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413B1 - 용이개봉성 파우치 - Google Patents

용이개봉성 파우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413B1
KR0150413B1 KR1019920024650A KR920024650A KR0150413B1 KR 0150413 B1 KR0150413 B1 KR 0150413B1 KR 1019920024650 A KR1019920024650 A KR 1019920024650A KR 920024650 A KR920024650 A KR 920024650A KR 0150413 B1 KR0150413 B1 KR 0150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pouc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오오쓰카
히로시 하세가와
쇼오지 이토
히데아키 마스오
Original Assignee
미키 히로후미
도오요오 세이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키 히로후미, 도오요오 세이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키 히로후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02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with laminate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3/00Packaging equipment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용 세제나 주택용 세제 등의 액체세제, 샴퓨나 린스 등의 토일레트리, 욕제등의 내용물을 내포한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내층격성과,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성에 뛰어나고, 용이개봉성이 양호한, 강성(剛性)을 가지는 다시 채워넣기용 액체세제 등의 포장에 적합한 동시에 시일부의 후퇴가 없는 자립가능한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이개봉성(容易開封性) 파우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용이개구 파우치를 제조하는 설명도이다.
제2도는 몸통부 필름에 바닥부 필름을 삽입하는 확대도이다.
제3도는 제조된 파우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통부 필름 2 : 바닥부 필름
3, 4 : 개구 5, 6 : 히이트시일바
7 : 필름절단부 8 : 접기부재
본 발명은, 가정용 세제나 주택용 세제 등의 액체세제, 샴푸나 린스등의 토일레트리, 욕제등의 내용물을 내포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말하자면 내충격성과,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성에 뛰어나고, 용이 개봉성이 양호한, 강성(剛性)을 가지는 다시 채워넣기용 액체세제 등의 포장에 적합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시일부의 후퇴가 없는, 자립가능한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자원절약화를 위하여, 용기를 재이용하는 시도가 널리 행하여지고 있다. 예컨대, 세제에 있어서, 이와같은 용기 재이용을 위하여 다시 채워넣기용 액체세제를 보다 간단한 포장에 의하여 공급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
액체세제 등의 다시 채워넣기용 파우치에는 몇가지 중요한 성능이 요구된다.
그 하나는 요이 개봉성이다. 통상 파우치는 필름을 흐름의 방향을 따라서 접어맞춰서 제조된다. 그런데 필름을 접어 겹쳐서 주변을 히이트시일한 파우치의 개구부를 잡아찢으면 그 잡아찢는 방향으로 표면과 배면필름의 엇갈림이 발생하고, 양호한 개구가 되지 않으며, 내용물이 넘치는 일이 많다. 이 원인은 완전하게는 해명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내 충격성이 요구된다. 유통과정 등의 취급중에 낙하 등의 충격으로 포장이 찢어지는 일은 매우 큰 문제이다.
또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성도 중요하여서, 시간의 경과 특히 여름철등 높은 기온에 방치되면 포장재에 스트레스 크래킹이 발생하여, 포장이 파손된다.
물론 시일의 안전성도 필요하다. 특히 자립가능한 파우치는 보존, 유통과정에서 바닥부와 몸통부의 시일부에 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시일부의 후퇴가 발생한다. 이와같은 시일부의 후퇴는 액체세제를 내장한 경우에 많이 발생하는 특후한 현상으로서 특히 여름철의 높은 기온에서 발생한다. 세제 이외의 물질 예컨대 물에서는 생기지 않으나 본 발명자는 가장 안쪽의 내층필름의 시일부에 세제의 계면활성작용이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고 있다. 바닥부와 몸통부의 시일부가 후퇴하고, 시일 면적이 감소하면 이 부분의 내충격강도가 작아지고 취급중에 포장이 파손될 위험이 크다.
