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525B1 -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525B1
KR0149525B1 KR1019940701657A KR19940071657A KR0149525B1 KR 0149525 B1 KR0149525 B1 KR 0149525B1 KR 1019940701657 A KR1019940701657 A KR 1019940701657A KR 19940071657 A KR19940071657 A KR 19940071657A KR 0149525 B1 KR0149525 B1 KR 0149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torage batteries
control contact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쓰토무 미야카와
히데키 니시하라
다카아키 구가
가즈노리 시노하라
마코토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다카하시 데루오
가부시키 가이샤 호쿠토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시 데루오, 가부시키 가이샤 호쿠토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다카하시 데루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2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multip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1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for several cells simultaneously or successively
    • H01M6/5016Multimode uti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연기관 주행체에 탑재되며, (+)극을 공통단자(3)로 하고, (-)극이 독립적으로 각각 단자(4),(5)를 구비하고, 엔진시동용 스타터(6)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축전지(1),(2)와, 엔진스위치(9)의 스타트 위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때는, 제1 및 제2축전지(1),(2)의 (-)극의 단자(4),(5)끼리의 사이를 오프로 하여, 제1 또는 제2축전지(1),(2)의 한쪽에서 부하로 급전되고, 엔진스위치(9)가 스타트 위치에 접속되므로서 제1 및 제2축전지(1),(2)의 양쪽에 의하여 병렬로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6) 및 부하로 급전되며, 제1 및 제2축전지(1),(2)의 상기 (-)극의 단자(4),(5)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전환되어 급전되도록 구성되는 제어회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발전기에 의해 병렬로 충전되는 제1 및 제2축전지를 가지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등의 내연기관 주행체의 축전지의 과방전에 의해, 잔존 전기량이 없어져 엔진시동용 스타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발진불능으로 되는 사고가 많다. 이 원인은 축전지의 교환을 잃어버리고 장기간 사용하는 것도 원인중의 하나이지만, 오히려 최근의 교통사정, 즉 야간의 지체에 의해, 룸에어콘과 라디오를 자동차의 정지중에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종래의 수동조작에 의해 예비 축전지를 이용하는 일도 있으나, 자동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적당히 전기 보충을 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수동으로 전환할 필요없이 항상 사용 가능하게 충전된 상태를 확보하는 제1 및 제2축전지를 가지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내연기관 주행체에 탑재되고, (+)극을 공통단자로 하여, (-)극이 독립하여 각각 단자를 구비하며, 엔진시동용 스타터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축전지와,
상기 (+)극의 공통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를 병렬로 충전하고, 상기 내연기관 주행체의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끼리를 온오프하는 제1 제어접점과,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의 한쪽 또는 다른쪽과의 접속을 교대로 전환하고,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 및 상기 부하의 부극에 접속되는 제2제어접점과,
엔진스위치가 스타트 위치에 접속된 때는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와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를 접속하는 제3제어접점과,
상기 엔진스위치가 스타트 위치에 접속되지 않은 때는 상기 제1제어접점은 오프되어,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끼리의 사이를 오프로 하고, 상기 제2제어접점이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의 한쪽만에 접속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축전지의 한쪽만으로 부터 상기 부하로 급전되고,
상기 엔진스위치가 스타트 위치에 접속되므로서, 상기 제1제어접점 및 상기 제3제어접점이 온되고,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양쪽에 의하여 병렬로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 및 상기 부하로 급전되고,
동시에, 상기 제2제어접점이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전환되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제어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스위치를 회동시키는 것등에 의해 스위치 위치에 접속시키면, 제1 및 제2축전지의 양쪽에 의하여 병렬로 전력을 공급하고, 엔진시동용 스타터를 구동시킨다.
