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178B1 -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3178B1 KR0153178B1 KR1019950004803A KR19950004803A KR0153178B1 KR 0153178 B1 KR0153178 B1 KR 0153178B1 KR 1019950004803 A KR1019950004803 A KR 1019950004803A KR 19950004803 A KR19950004803 A KR 19950004803A KR 0153178 B1 KR0153178 B1 KR 0153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ine
- switching
- valve
- low speed
- ca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02D13/0203—Variable control of intake and exhaust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8—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for rendering engine inoperative or i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시에 당초부터 저속용 캠으로 밸브가 개폐 구동되는 것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점화 키 스위치가 운전자에 의해 오프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는(S6), 엔진의 운전을 계속시키고(S4), 이 동안에 고속용 캠으로부터 저속용 캠으로의 강제적인 절환을 실행시킨다(S7).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엔진을 정지시키고, 그 후 제어 유니트는 전원을 자동 차단한다(S8).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시스템 블록도.
제3도는 실시예의 가변 밸브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실시예의 가변 밸브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제3도의 IV-IV선 단면도).
제5도는 실시예의 가변 밸브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실시예의 가변 밸브 기구를 도시하는 도면(제4도의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실시예의 밸브 개방 특성 제어를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제8도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밸브 타임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커 아암 2 : 자유 캠 종동기
3 : 메인 로커 샤프트 7 : 레버 부재
9 : 복귀 스프링 10 : 스프링 리테이너
21 : 저속용 캠 22 : 고속용 캠
31 : 작동 플런저 34 : 유압실
101 : 제어 유니트 102 : 점화 키 스위치
104 : 회전 센서 105 : 가변 밸브 기구
106 : 연료 분사 밸브 107 : 점화 장치
108 : 절환 밸브
본 발명은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속도 영역에 따라서 밸브 개방 특성(개폐 타이밍, 개방 각도, 리프트량)을 절환하는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를 구비한 엔진에 있어서, 시동시에 저속용 밸브 개방 특성을 확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저중속 운전시의 고토오크 특성과 고속 운전시의 출력 향상을 양립시킬 목적으로, 운전 조건에 따라서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의 리프트 특성(개방 특성)을 다르게 하고, 이에 의해 흡배기의 타이밍 혹은 흡배기량을 제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소63-167016호 공보, 특허 공개 소63-57805호 공보 등 참조 ).
이들은 그 요동 선단이 밸브에 맞닿는 저속용 로커 아암과, 이 저속용 로커 아암사이에 설치되고 밸브의 맞닿음부를 갖지 않는 자유캠 종동기인 고속용 로커 아암이 공통의 로커 샤프트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저속용 로커 아암에는 저속용 캠이, 고속용 로커 아암에는 상기 저속용 캠 보다도 밸브의 개방 각도 또는 밸브 리프트량이 커지는 캠 프로필을 갖는 고속용 캠이 각각 미끄럼 접촉된다.
한편, 고속용 로커 아암과 저속용 로커 아암에는 로커 샤프트로부터 소정의 거리 만큼 떨어진 요동 부위에 있어서, 로커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끼움 맞춤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끼워 맞춤 구멍 내에 플러저가 끼워져 있으며, 작동 유압에 응동하여 플런저가 끼워 맞춤 구멍 내에 끼워지고, 혹은 끼워 맞춤 구멍으로부터 플런저가 빠짐으로써 저속용 로커 아암과 고속용 로커 아암이 연결되거나 그 연결이 해제되거나 하는 연결 절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절환 기구에 대한 유압 공급 제어에 의해 두 개의 로커 아암의 연결, 연결 해방을 절환함으로써 밸브의 개방 특성을 저속 영역에 적합한 특성 혹은 고속 영역에 적합한 특성의 어느 쪽으로 절환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허 공개 평5-171909호 공보에 기재된 고속용 캠과 저속용 캠의 절환 기구는 고속용 캠으로 구동되는 자유 캠 종동기에 있어서 로스트 모션 기구의 기능을 발휘시키는 위치와 상기 로스트 모션 기구의 기능을 정지시키는 위치로 절환 요동되는 레버 부재를 로커 아암에 지지시키고 상기 레버 부재를 유압 작동 플런저로 구동하므로, 자유 캠 종동기와 로커 아암의 연결, 해방을 절환 제어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작동 플런저의 제어에 의해 고속용 캠과 저속용 캠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작동각(개방 각도)이 일정한 채 캠 위상을 제어할 수 있는 캠 스프로켓을 캠 샤프트에 부착하고, 엔진 회전, 부하 등에 의해 흡기 밸브 개폐 시기를 고속 영역과 저속 영역으로 절환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도 알려져 있다(『신형차해설서(FGY32-1)』제B-44페이지 내지, 제B-45페이지, 편집 발행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 가이샤 1991년 8월 발행 등 참조).