이와 같은 성능은, 다시 채워넣기용의 파우치에서는 특히 큰 문제가 된다. 그것은 다시 채워넣기용의 포장물이 용기로서 되풀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다시 채워넣기후의 페기처리등의 문제 때문에 되풀이 사용되는 용기보다 간략한 것이므로 문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액체세제등의 포장물을 충전할 때의 작업성과, 유통시나 다시 채워넣기시의 취급성 때문에 포대에는 형상을 유지하는 정도의 강성이 요구되므로, 이 문제도 해결하였다. 또 자랍가능한 파우치에서는, 바닥부의 필름으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필름을 적층한 필름을 사용하면 강성은 양호해지고, 또한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께 누른 필름 몸통부에 사용하면 스탠딩성과 강성이 한층 양호해진다.
본 발명은,
1.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a)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와,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2 이상인 연신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b)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와,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1.2~2.5인 2축 연신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필름(c)과를,
필름(a)을 내용물과 접촉하는 최내층으로 하고, 필름(b)을 중간층으로 하고, 필름(c)을 최외층으로 한 적층필름으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는 용이 개봉성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함께 눌러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과,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된 수지로 형성된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과,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80:20 이상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압연연신되어 있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c)이 형광배향법에 의한 배향계수가, 0.10≤1≤0.90, 0≤m≤0.40, 0≤n≤0.90의 필름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9. A.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a)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과,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2 이상인 연신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b)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와,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1.2~2.5인 2축연신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필름(c)과를,
필름(a)을 내용물과 접촉하는 최내층으로 하고, 필름(b)을 중간층으로 하고, 필름(c)을 최외층으로 하여 적층하여서 이루어지는 다층필름으로 형성된 몸통부 아래편에,
B. 최내층을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d)으로 하고,
최외층을 2축 연신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필름(e)으로 하여서,
적층한 다층필름으로 형성한 바닥부를, 융착배설하여서 이루어지는 자립가능한 용이개봉성 파우치.
10. 제9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1. 제9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2. 제9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함께 눌러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과,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된 수지로 형성된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14.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과,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80:20 이상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15.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압연연신되어 있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6.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c)이 형광배향법에 의한 배향계수가, 0.10≤1≤0.90, 0≤m≤0.40, 0≤n≤0.90의 필름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17.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d)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8.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d)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함께 눌러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9.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내용물이 다시 채워넣기용 액체세제인 용기개봉성 파우치.
에 관한 것이다.
먼저 용이개봉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필름을 히이트시일하여서 형성한 포대형상체는 가장 보통의 포장제이며, 강도적인 이유 때문에 최외층에 2축연신필름, 최내층에 미연신필름의 적층체가 사용된다. 그런데 이 적층체를 접어겹쳐서 히이트시일한 포대형상체는 개봉하기 위하여 필름을 잡아찢으면 겹친 2매의 필름의 잡아찢기는 방향으로 엇갈림이 발생하고, 양호한 개구를 형성할 수 없다.
이 문제는 이론적으로 해명할 수 없는 것이다. 요컨대, 2축연신한 필름은 폭방향의 끝단부와 중심부에서는 2축방향연신의 정도가 다른 것등이 원인이라고 생각되는데, 필름의 흐름방향의 연신도가 높으면 겹친 경우라도 상하필름의 잡아찢기는 방향의 어긋남이 작아진다. 그런데 이 경우라도 반대면에서 잡아찢으면 잡아 찢기는 방향의 어긋남이 발생하는 등 아직 그 원인의 학문적 해명은 충분하지는 않다.
다시 채워넣기용 파우치에 중요한 성능은 다시 채워넣기의 용이성, 보존안정성, 취급성 등이다. 다시 채워넣기를 쉽게 하기 위해서는 개봉이 용이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음에, 보존안정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장체는 보존환경에 의하여 스트레스 크래킹을 발생하고, 포장은 찢어지기 쉬워진다.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성을 크게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내충격강도를 크게할 필요가 있다. 취급중에 떨어뜨리거나 하여서 포장이 찢어지면 주위의 오염도 발생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된다.
또, 액체세제등의 내용물과 접하는 면이 내용물에 대하여 불활성일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적층필름을 사용하여서 포장체로 한다.
