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032B1 - 액체 분무기 - Google Patents

액체 분무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032B1
KR0149032B1 KR1019910700695A KR910700695A KR0149032B1 KR 0149032 B1 KR0149032 B1 KR 0149032B1 KR 1019910700695 A KR1019910700695 A KR 1019910700695A KR 910700695 A KR910700695 A KR 910700695A KR 0149032 B1 KR0149032 B1 KR 014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hole
cylinder
stem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826A (ko
Inventor
히로시 미즈시마
다다오 사이또
Original Assignee
요시노 야 다로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노 고오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노 야 다로, 가부시끼가이샤 요시노 고오교쇼 filed Critical 요시노 야 다로
Publication of KR92070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 B05B9/0877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the pump being of pressure-accumulation type or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9/0883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the pump being of pressure-accumulation type or being connected to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having a discharge device fixed to the container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의 목적이 실린더와 피스톤을 갖는 액체분무기들에 대해 간단한 구성을 갖고 장시간 분무할 수 있는 액체 분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액체 분무기는 긴 피스톤 스트로크를 갖도록 구성되며 또한 실린더를 갖는 용기상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되는 작동부재와, 이 작동부내에 현수되어 상기 실린더에 끼워지는 스템과, 상기 자동 부재의 상하 이동과 함께 상기 실린더내에서 슬라이딩하는 스템의 하단부에 구비된 트렁크형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과 스템을 하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부재상에 구비된 압축 분무헤드와, 상기 작동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 분무헤드의 압축과 더불어 상기 스템을 상기 압축 분무헤드와 유통시키는 방출 발브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액체 분무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체 향수 등을 직선으로 또는 안개형태로 방출하는 액체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액체를 연속으로 분무하기 위한 분무기로서 프레온가스를 사용하는 에어로졸 타입 액체분무기(aerosol-type liquid sprayer)가 종종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에어로졸 타입 액체 분무기에서는 용기내에 프레온 가스를 가압시켜 놓고, 용기의 헤드부분에 체결된 에어로졸 타입 발브로부터 가동상태에서 직립되는 발브튜브의 상단헤드를 눌려주면 에어로졸 타입 발브가 개방되어 발브와 발브튜브를 통해 분무 개구로 부터 용기내의 액체가 분무된다.
에어로졸 타입 액체 분무기는 에어로졸 타입 발브의 발브 발브 튜브를 눌러주기만 하면 개방된 발브로부터 가압 액채가 분무되기 때문에 아주 편리하다. 그러나, 가압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온 가스가 대기중에 방출되면 고공까지 올라가 오존층을 파괴하므로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분무 할 수 있는 수동 액체 분무기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일반적인 액체분무기에 대한 설명하면, 실용공개 제185475/88호에 개시된 어큐뮤레이터 분무기(accumulator atomizer)가 주로 사용된다. 이 어큐뮤레이터 분무기에서는 용기속에 넣은 흡입발브를 구비한 소직경의 실린더로부터 소직경의 트렁크 피스톤(trunk piston)을 구비한 하단을 갖는 튜브형 부재를 상향으로 직립시키고, 이 부재의 상단부에 구비된 대직경의 트렁크 피스톤을 압축헤드의 하부 표면에 현수된 대직경의 실린더속으로 끼우고, 대직경의 실린더의 상부벽에 발브 구멍을 뚫는 한편 상기 부재의 상단부로부터 직립된 발브 몸체의 방출발브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튜브형 부재가 대직경의 실린더속의 가압압력 때문에 밀러 내려가게 되어 방출발브가 개방되므로 압축 헤드의 측면에 개구를 갖는 분무기로부터 액체가 분무되며, 눌려진 헤드가 해제될때 압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동작에 의해 튜브 몸체와 압축헤드가 상승되므로 그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흡입발브가 개방되어 용기내의 액체가 실린더와 튜브형 몸체내로 흡입된다.