그런데, 상기와 같이, 속도 영역에 따라서 밸브 개방 특성을 절환하는 가변 밸브 기구에 있어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용 캠으로 절환되어 있는 상태에서(고속 운전 중에) 엔진이 정지되면, 엔진 정지 중에 고속용 캠을 사용하는 기구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다음번 시동시에 크랭킹 개시되고 나서 저속용 캠으로의 절환이 이루어지고, 상기 고속용 캠으로부터 저속용 캠으로 기계적으로 절환될 때 까지의 응답 지연 동안 고속 영역에 적합한 밸브 개방 특성에 의해 밸브가 개폐 구동됨으로써 시동성이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가변 밸브 기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유압의 공급 제어에 의해 밸브 개방 특성을 절환할 수 있는 기구를 작동시키는 구성이므로 고속 상태 그대로 엔진이 정지되면 작동 유압이 닫히게 되고, 또는 릴리프 상태가 유지되어 고속용 캠을 이용하는 기구 상태가 엔진 정지 중에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다음번 시동시에 운전 조건이 저속 운전인 것에 대응하여 저속용 특성으로의 절환 지령을 하여 작동 유압의 공급 혹은 작동 유압의 릴리프를 행하게 해도 실제로 저속용의 특성(저속용 캠)으로 절환될 때 까지는 응답 지연 시간이 존재하고, 이런 응답지연 동안에는 고속용 특성으로 밸브가 개폐 구동되게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고속용 밸브 개방 특성(고속용 캠)은 일반적으로 오버랩이 큰 특성이므로, 시동시 등과 같은 극저 공기 유속 영역에서는 혼합기의 충전이 불가능하고, 시동성을 악화시키게 되어 버린다.
또, 고속용 캠과 저속용 캠을 구분 사용하는 가변 밸브 기구 외에, 전술한 작동각을 일정한 상태로 개폐 타이밍을 절환하는 기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엔진의 시동이 최초로부터 저속용 캠에 의한 밸브 개방 특성 하에서 행해지는 것을 확보할 수 있는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제1도에 있어서 밸브 개방 특성 절환 수단은, 엔진의 밸브 개방 특성을 복수의 속도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종류로 절환하기 위한 수단이며, 절환 제어 수단은 이 밸브 개방 특성 절환 수단에 의한 밸브 개방 특성의 절환 동작을 운전 조건에 따라서 제어한다.