최내층 필름에 있어서 LLDPE는 끈기가 있고, 파단(破斷)의 전반이 적고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HDPE는 강성을 향상한다. 그런데 HDPE는 세제에 의한 환경스트레스 크레크성이 큰 결점이 있으므로 세제에 접촉시키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 Et-Bu는,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 및 용기 개봉성 부여의 효과가 있으나,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양이 많으면 여름철이나 열대지방등의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는 시일의 안정성이 열화하고, 시일부의 후퇴 즉 시일부가 포장체안으로부터 내용물의 침입에 의하여 박리하여 시일의 폭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최내층에,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LDPE 라고 함)과 Et-Bu를 함유하는 조성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이하 HDPE 라고 함을 함께 눌러서 LLDPE 조성물을 세제와 접촉하는 면으로한 함게 누르기 필름을 배치할 수 있다. 최내층의 필름은, LLDPE조성물과 HDPE의 각 한층으로 이루어지는 함께 누르기 필름이라도 좋고, LLDPE조성물의 두층 사이에 HDPE를 배치한 함께 누르기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층수를 증가하여도 좋으나 세제와 접촉하는 면은 LLDPE를 함유하는 조성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HDPE는 세제에 접촉하면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성(이하 ESC 라고 함)이 열화하기 때문이다.
두 층의 LLDPE 사이에 HDPE를 배치한 함께 누르기 필름의 경우는 양층의 LLDPE의 두께는 동일하여도 좋고, 세재와 접하는 편의 층의 두께를 크게 하여도 좋다. 세제와 접촉하는 LLDPE층은 20μ이상의 두께가 있으면 ESC가 양호해진다.
LLDPE층으로서 LLDPE에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이하 Et-Bu 라고 함)로 이루어지는 브렌드물을 사용하면 내충격강도가 향상한다. 브렌드는 LLDPE 40~90중량%, Et-Bu 10~60중량%이다.
HDPE를 함께 누르기 필름의 구성으로 하면 강성이 커지고 자세유지성이 양호하게 되므로, 소비자의 다시 채워넣기가 용이해지고 또한 점두에서의 취급이 편리해진다. 또, 다시 채워넣기 파우치로의 세제의 충전이 용이해지고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었다. HDPE층은 20μ이하에서는 강성이 충분히 향상하지 않으므로 20μ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HDPE는 함께 누르기 필름으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HDPE와 LLDPE를 블렌드한 필름은 성능이 양 PE의 상가평균적(相加平均的)인 것으로 되고 강성은 향상하지 않고 ESC는 저하하여 버린다. 함께 누르기하면, HDPE의 성능과 LLDPE의 성능을 각각 유지되어서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멜트인덱스는 HDPE 0.5~7.0, Et-Bu 1.0~7.0 ; 비중은, LLDPE 0.900~0.940, HDPE 0,917~0,930, Et-Bu의 부텐-1함유량 5.0~30중량%이다.
또 본 발명은, 최내층에,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LDPE라고 함)과 에틸렌-부텐-1(이하 Et-Bu라고 함)-공중합체의 두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블렌드물 또는 그위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LDPE)라고 함)을 가한 세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블렌드물의 1축연신필름을 배치한 적층필름을 사용한 파우치도 포함한다. 이 블렌드물의 조성은, LLDPE 10~80중량% 바람직하기는 20~60중량%, LLDPE 10~50중량%, Et-Bu 10~40중량%이다. 그리고 멜트인덱스는 LLDPE 1.0~7.0, LDPE 0.5~7.0, Et-Bu 1.0~7.0 ; 비중은, LLDPE 0.900~0.940, LDPE 0.917~0.930, Et-Bu의 부텐-1함유량 5.0~30중량%이다. 그리고 블렌드물의 멜트인덱스는 1.0~7.0이다.
최내층에 블렌드물 필름을 사용하면 블렌드성분의 LLDPE는 끈기가고, 파단의 전반이 적고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더구나 LLDPE를 적게 하면 개봉시에 필름이 자르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LDPE는 세제에 의한 환경 스트레스 크래크성이 큰 결점이 있다.
