는 비구동기간에 전압의 스위칭이 억제되므로, 낭비적인 전력 소비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구동 기간에 전압의 스위칭이 정지하더라도, 각각의 화소 전극으로의 충전에는 영향이 없다.
또한, 상기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이 열전극에 인가하는 2종류의 전압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펄스 신호를 상기 비구동 기간에 걸쳐서 거의 마스크하도록 한다.
더욱이,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이 수평 주사 기간동안에 열전극에 인가하는 2종류의 전압 스위칭 주기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스위칭 주기의 변화는 적어도 각각의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 기간의 개시시 보다도 종료시에 짧아지도록 변화한다. 이 경우, 1수평 주사 기간의 전기간에 걸쳐서 이러한 변화를 수행해도 된다. 여기에서, 행전극 주사 기간내의 스위칭 주기가 일정한 경우와, 단축 변화에 의해 행전극 주사기간의 종료시의 스위칭 주기가 이 일정의 주기와 같거나 이보다 약간 짧은 경우를 비교하면, 단축 변화된 경우가 행전극 주사기간의 개시시의 스위칭 주기가 길기 때문에 2종류의 전압의 스위칭 회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상기 열전극의 열전극 용량에 대한 충방전 회수도 감소하므로, 이 충방전에 의한 낭비적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행전극 주사 기간의 개시시에 스위칭 주기가 길면, 상기 화소 전극의 충방전 회로의 시정수가 크더라도 2종류의 전압이 충분히 평활화되지 않게 되는바, 그후에 이렇게 적당한 주기까지 단축변화되면, 종료시에 충분한 평활이 가능하게 되고 전극으로의 충전에 지장이 초래되지 않는다.
상기 스위칭 주기는 적어도 행전극 주사기간 내에서 증가되지 않도록 변화된다.
이러한 변화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주기가 단축되거나 또는 변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의칭 주기의 변화로는, 예를들면 단계적으로 단축되는 경우나, 무단계 단축(단조 감소)되는 경우가 있으며, 행전극 주사기간 내의 도중까지 무단계로 단축하고, 이후에는 이 주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이 열전극에 인가하는 2종류의 전압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펄스 신호의 주기를 제어함으로써 단축변화되게 할 수도 있다.
표시 장치가 상기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과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을 함게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소 전극의 충전에 기여하지 않는 비구동 기간에서의 열전극 용량으로의 낭비적인 방전을 없앰과 동시에 행전극 주사기간에 열전극 용량으로의 낭비적인 충방전의 회수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소비 전력을 보다 유효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본 발명은 펄스형 전압의 인가를 통해서 소비 전력을 낮추는 한편, 회로 스케일을 증가시키지 않고 아날로그 계조 전압을 이용하는 종래의 표시 장치의 특성을 유지하는 계조 표시용의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장점 및 기타의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한다면 당업자에게는 명확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의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은 제25도에 도시한 종래예의 것과 동일하고, 또한 열전극 구동 회로(16)의 구성도 제27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동일하다. 이 액정표시 장치는 종래의 표시 장치와는 다른 구성을 갖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를 포함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제2도는 이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빙선도이고, 제3도는 실시예 1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선도이다. 상기 종래예와 같은 기능을 갖는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기판(11)위에 화소 전극 P 가 6 행으로 형성되고 6개의 행전극 G1~G6 가 형성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행전극 구동 회로(17)는 이 6개의 행전극 G1~G6에 각각 행전극 주사 신호 OG1~OG6를 출력한다.