한편, 저속 영역 특성 리세트 수단은 상기 절환 제어 수단에 우선하여 엔진 정지시에 상기 밸브 개방 특성을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특성으로 강제적으로 절환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장치에서는 상기 저속 영역 특성 리세트 수단이, 엔진 정지 조작으로부터 소정 기간 만큼 엔진 운전을 계속시키고, 상기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방 특성을 저속 영역의 특성으로 절환하도록 상기 밸브 개방 특성 절환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소정 기간 경과후에 엔진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에서는 통상적으로 운전 조건에 따라서 밸브 개방 특성을 절환하는 수단에 대해서 엔진 정지시에 밸브 개방 특성을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특성으로 강제적으로 절환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엔진 정지시에는 비록 고속 영역에 대응하는 개방 특성이 이용될 운전 조건이라도 강제적으로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밸브 개방 특성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다음번 시동시에는 당초부터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밸브 개방 특성하에서 시동이 행해지게 된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장치에서는 엔진의 정지 조작이 운전자에 의해 이루어져도 이런 정지 조작으로부터 소정 기간 만큼 엔진의 운전을 계속시키고, 이 계속 운전 중에 밸브 개방 특성을 저속용으로 강제적으로 절환하고, 상기 소정 기간이 경과하여 밸브 개방 특성이 저속용의 것으로 절환된 후에 엔진을 정지시키는 구성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제2도에 있어서, 제어 유니트(101)에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점화 키 스위치(102)를 거쳐서 전원(배터리) VB가 접속되는 한 편, 제어 유니트 릴레이(103)에 의해 스스로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 유니트(101)은 마이크로 컴퓨터를 내장하고, 엔진 회전수 Ne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104) 등으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하고, 이런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가변 밸브 기구(105), 연료 분사 밸브(106), 점화 장치(107)을 제어한다.
상기 가변 밸브 기구(105)는 밸브 개방 특성(개폐 타이밍, 개방 각도, 개방 각도, 리프트량)을 엔진의 고속 운전시에 대응하는 특성과 엔진의 저속 운전시에 대응하는 특성의 두 종류로 절환하는 것이며, 절환 밸브(108)에 의해 작동 유압의 공급이 제어됨으로써 상기 고속용 밸브 개방 특성과 저속용 밸브 개방 특성의 어느쪽에 밸브 특성을 절환할 수 있는 유압식 가변 밸브 기구이다.
제어 유니트(101)은 상기 회전 센서(104)에서 검출되는 엔진 회전수 Ne가 소정 회전수 이하인 속도 영역(저속 영역)에 있어서는 저속용 밸브 특성이, 상기 소정 회전수를 초과하는 속도 영역(고속 영역)에 있어서는 고속용 밸브 특성이 선택되도록 밸브 개방 특성 절환 기구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을 제어하는 절환 밸브(108)을 제어한다.
또, 연료 분사 밸브(106)은 통전되어 밸브 개방하고, 통전 차단되어 밸브 폐쇄하는 전자식 연료 분사 밸브이며, 제어기 유니트(101)로부터 보내지는 분사 펄스 신호에 따라서 그 밸브 개방 시간이 제어되고, 소정 압력으로 조정된 연료를 엔진의 흡기계에 간헐적으로 분사 공급한다.
또, 상기 점화 장치(107)은 점화 플러그, 점화 코일, 파워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치이며, 제어 유니트(101)은 엔진 부하, 회전수 등을 기초로 하여 설정한 점화 진각치를 기초로 하여 점화 신호를 상기 파워 프랜지스터에 출력하고 점화 플러그에 의한 점화 시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3도 내지 제6도에 상기 가변 밸브 기구(105)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각 기통에는 두 개의 흡기 밸브 V에 대응한 단일 로커 아암(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커 아암(1)의 기단은 각 기통에 공통인 중공 메인 로커 샤프트(3)을 거쳐서 실린더 헤드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로커 아암(1)의 두 갈래의 각 선단은 흡기 밸브 V의 스템 꼭대기부에 맞닿는다.
로커 아암(1)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두 갈래형으로 형성되고, 로커 아암(1)에는 대략 그 중앙 상방에 단일 자유 캠 종동기(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있어서 자유 캠 종동기(2)의 양측에는 저속용 캠(21, 21)이 맞닿는 롤러(11, 11)이 설치되어 있다.