또 Et-Bu,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 및 용기개봉성 부여의 효과가 있으나, 내열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 양이 많으면 여름철이나 열대지방 등의 기온이 높은 지역에서는 시일의 안정성이 열화할 경향이 있다.
중간층에는 에틸렌 함유량 2.0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밀도가 0.945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100/0~80/20의 블렌드물의 강도에 필름의 흐름방향(MD)으로 세게 연신한 연신필름으로서, 적외 2색법에 의한 배향도비 MD/TD≤2.0(MD:흐름바양, TD:폭방향) 파단강도비 MD/TD≥2.0인 필름을 배치한다.
중간층의 폴리올레핀은 한 방향의 연신이 큰 특정의 배향도비와 파단강도비를 가지고 있으므로, 파우치를 잡아찢어 개구하는 경우의 표면측 필름과 이면측 필름의 잡아찢기는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작용을 갖고, 용이개봉성을 부여한다.
최외층에는, 형광배향법에 의한 배향계수가, 01.≤1≤0.90, 0≤m≤0.40, 0≤n≤0.90이고, 적외 2색법에 의한 배향도비 MD/TD=1.2~2.5이다. 2축연신한 배향의 흐름방향에 가까운 나일론필름을 배치한다. 나일론필름은 내충격강도가 양호하므로, 파우치의 내충격성을 양호하게 한다.
최외층의 나일론필름은, 2축연신한 배향이 필름의 흐름방향에 가까운 필름이고, 특정의 배향계수와 배향도비를 가지는 필름이므로, 겹쳤을 때도 실험결과에서 잡아 찢기 어긋남이 매우 작다.
단, 잡아찢기 어긋남이 왜 작아지는 것인지 그 학문적 이유는 아직 반드시 분명하지는 않다.
자립가능한 파우치, 즉 스탠딩파우치로 하는 경우, 몸통부와 바닥부에 사용하는 재료를 동일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나, 내충격성의 면에서 중간층의 압연연신된 폴리올레핀을 제외한 층구성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닥부의 재료로서 LLDPE와 Et-Bu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면 특별한 효과가 나타난다. 바닥부 필름의 최내층과 몸통부 필름의 최내면이 융착되는 것인데, 그 때 바닥부 필름의 최내면에 Et-Bu가 존재하면 시일의 후퇴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몸통부와 바닥부의 양편에 Et-Bu를 존재시키는 것이 시일의 후퇴방지에는 최적이다.
이 파우치에 액체세제(가오주식회사 제모아)를 500g충전하여 밀봉하였다.
바닥부 최내층의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Et-Bu의 블렌드물 필름은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전층의 20~80% 바람직하기는 30~70%이고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10~30%, Et-Bu가 10~40% 바람직하기는 20~30%로서, 몸통부의 필름보다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이 많고,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이 적은 것이 하나의 특징이다.
또 Et-Bu를 존재시키면, 내환경 스트레스 크래킹을 양호하게 하는 외에, 몸통부필름과 바닥부필름의 히이트시일부가 안정하고, 후퇴하는 것이 방지된다. 세제를 채워넣은 파우치는, 수송, 보존, 점두에서의 전시 배열은 모두 선 상태로 놓여진다. 바닥과 몸통의 시일부에는 세제의 하중이 항상 걸려있다.
이 상태에서 온도가 상승하는 여름철이 되면 시일의 후퇴가 현저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바닥재로서 본 발명의 필름을 사용한 파우치는 자립성도 양호하고 시일의 후퇴가 없다.
바닥부 최내층의 (d)필름으로서,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께 누르기 필름도 사용된다. 이 함께 누르기 필름은 강성이 큰 특징이 있고 바닥형상 양호하다.
바닥부 최외층은 2축연신한 나일론필름이지만, 몸통부와 같은 나일론 필름을 사용하여도 좋다.
