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316B1 - 유기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316B1
KR0148316B1 KR1019950040206A KR19950040206A KR0148316B1 KR 0148316 B1 KR0148316 B1 KR 0148316B1 KR 1019950040206 A KR1019950040206 A KR 1019950040206A KR 19950040206 A KR19950040206 A KR 19950040206A KR 0148316 B1 KR0148316 B1 KR 0148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tank
stirring
organic matt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야 니시무라
미쓰유끼 이께다
요시야 후루이에
마사히꼬 아사다
가쓰도요 고마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404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5052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06974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57538A/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기물을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퇴비화하는 유기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 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유기물의 투입량에 따른 처리 능력의 증감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실현할 수있는 유기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담체(2)를 수납한 처리조(1)에 투입된 유기물을 상기한 담체(2)중에 혼합시켜 그 담체(2)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처리조(1)내에 도입되는 외기와의 접촉 하에 퇴비화하는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처리조(1)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 열수단과 상기한 처리조(1)의 조내온도를 유기물의 투입량에 따른 목표온도로 유지 하기위해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주방내에 발생하는 주방쓰레기등의 유기물을 퇴비화하는 유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물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측면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외관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
제4도는 가열제어부의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
제5도는 처리조의 내부온도와 유기물처리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온도센서의 1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셔터의 발효사시도
제8도는 동 셔터의 사시도
제9도는 동 주요부 단면도
제10도는 동 주요부 단면도
제11도는 동 셔터의 떼어낸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제12도는 동 용기의 떼어낸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제13도는 동 용기의 떼어낸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 단면도
제14도는 동 용기를 역방향으로부터 삽입한 상태를 설명하는 주요부단면도
제15도는 동 저면도
제16도는 동 용기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17도는 동 용기 및 셔터를 떼어내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18도는 동 단면도
제19도는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
제20도는 동 단면도
제21도는 동 커버를 떼어낸 단면도
제22도는 동 교반체를 나타내는 주요부확대도
제23도는 동 교반날개의 부착상태를 설명하는 확대도
제24도는 동 주요부확대저면도
제25도는 동 주요부확대저면도
제26도는 동 정면도
제27도는 동 측면도
제28도는 동 상면도
제29도는 다른 실시예의 셔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전기회로도
제31도는 동 통부의 단면도
제32도는 동 통부의 정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단면도
제34도는 동 주요부상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처리조 2, 182 : 담체
102 : 개방구 103 : 하부케이스
106 : 흡기구 107,108 : 보강판
109 : 보강틀 122 : 전동기
135 : 교반체 136 : 축받이
137 : 교반축 138 : 교반날개
142 : 안내부 149 : 셔터
158 : 용기 160, 195 : 돌기
161 : 상부케이스 171 : 저지륜
181 : 제1의 히이터 186 : 제2의 히이터
190 : 관통구멍 192 : 제어회로
194 : 제1의 제어부 196 : 제2의 제어부
197 : 흡입구
본발명은 주방내에 발생하는 주방쓰레기(생쓰레기)등의 유기물을 활동에 의해 퇴비 화하는 유기물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가정, 음식점등의 주방내에 매일 발생하는 유기물을 처리하기위한 한 방법으로 서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한 유기물처리장치는 미생물의 생식에 적합한 담체(톱밥, 목질편등)를 수납하는 처리조의 상부에 유기물투입구를 형성하고 또 내부에 교반수단을 구비하여 배치해서 구성되고 유기물투입구를 경유해서 처리조내에 투입되는 유기물을 교반수단의 동작에 의해 담체중에 혼합한 상태에서 방치하여 담체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퇴비화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런 종류의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적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적정온도로 유지된 담체중에 적정량의 공기(산소)를 공급해서 담체의 내부를 미생물의 활동에 적합한 환경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한 교반수단은 처리조에 투입된 유기물을 담체중에 균등하게 분산시킴과 동시 에 담체중에 공기를 집어넣는 작용을 하는 것이지만 상기한 처리조의 유기물 투입구는 유기물의 발효에 수반해서 발생하는 냄새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물 투입시를 제외하고 폐색된다.