엔진이 시동하여 엔진스위치를 스타트 위치로 부터 해제시킨 후에는 제1 및 제2축전지의 한쪽으로 부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고, 발전기에 의하여 제1 및 제2축전지를 병렬로 충전하게 되므로, 엔진을 정지시킨 후의 재시동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또, 엔진스위치를 스타트 위치에 접속시킬 때 마다, 이 접속전에 부하에 접속되어 있던 축전지가 다른쪽의 축전지로 전환되므로, 제1 및 제2축전지를 교대로 균등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전환시킬 필요 없이, 제1 및 제2축전지를 교대로 균등하게 이용할 수가 있고, 항상 사용가능하게 충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축전지를 가지며, 야간의 주행이나 카에어콘의 사용후에 엔진의 재시동이 곤란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제1 및 제2축전지(1),(2)는 자동차, 선박등의 내연기관 주행체에 탑재되며, (+)극을 공통단자(3)로 하여 (-)극이 독립적으로 각각 단자(4a),(4b),(5a),(5b)를 구비하여 엔진시동용 스타터(6)와 부하(7a),(7b),(7c)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에서 부하(7a),(7b)는 엔진스위치인 키 스위치(9)가 오프상태에서 회동되어 스타트 위치등으로 접속되고, 단자(10a) 혹은 (10b)에 접속되어 있을 때만 급전(給電)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스위치인 키 스위치(9)를 회동시킴으로써, 스타트 위치에 접속 또는 스타트 위치로 부터 해제하는 구성이지만, 엔진스위치로서 키 스위치(9)의 대신에 보턴식 스위치등을 사용하여도 좋고, 이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내연기관 주행체의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11)는, (+)극의 공통단자(3)를 통하여 제1 및 제2축전지(1),(2)를 병렬로 충전한다.
제1제어접점(12)은 전자코일(13a)에 의하여 제어되고, 제1 및 제2축전지(1),(2)의 (-)극 단자(4a),(5a) 끼리를 온오프한다.
제2제어접점(14)은 전자코일(13b)에 의하여 제어되고, 제1 및 제2축전지(1),(2)의 (-)극 단자(4b),(5b)의 한쪽 또는 다른쪽과의 접속을 교대로 전환하여, 엔진시동용 스타터(6), 부하(7a),(7b),(7c)의 부극(負極)에 접속된다.
제3 제어접점(18)은 키 스위치(9)가 스타트 위치까지 회동되어 단자(15),(10a),(10b)에 접속된 때에, 제1 및 제2축전지(1),(2)와 엔진시동용 스타터(6)를 접속한다.
제어회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키 스위치(9)의 스타트 위치, 다시 말해 단자(15),(10a),(10b)에 접속되어 있는 이외의 때에는 제1제어접점(12)은 오프되고, 제1 및 제2축전지(1),(2)의 (-)극 단자(4a)와 단자(5a)의 사이를 오프로 하며, 제2제어접점(14)이 제1 및 제2축전지(1),(2)의 (-)극 단자(4b),(5b)의 한쪽에만 접속되고, 제1 및 제2축전지(1),(2)의 한쪽에서만 부하(7c) 및 경우에 따라 부하(7a),(7b)로 급전된다. 다음에 키 스위치(9)가 스위치 위치로 회동되어 단자(15),(10a),(10b)에 접속되므로서 전자코일(13a),(13b) 및 스타터 릴레이의 전자코일(16)에 역류방지용 다이오드(17)를 통하여 급전되어, 제1제어접점(12) 및 스타터 릴레이의 제3제어접점(18)이 온으로 되고, 제1 및 제2축전지(1),(2)의 양쪽에 의해, 병렬로 엔진시동용 스타터(6)에 급전되어 도시하지 않은 엔진을 시동시킨다.
또한, 상기 키 스위치(9)가 스타트 위치, 다시 말해 단자(15),(10a),(10b)에 접속되어 있을 때, 제1제어접점(12)이 온으로 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축전지(1),(2)의 양쪽에 의해, 병렬로 모든 부하(7a),(7b),(7c)에 급전된다.
다이오드(19),(21)는 발전기(11)에 의해 제1 및 제2축전지(1),(2)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다이오드(20),(22)는 제1 및 제2축전지(1),(2)에 대하여 OR회로로 되도록, 각각 제1 및 제2축전지(1),(2)의 (-)극 단자(4b),(5b)에 접속된다.
엔진을 시동시켜, 키 스위치(9)를 스타트 위치, 즉 단자(15),(10a),(10b)와의 접속상태로 부터 해제시킨 후에는, 제1 및 제2축전지(1),(2)의 한쪽으로 부터 부하(7a),(7b),(7c)에 전력을 공급하고, 발전기(11)에 의하여 제1 및 제2축전지(1),(2)를 병렬로 충전하므로, 엔진을 정지시킨 후의 재시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키 스위치(9)를 스타트 위치로 회동시킬 때마다 오프시키면, 회동전에 부하(7a),(7b),(7c)에 접속되어 있던 축전지(1) 또는 (2)가 다른쪽의 축전지(1) 또는 (2)로 전환되므로, 제1 및 제2축전지(1),(2)를 교대로 균등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이상의 제어회로의 주요 구성부분인 일점쇄신(23) 내의 구성요소를 1개의 케이스에 수납하여도 좋다.