자유 캠 종동기(2)의 기단은 서브 로커 샤프트(16)을 거쳐서 로커 아암(1)에 요동 가능하게(상대 회전 가능) 지지되어 있다. 자유 캠 종동기(2)는 흡기 밸브 V에 맞닿는 부위를 갖지 않고 그 선단에는 고속용 캠(22)에 미끄럼 접촉하는 캠 종동기(2A)가 원호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자유 캠 종동기(2)의 하측에는 스프링 리테이너(29)를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요부(27)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29)는 그 기단이 상기 요부(27)의 저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26)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로커 샤프트(3)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또, 전술한 자유 캠 종동기(2)에는 캠 종동기부(2A)의 하측에, 후술하는 레버부재(7)이 결합하는 단부(2B)와, 이에 이어지는 경사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커 아암(1)의 하방측에는 로커 샤프트(3)의 측방에서 핀(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 부재(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버 부재(7)의 상방 측방에는 돌기 (7A)가 일체로 형성되고, 로커 아암(1)에 형성된 요부(8)에 수용된 복귀 스프링(9) 및 스프링 리테이너(10)으로서, 전술한 주유 캠 종동기(2)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한편, 레버 부재(7)의 하단부에는 로커 아암(1)에 설치된 유압실(34)에 대한 작동 유압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 플런저(31)이 맞닿고 있다.
상기 유압실(34)에 작동 유압을 유도하는 오일 통로는 로커 아암(1) 및 메인 로커 샤프트(3)의 내부를 통해 설치된다. 로커 아암(1)에는 유압실(34)에 일단이 개구되는 동시에 타단이 메인 로커 샤프트(3)에 대한 베어링면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메인 로커 샤프트(3)의 내부에는 오일 갤러리(42)가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오일 갤러리(42)는 관통 구멍(43)을 거쳐서 로커 아암(1)의 관통 구멍(41)과 연통되고 있다.
상기 오일 갤러리(42)에는 상기 제어 유니트(101)에서 그 작동이 제어되는 절환 밸브(108)을 거쳐서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 펌프(도시 생략)의 토출 유압이 소정 고속 운전시에만 유도된다. 즉, 제어 유니트(101)은 고속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유압실(34)에 작동유를 유도하도록 상기 절환 밸브(108)을 제어하고, 역으로, 저속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유압실(34)의 유압을 저하시키도록 절환 밸브(108)을 제어한다.
저속용 캠(21, 21)과 이들 사이의 고속용 캠(22)는 각각 공통의 캠 샤프트(20)에 일체로 형성되고, 엔진의 저회전시와 고회전시에 있어서 요구되는 밸브 리프트 특성(개방 특성)을 만족하도록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속용 캠(22)는 저속용 캠(21)에 비해 밸브 리프트량 혹은 밸브 개방 기간의 적어도 한쪽을 크게 하는 캠 프로필을 갖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리프트량과 개방 기간을 동시에 크게 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가변 밸브 기구에 따르면, 엔진의 저속 운전시, 로커 아암(1)은 저속용 캠(21)의 캠 프로필에 따라서 요동하고, 각 흡기 밸브 V의 개폐 구동을 행한다. 이때, 자유 캠 종동기(2)는 고속 캠(22)에 의해 요동되긴 하지만, 스프링(9)의 가압력에 의해 레버 부재(7)은 제5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자유 캠 종동기(2)로부터 입력이 있어도 스프링(26)이 휘어지기만 하고 로커 아암(1)의 움직임이 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이에 반해서, 엔진의 고속 운전시에 제어 유니트(101)이 상기 절환 밸브(108)을 제어함으로써 작동 유압이 오일 갤러리(42) 및 오일 통로(41)을 거쳐서 유압실(34)로 유도되면, 작동 플런저(31)이 레버 부재(7)을 복귀 스프링(9)에 대항하여 요동시키고, 제5도에서 파선으로 도시한 위치에 오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레버 부재(7)의 단부가 자유 캠 종동기(2)의 단부(2B)에 결합함으로써, 로커 아암(1) 및 종동기(2)가 연결되어 일체로 되고 메인 로커 샤프트(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게 된다.