이 때문에 발효를 위한 상기한 방치기간중에 공기량이 부족하여 미생물의 생식환경 의 악화를 수반해서 처리능력의 저하, 발효중의 부패등의 불합리한 점이있다.
여기서 종래로부터 처리조내에 외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수단(공기펌프)를 구비하고 급기수단의 동작에 의해 처리조내에 외기를 강제 급기시키고 담체중에 통기시켜서 상기한 방치기간중의 공기량의 부족을 보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유기물처리장치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5-2217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 처리조의 내부온도는 유기물의 발효 때문에 미생물이 활동에 수반하는 발열에 의해 자동조정되지만 이 조정은 상기한 급기수단에 의한 급기에 영향을 주고 그 급기의 온도가 낮은 한냉기에는 적정온도의 유지가 곤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일본국 특개평 5-221765호 공보중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처리조의 외측에 가열수단으로서의 전열히이터를 권취하고 그 전열히이터의 발열에 의해 적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유기물의 처리능력은 처리조 내부의 담체의 양에 주로 의존하는 한편 그 담체중에서의 미생물의 활성의 영향을 받는다.
이것에 착안하여 상기한 특재평 5-22176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유기물처리장치에서는 처리조내의 유기물투입량의 다소에 따라 상기한 급기수단에의한 급기량을 증감시키고 미생물의 활성을 가감하므로서 투입된 유기물이 항상 양효한 조건하에서 퇴비화되도록 하고 있고 급기량의 증감은 급기수단인 공기펌프의 구동 전압을 변경하므로서 행하고 있다.
그러나 급기수단인 공기펌프에 의한 급기량은 이 급기가 담체중을 통과하는 때의 통기저항의 대소에 영향을 받아 공기펌프를 동일조건하에서 구동시킨 경우에도 실제의 급기량은 담체의 양, 내부의 유기물을 포함한 담체의 함수량에 의한 통기저항의 변화등 통기측의 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공기펌프의 구동제어에 의해 급기량을 정확히 관리할 수는 없다.
여기서 실제의 통기량을 측정해서 이 측정결과에 기초한 피이드백(feedback)제어를 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상기한 통기는 유기물의 발요에 의해 생성되는 물, 및 가스를 포함하고 있고 통기의 양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측정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또 공기펌프의 흡입량의 측정결과에 의해 대표하도록 한 경우 통기측에서의 저 항의 대소에 따라서 다대한 오차를 수반하므로서 상기한 피이드백제어의 실시는 곤란하다.
다시 또 처리조의 내부를 미생물의 활동에 적합한 적정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 하지만 처리조의 내부온도는 급기의 양 및 온도에 의해 변화하고 상기한 적정온도의 유지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처리 대상이 되는 유기물이 소량의 경우 상기한 적정온도의 유지를 위해 처리조 의 내부가 건조상태가 되어서 미생물의 활성이 저하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고 운영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일본국특개평 5-221765호 공보에 개시된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유기물 투입량에 따른 처리능력의 증감은 곤란하며 부적절한 처리조건하에서 투입 유기물의 일부가 부패하고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키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생기고 또 다대한 운영비용을 요하는 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 7-24435호 공보(B09B 3/00)에 나타나고 있는 바와 같이 처리 조 내부에 설치한 가열수단에의해 처리조내의 온도를 유기물을 퇴비화하는 미생물의 활성화에 최적의 온도로 유지해서 담체에 배양되는 미생물의 활성화에 최적의 온도로 유지해서 담체에 배양되는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퇴비화하는 유기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유기물 처리장치는 가열수단을 처리조내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해서 처리조 내부 가 미생물의 활성화에 최적의 온도가 되도록 제어하고 있지만 동계등의 외기온도가 낮은 때에는 외기의 영향으로 처리조벽면 근방에서는 온도가 저하하고 유기물의 처리 능력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처리조벽면근방에서 최적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수단의 능력 을 올리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유기물의 발효에 의해 생기는 열이 가해져서 처리 조내 중앙부는 고온이 되고 미생물이 사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다시 또 미생물의 활성화에는 산소의 공급도 