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45B1 - 에어백 장치의 리드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의 리드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345B1
KR0153345B1 KR1019950000956A KR19950000956A KR0153345B1 KR 0153345 B1 KR0153345 B1 KR 0153345B1 KR 1019950000956 A KR1019950000956 A KR 1019950000956A KR 19950000956 A KR19950000956 A KR 19950000956A KR 0153345 B1 KR0153345 B1 KR 0153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unit
reference line
mounting reference
airbag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556A (ko
Inventor
케이 이이즈카
히로유키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츠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츠지 요시후미
Publication of KR950023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 초기전개시에 있어서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치우침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에어백유닛(4)을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과 평행하게 장착하고, 리드(8)의 이면 중앙에 형성된 취약부(20)의 횡파열부(22)를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형성하고, 종파열부(21)를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과 직각으로 형성하여, 에어백의 초기 전개시 프론트 윈도우 패널에 에어백의 어느 한쪽이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사시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리드 이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계기판의 에어백 유닛 배설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윈도우 패널 2 : 계기판
3 : 개구부 4 : 에어백 유닛
5 : 리테이너 플레이트 6 : 인플레이터
7 : 백 8 : 리드
20 : 취약부 21 : 종파열부
22 : 횡파열부 X : 차체 전후방향 축선
Y :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
본 발명은 자동차 계기판의 조수석쪽에 배설되는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로서, 예를들면 1993년 9월 혼다기켄고교(주) 발행 서비스 매뉴얼 HONDA ACCORD 샤시 정비편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금속제 통형상의 리테이너 플레이트의 바닥부에 인플레이터를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인플레이터의 상측에 백을 접어서 수납하고, 또 이 리테이터 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수지제 리드를 장착하여 유닛으로 구성하고, 이 에어백 유닛을 계기판의 내측에, 상기 계기판의 조수석쪽 상부면에 형성한 개구부에 면하여 배설하고, 상기 리드로 계기판의 상부면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리드는 백의 팽창전개시에 신속하게 찢어져서 백을 차실안으로 급속전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며, 그래서 리드 이면의 중앙부에는 횡파열부와, 그 양측의 종파열부에서 대략 H형상의 선모양으로 형성된 얇은 취약부를 형성하고, 백의 초기 팽창압으로 리드가 이 취약부로부터 파열하여 신속하게 파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에어백 유닛은 계기판의 내측에 차체 전후방향 축선과 직각으로 배설한 스티어링 부재에 상기 스티어링 부재의 축중심선, 즉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과 평행하게 장착되고, 또 리드 이면의 취약부는 그 횡파열부가 상기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과 평행해지도록 H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계기판 전방의 프론트 윈도우 패널은 차폭방향으로도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취약부의 횡파열부가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면 횡파열부와 프론트 윈도우 패널면 사이의 거리가 차폭방향에서 불균일해진다.
백은 그 초기팽창압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리드의 취약부를 파열시키고,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2-303948호 공보의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론트 윈도우 패널을 가이드면 및 지지면으로 해서 차실내로 전개하지만, 그 초기전개시 상기 취약부의 횡파열부와 프론트 윈도우 패널면 사이의 거리가 짧은 쪽에서 상기 프론트 윈도우 패널면과 한쪽이 접하여 뒤틀어진 상태로 차실내로 팽창전개하는 경향이 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이와 같은 백의 프론트 윈도우 패널에 대한 치우침을 극력 회피하기 위해 에어백 유닛을 계기판의 내측에서 가급적 후방에서, 또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경사지게 배설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장착형태를 채용하더라도 상술한 백의 치우침이라는 문제는 여전히 남으며, 또한 배치상 크게 제약을 받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백의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치우침을 회피할 수 있으며, 또 에어백유닛의 배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계기판의 내측에 상기 계기판의 조수석쪽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면하여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고 그 주변에 고정장착되어 접혀진 백과, 