제1도에 도시한 대로,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는 복수조의 펄스 신호 발생 회로(1), AND 회로(2) 및 EXNOR 회로 (3)를 포함하며, 이 조의 갯수는 계조 표시의 레벨수와 같으나, 제1도는 단1조의 펄스 신호 발생 회로(1)는 타이밍 컨트롤러(13)에 의해 공급된 클럭 신호 CK 및 리세트 신호 RES 에 따라, 다른 펄스 신호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펄스 신호와 주기가 같고 듀티비가 다른 펄스 신호 SPj를 발생시킨다. 클럭신호 CK로는 외부 컴퓨터에 의해 공급되는 모든 도트 클럭 신호 CLK등이 사동되고, 리세트 신호 RDS 로는 수평 동기 신호 HS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각 펄스 신호 발생 회로(1)는 예컨대 클럭 신호 CK 의 5배 주기를 갖는 펄스 힌호 SPj를 발생한다. 펄스 신호 SPO를 발생하는 펄스 신호 회로(1)중 하나는 클럭 신호 CK의 처음주기후에 이 펄스 신호 SPO를 반전시켜 듀티비를 더 작게하고, 펄스 신호 SP1을 발생하는 다른 펄스 신호 발생 회로(1)는 클럭 신호 CK의 두 번째 주기후에 펄스 신호 SP1을 반전시켜 듀티비를 더 크게 한다. 그래서, 듀티비만이 서로 다른 4종류의 펄스 신호 SP0~SP3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펄스 신호 발행 회로(1)는 카운터 회로나 래치 회로 등을 조합하여 구성된 디지털 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펄스 신호 SPj는 AND 회로(2)의 한 입력 단자에 보내진다. AND 회로(2)의 다른 입력 단자에는 타이밍 컨트롤러(13)에 의해 비구동 기간 마스크 신호 MS 가 공급된다. 제2도에 도시한 대로, 하나의 수직 주사기간 TV 는 8개의 수평 주사 기간 TH를 포함한다. 비구동 기간 마스크 신호 MS는 하나의 수직 주사기간 TV내에 최초한 최종 수평 주사 기간을 제외한 6주기의 각 수평 주사기간 TH 에 대해 각각의 수평 주사기간 TH 의 전기간 보다도 약간 더 짧은 기간에만 고레벨이 되는 펄스 신호이다. 하나의 수직 주사기간 TV 내에 최초 및 최종 수평 주사기간 TH 는 표시 장치에도 기여하지 않고 팽전극 G1 내지 G6 중 어느 것에도 할당되지 않는 귀선기간에 해당된다. 따라서 행전극 주사 신호 OG1 내지 OG6 각각은 제3도에 도시한 대로 최초와 초종 수평 주사기간을 제외한 6주기의 수평 주사기간 TH 동안 행전극 주사 기간 TG에서 활성화 된다. 이 비구동 기간 마스크 신호 MS 는 행정극 주사 신호 OG1 내지 OG6의 논리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하여 펄스 신호 SOj 가 비구동 기간 미스크 신호 MS로 마스크되면, AND 회로(2)는 비구동 기간 바스크 신호 MS가 교레벨에 있는 기간에만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그밖의 기간에는 저레벨의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AND 회로(2)의 출력 신호가 EXNOR 회로(3)의 한 입력 단자에 전달된다. EXNOR 회로(3)의 다른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교류 구동 신호 AD 는 타이밍 컨트롤러(13)에 서 발생되고 각 수직 주사 기간 TV에서 발진된다. EXNOR 회로(3)는 AND 회로(2)의 출력 신호와 교류 구동 신호 AD 의 배타적 논리합을 연산하고, 이들 신호들의 레벨이 서로 일치할 때만 고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EXNOR 회로(3)는 각 수직 주사 기간 TV에서 AND 회로(2)의 출력 신호의 듀티비를 반전시킴으로써(즉, 듀티비의 역수를 취함으로써) 얻어진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제2도에 도시한 계조 펄스 신호 GSj에 해당한다.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는 듀티비를 달리하여 계조 표시의 레벨 수와 같은 갯수 만큼 계조 펄스 신호 GSj를 출력한다. 또한, 제27도의 열전극 구동 회로(16)와 마찬가지로, 계조 펄스 신호 GSj가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기간에만, 이 실시예의 열전극 구동 회로(16)는 동일한 듀티비로 전압 VSH 와 VSL 간에 전압을 스위칭함으로써 열전극 Si에 열전극 구동 신호 OSi를 출력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행전극 주사 신호 DG1 내지 OG6 중 어느 하나가 고레벨인 행전극 주사기간 TG 와 거의 동일한 기간에만 전압 VSH 와 VSL을 고대로 반복함으로써 열전극 구동 신호 OSi가 얻어진다. 그 밖의 기간들에는, 열전극 구동 신호 OSi 는 대향 전극 신호 VC 에 대응하는 전압 레벨을 갖는다. 