필요하지만 종래 기술은 자연 환기밖 에 행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산소의 공급이 부족한 결점도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송풍팬등을 장착해서 강제적으로 외기를 처리조내에 집어넣 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외기온도가 낮은 때에는 처리조내의 온도가 저하해서 처 리능력이 저하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집어넣은 외기를 가열수단을 설치해서 가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구조가 복잡화함과 동시에 부품점수 및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다시 또 처리조내의 유기물보다 위쪽의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은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기 온도가 낮은 때에는 외기의 영향으로 유기물 표면의 온도가 저하하고 유기물의 처리능력이 저하하는 결점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5-138144호 공보(B09B 3/00)등에 개시되어있는 바와 같이 처리조에 유기물을 투입하고 가열기로서 처리조내를 가열하면서 교반날개로서 유기물을 교반해서 발효처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들 유기물 처리장치에서는 유기물의 발효를 촉진하기 위해 처리조내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처리조를 케이스로 씌워서 2중의 구조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조와 케이스와의 사이에 교반날개의 구동기구를 배치한 경우 그 구동기구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보수를 행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교반날개는 처리조 측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교반축과 교반축에 고정된 복수의 교반날개로 구성되어있고 교반날개는 그 단말부를 교반축 측면에 맞대어서 용접하므로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교반 날개를 용접으로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고가로 됨과 동시에 교반 날 개를 교반축 측면에 맞대어서 용접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가 교반축에 대해 경사져서 고정되고 교반날개 선단과 처리조 저면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되지 않고 교반효율이 나쁘게 되고 발효효율이 저하한다고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 교반축은 처리조 측면에 축지지되기 때문에 교반축에 교반날개를 용접하면 처리 조에의 장착이 극히 곤란하게 되고 조립작업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여기서 교반축이 처리조에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반축을 교반날개를 용접한 중공축과 중공축에 삽입 관통되는 회전축으로 구성하고 중공축을 처리조내에 넣은 상태에서 회전축을 처리외부로부터 삽입관통시키고 처리조 및 중공축을 관통시킨 후 중공축과 회전축을 회전 저지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구성에서는 부품점수가 증대하고 보다 고가로 됨과 동시에 회전축을 처리조 외부로부터삽입 관통시켜서 처리조 및 중공축을 관통시키는 작업이 곤란하며 조립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반축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관통 구멍에 교반날개 에 형성한 나사부를 삽입 관통시키고 그 나사부에 너트를 나사 조임하므로서 교반축에 교반날개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너트가 플려서 심한 경우에는 교반날개가 탈락해 버 릴 우려가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일본국특개평 2-125942호 공보(C02F 9/02)등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처리조내에 투입된 유기물을 발효처리해서 퇴비화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처리조 전면에 빼냄용 개방구를 형성하고 이 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shutter)를 개방해서 처리조내의 퇴비화한 유기물을 용기내로 빼내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개방구를 처리조저면 최하부로부터 위쪽의 전면위치에 형성 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조 배면측이나 저면최하부의 유기물을 빼내기가 어렵고 퇴비가 잔류하기 쉬운 결점이 있다.
여기서 처리조저면의 최하부에 개방구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개방구로 부터 낙하한 유기물이 용기에 쌓인 상태로 채여서 그 유기물이 처리조저면이나 개방구를 폐색시키는 셔터에 닿아서 붕괴되어 용기로부터 쏟아질 우려가 있다.