인플레이터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리드를 가진 에어백 유닛을 차체의 전후방향 축선과 직각인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에 대해 평행으로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의 이면 중앙부에 횡파열부와, 상기 횡파열부의 양측의 종파열부에 대략 H 형상의 선모양으로 형성된 얇은 취약부를 형성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횡파열부를 상기 에어백유닛 취부기준선에 대해 만곡한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르도록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취약부의 종파열부를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계기판의 내측에 상기 계기판의 조수석쪽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면하여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고 그 주변에 고정장착되어 접혀진 백과, 인플레이터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는 리드를 가진 에어백 유닛을 차체의 전후방향 축선과 직각인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에 대해 만곡한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르도록 경사지게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의 이면 중앙부에 횡파열부와, 상기 횡파열부의 양측의 종파열부에 대략 H 형상의 선모양으로 형성된 얇은 취약부를 형성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횡파열부를 상기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르도록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취약부의 종파열부를 상기 횡파열부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있어서, 횡파열부를 상기 횡파열부에 의해 분할된 종파열부의 각 장·단부(a, b, c, d)가 a:b 및 c:d가 6:4가 되는 경사각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리드의 이면 중앙부의 취약부의 횡파열부를 에어백 유닛 장착 기준선에 대해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고, 상기 취약부의 종파열부를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횡파열부와 프론트 윈도우 패널면 사이의 거리가 차폭방향에서 대체로 균일해 져서 백의 차실내로의 초기 전개시에 상기 백이 프론트 윈도우 패널면에 치우치지 않고 대체로 균일하게 접하여 백을 정상적으로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하면, 프론트 윈도우 패널에 대한 백의 치우침을 회피할 수 있음은 물론, 취약부의 횡파열부의 형성각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기존의 에어백유닛에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유닛을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과 평행하게 장착하는 기존의 장착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변경을 가급적 적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제5도는 계기판의 조수석쪽에 배치된 에어백유닛의 배설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1)은 프론트 윈도우 패널, (2)는 계기판을 나타내며, 계기판(2)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리드에 의해 폐색되는 개구부(3)를 형성하고 있다.
(4)는 계기판(2)의 조수석쪽 내부에 상기 개구부(3)에 면하여 배치한 에어백 유닛으로, 백전개 가이드를 겸한 금속제 사각형 통형상의 리테이너 플레이트(5)와, 리테이너 플레이트(5)의 바닥부에 결합된 원형 통형상의 인플레이터(6)와, 인플레이터(6)를 둘러싸고 그 주변에 고정 장착되어 접혀지며, 리테이너 플레이트(5)에 수납된 백(7)과, 리테이너 플레이트(5)의 상부방향 개구부를 폐색시켜 장착된 수지제의 리드(8)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리테이너 플레이트(5)에는 브래킷(9)을 고정설치하고 있으며, 에어백유닛(4)은 이 브래킷(9)을 통해 계기판(2) 내부에 차체 전후방향 축선(X)과 직각으로 배설된 스티어링 부재(10)에 고정설치한 브래킷(11)에 볼트·너트(12)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에어백 유닛(4)은 스티어링 부재(10)의 축중심선, 즉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과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리드(8)는 에어백유닛(4)을 상술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부재(10)에 장착하였을 경우에 계기판(1)의 개구부(3)에 빈틈없이 정합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이 리드(8)는 소요 리드 강성과 표면감촉성을 얻기 위해 더블 인젝션 성형에 의해 비교적 강성이 높은 내면쪽 이너층(13)과 연질의 표면쪽 아우터층(14)으로 형성하고 있다.
리드(8)의 이면, 즉 이너층(13)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 플레이트(5)의 상부에 외감되어 볼트·너트(16)를 고정하는 플랜지(15)를 환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이너층(13)의 상기 플랜지(15) 외측부분에는 보강용 리브(17)를 격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리드(8)의 이면중앙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랜지(15)로 둘러싸인 내측부분에는 홈(23)의 형성에 의해 플랜지(15)의 양측부를 따라 근접된 좌우의 종파열부(21)와, 이들 좌우의 종파열부(21)(21) 중간부분에 걸쳐서 연장설치한 횡파열부(22)에 의해 대략 H형상의 선모양으로 형성된 얇은 취약부(20)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취약부(20)의 횡파열부(22)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에 대해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다.