또한, 제어회로의 주요 구성부분 및 제1 및 제2축전지(1),(2)를 1개의 케이스에 수납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제1실시예와 구성, 동작이 대부분 공통적이나, 이하의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키 스위치(9)가 스타트 위치까지 회동되어, 단자(15),(10a),(10b)에 접속되면, 전자코일(13a),(13b)로 급전되는데, 이것보다 타이머(25a)에서 소정시간 지연되어 제1 및 제2축전지(1),(2)로 부터 엔진시동용 스타터(6)로 급전하는 제4제어접점(24)을 설치하고,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의 작용을 겸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타이머(25a)와, 제4제어접점(24)에 의하여 타이머 릴레이(25)를 구성한다. 이 타이머 릴레이(25)에 의하여 제2제어접점(14)의 전환시의 불꽃 및 불필요한 노이즈의 발생을 격감 시킬 수 있어, 이에 따른 제2제어접점(14)의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타이머 릴레이(25)의 제4제어접점(24)은, 제1도의 실시예의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17)에 비하여 전압강하를 매우 적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본 실시예는 제2제어접점(14)에 연동하는 스위치(26)에 의하여 표시램프(27) 혹은 (28)를 점등시켜, 제1 및 제2축전지(1),(2)의 어느쪽에서 급전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제3도는 본 발명의 3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제2도의 실시예와 구성, 동작이 대부분 공통적이지만, 이하의 점에 있어서 상이하다. 제2도의 타이머 릴레이(25) 대신에, 전자코일(25b)에 의해 제4제어접점(24)이 온으로 되도록 지연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지연회로는 다이오드(30), 저항(31),(32), 다이오드(33),(34), 콘덴서(35) 및 파워 MOS FET(36)로 이루어진다.

Claims (4)

  1. 내연기관 주행체에 탑재되며, (+)극을 공통단자로 하고, (-)극이 독립하여 각각 단자를 구비하고, 엔진시동용 스타터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축전지와, 상기 (+)극의 공통단자를 통하여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를 병렬로 충전하고, 상기 내연기관 주행체의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의 단자끼리를 온오프하는 제1제어접점과,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의 한쪽 또는 다른쪽과의 접속을 교대로 전환하고,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 및 상기 부하의 부극에 접속되는 제2제어접점과, 엔진스위치가 스타트 위치에 접속된 때는,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와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를 접속하는 제3제어접점과, 상기 엔진스위치가 스타트 위치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때는, 상기 제1제어접점은 오프되어,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끼리의 사이를 오프로 하고, 상기 제2제어접점이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의 한쪽에만 접속되며,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한쪽만으로 부터 상기 부하에 급전되고, 상기 엔진스위치가 스타트 위치에 접속되므로서, 상기 제1제어접점 및 상기 제3제어접점이 온으로 되어,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양쪽에 의하여 병렬로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 및 상기 부하에 급전되고, 동시에 상기 제2제어접점이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의 상기 (-)극 단자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전환되어 접속되도록 구성되는 제어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스위치가 스타트 위치로 접속되는 것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제어접점의 작동으로 부터, 소정시간 지연하여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로 부터 상기 엔진시동용 스타터에 급전되도록 온되는 제4제어접점이, 상기 엔진스위치와, 상기 제3제어접점을 제어하는 전자코일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의 주요구성부분이, 1개의 케이스에 수납되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축전지와 상기 제어회로의 주요구성부분이, 1개의 케이스에 수납되는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제어장치.