몸통부를 형성하는 적층필름은 모든 층이 결합하여서 효과를 나타내지만, (a)필름층이 100~150μ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이층이 50μ이하의 얇은 층이면 ESC가 저하한다. 또(b) 필름층은 15~30μ의 두께가 양호한 개봉성을 나타낸다. (c)필름층은 15~25μ의 두께가 뛰어난 낙하강도를 나타낸다.
바닥부를 형성하는 적층필름은(d)필름층은 100~150μ의 두께가 바람직하고, 이 범위가 내시일 후퇴성과 ESC를 나타낸다. (e)필름층은 15~25μ의 두께가 양호한 낙하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스탠딩파우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몸통부 형성용 필름을 폭방향으로 맞춰접고, 폭방향 끝단부의 개구부에, 폭방향으로 맞춰접은 바닥부 형성용 필름을 개구방향을 일치시켜서 끼어넣는다. 다음에, 바닥부와 몸통부의 필름을 히이트시일한다. 동시에 몸통부 둘레도 히이트시일하고, 입부를 잘라서 열면 파우치가 형성된다. 이 방법은 포대의 제법으로서 사이드시일법이라고 불리어, 잘 알려져 있는 방법이다.
물론, 몸통부 형성 필름은 1 장을 접지 않고, 2장의 필름을 겹쳐서 사용하여도 좋다.
바닥부의 필름과 몸통부의 필름은 바닥부 필름의 시일부가 원호형상으로 되도록 히이트 시일하면 열기가 양호하게 된다.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닥부를 가지는 용이 개봉성 파우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다. (1)은 파우치의 몸통부를 평성하는 필름으로서, 삼각형상의 접기부재(8)에 의하여 겹쳐접혀져서 송출된다. (3)쪽은 개구하고 있다. 필름(1)은 (7)의 위치에서 슬리터에 의하여 접기부를 절단하여 2장의 겹쳐진 필름으로 된다. (2)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필름으로서, 같은 모양으로 겹쳐접혀져서 몸통부 필름의 절단부 부측 사이에 삽입되어서 송출된다. (4)쪽은 개구하고 있다. (5)는 히이트시일바로서 바닥부 몸통부 필름이 융착되어서 바닥부가 형성된다. 바닥이 원호형상이면 파우치의 스탠딩성이 양호해진다. (6)은 사이드시일을 하는 히이트시일을 하는 히이트시일바이다. 사이드시일을 행한 후 사이드시일의 대략 중앙부에서 절단하여 개개의 파우치가 형성된다.
제2도는, 바닥부 필름이 몸통부 필름사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제3도는, 1개씩으로 분단된 파우치를 나타낸다.
내용물로서 다시 채워넣기용 세제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식품등 임의의 것을 포장할 수 있다. 또 다시 채워넣기용 스탠딩 파우치가 아니고, 통상의 포장용 스탠딩 파우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LLDPE 40중량%, LDPE 30중량%, Et-Bu(미쓰이 석유 화학주식회사 제품다후마 A#4085) 30중량%의 블렌드물로 제조한, 두께 130μ이고 M1가 4.0의 필름과,
1축 연신한 두께 20μ의 호모폴리프로필렌필름으로서 적외 2색법에 의한 배향도비 MD/TD가 3.0인 필름과,
2축 연신한 두께 15μ의 나일론필름으로서 적외 2색법에 의한 배향도비 MD/TD가 1.6인 필름을 적층한 삼층적층 시이트로부터, 세로 260㎜, 가로 120㎜, 바닥부 형성용 접어넣기 33㎜의 스탠딩 파우치를 히이트시일에 의하여 작성하고, 500g의 액체세제(가오주식회사제 뉴우비이즈)를 충전하고 밀봉하여 다시 채워넣기용 파우치로 하였다.
[실시예 2~4]
표 1에 나타낸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서 다시 채워넣기용 파우치로 하였다.
[비교예 1~8]
표 1에 나타낸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서 파우치로 하였다.
[실시예 5]
몸통부를 형성하는 적층필름
(a) 필름 : LLDPE 30중량%, LDPE 40중량%, Et-Bu(미쓰이 석유화학주식회사제 다후마 A#4085) 30중량%의 블렌드물로 제조한 두께 130μ의 필름.