백(7)의 팽창전개는 리테이너 플레이트(5)에 전개가이드되어 리드(8) 이면의 플랜지(15)로 둘러싸인 내측 부분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취약부(20)는 이 플랜지(15)로 둘러싸인 내측부분을 전체적으로 파열할 수 있도록 종파열부(21)(21)를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15)의 양측부를 따라 각각 근접하도록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과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경 60m/m의 인플레이터(6)에 대해 종파열부(21)(21)의 길이를 80m/m로 한 기존의 에어백 유닛(4)을 사용하여 상기 에어백 유닛(4)을 기존의 장착형태,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기판(1)의 내측에서 아주 후방위치가 되도록 스티어링 부재(10)의 거의 바로 뒤에서, 또 에어백 유닛(4)을 뒤로 기운 상태로 장착한 구조에 그대로 적용하였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횡파열부(22)는 상기 횡파열부(22)에 의해 분할된 종파열부(21)(21)의 각 장부·단부 a, b, c, d가 a:b 및 c:d가 6:4가 되는 경사각도로 형성하고 있다.
이상의 실시예 구조에 의하면 취약부(20)의 횡파열부(22)를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에 대해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성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횡파열부(22)와 프론트 윈도우 패널(1)면 사이의 거리(L)가 차폭방향에서 대략 균일해지기 때문에, 백(7)의 차실내로의 초기전개시 상기 백(7)이 프론트 윈도우 패널(1)면에 치우치지 않고 대략 균일하게 접하여서 팽창전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백(7)이 뒤틀리는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차실내에 정상적인 방향으로 팽창전개시킬 수 있어서 조수석 탑승객의 구속성능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유닛(4)을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과 평행하게 장착한 기존의 장착구조를 그대로 답습하여 취약부(20)의 횡파열부(22) 형성각도를 변경하는 것 만으로 종파열부(21)(21)를 에어백 유닛 장착 기준선(Y)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한 기존의 에어백 유닛(4)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구조변경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상승을 동반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에어백 유닛(4)을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Y)에 대해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장착하고 있다.
이 에어백 유닛(4)의 경사장착은 스티어링부재(10)의 브래킷(11) 길이 및 장착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행해진다.
또, 리드(8)에 형성한 취약부(20)의 횡파열부(22)를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르게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유닛(4)을 에어백 유닛 장착 기준선(Y)에 대해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장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횡파열부(22)는 인플레이터(6)와 평행하게 형성하면 되고, 또 종파열부(21)(21)는 횡파열부(22)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하여 리드(8)의 파열성능을 확보하면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리드(8)의 횡파열부(22)가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상기 횡파열부(22)와 프론트 윈도우 패널(1)면 사이의 거리(L)가 차폭방향에서 대략 균일해지며, 백(7)의 차실내로의 초기전개시에 상기 백(7)이 프론트 윈도우 패널(1)면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리드(8) 취약부(20)의 횡파열부(22)를 인플레이터(6)와 평행하게 형성하고, 종파열부(21)(21)를 이 횡파열부(22)와 직각으로 형성하고, 취약부(20)를 H형상의 선모양으로 형성한 기존의 에어백유닛(4)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코스트적으로도 매우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드에 형성된 취약부의 횡파열부를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리드의 상기 취약부의 파열로 인한 백의 차실내로의 초기전개시에 상기 백이 프론트 윈도우 패널면으로 치우치지 않고 대략 균일하게 당접하여 팽창전개시킬 수 있음에 따라 백이 뒤틀어진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차실내에 정상적인 방향으로 팽창전개시킬 수 있어서 조수석 탑승객의 구속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에어백유닛을 에어백 유닛 장착 기준선과 평행하게 장착함과 동시에, 리드 이면에 형성된 취약부의 상기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진 횡파열부 양측의 종파열부를 이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과 직각으로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윈도우 패널에 대한 백의 치우침을 회피할 수 있음은 물론, 취약부의 횡파열부의 형성각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기존의 에어백 유닛에 적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백유닛을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과 평행하게 장착하는 기존의 장착구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변경을 가급적 적게 해서 코스트적으로 유리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유닛을 에어백유닛 장착 기준선에 대해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지게 장착하고, 또 리드 이면에 형성된 취약부의 상기 프론트 윈도우 패널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라 대략 경사진 횡파열부 양측의 종파열부를 상기 횡파열부와 직각으로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 윈도우 패널에 대한 백의 치우침을 회피할 수 있음은 물론, 리드 이면의 취약부를 그 횡파열부를 종파열부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한 기존의 에어백유닛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적으로 보다 유리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계기판(2)의 