그러한 종래의 어큐뮤레이터 분무기는 짧은 시간동안만 액체를 분무할 수 밖에 없으므로 분무기로부터 필요한 양의 액체를 분무하기 위해서는 여러번 헤드를 눌러줘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 그러나, 종래의 어큐뮤레이터 분무기를 대신할만한 특별한 제품이 없을 뿐만 아니라 그의 구성이 복잡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동안 액체를 분무할 수 있으며 또한 구성이 간단한 분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목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목부분으로부터 용기속으로 현수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단부에 제공된 흡입발브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현수되어 있는 흡입 파이프와, 용기 몸체상에서 상향 하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현수되어 상기 실린더속으로 삽입되어 있는 스템(stem)과, 상기 스템의 하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실린더내에서 상기 상하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함께 슬라이딩하는 트렁크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내에 제공되어 상기 트렁크 피스톤과 스템을 하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부재상에 제공된 압출 분무헤드와, 상기 작동부재내에 제공되어 상기 압축분무해드가 눌려지면 상기 스템이 상기 압축분무 헤드와 유통하는 방출 발브를 포함하는 액체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내의 액체를 분무하는 본 발명의 액체 분무기에서는 작동부재가 처음에 스프링에 의해 밀려 올라가 있다. 이에 따라 트렁크 피스톤이 상승되어 실린더의 내부에 부압이 생겨 용기내의 액체가 흡입파이프와 흡입발브를 통해 실린더내로 흡입된다. 이 상태에서 밀려 올라온 작동 부재가 해제되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트렁크 피스톤이 내려 가므로 실린더내의 액체에 압력이 가해진다. 작동부재를 눌러줌으로써 압축된 분무헤드가 눌려지면 방출발브가 개방되어 가압된 액체가 스템으로부터 압축된 분무해드속으로 흘러 들어가 분무헤드의 분무노즐로부터 분무된다. 분무량에 따라 용기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결국에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방출발브로서, 상기 헤드에 연결되어 상기 헤드를 눌러줌으로써 스템과 피스톤이 눌릴때 개방되는 발브 튜브를 갖는 에어로졸타입 발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에이로졸 타입 발브는 개방되어 있는 상하부를 갖는 발브 몸체와, 상기 발브몸체의 상부 표면을 밀봉하는 제1통공을 갖는 탄성 부재와, 제2통공을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발브 몸체를 일체의 구성으로 서로 결합하여 봉합해주는 케이싱과, 밀폐된 하단부에 상기 헤드가 연결되는 개방된 상단부를 가지며 또한 중간부분에 발브구멍을 갖는 환형 오목부를 가지며 또한 하단부가 상기 케이싱의 제2통공과 상기 탄성부재의 제1통공을 통해 상기 발브몸체를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환형 오목부속으로 끼워지는 발브 튜브와, 상기 발브튜브를 상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알미늄과 같은 금속쉬트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발브 몸체의 상부에 플라스틱 케이싱을 끼우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밖에도 용기상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그립 트렁크(grip trunk)를 갖는 작동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쉬운 작동이 가능하며 또한 작동부재가 상기 그립 트렁크 즉 작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기 때문에 결국 피스톤이 상하로 보다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어 피스톤의 보다 장시간 상하 왕복 운동이 실현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반단면의 정면도.
제2도는 액체 분무기가 동작상태에 있는 반단면도.
제3도는 방출발브부분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동작상태에 있는 방출발브의 확대단면도.
제5~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5도는 액체분무기의 종단면도.
제6도는 액체가 실린더내로 흡인된 상태의 종단면도.
제7도는 액체분무기에 사용된 에어로졸 타입발브 부재의 단면도.
제8도는 작동부재의 반 단면 정면도.
제9도는 방출 발브부분의 반 단면도.
제10도는 피스톤부분의 일변형을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실시예4로서 작동부재의 1/2단면도.