따라서, TFT Q가 화소 전극 P를 충방전하도록 실제로 도통하는 때에만 열전극 Si에 진동 전압이 인가되고, 그밖의 기간, 즉 비구동 기간에는 이 전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여기서 비구동기간은 각 수직 주사기간 TV에서 맨앞과 맨뒤의 수평 주사기간 TH와, 기타 수평 주사 기간 TH에서 맨앞과 맨뒤의 짧은 기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회소전극 P 의 충방전에 기여하지 않는 비구동 기간에는 열전극 Si에 진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된다. 그결과, 열전극 용량 CS의 충방전에 소모되는 쓸데없는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제4도는 예컨대 행전극 주사 신호 OG1과 열전극 구동 신호 OSi 사이의 관계를 상세히 나타낸다. 행전극 주사 신호 OG1이 고레벨인 행전극 주사기간 TG는 수평 주사기간 TH 보다 약간 더 짧아 그안에 포함된다. 통상, 이 행전극 주시기간 TG에만, 열전극 구동 OSi가 두종류의 전압 VSH, VSL을 교대로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행전극 주사 신호 OG1과 열전극 구동 신호 OSi는 행전극 G1과 열전극 Si를 통해 전파하는 동안에 약간 지연된다. 그래서 열전극 구동 신호 OSi가 전환되는 기간을 행전극 주사기간 TG보다 제4도에 도시한 지연 기간 TD만큼 길게하면 이러한 신호 전파시의 지연 영향을 보정할 수 있다.
또, 상기 행전극 주사 기간 TG가 회소 전극 P에 대한 충전 기간으로서 충분히 긴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한 대로 이 행전극 주사 기간 TG의 전반 기간에도 열전극 구동 신호 OSi가 두 종류의 전압 VSH, VSL 간에 전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결과, 소비되는 전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펄스 신호 발생 회로(1)는 도트 클럭 신호 CLK 에 기초하여 계조 펄스 신호 GSi의 소스가 되는 펄스 신호 SPj를 발생한다. 듀티비가 다른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직접 펄스 신호를 발진하여 출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 AND 회로(2)만을 사용한 간단한 회로 구성를 얻기 위하여 펄스 신호 발생 회로(1)가 발생한 펄스 신호 SPi를 EXNOR 회로(3)로써 교류 구동용의 계조 펄스 신호 GSj로 변환하기 전에 비구동기간 마스크 신호 MS로 마스크했다. 이와 같이 특정의 기간에만 펄스 신호의 진폭을 억제하는 처리는 어떤 단계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열전극 구동 회로(16)에 공급되는 두종류의 전압 VSH, VSL을 억제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열전극 Si 에 출력하는 전압의 스위칭을 억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액정 표시 장치가 설명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공통되는 요소들에 관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 실시예의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의 구성은 제6도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다.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는 제6도에 도시한 대로 클럭 주시 스위칭 회로(14), 계조 표시의 레벨 수만큼의 복수조의 펄스 신호 발생 회로(1), 및 EXNOR 회로(3)를 포함한다. 또한 제6도는 1조의 펄스 신호 발생 회로(1)와 EXNOR 회로(3)만을 도시한다. 클럭 주기 스위칭 회로(4)는 도트 클럭 신호 CLK를 차례로 양분하는 2개의 D형 플립 회로(4a, 4b)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도트 클럭 신호 CLK와 이것을 각각의 D형 플립 플롭 회로(4a, 4b)에서 분할한 신호중 하나가 기간 제어 신호 T1, T2, T3를 사용하여 선택되고, 이 선택된 신호가 3개의 AND 회로(4c~4e)와 1개의 OR 회로 (4f)를 거쳐 펄스 신호 발생 회로(1)에 클럭 신호 CK 로서 전달된다.
펄스 신호 발생 회로(1)는 이 클럭 주기 스위칭 회로(4)에 의해 공급된 클럭 신호 CK 와 타이밍 컨트롤러(13)에서 발생된 리세트 신호 RES 에 따라 펄스 신호 발생 회로(1)와 주기가 같고 듀티비가 다른 펄스 신호 SPj를 발생한다. 그리고, 나머지 회로 구성은 제26도에 도시한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다.