또 개방구가 처리조저면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구의 위치가 알기 어렵고 용기장착시 용기를 개방구의 아래쪽 위치로 확실히 장착시킬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5-57265호 공보( B09B 3/00)등에 나타내고있는 바와 같이 퇴비화한 유기물빼냄용의 개방구를 처리조저면에 형성함과 동시에 이 개방구를 개폐 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유기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셔터는 일단을 개방구 가장자리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셔터를 개방구 가장자리에 압축해서 개방구를 폐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유기물을 빼낸 후 개방구를 폐색시키는 때 구방구 가장자리와 셔터의 사이에 유기물이 물려서 개방구를 확실히 폐색시킬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한 유기물 빼냄용의 개방구는 처리조저면의 한쪽으로 쏠려서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처리조저부를 가열하는 가열실은 처리조저면의 개방구가 형성 되어있지 않은 다른 쪽에 쏠리게 형성되므로 처리조의 가열에 불균일이 생겨서 처리조 내의 온도 분포의 불균일이 크게되어 유기물 처리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다시 또 일본국 특개평 5-57265호 공보에 기재된 종래기술로부터 처리조저부에 형성된 가열실을 간이한 것으로 하기위해 가열실을 면상 히이터 등의 공간 절약형의 것으로 대체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면상히이터를 처리조에 집착제나 양면테이프로 집착시키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하고 있으면 열등에 의해 접착 부분이 열화하고 특히 이 면상 히이터는 곡면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단말로부터 발리될 가능성이 있고 사용년수와 함께 가열효율이 저하하고 즉 유기물 처리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일본국특개평 6-296947호 공보(B09B 3/00)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담체를 수납시키는 처리조 양측면을 관통하여 교반날개를 고정시킨 교반축을 처리조에 고정시킨 축받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해서 전동기에 의해 교반축을 회전구동 시 키는 구성으로하므로서 처리조내에 투입된 유기물을 교반 날개에 의해 교반하고 담체에 배양되는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퇴비화하는 유기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축받이는 처리조에 고정되고 처리조내의 담체에 면하고 있기 때문에 담체가 축받이와 교반축과의 간격에 들어가서 교반축이 잠겨져서 교반축 을 구동시키는 전동기가 소손되는 등에 의해 고장이 나는 결점이 있었다.
다시 또 일본국 특개평 6-142634호 공보(B09B 3/00)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처리조저부를 처리조내에 설치된 교반날개의 회전 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처리조저부 외벽으로부터 히이터에 의해 처리조내를 가열함과 동시에 처리조내에 투입된 유기물을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하고 담체에 배양되는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을 퇴비화하는 유기물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유기물 처리장치는 처리조 외부로부터의 가열효율 및 처리조내에서의 교반효율 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용조저부를 교반날개의 회전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 교반시에 담체가 교반날개에 의해 처리조 내별에 밀어붙여져서 처리 조 내벽을 마찰하여 담체와 처리조 내벽과의 사이로부터 이상음을 발생시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기물의 투입량에 따른 처리능력의 증감을 정밀도가 양호하게 실현할 수 있고 항상 적정한 환경하에서읜 유기 물 처리를 행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것에 의한 운영비용의 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물의 처리를 촉진할 수 있고 또한 보수를 행하기 쉬운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목적은 조립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또 간단한 구성으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물의 배출작업성 및 배출용 개방구의 폐색성을 향상시 킬 수 있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목적은 유기물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시 또 다른 목적은 처리조 내의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않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1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담체를 수납한 처리조에 투입된 유기물을 상기한 담체중에 혼합시켜 그 담체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처리조 내에 도입되는 외기와의 접촉하에 퇴비화하는 유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처리조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상기한 처리조의 조내온도를 유기물의 투입량 에 따른 목표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또 이에 추가해서 상기한 제어수단을 유기물의 투입후의 소정시간, 미리정한 온도를 목표온도로서 동작시키는 것, 또 상기한 가열수단의 ON/OFF 시간의 조절에 의해 목표온도는 상기한 목표온도를 달성하는 것을 각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 수단을 갖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를 덮는 본체케이스와 상기한 처리조측면과 본체 케이스와의 사이의 공간이 배치되고 상기한 교반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를 구비하고 본체케이스를 처리조를 탑재고정시키는 하부케이스와 처리조를 덮고 하부케이스에 고정되는 상부케이스로 구성하고 상기한 상하부케이스의 접합부를 상기한 구동기구보다도 아래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는 처리조와 처리 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와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교반체를 처리조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교반축과 교반축에 천설된 관통 구멍에 삽입관통되고 저지륜, 키이, 혹은 핀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교반날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는 처리조와 처리 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와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와를 구비하고 교반체를 처리조내에 회전이 자류롭게 축지지된 교반축과 교반축에 천설된 관통 구멍이 삽입 관통되고 저지륜으로서 고정되는 복수의 교반날개로서 구성하고 상기한 교반날개에 저지륜 걸어 맞춤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저지륜 걸어맞춤 홈으로부터 교반날개의 선단으로 향해서 점차 적은직경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저면 최하부근방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와 그 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와 상기한 처리조를 덮는 본체케이스와 개방구의 아래쪽 위치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용기를 구비하고 상기한 본체케이스에 용기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안내부는 용기를 개방구 아래쪽으로부터 빼낸 위치로부터 용기 아래쪽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저면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와 그 개방구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와 상기한 처리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와 그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셔터를 평판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압하고 대략 원호상 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저면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와 