[발명의 양호한 실시 태양]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착 트렁크(12)는 주둥이가 넓고 길이가 긴 병으로된 용기(1)의 목부분(11)상에 나사체결되어 있다. 실린더(2)의 상단부는 이 부착 트렁크에 끼워 맞춤으로써 고정되며, 이 실린더(2)는 목부분으로부터 용기(1)속으로 현수되어 있다.
실린더(2)는 그의 하부 내부에 볼발브와, 그의 하부에 현수되어 있는 흡입파이프(4)와, 부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공기를 용기내로 도입하기 위해 상부 외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흡입구(13)는 액체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 트렁크형 부분(24)으로 덮혀있다.
트렁크형 작동부재(5)는 부착 트렁크(12)의 외부와 용기(1)의 상부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스템(6)의 상단부는 부착 트렁크(12)상에 위치된 작동부재의 상부 중간부속으로 끼워져 맞물려 있고, 스프링(8)이 실린더(2)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그에 의해 트렁크형 피스톤(7)과 스템(6)이 하향으로 밀린다. 그밖에도, 그립 트렁크(25)가 용기(1) 위에 끼워져 작동부재(5)의 주변부터 용기(1)의 거의 반을 씌워준다.
제1 및 2도에서 16은 작종부재(5)의 상부의 주변부위에 형성된 손가락으로 잡은 오목부이다.
압축 분부헤드(9)는 작동부재(5)의 상단부에 압축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부재(5)의 상부의 내부에는 압축 분무헤드(9)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헤드(9)를 누름으로써 상기 헤드(9)와 상기 스템이 함께 유통하는 방출발브(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스템(6)의 상부의 내부에는 방출발브(10)가 폐쇄상태로 올려짐과 동시에 압축분무헤드(9)를 상향으로 밀어 올려주는 스프링(14)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 15는 압축 분무헤드(9)의 정면에 구비된 분무노즐이다. 분무노즐(15)은 액체를 안무와 같이 분무하는 타입이다.
방출발브(10)는 압축 본무헤드(9)의 하단부속으로 끼워져 내려온 발브 튜브(17)를 갖고 있다. 이 발브 튜브(17)의 중간부의 측면상에는 환형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환형 오목부내에는 발브 구멍(18)이 뚤려있다. 스템(6)의 상단부에는 제1통공을 갖는 깃형 탄성부재(19)가 위치되어 있고 그위에 제2통공을 갖고 케이싱(20)이 끼워져서 탄성부재(19)가 고정된다. 발브 튜브(17)는 케이싱(20)의 제2통공과 탄성부재(19)의 제1통공을 통해 스템(6)으로 삽입되며, 탄성부재(19)는 발브튜브의 환형 오목부 속으로 끼워지고, 상기 발브구멍(18)은 탄성부재(19)의 내주면에 의해 밀봉된다. 그밖에도, 내려온 발브튜브(17)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향으로 가동되어 탄성부재(19)의 발브 밀봉 상태를 유지시키며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압축 분무헤드(9)가 내려옴과 동시에 발브튜브(17)가 내려오면 발브구멍(18)이 개방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발브가 개방될때 탄성부재가 변형되지만 슬라이딩에 의해 발브를 개방하는 탄성부재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지 용기(1)에 대해 작동부재를 올리거나 작동부재(5)에 대해 용기(1)를 눌러줌으로써 스프링(5)에 대해 용기(1)를 눌러줌으로써 스프링(8)에 의해 액체가 가압될 수 있고 또한 그후, 이 가압된 액체는 단지 압축 분무헤드(9)를 눌러줌으로써 안무 형태로 분무될 수 있다.
그립 트렁크(25)는 작동부재(5)에 현수되어 있고 또한 그립 트렁크(25)가 용기(1)속으로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트렁크형 피스톤(7)과 작동부재를 갖는 스템(6)이 실린더(2)에 대해 트렁크형 피스톤(7)의 스트로크(stroke)가 커지더라도 액체를 분무할때 실린더(2)에 대해 느슨해지지 않으므로 평이한 분무가 실현될 수 있다.