제7~9도에 도시한 타이밍 선도를 참조하여 이하 이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7도는 클럭 주기 스위칭 회로(4)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선도이고, 제8도는 EXNOR 회로(3)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선도이고, 제9도는 화소 전극 P 에서의 전압 파형을 타나내는 타이밍 선도이다.
제7도에 도시한 대로, 기간 제어 신소 T1, T2, T3 는 각각 수평 주사 기간 TH의 전기, 중기, 후기에 고레벨로 되는 신호이다. 기간 제어 신호 T1이 고레벨인 기간 F1이 가장 길고, 기간 제어 신호 T3가 고레벨인 기간 F3가 가장 짧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클럭 주기 스위칭 회로(4)는 기간 제어 신호 T1이 고레벨인 기간 F1에도 도트 클럭 신호 CLK 의 4배 주기인 클럭 신호 CK를 펄스 신호 회로(1)에 출력하고, 기간 제어 신호 T2가 고레벨인 기간 F2에는 이 절반 주기의 클럭 신호 CK를 출력하고, 기간 제어 신호 T3가 고레벨인 기간 F3에는 도트 클럭 신호 CLK를 그대로 클럭 신호 CK로서 출력한다. 따라서 펄스 신호 발생 횔(1)가 발생하는 펄스 신호 SPj 는 각 수평 주사기간 TH에서 최초의 기간 F1의 주기가 가장 길고 최후의 기간 F3의 주기가 가장 짧게 된다.
이 펄스 신호 SPj는 EXNOR 회로(3)에 전달되어 교류 구동 신호 AD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계산하고 제8도에 도시한대로 수직 주사 기간 TV 마다 듀티비가 반전되는 계조 펄스 신호 GSj로서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를 통해 출력된다. 또, 제27도의 열전극 구동 회로(16)와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의 열전극 구동 회로(16)는 이 계조 펄스 신호 GSj와 같은 주기이고 같은 듀티비로 두 종류의 전압 VSH, VSL을 교대로 반복하여 열전극 Si에 열전극 구동 신호 OSi를 출력한다.
예컨대 행전극 주사 신호 OG1 이 고레벨인 행전극 주사기간 TG에 걸쳐 열전극 구동 신호 OSi는 제9도에 도시한 대로 TFT Q1j를 거쳐 진동 전압으로서 화소 전극 P1j에 인가된다. 그러면, 실제의 저역통과 필터 특성을 고려한 이 화소 전극 P1j에 인가된다. 그러면, 실제의 저역통과 필터 특성을 고려한 이 화소 전극 P1j의 전압파형 VP는 최초의 기간 F1에서는 진동 전압의 주기가 길므로 충분히 평균화되지 않는다. 그러나 기간 F2로부터 기간 F3로 시간이 경과하면서 진동 전압의 주기가 점차로 짧아지면 전압 파형 VP 는 충분히 평균화되고 거의 일정하게 된다. 이때, 기간 F3의 진동 전압의 주기를 주파수 mHz 단위가 되는 충분히 짧은 것으로 하면, 그전의 기간 F1이나 기간 F2의 주기가 다소 길어지고 평균화가 불충분할지라도 화소 전극이 어느 정도 충전되고 있는 한 최종기간 F3에서 충전 전압을 확실하게 평균화할 수 있다. 또 행전극 주사 기간 TG 의 전기간의 걸쳐 진동 전압을 충분히 평균화 가능한 짧은 일정주기로 한 경우에 비해, 열전극 구동 신호 OSi가 두종류의 전압 VSH, VSL을 스위칭하는 회수는 이 실시예에서 충분히 작게된다.
따라서 실시예 2에서는 제10도에 도시한 대로, 열전극 구동 신호 OSi 가 전기간에 걸쳐 2종류의 전압 VSH, VSL가 교대로 반복되지만, 이 진동 전압의 주기가 길므로 각 수평 주사 기간 TH의 거의 전반 부분에서는 열전극 Si 의 열전극 용량 CS를 충반전하는 회수가 감소된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 수평 주사 기간 TH 의 후반 부분에서는 진동 전압의 주기가 충분히 짧아지므로 확실히 평균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품질이 저하할 연려가 없다.