그 개방구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창작되고 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와 상기한 처리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와 그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방구 가장자리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뻗어 설치하고 그 개방구 가장자리 하단부에 평탄상 셔터를 밀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저면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와 그 개방구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와 상기한 처리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와 그 교반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방구를 처리조저면의 대략 최하위치에 형성함과 동시에 처리조저면 외측에 개방구에 대해 양측 위치에 가열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와 처리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와 그 교반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한 처리조를 탑재시키는 하부케이스와 상기한 처리조 측면을 덮는 상부케이스와를 구비하고 처리조 외측에 면상히이터를 배치함과 동시에 그 면상히이 터를 하부케이스와 처리조와의 사이에서 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를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외측면에 장착되는 보강틀과 상기한 처리조내의 유 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와 그 교반체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처 리조 외측에 면상히이터를 장착함과 동시에 그 면상히이터를 보강틀과 처리조와의 사이에서 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압하고 퇴비화를 행하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를 덮는 본체케이스와 그 처리조에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한 본 체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구와 본체케이스와 처리조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흡입구와 흡 기구를 연통하는 공기유로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처리조외면에 공기유로에 임하게 해 서 처리조내를 가열하는 이이터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고 퇴비화를 행하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내의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 외면에 장착하고 처리조내를 가열하는 제1의 히이터와 상기한 처리조내의 유기물보다 위쪽 위치 에 대응하는 처리조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내를 가열하는 제2의 히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고 퇴비화를 행하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내의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조리조 외면에 장착되 고 처리조 내를 가열하는 제1의 히이터와 상기한 처리조내의 유기물보다 위쪽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 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내를 가열하는 제2의 히이터와 상기한 제1의 히이터를 제어하는 제1의 제어부와 제2의 히이터를 제어하는 제2의 제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6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고 퇴비화를 행하 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내의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 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내를 가열하는 제1의 히이터와 상기한 처리조내의 유기물보다 위쪽위치의 온도를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의 온도보다도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를 수납하 고 양측면에 관통 구멍을 갖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양측면에 장착되는 보강판과 처리조 외벽에 외강판을 거쳐서 관통 구멍과 동심원상으로 장착되는 축받이와 상기한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되고 축받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되는 교반축과 그 교반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기와 그 교반축에 고정되고 처리조내의 담체를 교반하는 교반날개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축받이와 처리조 외벽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8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를 수납하 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처리조내의 담체를 회전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를 구비하고 처리조 저부를 교반체의 회전 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저마찰 물질을 처리조 저부내벽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9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를 수납하 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내에 설치되고 처리조내의 담체를 회전 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를 구비하고 처리조 저부를 교반체의 회적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형상으로 하고 처리조 저부내벽을 조잡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0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를 수납하 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내에 설치되고 처리조 내의 담체를 회전 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를 구비하고 처리조 저부를 교반체의 회전 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돌기를 처리조 저부 내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1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를 수납하 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내에 설치되고 처리조 내의 담체를 회전 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를 구비하고 처리조 저부를 교반체의 회전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교반체의 회전 궤적에 교차하는 돌기를 처리조 저부내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2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는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를 수납하 는 처리조와 그 처리조 내에 설치되고 처리조내의 담체를 회전 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를 구비하고 처리조 저부를 교반체의 회전 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교반체의 회전 궤적에 교차하는 홈을 처리조 저부 내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에 제 1도~6도에 기초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한 유기물 처리 장치 를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내부에 담체(2)를 수납해서 된 처리조(1)을 지지대(3)상에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처리조 (1)은 합성수지, 스테인레스강등의 내식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도시한 바 와 같이 유기물 투입구로서의 개방구를 한쪽의 전면에 갖는 원통형의 용기이며지지 대(3)상에 상기한 개방구를 위로 향하게 해서 하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처리조(1) 상부의 개방구에는 이것의 개폐를 위한 상부뚜껑(4)가 부착되어 있다.