KR1019940701657A 1993-10-13 1993-10-13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 KR0149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3/001468 WO1995010704A1 (en) 1993-10-13 1993-10-13 Power-supply controller for vehicle propelled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9525B1 true KR0149525B1 (ko) 1998-10-01

Family

ID=140705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657A KR0149525B1 (ko) 1993-10-13 1993-10-13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
KR1019940701657A KR950702677A (ko) 1993-10-13 1994-05-16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electric source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vehicl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1657A KR950702677A (ko) 1993-10-13 1994-05-16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electric source control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vehicle)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55864A (ko)
EP (1) EP0671561B1 (ko)
KR (2) KR0149525B1 (ko)
CN (1) CN1047654C (ko)
DE (1) DE69316920T2 (ko)
TW (1) TW249783B (ko)
WO (1) WO1995010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64225A (en) * 1994-08-11 1998-07-28 Glorywin Int Group Ltd Vehicle battery switch with state of charge sensing circuit
US6321707B1 (en) * 1998-11-12 2001-11-27 James Dunn Multifunction auxiliary vehicle power and starter system
GB2360148A (en) * 2000-03-06 2001-09-12 Richard Thomas Morgan Individual charging of cells in a rechargeable battery
DE10106622C1 (de) * 2001-02-13 2002-10-10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für einen Generator, insbesondere einen integrierten Starter-Generator
DE10110940A1 (de) * 2001-03-07 2002-10-02 Herrmann Alexander Sicherheitsbatteriesystem
US7240481B2 (en) * 2005-03-10 2007-07-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load control for reduced cold start emissions
CN102447274A (zh) * 2010-10-12 2012-05-09 皆盈绿电池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
CN108541244A (zh) * 2016-12-02 2018-09-14 深圳市仁恒星越科技有限公司 引擎启动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2940A (en) * 1930-11-25 Cottbt
US2730630A (en) * 1953-07-19 1956-01-10 Bruno Peter Dual storage battery system
US2729750A (en) * 1954-06-29 1956-01-03 Draper Carson Owen Motor vehicle electrical system
US3477026A (en) * 1966-08-17 1969-11-04 Leonard Frank Plugge Motor accumulator circuit
JPS5521537B2 (ko) * 1974-07-08 1980-06-10
JPS5584874U (ko) * 1978-12-06 1980-06-11
JPS6172044U (ko) * 1984-10-15 1986-05-16
JPS61118561A (ja) * 1984-11-15 1986-06-05 Yamaha Motor Co Ltd 車両のエンジン始動装置
JPS61192642U (ko) * 1985-05-22 1986-11-29
JPS6268428U (ko) * 1985-10-21 1987-04-28
US4754730A (en) * 1986-12-01 1988-07-05 Marc Campagna Motor vehicle starting system
JPH0227158A (ja) * 1988-07-15 1990-01-29 Y Ii C:Kk 車両のエンジン始動装置
JPH0443860A (ja) * 1990-06-12 1992-02-13 Secoh Giken Inc 自動車のバッテリによる負荷の通電制御装置
JPH0552165A (ja) * 1991-08-21 1993-03-02 Secoh Giken Inc バツテリによる負荷の通電制御装置
DE4138943C1 (ko) * 1991-11-27 1993-05-2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e
JPH05176464A (ja) * 1991-12-24 1993-07-13 S Internatl Kk バッテリの通電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2677A (ko) 1995-07-29
TW249783B (ko) 1995-06-21
CN1047654C (zh) 1999-12-22
US5555864A (en) 1996-09-17
DE69316920D1 (de) 1998-03-12
WO1995010704A1 (en) 1995-04-20
CN1109946A (zh) 1995-10-11
EP0671561B1 (en) 1998-02-04
EP0671561A1 (en) 1995-09-13
EP0671561A4 (en) 1995-11-29
DE69316920T2 (de) 199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6140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US5563454A (en) Starting apparatus for vehicles using a subsidiary storage device
JP2003517806A (ja) 電池充電維持装置および方法
JP2002503937A (ja) 充電制御の状態を有する改良電池コントローラ
JPH0130376B2 (ko)
KR0149525B1 (ko) 내연기관 주행체의 전원 제어장치
JP4508159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GB2136224A (en) Vehicle electrical system
US11299138B2 (en) Hybrid vehicle control device
JP2003095039A (ja) 自動車用電源システム
JP2019187074A (ja) 電源供給装置
JPS5861042A (ja) 自動車用電源装置
JPH05155296A (ja) 自動車用電源回路
JPH0564007U (ja) 車両の電源装置
JPH06137235A (ja) 内燃機関走行物体のバッテリによる負荷の通電制御装置
JPH0946919A (ja) バッテリアイソレータ
KR200178370Y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KR100211380B1 (ko) 전기자동차의 시동장치
JPH0681756A (ja) 内燃機関走行物体のバッテリによる負荷の通電制御装置
KR19980029457U (ko) 전기자동차의 보조밧데리 충전장치
JPH055806Y2 (ko)
JPH05321797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503272B2 (ja) 車両用充電装置
JP2023017517A (ja) バックアップ電源装置
JPH0771349A (ja) 自動車用蓄電池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