그래서, 고속용 캠(22)는 저속용 캠(21)에 비해서 밸브 개방 각도 및 밸브 리프트량이 모두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유 캠 종동기(2)가 로커 아암(1)과 일체화된 요동시에는 로커 아암(1)의 롤러(11)이 저속용 캠(21)로부터 부상하고, 각 흡기 밸브 V는 고속용 캠(22)의 프로필에 따라서 개폐 구동되고, 개방 각도 및 리프트량이 모두 커진다.
한 편, 엔진의 고회전 영역으로부터 다시 저회전 영역으로 이동하면, 절환 밸브(108)의 제어에 의해 유압실(34)에 유도되는 유압이 저하되고, 복귀 스프링(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레버 부재(7) 및 작동 플런저(31)이 원래 위치(제5도에 실선으로 도시)로 이동하여 로커 아암(1)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절환 밸브(108)에 의한 유압실(34)에 대한 작동 유압의 선택적인 공급에 의해 저속용 캠(22)의 프로필에 따른 저속 영역에 적합한 밸브 개방 특성과, 고속용 캠(21)의 프로필에 따른 저속용 캠(22) 보다도 개방 각도 및 리프트량이 큰 고속 영역에 적합한 밸브 개방 특성과의 어느 쪽을 절환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개방 특성 절환 수단은 상기 로커 아암(1), 자유 캠 종동기(2), 레버 부재(7), 플런저(31), 유압실(34), 절환 밸브(108) 등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절환 밸브(108)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101)이 절환 제어 수단에 상당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용 캠(21)과 저속용 캠(22)의 절환을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7)의 요동에 의해 상기 로커 아암(1)과 캠 종동기(2)를 연결시킬 것인지에 의해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캠 절환 기구를 상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소63-167016호 공보, 특허 공개 소63-57805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고속용 로커 아암과 저속용 로커 아암을 로커 샤프트와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 구멍과 플런저의 결합, 해제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고속용 캠과 저속용 캠의 절환을 행할 수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복수의 캠을 구분 사용하는 구성이 아니라 작동 각이 일정한 상태로 캠 위상을 제어할 수 있는 캠 스프로켓을 캠 샤프트에 부착하고, 흡기 밸브 개폐 시기를 속도 영역에 따라서 절환할 수 있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장치(『신형차 해설서(FGY32-1)』제B-44페이지 내지, 제B-45페이지, 편집 발행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 가이샤(1991년 8월 발행 등 참조)라도 좋다.
상기 제어 유니트(101)은, 엔진 회전수Ne로 대표되는 엔진 운전 조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절환 밸브(108)을 제어하여 저속 영역에서는 상기 저속용 캠(21)의 프로필에 따라서 흡기 밸브 V가 개폐 구동되도록 유압실(34)에 대한 유압 공급을 정지하고, 고속 영역에서는 상기 고속용 캠(22)의 프로필에 따라서 흡기 밸브 V가 개폐 수동되도록 유압실(34)에 대해 작동유를 공급하지만, 시동시에 당초부터 저속용 캠(21)에 따른 밸브 개방 특성에 의한 개폐 구동을 확실하게 행하게 하도록 엔젠 정지시에 제7도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절환 제어 수단, 저속 영역 특성 리세트 수단으로서의 기능은 상기 제7도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니트(101)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제7도의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 우선 스텝 1(도면에서는 S1으로 표시하였음. 이하 같음)에서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는 점화 키 스위치(IG S/W)(102)의 온·오프를 판별한다.
점화 키 스위치(102)가 온이라고 판별된 때는 스텝 2로 진행하고, 후술하는 점화 키 스위치(102)의 오프 조작시의 시간 계측을 위해 이용되는 타이머 값 TMIGN을 제로 리세트하여 스텝 3으로 진행한다.
스텝 3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회전수 Ne등을 기초로 하여 절환 밸브(108)을 제어하여 행해지는 통상의 캠 절환 제어(밸브 개방 특성 절환 제어)를 실행시키고, 다음 스텝 4에서는 통상적으로 엔진 제어(연료 분사 제어, 점화 시기 제어)를 행하게 한다.