그 상부뚜껑(4)에 의한 개폐는 주위 가장자리부의 한쪽을 주축으로 하는 요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다른 쪽에 돌출 설치된 걸어 맞춤 돌기(40)을 처리조(1)의 외부원주에 부착시킨 걸어맞춤돌기(10)에 걸어 맞추고 제1도에 나타내는 폐색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내측에 권취된 O링(42)를 상기한 개방구의 내부원주 가장자리에 밀착시켜 처리조(1)을 기밀로 밀봉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걸어맞춤돌기(10)은 수지등의 탄성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만곡부위를 거쳐서 위쪽으로 뻗는 형상을 하고 있고 내향의 압축력 의 작용에 의해 만곡 부위의 탄성변형을 수반해서 선단이 퇴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뚜껑(4)의 폐색상태는 걸어맞춤돌기(10)에 압축력 을 가해서 선단을 퇴피시켜 상부뚜껑(4)측의 걸어맞춤돌기(40)으로부터 이탈시키므로서 해제되고 상부뚜껑(4)는 상기한 주축에 권취된 권취 용수철(41)의 용수철의 힘에 의해 개방된다.
이상과 같이 상부뚜껑(4)에 의해 개폐되는 처리조(1)의 내부에는 상반부의 내면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해서 돌출 설치된 지지틀(11)의 선단의 지지캡(12)에 의해 그 상단을 또 처리조(1)의 저면판(13)에 그 하부가 각각 지지되고 처리조(1)의 축심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교반축(50)이 배치되어 있다.
그 교반축(50)의 하반부에는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돌출설치된 지지로드(51)의 선 단에 위쪽으로 향해서 원주방향 한쪽으로 만곡되는 형태를 한 교반날개(5)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교반축(50)의 하단은 처리조(1)의 저면판(13)을 관통해서 소정길이 돌출시키고 있고 이 돌출부에는 연결플랜지(52)가 동축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또 교반축(50)은 도면중 일부를 절단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심부를 전장에 걸 쳐서 관통하는 관통구멍(53)을 구비한 중공축으로 되어 있고 관통구멍(53)의 상단은 상기한 지지캡(12)의 내측을 경유해서 처리조(1)의 내부에 연달아 통하고 있다.
담체(2)는 소정의 처리에 의해 다공질화 되어서 양호한 통기성 및 수분유지성을 확보해서된 목질세편이며 처리조(1)의 내부에 저면판 (13)과의 사이에 적절한 간격 을 갖고 걸쳐설치된 망판(14)상의 소정의 깊이를 갖고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망판(14)는 후술하는 유기물 처리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담체(2)의 탈락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도록 그 담체(2)의 입자직경보다도 충분히 적은 금속 메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저면판(13)의 일부에는 망판(14)를 통과하는 수분 및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5)가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판(13)은 상기한 망판(14) 의 투과수를 배출한(15)의 개방구 위치에 도입하기 위해 그 배출관(15)의 연설부위 로 향해서 경사시켜지고 있다.
이상과 같이 처리조(1)을 지지하는 지지대(3)은 그 처리조(1)과 대략 동등한 외경 을 갖는 짧은 치구 원통형의 부재이며 저면부에 돌출설치된 복수의 다리(3a),(3a) 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의 중심에 수직을 이루고 세워 설치된 지지축(30)을 구비혹 있다.
그 지지축(30)에는 축받이를 거쳐서 회전이 자유롭게 웜호일(31)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 지지대(3)의 내부에는 웜호일(31)의 외부 원주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교반 전동기(M)이 고정 설치되고 이들 출력단에 끼워 장착된 웜(32)가 상기한 웜호일(31) 에 맞물려 있다.
그 웜호일(31)은 웜(32)를 거쳐서 전달되는 교반전동기(M)의 구동력에 의해지지 대(3)의 축심주위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또 지지대(3)의 내부에는 상기한 교반전동기(M)과의 대향측에 급기수단인 공기펌프(P)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 공기펌프(P)는 내장전동기에 의해 구동되고 지지대(3)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도시하지 않는 흡기구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적절히 승압시켜서 토출시키는 것이다.