그밖에도, 이 실시예에서는 작동부재(5)에 대해 용기(1)가 상승되도록 액체분무기가 구성되기 때문에, 스트로크가 크더라도 분무작동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없다.
또한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는 분무기와 반대로, 이 분무기는 환경에 공기가 없고, 작동이 쉽고, 종래이 어큐뮤레이터 분무기의 기계적인 복잡성에 비해 기계적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실용상 아주 유용하고 편리하다.
[실시예 2]
제5~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실시예 2는 부분 설계 변경이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방출발브(10)는 독립된 에어로솔 타입 발브와 결합된 실시예 1과 다르다. 또한 탄성트렁크형 부분(24)이 또한 생략되었다.
즉, 실린더(2)는 목부분(11)속으로 들어가고 실린더(2)의 상부는 부착 트렁크(12)에 의해 목부분(11)에 고정된다.
하단부가 실린더(2)속으로 삽입된 스텝의 상부에는 에어로졸 타입 실린더(10)가 부착 트렁크(12)를 통과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낸 일예에서는 외향 플랜지(22)를 갖는 발브몸체(23)와 제1통공을 가지며 또한 발브 몸체(23)의 상면을 밀봉하는 탄성부재(19)가 제2통공을 갖는 금속케이싱(20)내에 봉합되어 있으며 또한 일체의 구성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그와 동시에 중간부분에 발브구멍(18)을 갖는 환형 오목부를 갖는 폐쇄된 하단부면을 갖는 발브 튜브(17)가 상기 탄성부재(19)의 제1통공과 상기 케이싱(20)의 제2통공속으로 삽입되어 있고, 탄성부재(19)는 환형 오목부속으로 끼워지고, 상기 발브구멍(18)은 이 탄성부재(19)의 통공의 내벽면에 의해 밀봉되며, 발브 튜브(17)는 스프링(14)에 의해 상향으로 올려지고, 발브는 발브구멍(18)과 탄성몸체(19)로 형성된다. 본무개구(15)를 갖는 헤드(9)가 발브튜브(17)의 상단부속으로 끼워진후 헤드(19)가 눌려지면 탄성부재(19)의 제1통공이 주변부가 내려온 발브튜브(19)에 의해 하향으로 굽어져서 발브구멍(18)을 개방시키며 또한 발브튜브(17)가 누름 중단에 의해 올려지면, 탄성부재(19)는 또한 도시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상기 발브구멍(18)은 밀봉된다.
에어로졸 타입 액체 분무기의 경우에, 유출 파이프의 상단부는 발브 몸체(23)의 내부 플랜지형 하벽의 내주위에 현수된 트렁크 부분(29)속으로 끼워져서 유출파이프가 용기속으로 현수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유출파이프가 필요없다.
이 실시예는 다은점에 있어서는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제8 및 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실시예3은 실시예 2의 것과 다른 에어로졸 타입 발브를 사용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템(6)과 그립 트링크(25)가 결합구(30)에 의해 일체로 구성되므로 부품수가 줄어들 수 있다. 에어로졸 타입 발브는 체결 트렁크로서 그의 팁(tip)이 상기 결합핀(30)내에 구비된 체결공속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이 체결 트렁크(31)는 결합편(30)상에 고정된다.
이 실시예 3에 사용된 에어로졸 타입발브는 트렁크형 발브몸체(23), 하부 절반보다 더 큰 직경의 상부 절반, 발브몸체(23)의 상면을 밀봉하는제1통공을 갖는 탄성부재(19)가 제2통공을 갖는 플라스틱 케이싱(20)내에 봉함되어 일체로 구성 결합되어 있다.