(b) 필름 : 1축연신한 두께 20μ의 호모폴리프로필렌필름으로서, 적외 2색법에 의한 배향도비 MD/TD가 3.0인 필름.
(c) 필름 : 2축연신한 두께 15μ의 나일론필름으로서 형광배향법에 의한 배향계수가 1=0.3, m=0.1, n=0.6이고, 적외 2색법에 의한 배향도비 MD/TD가 1.6인 필름을 적층하여서 몸통부용 필름으로 한다.
바닥부를 형성하는 적층 필름
(d) 필름 : LLDPE 50중량%, LDPE 20중량%, Et-Bu(미쓰이 석유화학주식회사제 다후마 A#4085) 30중량%의 블렌드물로 제조한 두께 150μ의 필름.
(e) 2축연신한 나일론 필름을 적층한 적층필름.
몸통부 형성용 적층필름을 (a)층을 최내층으로 하여 폭방향으로 겹쳐 접고 폭방향의 끝단부 개구에, 폭방향으로 겹쳐 접은 바닥부 형성용 적층 필름을 개구방향으로 동일하게 하여서 끼어넣고 바닥부 둘레와 몸통부 둘레를 시이트시일 하여서 세로 260㎜, 가로 120㎜, 바닥부 접어넣기 33㎜의 스탠딩 파우치로 하였다.
[실시예 6~8]
몸통부 및 바닥부의 최내명의 필름으로서 표 2에 나타낸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서 다시 채워넣기용 파우치로 하였다.
[실시예 9와 10]
이 실시예는 최내층의 필름으로서 LLDPE 블렌드물 대신에 LLDPE 60과 Et-Bu 40의 비율의 블렌드물을 HDPE와 함께 누른 필름을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서 다시 채워넣기용 파우치로 하였다.
[비교예 9~12]
최내면의 필름으로서 표 2에 나타낸 필름을 사용하여 실시예 5와 마찬가지로 하여서 파우치로 하였다.
[비교 시험]
실시예 1~4 비교예 1~6
(시험 1 개봉성 시험)
입부의 시일부의 끝단부에 작은 칼집을 내고 손으로 폭방향으로 잡아 찢어서 잡아찢기 난이성과 포대의 표리의 엇갈림을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중 ○은 잡아찢기가 용이하고 표리의 엇갈림이 없다. ×는 잡아찢기가 곤란하고, 엇갈림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시험 2 환경스트레스 크래크성 시험)
온도 65℃의 상태로 3일간 보존하여 크래크의 발생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중 ×는 누출이 있었던가, 누출은 없어도 시일부 후퇴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시험 3 충격시험)
각예 50포대의 파우치를 1.2m의 높이로부터 콘크리트 바닥에 수직으로 떨어뜨려, 10회 시행한 후의 찢어짐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중의 숫자는 찢어짐이 발생한 파우치의 수이다.
(시험 4 스티프네스시험)
적층필름 전체에 대하여 테버식 스티프네스 테스터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유통에 있어서의 취급성과 충전시의 작업성으로 보아서, 적정한 스티프네스치는 11.0~16.0이다.
(평가)
최내층필름에 LLDPE와 HDPE와 Et-Bu의 블렌드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배치하면, 개봉성, ESC, 낙하강도 모두 뛰어나다.
최내층필름의 LLDPE 블렌드물의 두께가 20μ이하로 되면 ESC가 열화한다. 몸통부 및 바닥부 적층필름의 최내층의 (a)필름중의 LLDPE의 양이 20% 이하로 되면 ESC가 열화한다. 또 (a)필름에 Et-Bu를 존재시키지 않으면 시일의 후퇴가 커진다.
또한 낙하강도도 악화한다.
실시예 9와 10에서는 최내층필름으로서 LLDPE와 HDPE와 Et-Bu의 블렌드물과 HDPE의 함께 누르기 필름을 배치한 파우치도 다른 실시예와 대략같은 성능을 나타내고, 또한 스티프네스도 양호해진다.