[실시예 3]
이하, 실시예 3에 따른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가 설명된다. 이 액정 표시 장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의 구성외에는 실시예 1 및 2 의 것과 동일하므로 공통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의 구성이 제11도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다.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는 제11도에 도시한 대로 클럭주기 가변 회로(5)와, 복수조의 펄스 신호 발생 회로(1)와 EXNOR 회로(3)를 포함하고, 상기 조의 갯수는 계조 표시의 레벨 수와 같다. 또한 제11도는 1조의 펄수 신호 발생 회로(1)와 EXNOR 회로(3)만을 나타낸다. 클럭 주기 가변 회로(5)는 인덕턴스(5a)와 인버터 회로(5b)와, 가변 커패시터 다이오드(5c)와 커패시터(5d)를 포함하는 가변 주파수 발진기 이다. 타이밍 컨트롤러913)로부터 전달된 주파수 제어 전압 Vf는 이 클럭 주기 가변 회로(5)의 가변 커패시터 다이오드(5c)에 인가된다. 따라서, 주파수 제어 전압 Vf의 전압 레벨이 가변되면, 가변 커패시터 다이오드(5c)의 용량이 변화되고, 클력 주기 가변 회로(5)의 발진 주파수가 바뀐다. 그리고 클럭 주기 가변 회로(5)의 발진 신호가 클럭 신호 CK 로서 펄스 발생 회로(1)J에 공급된다.
각 펄스 신호 발생 회로(1)는 이 클럭 주기 가변 회로(5)에 의해 공급된 클럭 신호 CK와 타이밍 컨트롤러(13)에 의해 발생된 리세트 신호 RES 에 따라 다른 펄스 신호 발생회로(1)와 주기가 같고 듀티비가 다른 펄스 신호 SPj를 발생한다. 그리고 나머지 회로 구성은 제26도에 도시한 종래 액정 표시 장치와 동일하다.
제12내지 14도에 도시된 타이밍 선도를 참조하면서 이 액정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2도는 클럭 주기 가변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선도이고, 제13도는 EXNOR회로(3)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 선도이고, 제14도는 화소 전극의 전압 파형을 나타내는 타이밍 선도이다.
제12도에 도시한 대로, 주파수 제어 전압 Vf는 각 수평 주사 기간 TH의 주기에서 전압 레벨이 저레벨에서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톱니파 이다. 그리고, 클럭 주기 가변 회로(5)는 주파수 제어 전압 Vf가 저레벨인 경우에는 주기가 긴 발진을 하고 주파수 제어 전압 Vf가 고레벨이 되면서 주기가 짧은 발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펄스 신호 발생 회로(1)가 발생하는 펄스 신호 SPj는 수평 주사 기간 TH의 개시시에는 긴 주기가 되고, 이후 무단계로 주기가 단축되어 종료시에는 주파수가 mHz 단위의 충분히 짧은 주기가 된다.
이 펄스 신호 SOi는 EXNOR 회로(3)에 전달되어 교류 구동 신호 AD 와의 배타적 논리합을 계산하고, 제13도에 도시한대로 각 수직 주사 기간 TV에 듀티비가 반전되는 계조 펄스 힌호 GSj 로서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를 통해 출력된다. 또, 제27도의 열전극 구동 회로(16)과 마찬가지로 이 실시예의 열전극 구동 회로(16)도 이 계조 신호 GSj와 같은 주기, 같은 듀티비로 두종류의 전압 VSH, VSL를 교대로 반복하여 열전극 Si에 열전극 구동 신호 OSi를 출력한다.
예컨대 행전극 주사 신호 OG1이 고레벨인 행전극 주사 기간 TG 에 걸쳐서 열전극 구동 신호 OSi는 제9도에 도시한 대로 TFT Q1j를 거쳐 발진 전압으로서 화소 전극 P1j에 인가된다. 그러면, 실제의 저역 통과 필터 특성을 고려한 이 화소 전극 P1j의 전압 파형 VP 는 당초는 진동 전압의 주기가 길어 충분히 평균화되지 않지만, 행전극 주사기간 TG 의 종기에 가까워짐에 따라 진동 전압의 주기가 무단계로 단축되면 전압 파형 VP 는 충분히 평균화되어 거의 일정하게 된다. 이때 행전극 주사기간 TG 의 종료시 진동 전압의 주기를 주파수가 mHz 단위로 되는 충분히 짧은 것으로 하면, 그 이전의 주기가 다소 길어지고 평균화가 불충분하여도 화소 전극이 어느 정도 충전되면 종료시까지 충전전압이 확실히 평균화될 수 있다. 또, 행전극 주사기간 TG의 전기간에 걸쳐 진동전압을 충분히 평균화 가능한 짧은 일정주기로 한 경우에 비해, 열전극 구동 신호 OSi가 두 종류의 전압 VSH, VSL을 교대로 반복하는 회수는 이 실시예에서 충분히 작아진다.