즉, 플라스틱 케이싱(20)은 중간에 제2통공을 갖는 상판부(20a)둘레의 측벽부분(20b)를 직립시키고 또한 측벽부분(20b)의 내부에 오목 홈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트렁크형 발브몸체(23)의 상부 외주변상에 구비된 블록홈을 오목 흠속으로 끼워줌으로써 트렁크형 발브몸체(23)속으로 끼워진다. 또한 중간부분에 뚫린환형 오목부 발브 구멍(18)을 갖는 폐쇄된 하단부면을 갖는 발브 튜브(17)는 상기 탄성부재(19)의 제1통공과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20)의 제2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탄성부재(19)는 환형 오목부속으로 끼워지고, 상기 발브 구멍(18)은 탄성부재(19)의 통공의 내벽면에 의해 밀봉되고 발브튜브(17)는 트렁크형 발브몸체(23)내에 구비된 스프링(72)에 이해 상향으로 힘을 받는다.
따라서, 방출발브는 발브구멍(18)가 탄성부재(19)로 형성된다. 분무개구(15)를 갖는 헤드(9)가 발부튜브(17)의 상단부 속으로 끼워져서 헤드(9)가 눌리면 탄성부재(19)의 제1통공의 주변부는 내려온 발브튜브(17)에 의해 하향으로 굽혀져서 발브구멍(18)을 개방하고 발브튜브(17)가 압축중단에 의해 상승되면 탄성부재(19)가 또한 도시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므로 그에 의해 상기 발브구멍(18)을 밀봉시킨다. 금속케이싱을 사용하는 실시예에서의 발브와 달리 이 실시예에서의 발브는 플라스틱 케이싱을 사용하므로, 금속 케이싱을 기밀로 고정한 실시예2에서 보다 훨씬 쉽게 케이싱(20)을 발브 몸체(23)에 끼울 수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렁크 부분(7a)으로부터 피스톤의 주요부분(7a)을 분리함으로써, 실린더(2)의 직경이 다르더라도 피스톤의 주요부분(7a)을 교체않고 남아 있는 트렁크 부분(7a)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아주 경제적이다.
[실시예 4]
이 실시예에서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에어로졸 타입 발브가 스템(6)에 결합되는데, 여기서 트렁크형 발브 몸체(23)는 스템(6)의 일부를 이루는 부재에 의해서 일체로 구성되고, 이 스템(6)위에는 체결 트렁크(31)와 함께 구성되는 플라스틱 케이싱(20)이 끼워지고, 이 스템(6)의 상부에는 제1통공을 갖는 탄성부재(9)가 구비되고, 발부구멍(18)을 갖는 환형오목부를 갖는 폐쇄된 하단부면을 갖는 발브 튜브(17)가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20)의 제2통공과 상기 탄성부재(19)의 제1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탄성부재(19)가 환형오목부에 끼워 있고, 상기 발브구멍이 탄성부재(19)의 통공이 내벽면에 의해 밀봉되며, 발브튜브(17)는 스템(6)내에 구비된 계단부와 체결되는 스프링(14)에 의해 상향으로 힘을 받는다.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 (20)은 상기 체결 트렁크(31)과 일체로 구성된 후, 그의 팁이 상기 결합구(30)내에 구비된 체결공 속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부품수가 훨씬 감소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부품수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술한 장치의 모든 구성부품을 플라스틱으로 모울드할 수 있고 분무장치의 설계에 따라 액체를 안개 모양으로 안무화하는 분무기 또는 직선으로 액체를 분무하는 분무기들이 제공될 수 있다.
[산업상 응용]
본 발명은 예를들어 향수액체용 분무기들, 샴푸액용 분무기, 살충제용 분무기, 세정액용 분무기 등 각종 액을 분무 또는 안무화함에 응용될 수 있다.