[비교시험]
[실시예 5~10, 비교예 9~12]
(시험 5 개봉성 시험)
시험1과 같은 모양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중 ○은 잡아찢기가 용이하고 표리의 어긋남이 없다. △은 잡아찢기는 용이하지만 다소의 어긋남이 보였다. ×는 잡아찢기가 곤란하고, 어긋남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시험 6 환경스트레스 크래크성 시험)
시험 1과 같은 모양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중 ×는 누출이 있었다. △는 누출은 없으나 시일부의 후퇴 즉 시일부가 포장체 안쪽으로부터 내용물의 침입에 의하여 박리하여 시일의 폭이 감소한 것을 나타낸다.
(시험 7 충격시험)
각예 50포대의 파우치를 1.2m의 높이로부터 콘크리트 바닥에 수직으로 떨어뜨렸다. 10회 시행한 후의 찢어짐을 조사하였다.
시험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중의 숫자는 찢어짐이 발생한 파우치의 수이다.
(평가)
최내층필름에 블랜드필름을 배치하면, 개봉성, ESC, 낙하강도 모두 뛰어난 파우치로 되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다시 채워넣기용 세제파우치는 내충격강도, 내환경스트레스 크래킹성이 크고, 용이개구성이 뛰어난, 그위의 시일 안정성이 양호한 파우치이고, 다시 채워넣기용에 대단히 뛰어난 것이다.

Claims (19)

  1.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a)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와,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2 이상인 연신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b)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와,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1.2~2.5인 2축 연신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필름(c)과를, 필름(a)(을 내용물과 접촉하는 최내층으로 하고, 필름(b)을 중간층으로 하고, 필름(c)을 최외층으로 한 적층필름으로 형성하여서 이루어지는 용이 개봉성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60~90중량%와 에틸렌-부텐-1공중합체 10~40중량%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10~80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10~50중량%와 에틸렌-부텐-1공중합체 10~4중량%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함께 눌러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된 수지로 형성된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과,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80:20 이상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7.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압연연신되어 있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c)이 형광배향법에 의한 배향계수가, 0.10≤1≤0.90, 0≤m≤0.40, 0≤n≤0.90의 필름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9. A.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a)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과,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2 이상인 연신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b)과, 적외 2색법에 의한 흐름방향의 배향도(MD)와, 흐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배향도(TD)와의 비 MD/TD가 1.2~2.5인 2축 연신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필름(c)과를, 필름(a)을 내용물과 접촉하는 최내층으로 하고, 필름(b)을 중간층으로 하고, 필름(c)을 최외층으로 하여 적층하여서 이루어지는 다층필름으로 형성된 몸통부 아래편에, B. 최내층을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d)으로 하고, 최외층을 2축 연신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필름(e)으로 하여서, 적층한 다층필름으로 형성한 바닥부를, 융착배설하여서 이루어지는 자립가능한 용이개봉성 파우치.
  10. 제9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1. 제9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부텐-1공중합체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2. 제9항에 있어서, 필름(a)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함께 눌러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 또는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에서 선택된 수지로 형성된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14.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에틸렌 함유량 2중량% 이하의 폴리프로필렌과, 밀도가 0.945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80:20 이상의 비율로 혼합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레핀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15.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b)이 압연연신되어 있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6.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c)이 형광배향법에 의한 배향계수가, 0.10≤1≤0.90, 0≤m≤0.40, 0≤n≤0.90의 필름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17.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d)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10~80중량%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10~50중량%와 에틸렌-부텐-1공중합체 10~40중량%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8. 제9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필름(d)이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고밀도 폴리에틸렌과를 함께 눌러서 이루어지는 용이개봉성 파우치.
  19.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1항에 있어서 내용물이 다시 채워넣기용 액체세제인 용이개봉성 파우치.