내측에 상기 계기판(2)의 조수석쪽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3)에 면하여 인플레이터(6)와, 상기 인플레이터(6)를 둘러싸고 그 주변에 고정장착되어 접혀진 백(7)과, 인플레이터(6)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3)를 폐색하는 리드(8)를 가진 에어백 유닛(4)을 차체의 전후방향 축선(X)과 직각인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Y)에 대해 평행으로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8)의 이면 중앙부에 횡파열부(22)와, 상기 횡파열부(22)의 양측의 종파열부(21)에 대략 H형상의 선모양으로 형성된 얇은 취약부를 형성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횡파열부(22)를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기준선(Y)에 대해 만곡한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르도록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Y)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취약부의 종파열부(21)를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Y)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
  2. 계기판(2)의 내측에 상기 계기판(2)의 조수석쪽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부(3)에 면하여 인플레이터(6)와, 상기 인플레이터(6)를 둘러싸고 그 주변에 고정장착되어 접혀진 백(7)과, 인플레이터(6)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개구부(3)를 폐색하는 리드(8)를 가진 에어백 유닛(4)을 차체의 전후방향 축선(X)과 직각인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Y)에 대해 만곡한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르도록 경사지게 배설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8)의 이면 중앙부에 횡파열부(22)와, 상기 횡파열부(22)의 양측의 종파열부(21)에 대략 H형상의 선모양으로 형성된 얇은 취약부를 형성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의 횡파열부(22)를 상기 프론트 윈도우 패널(1)의 차폭방향 만곡선을 따르도록 상기 에어백 유닛 취부 기준선(Y)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취약부의 종파열부(21)를 상기 횡파열부(22)에 대해 직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횡파열부(22)를 상기 횡파열부(22)에 의해 분할된 종파열부(21, 21)의 각 장·단부(a, b, c, d)가 a:b 및 c:d가 6:4가 되는 경사각도로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
  4. 제4항에 있어서, 횡파열부(22)를 상기 횡파열부(22)에 의해 분할된 종파열부(21, 21)의 각 장·단부(a, b, c, d)가 a:b 및 c:d가 6:4가 되는 경사각도로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리드구조.
KR1019950000956A 1994-01-21 1995-01-20 에어백 장치의 리드구조 KR0153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524794A JP3146823B2 (ja) 1994-01-21 1994-01-21 エアバッグ装置のリッド構造
JP94-5247 1994-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56A KR950023556A (ko) 1995-08-18
KR0153345B1 true KR0153345B1 (ko) 1998-10-15

Family

ID=1160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956A KR0153345B1 (ko) 1994-01-21 1995-01-20 에어백 장치의 리드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46823B2 (ko)
KR (1) KR0153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0397B2 (ja) * 2004-05-24 2010-10-2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の取り外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05743A (ja) 1995-08-08
KR950023556A (ko) 1995-08-18
JP3146823B2 (ja) 200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706B2 (en) Airbag arranged on the vehicle roof
US20060033313A1 (en) Vehicle airbag system
US7556285B1 (en) Airbag cover, instrument panel, airbag device and airbag casing
JP2006001326A (ja) エアバッグカバ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260874B1 (ko)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US20030230873A1 (en) Housing for airbag module
WO2023021894A1 (ja) 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0153345B1 (ko) 에어백 장치의 리드구조
JP409384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JP3399244B2 (ja) エアバックモジュール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US7581754B2 (en) Airba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irbag
CN214492815U (zh) 用于车辆的安全系统
JPH1159306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20240174196A1 (en) Passenger air bag device
JPH1113923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ドア
JP2000153745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H0687397A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00198405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5178147A (ja) エアバッグのカバー体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JP2531416Y2 (ja)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
JP2005178595A (ja) 車両用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2023157543A (ja) ニーエアバッグの取付構造
JPH10217897A (ja) 側部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