따라서, 실시예 3에서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각 수평 주사 기간 TH 의 전반 부분에서 진동 전압의 주기를 길게할 수 있으므로 열전극 Si의 열전극 용향 CS를 충반전하는 회수가 감소된다. 그 결과 소모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각 수평 주사 기간 TH 의 후반 부분에서 진동 전압의 주기가 충분히 짧아지므로 충전 전압이 확실히 평균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표시 품질이 저하할 염려가 생기지 않는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서는 진동 전압의 주기가 무단계로 부드럽게 단축되므로 실시예2에 비하여 충전 전압이 더 빠르게 평균화될 수 있다.
제15도는 클럭 주기 가변 회로(5)의 다른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선도이다. 제15도에 도시한 대로, 주파수 제어 전압 Vf는 각 수평 주사 기간 TH 의 전반에는 직선적으로 상승되어 고레벨이 되지만, 수평 주사 기간 TH 의 후반에는 동일한 일정 전압으로 보유될 수 있다. 여기서, 펄스 신호 발생 회로(1)가 발생하는 펄스 신호 SPj 는 수평 주사 기간 TH 의 개시시에 긴 주기로부터 무단계로 단축되지만 종기에 가까워지면 이 주기가 일정하게 되고 수평 주사 기간 TH 의 종료시에 필요이상으로 짧은 주기가 진동 전압이 인가되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조합한 것이고, 제16의 블록도에는 실시예 4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계조 신호 발생 회로 (14)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는 AND 회로(2)와 함께 클럭 주기 스위칭 회로(4)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액정 표시 장치는 화소 전극 P 의 충전에 기여하지 않는 비구동 기간에 열전극 Si 에 진동 전압이 인가되는 일이 없게 된다. 아울러, 각 수평 주사 기간 TH 의 전반 부분에서 진동 전압의 주기를 길게하고 열전극 Si의 열전극 용량 CS 의 충방전 회수를 적게하고 있으므로, 이 열전극 용량 CS 의 충방전을 위해 쓸데없이 전력이 소비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실시예 1과 실시예 3을 조합한 것이고, 실시예 5의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된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의 구성은 제17도의 블록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계조 신호 발생 회로(14)는 AND 회로(2)와 클럭 주기 가변 회로(5)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액정 표시 장치에서도 화소 전극 P 의 충전에 기여하지 않는 비구동 기간에 열전극 Si에 진동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더구나, 각 수평 주사기간 TH 의 개시에서 진동 전압의 주기를 길게하고, 열전극 Si의 열전극 용량 CS 의 충방전 회수를 작게하므로 이 열전극 용량 CS 의 충방전을 위해 쓸데없이 전력이 소모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전기 광학 물질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도 응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겠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이 화소 전극의 충전에 기여하지 않는 비구동 기간에서 열전극 용량을 쓸데없이 충방전하지 않음으로써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행전극 주사기간의 개시에서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길게함으로써 열전극 용량을 쓸데없이 충방전하는 회수가 감소되어 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당분야에 숙달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개념에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전기 광학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매체, 상기 표시 매체를 그 사이에 끼운채 서로 대향하는 1쌍의 기판. 상기 한쪽의 기판위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전극들. 각각 상기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전극의 각 행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행전극, 각각 상기 매트릭스 형테의 화소 전극의 각 열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열전극, 각각 상기 각 화소 전극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치되고, 해당 화소 전극을 이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열전극에 접속하고, 상기 제어단자를 통해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행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들, 각 행전극에 할당된 수평 주사 기간동안 행전극 주사 기간에만 해당 스위칭 소자를 도통하기 위해 행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행전극 구동 회로, 열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른 듀티비로 반복적으로 열전극 각각에 두 종류의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는 열전극 구동 회로 및 어느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 기간으로도 할당되지 않은 기간중 적어도 일부기간에 대해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에 의해 열전극 각각에 인가되도록 전압의 스위칭을 억제하는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을 구비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극 