한 편, 운전자가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점화 키 스위치(102)의 오프 절환을 행하면, 스텝(1)로부터 스텝 5로 진행하고, 상기 타이머 값 TMIGN의 카운트 업을 행하게 하고, 다음 스텝 6에서는 상기 타이머 값 TMIGN에서 계측되는 점화 키 스위치(102)의 오프 절환 후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면 1초)이상이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상기 스텝 6에서, 타이머 값 TMIGN의 판별에 의해서 점화 키 스위치(102)가 오프 절환되고 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소정 기간) 이내라고 판별되면, 스텝 7로 진행하고, 엔진의 운전 조건과는 무관하게 저속용 캠(21)로 강제적으로 절환하도록 절환 밸브(108)을 제어하여 상기 유압실(34)의 유압을 저하시킨다.
또, 스텝 7로부터 스텝 4로 진행하고, 운전자가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점화 키 스위치(102)의 오프 절환을 행하고 있지만 통상적으로 연료 분사 제어, 점화 시기 제어를 행하여 엔진의 운전을 점화 키 스위치(102)의 오프 후에도 강제적으로 계속 시킨다.
즉, 점화 키 스위치(102)가 오프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통상적으로 연료 분사, 점화 제어를 행하여 엔진의 운전을 계속시키는 한 편, 저속용 캠으로의 절환을 강제하는 것이며, 이로써 실제로 엔진이 정지되기 전에 저속용 캠(21)이 이용되는 기구 상태로 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6에서 점화 키 스위치(102)가 오프 절환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음이 판별되면, 스텝 8로 진행하고, 연료 분사 밸브(106)에 의한 연료 분사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점화 장치(107)에 의한 점화를 정지시킴으로써 엔진의 정지를 도모하고, 이어서 상기 릴레이(103)을 오프시킴으로써 제어 유니트(101)은 전원 공급을 자동 차단하여 제어가 종료된다.
엔진 회전수 Ne등에 따른 통상의 캠 절환 제어에 의하면, 고속 영역에서는 고속용 캠(22)로 절환되게 되지만, 가령 이 상태에서 점화 키 스위치(102)가 오프되면, 통상이라면 이러한 오프 조작에 수반하여 각종 엔진 제어가 정지되고, 상기 고속용 캠(22)를 이용한 기구 상태 그대로 엔진이 정지되게 되어 버린다. 이 경우, 다음번 시동시에는 최초 고속용 캠이 이용되게 되며, 지연을 갖고 저속용 캠으로 절환되게 되므로 저속용 캠으로 실제로 절환될 때 까지의 사이에 시동성이 크게 손상되게 된다(제8도 참조).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 조건에 관계 없이 저속용 캠으로 절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이 정지되게 되므로, 다음번 시동시는 당초부터 저속용 캠에 따른 흡기 밸브의 개폐 구동이 행해지고, 시동시 당초에 밸브 개방 특성이 부적합(고속용 캠에 따른 특성)함으로써 시동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운전자에 의해 점화 키 스위치(102)가 오프되어도 소정 시간만큼 엔진의 운전을 계속시키고, 이 기간 내에 캠을 저속용 캠으로 강제적으로 절환 제어하고, 저속용 캠으로 절환되고 나서 엔진을 정지시키므로 통상의 캠 절환 제어와 마찬가지로 엔진이 운전되고 있는 조건 하에서 캠 절환이 행해지게 되며, 캠 절환(밸브 개방 특성 절환)을 확실하고도 원활하게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 정지시에 저속용 캠으로의 절환을 강제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밸브 타이밍만을 속도 영역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구성의 가변 밸브 기구를 구비하는 엔진에서는 엔진 정지시에 저속용의 밸브 타이밍으로 강제적으로 절환하도록 작동유를 조절하는 절환 밸브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 개방 특성이 고속용과 저속용으로 절환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속도 영역을 3영역 이상으로 나누어 이에 대응하는 3개 이상의 밸브 개방 특성을 구분 사용하는 구성의 장치라도 좋다.