Claims (5)

  1. 목부분을 갖는 용기와, 상기 목부분으로부터 용기속으로 현수된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하단부에 구비된 흡입발브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로부터 현수된 흡입 파이프와, 상기 용기상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작동부재와, 상기 자동부재에 현수되어 상기 실린더 속에 삽입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내의 상하 이동 작동부재와 함께 슬라이딩하는 트렁크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내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 피스톤과 스템을 하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부재상에 구비되는 압축분무헤드와, 상기 작동부재내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 분무헤드가 눌릴때 상기 스템을 상기 압축 분무헤드와 유통시키는 방출발브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액체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발브는 상기 헤드에 연결된 발브 튜브를 갖는 에어로졸 타입 발브이고, 상기 발브는 상기 헤드를 눌러줌으로써 스템과 피스톤이 눌릴때 발브가 개방되는 것이 특징인 액체분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타입 발브는 개방된 상하단부를 갖는 발브몸체와 상기 발브몸체의 상면을 밀봉하는 제1통공을 갖는 탄성부재와, 제2통공을 갖고 있으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발브몸체를 감싸서 일체의 구성으로 결합시켜주는 케이싱과, 폐쇄된 하단부와 상기 헤드가 접속된 개방된 상단부를 가지며 또한 중간부분에 발부구멍을 갖는 환형 오목부를 갖는 발브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제2통공과 상기 탄성부재의 제1통공을 통해 상기 발부몸체를 삽입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환형 오목부속으로 끼워지는 것이 특징인 액체분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상기 발브몸체이 상부상에 끼워지는 것이 특징인 액체분무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브몸체는 상기 스템의 부분을 일체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스템상에 끼워지고, 상기 통공을 갖는 탄성부재는 상기 스템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기 발브구멍을 갖는 폐쇄된 하단면을 갖는 발브튜브는 상기 케이싱의 제2통공과 상기 탄성부재이 제1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환형 오목부속으로 끼워지고, 상기 발브 구멍은 상기 탄성부재의 통공의 내벽면에 의해 밀봉되고, 그밖에 상기 발브 튜브는 상기 스탬내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상황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이 특징인 액체 분무기.
KR1019910700695A 1990-10-05 1990-10-05 액체 분무기 KR0149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0/001297 WO1992005879A1 (en) 1990-10-05 1990-10-05 Liquid spray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826A KR920702826A (ko) 1992-10-28
KR0149032B1 true KR0149032B1 (ko) 1998-10-15

Family

ID=1398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695A KR0149032B1 (ko) 1990-10-05 1990-10-05 액체 분무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19463A (ko)
EP (1) EP0504402B1 (ko)
KR (1) KR0149032B1 (ko)
AU (1) AU650239B2 (ko)
CA (1) CA2045152C (ko)
DE (1) DE69030323T2 (ko)
WO (1) WO1992005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447A (en) * 1997-03-06 1998-10-06 Hayes Products, Llc Non-aerosol pump spray apparatus
US5918782A (en) * 1997-03-06 1999-07-06 Hayes Products, Llc Pump assembly with sprayer
US5810211A (en) * 1997-03-06 1998-09-22 Hayes Products, Llc Pump assembly with sliding plug
US6089414A (en) 1997-03-06 2000-07-18 Hayes Products, Llc Pump assembly with one piece piston
USD418201S (en) * 1997-08-27 1999-12-28 Hayes Products, Llc Bottle, pump and sprayer assembly
USD417618S (en) * 1997-08-28 1999-12-14 Hayes Products, Llc Pump assembly
DE19756442A1 (de) * 1997-12-18 1999-06-24 Pfeiffer Erich Gmbh & Co Kg Spender für Medien
US6360922B1 (en) 1999-04-27 2002-03-26 Hayes Products, Llc Pump assembly with pressure release capability