구동회로는 듀티비가 다른 복수 종류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신호 발생회로, 상기 열전극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펄스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펄스 신호 선택 회로 및 상기 선택된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열전극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두 종류의 전압들간에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스위칭 억제 수단은 어느 행전극의 행전극 주사 기간으로서 할당되지 않은 실질적으로 전기간에 걸쳐 상기 펄스 신호 발생 회로가 발생한 상기 복수의 펄스 신호들을 마스크하여 상기 펄스 신호들을 일정 전압 레벨로하고, 이 마스크된 신호를 상기 펄스 신호 선택 회로에 전달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는 각 수평 주사기간에 각 열전극에 인가될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변화시켜, 이 스위칭 주기가 적어도 행전극 주사기간의 개시에서 보다 각 행전극 주사기간의 종료시에 더 짧아지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행전극 주사 기간내의 상기 스위칭 주기를 증가시키지 않기 위한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는, 듀티비가 다른 복수 종류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신호 발생회로, 상기 각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펄스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펄스 신호 선택 회로, 및 상기 선택된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열전극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두 종류의 전압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전압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각 수평 주사 기간내에 상기 열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가변시켜, 상기 스위칭 주기가 적어도 상기 행전극 주사 기간의 개시에서 보다 상기 각 행전극 주사기간의 종료시에 더 짧아져서, 상기 행전극 주사기간내 상기 스위칭 주기가 증가되지 않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이 액정인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6. 전기 황학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매체. 이 표시 매체를 끼운채 서로 대향하는 1쌍의 기판, 이 한쪽의 기판위에 미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전극, 상기 매트릭스 형태의 화소 전극의 각 열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개의 열전극, 상기 각 화소 전극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해당 화소 전극을 이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열전극에 접속하고, 제어단자를 통해 상기 화소 전극에 대응하는 행전극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들, 상기 각 행전극에 할당된 수평 주사 기간 동안의 행전극 주사기간에만 상기 해당 스위칭 소자가 도통하게 되도록 사익 행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행전극 구동 회로, 상기 각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타에 따른 듀티비에서 반복적으로 상기 각 열전극에 두 종류의 전압을 교대로 인가하는 열전극 구동 회로, 및 각 수평 주사기간에 상기 열전극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적어도 상기 행전극 주사기간의 개시에서보다 상기 각 행전극 주사기간의 종료시에 더 짧아지도록 변화시키고 상기 행전극 주사기간에 상기 스위칭 주기를 증가시키지 않는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을 포함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극 구동 회로는 듀티비가 다른 복수 종류의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신호 발생 회로, 상기 각 열전극에 대응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상기 펄스 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펄스 신호 선택 회로, 및 상기 선택된 펄스 신호에 따라 상기 열전극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두 종류의 전압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전압 스위칭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각 수평 주사기간에 상기 열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의 스위칭 주기를 적어도 상기 각 행전극 주사기간의 개시에서 보다 종료시에 더 짧아지도록 변회시켜, 상기 행전극 주사 기간에 상기 스위칭 주기가 증가되지 않게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상기 각 행전극 주사 기간내에서 2종류의 전압에 대한 상기 스위칭 주기를 계단상태로 단축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상기 각 행전극 주사기간 내에서 2종류의 전압에 대한 상기 주기를 무단상태로 단축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스위칭 주기 단축 수단은 상기 각 행전극 주사기간내의 중간 시점까지 2종류의 전압에 대한 상기 스위칭 주기를 무단상태로 단축하고 이후에 상기 스위칭 주기를 일정하게 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이 액정인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 장치.