또, 밸브 특성의 절환 제어를 회전수 Ne 이외의 운전 변수(예를 들면 흡입 공기량)을 기초로 하여 행하게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에 따르면, 엔진 정지시에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밸브 개방 특성으로 강제적으로 절환하고 나서 다음번 시동시에 당초부터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특성으로 밸브가 개폐 구동되는 것을 확보할 수 있고, 밸브 개방 특성의 부적합에 의한 시동 불량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장치에 따르면, 운전자에 의한 엔진 정지 조작으로부터 소정 기간만큼 엔진 운전을 계속시키고, 상기 소정 기간 내에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밸브 개방 특성으로 강제적으로 절환하고 나서 엔진을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밸브 개방 특성의 절환을 통상적으로 엔진이 운전되고 있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따라서 밸브 특성의 절환을 확실하고도 원활하게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 엔진의 밸브 개방 특성을 복수의 속도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종류로 절환하는 밸브 개방 특성 절환 수단과, 상기 밸브 개방 특성 절환 수단에 의한 밸브 개방 특성의 절환 동작을 운전 조건에 따라 제어하는 절환 제어 수단을 구비한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환 제어 수단에 우선하여 엔진 정지시에 상기 밸브 개방 특성을 저속 영역에 대응하는 특성으로 강제적으로 절환하는 저속 영역 특성 리세트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영역 특성 리세트 수단이, 엔진 정지 조작으로부터 소정 기간 만큼만 엔진 운전을 계속시키고,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개방 특성을 저속 영역의 특성으로 절환하도록 상기 밸브 개방 특성 절환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엔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4803A KR0153178B1 (ko) | 1995-03-09 | 1995-03-09 |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4803A KR0153178B1 (ko) | 1995-03-09 | 1995-03-09 |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4664A KR960034664A (ko) | 1996-10-24 |
KR0153178B1 true KR0153178B1 (ko) | 1998-11-16 |
Family
ID=1940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4803A KR0153178B1 (ko) | 1995-03-09 | 1995-03-09 |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3178B1 (ko) |
-
1995
- 1995-03-09 KR KR1019950004803A patent/KR01531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4664A (ko) | 1996-10-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27944B2 (en) | System for controlling the response time of a hydraulic system | |
JP2002106312A (ja) |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 |
JPH0368217B2 (ko) | ||
KR20080079667A (ko) | 유압 밸브 작동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JP4039239B2 (ja) | 内燃機関の可変動弁制御装置 | |
JP3764813B2 (ja) | 可変動弁装置の駆動制御装置 | |
KR0153178B1 (ko) |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 |
JPH07217417A (ja) | エンジンの可変バルブ切り換え制御装置 | |
JPH0868308A (ja) |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 |
KR0169810B1 (ko) | 엔진의 가변 밸브 절환 제어 장치 | |
JP2637643B2 (ja) | 弁作動特性可変制御装置 | |
JPH07127410A (ja) |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 |
KR100196755B1 (ko) | 엔진 제어 장치 | |
JP3057467B2 (ja) | エンジンの点火制御装置 | |
JPH08177429A (ja) |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 | |
JP2004346903A (ja) | 油圧制御型気筒休止エンジンの気筒休止制御方法 | |
KR100259980B1 (ko) | 엔진의 점화제어장치 | |
JP3319846B2 (ja) | 内燃機関の動弁装置 | |
JP2979862B2 (ja) |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 |
JP2982099B2 (ja) | エンジンの可変バルブ切り換え制御装置 | |
JP2522207Y2 (ja) | エンジンの可変動弁装置 | |
JPH0367010A (ja) | 内燃機関の吸排気弁駆動機構 | |
JPH089363Y2 (ja) | エンジンの油圧コントロール装置 | |
JP3316656B2 (ja) |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切換制御装置 | |
JP2007077844A (ja) | 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動弁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6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