FR2814158B1 (fr) * 2000-09-21 2003-03-28 Rexam Sofab Dispositif de prehension pour distributeur a poche souple
US6953133B2 (en) * 2002-04-02 2005-10-11 Hayes Products, Inc. Pump assembly with continuous tube
FR2852301B1 (fr) * 2003-03-13 2006-02-10 Valois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de produit fluide
US7427004B2 (en) * 2003-10-20 2008-09-23 Meadwestvaco Calmar, Inc. Hand held pressurized sprayer
US8973847B2 (en) * 2012-07-09 2015-03-10 Easy Spray Llc Non-aerosol liquid spray device with continuous spray
CN114206745A (zh) 2019-07-26 2022-03-18 宝洁公司 用于分配器的阀组件
WO2021022282A1 (en) 2019-07-26 2021-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valve assembly for dispensers
EP4003873B1 (en) 2019-07-26 2024-03-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Valve assembly
CN114127450A (zh) * 2019-07-26 2022-03-01 宝洁公司 用于分配器的阀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5174A1 (de) * 1965-09-20 1969-01-16 Afa Corp Fluessigkeitssprayvorrichtung
US3806005A (en) * 1969-03-26 1974-04-23 S Prussin Aerosol container with plug-in cap and valve structure
US3797748A (en) * 1972-03-30 1974-03-19 T Nozawa Liquid spraying device
JPS51131909A (en) * 1975-01-27 1976-11-16 Maruchiyuu Seikan Kk Sprayer
JPS51131910A (en) * 1975-05-13 1976-11-16 Eizo Mori Pressure accumelating sprayer
FR2380076A1 (fr) * 1977-02-15 1978-09-08 Normos Norbert Dispositif de dosage et pulverisation des liquides comportant un soufflet
US4174055A (en) * 1977-04-20 1979-11-13 James D. Pauls & J. Claybrook Lewis & Associates, Ltd. Non-aerosol pressure dispenser
US4147286A (en) * 1977-12-05 1979-04-03 Bates Iii Claude F Collapsible hand carrier
US4174052A (en) * 1977-12-20 1979-11-13 James D. Pauls, Ltd. Mechanically operated dispensing device with expansible bulb
JPS6032505B2 (ja) * 1979-03-19 1985-07-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噴霧器
AU546406B2 (en) * 1983-05-26 1985-08-29 Yoshino Kogyosho Co., Ltd. Manually operated sprayer
DE3941088A1 (de) * 1989-12-13 1991-06-20 Alfred Von Schuckmann Fluessigkeitssprueh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04402B1 (en) 1997-03-26
AU6512090A (en) 1992-04-28
KR920702826A (ko) 1992-10-28
EP0504402A4 (en) 1993-08-04
US5419463A (en) 1995-05-30
WO1992005879A1 (en) 1992-04-16
CA2045152A1 (en) 1992-04-06
EP0504402A1 (en) 1992-09-23
AU650239B2 (en) 1994-06-16
DE69030323D1 (de) 1997-04-30
DE69030323T2 (de) 1997-10-23
CA2045152C (en) 200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032B1 (ko) 액체 분무기
US4317531A (en) Accumulator type manual atomizer
US4489861A (en) Manual liquid dispensing device
KR100434190B1 (ko) 예비압축펌프스프레이어
US6223951B1 (en) Anti-clog pump sprayer
JPS6028529Y2 (ja) 蓄圧タイプの噴霧器
CA1144119A (en) Accumulative pressure pump
JPH0131038B2 (ko)
JPS6026844Y2 (ja) 手動式小型噴霧器
KR20210124871A (ko) 화장품 용기
JPH0719568Y2 (ja) 噴霧容器
JPH0733900Y2 (ja) 小形噴霧器
JP2520176Y2 (ja) 液体噴出器
US5346103A (en) Compression sprayer for liquids
JPH07205Y2 (ja) 小形噴霧器
JPH0810385Y2 (ja) 小形噴霧器
JP2526807Y2 (ja) 液体噴出器
CA2073022C (en) Liquid sprayer
JPH07204Y2 (ja) 小形噴霧器
JPH07202Y2 (ja) 手動式噴霧器
JPH0733902Y2 (ja) 手動式噴霧器
JPH084125Y2 (ja) 小型手動往復噴霧器
JP2520177Y2 (ja) 液体噴出器
JP2509769Y2 (ja) 小形噴霧器
JPH0751170Y2 (ja) 押釦式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