KR1019950008090A 1994-04-04 1995-04-04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장치 KR0154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614594A JP3209635B2 (ja) 1994-04-04 1994-04-04 表示装置
JP94-66145 1994-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578A KR950033578A (ko) 1995-12-26
KR0154251B1 true KR0154251B1 (ko) 1998-11-16

Family

ID=1330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090A KR0154251B1 (ko) 1994-04-04 1995-04-04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14922A (ko)
EP (1) EP0678846B1 (ko)
JP (1) JP3209635B2 (ko)
KR (1) KR0154251B1 (ko)
DE (1) DE6951114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660B1 (ko) * 2006-06-14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806A (ja) * 1996-06-11 1997-12-2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GB9704149D0 (en) * 1996-08-16 1997-04-16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driving such
JPH1069260A (ja) * 1996-08-26 1998-03-10 Buraito Kenkyusho:Kk ネマティック液晶の駆動方法
US6057820A (en) * 1996-10-21 2000-05-02 Spatialigh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rast in a dot-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US6940496B1 (en) * 1998-06-04 2005-09-06 Silicon, Image, Inc. Display module driving system and digital to analog converter for driving display
TW567363B (en) * 1999-05-14 2003-12-21 Seiko Epson Corp Method for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drive circuit,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443186B1 (ko) * 2000-12-30 2004-08-0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회로 및 그에 따른 구동방법
US6806015B2 (en) * 2001-02-06 2004-10-19 Konica Corporation Image forming method using flattened spheroidal toner
TW562972B (en) * 2001-02-07 2003-11-21 Toshiba Corp Driving method for flat-panel display device
US6829132B2 (en) * 2003-04-30 2004-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harge control of micro-electromechanical device
JP4559091B2 (ja) * 2004-01-29 2010-10-0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用駆動回路
KR20050082643A (ko) * 2004-02-19 2005-08-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4525343B2 (ja) * 2004-12-28 2010-08-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表示装置及び表示駆動装置の駆動制御方法
KR100611508B1 (ko) * 2005-01-31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전류 샘플/홀드 회로
WO2011013274A1 (ja) 2009-07-30 2011-02-0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579272B1 (ko) 2009-10-30 2015-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69319B1 (ko) * 2014-10-16 2021-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11161670B (zh) * 2020-03-02 2022-03-29 南京浣轩半导体有限公司 一种多行扫换行显示方法和芯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7204B2 (ja) * 1988-06-18 1997-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階調表示装置
JP2642204B2 (ja) * 1989-12-14 1997-08-2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
US5347294A (en) * 1991-04-17 1994-09-13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KR960008104B1 (ko) * 1991-05-21 1996-06-19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과 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660B1 (ko) * 2006-06-14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1149D1 (de) 1999-09-09
JP3209635B2 (ja) 2001-09-17
EP0678846A1 (en) 1995-10-25
JPH07281635A (ja) 1995-10-27
DE69511149T2 (de) 1999-12-23
US5614922A (en) 1997-03-25
EP0678846B1 (en) 1999-08-04
KR950033578A (ko) 199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251B1 (ko)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표시장치
US20060028426A1 (en) LCD apparatus for improved inversion drive
EP059711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KR100341068B1 (ko)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이를 이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지탈-아날로그 변환 방법
KR970006862B1 (ko) 표시장치의 구동회로와 그 표시장치
KR10107012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2135419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法
US20010040569A1 (en) System for driving a liquid crystal display with power saving and other improved features
JP3059048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408301B1 (ko) 화상 표시 소자 구동 장치 및 설계 방법
JP3090922B2 (ja) 平面表示装置、アレイ基板、および平面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0825094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H07306660A (ja) 液晶表示装置の階調駆動回路及びその階調駆動方法
EP0655726B1 (en) Grey level selecting circuit for a display driver
EP0544427B1 (en) Display module drive circuit having a digital source driver capable of generating multi-level drive voltages from a single external power source
JP2000003160A (ja) 表示装置
JP2849034B2 (ja) 表示駆動装置
EP0599622B1 (en) A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for the same
KR20000010461A (ko) 공통전극의 단계적 충전 및 방전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구동방법
JPH0363077B2 (ko)
JPH085984A (ja) 電源回路
WO2008074265A1 (en) A type of radial circuit used as lcd drivers
KR20010082965A (ko) 액정표시장치 패널
JP3294530B2 (ja) 液晶表示装置
JPH01231026A (ja) 垂直走査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