KR1019920024650A 1991-12-18 1992-12-17 용이개봉성 파우치 KR0150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60997 1991-12-18
JP3360997A JPH089223B2 (ja) 1991-12-18 1991-12-18 詰め替え用洗剤パウ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0413B1 true KR0150413B1 (ko) 1998-10-01

Family

ID=1847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650A KR0150413B1 (ko) 1991-12-18 1992-12-17 용이개봉성 파우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547805A1 (ko)
JP (1) JPH089223B2 (ko)
KR (1) KR0150413B1 (ko)
AU (1) AU661524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6050A (en) * 1993-01-06 1998-07-28 Toyo Seikan Kaisha, Ltd. Easy opening pouch
JPH08119328A (ja) * 1994-10-28 1996-05-14 Toppan Printing Co Ltd 複合容器
JP2000006993A (ja) * 1998-06-26 2000-01-11 Idemitsu Petrochem Co Ltd 易開封性自立袋
KR100580939B1 (ko) * 1998-12-31 2006-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포장용 파우치_
JP4864257B2 (ja) * 2001-09-28 2012-02-01 オカモト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包装体
FR2955476B1 (fr) * 2010-01-28 2012-04-06 Vanber Dispositif portefeuille d'application d'un produit
JP6375895B2 (ja) * 2014-11-21 2018-08-22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深絞り成形用共押出多層フイル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1258A (en) * 1979-02-20 1980-08-27 Toyo Kagaku Kk Compound film and bag body for packing manufactured by using said compound film
JPS59179643A (ja) * 1983-03-31 1984-10-12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押出成形用樹脂組成物
US4501798A (en) * 1983-05-05 1985-02-26 American Can Company Unbalanced oriented multiple layer film
JPS61167551A (ja) * 1985-01-21 1986-07-29 三菱油化株式会社 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US4687688A (en) * 1986-02-18 1987-08-18 American Can Company Oriented multiple layer films and bags made therefrom
US4680207A (en) * 1986-07-23 1987-07-14 C-I-L Inc. Thermoplastic sack
JPH0759641B2 (ja) * 1987-12-28 1995-06-28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ブテン−1重合体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フィルム
DE8900883U1 (ko) * 1989-01-26 1989-03-16 Indag Gesellschaft Fuer Industriebedarf Mbh, 6900 Heidelberg, De
EP0515745B1 (en) * 1991-05-23 1995-09-27 Standipack Private Limited A pouch for storage and dispensing of lubricating 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7805A1 (en) 1993-06-23
AU2974792A (en) 1993-06-24
JPH089223B2 (ja) 1996-01-31
JPH05193079A (ja) 1993-08-03
AU661524B2 (en) 1995-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53065B2 (en) Sealable, peelable film
JPH02238938A (ja) たわみ性シート材料及び非再封かん性剥離シールで構成される本体部材を有する種類の包装容器の作成方法
KR20110138342A (ko) 다층 적층 개봉 용이 포장체
WO2001064536A1 (fr) Sachet interieur d'une caisse-outre
KR0150413B1 (ko) 용이개봉성 파우치
US5786050A (en) Easy opening pouch
WO2005102863A1 (en) An improved sachet pouch
US20060257055A1 (en) Packaging for free-flowing products, consisting of a heat-sealed bag
JPH0880977A (ja) 易開封性レトルトパウチ
JP3813296B2 (ja) 易開封性包装用袋
JP2616340B2 (ja)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H10114037A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の袋
US20230065515A1 (en) Zipper tape, bag provided with zipper ta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g provided with zipper tape
WO2000000401A1 (fr) Sac autoporteur a ouverture facile
JP2001247133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H05245990A (ja) 詰め替え用洗剤パウチ
JP2682372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2755277B2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及びそれに用いるバッグ
JP4086546B2 (ja) 包装袋および包装体
JP3004179B2 (ja) 詰め替え用洗剤パウチ
JP3317003B2 (ja) 耐内容物性のある包装材料
JP3147670B2 (ja) 易引き裂き性パウチ
JPH10337828A (ja) 易引裂性包装体
JP2003340992A (ja) ヒートシール用積層フィルム、包装袋
JPH07206010A (ja) 易引裂性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