공기펌프(P)의 토출단은 지지대(3)의 저면판에 형성되고 상기한 지지축(30)의 중심부를 관통해서 상단에 개방되는 급기통로(33)에 접속되어 있고 공기펌프(P)에의한 급기는 급기통로(33)내를 통과한 후 지지출(30)의 선단으로부터 상향으로 분출되도 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급기통로(33)의 중도부 외측에는 히이터(H1)이 권취되어 있고 급기통로 (33)내의 통기는 상기한 히이터(H1)에의 통전에 수반하는 발열에 의해 온도 상승되 도록 하고 있다.
또 지지대(3)의 상면에는 히이터(H2)가 부설되어 있고 그 히이터(H2)에의 통전이 행해진 경우 지지대(3)상에 지지된 처리조(1)의 내부가 지지대(3)의 상면에 대향하 는 저면부(13)를 경유해서 하측으로부터 가열하도록 되어있다.
다시 또 지지대(3)에는 그 상면의 원주 가장자리 근방에 개방구를 갖고 외부 원주 면에 설치한 이음매부(34)로 연달아 통하는 배출통로(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이음매부(34)에는 예를들면 제2도에 2점사슬금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출 호오스(6)이 접속되고 처리조(1)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유기물처리의 과정에 서 발생하고 배출통로(35)에 도입되는 물 및 가스는 상기한 배출호오스(6)를 경유해 서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있다.
지지대(3)에의 처리조(1)의 부착은 그 처리조(1)에 저면판(13)의 아래쪽으로 뻗어나온 상태로 설치된 통형상부를 지지대(3)의 상부외부 원주에 끼워맞추고 그 지지 대(3)의 외측에 병설된 복수의 고정돌기(36), (36)를 처리조(1)외부원주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오목한곳에 걸어맞추어서되고 처리조(1)과 지지대(3)과는 상기한 고정돌기(36), (36)의 체결조작에 의해 일체화되고 동일하게 이완조작에 의해 분리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조(1) 및 지지대(3)의 원주 가장자리부에 있어서는 전자의 하측에 돌출하는 배출관(15)가 후자의 배출통로(35)에 끼워맞추어 지고 또 축심부에 있어서는 후자에 세워설치된 지지축(30)의 선단이 전자의 하측에 돌출하는 교반축(50)의 관통구멍(53)에 끼워맞추어짐과 동시에 상기한 웜호일(31) 의 상면에 돌출설치된 한쌍의 연결돌기(37), (37)이 처리조(1)하측의 상기한 연결플 랜지(53)에 형성된 절단부에 걸맞추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공기펌프(P)의 동작에 의해 급기통로(33)내에 공급되는 외기는 관통구멍(53)내를 통과해서 교반축(50)의 상단으로부터 분출되고 지지캡(12)에의해 하향으로 흐르는 방향을 변경해서 처리조(1)내로 도입된다.
또 교반축(50)은 연결돌기(37), (37)과 연결플랜지(53)과의 걸어맞춤부를 거쳐서 전달되는 상기한 교반전동기(M)의 회전에 의해 축심주위로 회전하게 되어 이에 수반해서 처리조(1)내의 교반날개(5)가 회전해서 담체(2)가 교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장치는 상기한 걸어맞춤돌기(10)의 압축조작에 의해 상부뚜껑(4)를 개방하여 상부의 개방구로부터 처리조(1)내로 유기물(A)를 투입한 후 상부뚜껑(4)의 폐색에 의해 처리조(1)을 기밀로 폐색시켜서 사용된다.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3)의 외측에는 운전조작을 위한 조작부(7)이 설치되어 있고 유기물(A)의 투입을 종료한 후에 조작부(7)의 운전스위치가 조작되면 교반전동기(M)이 소정기간 구동되어서 교반날개(5)의 회전에 의해 담체(2)가 교반 되고 처리조(1)내에 투입된 유기물(A)는 담체(2)중에 집어 넣어져서 제1도에 나타 내는 바와 같이 균등하게 분산되고 담체(2)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퇴 비화 된다.
지지대(3)상의 공기펌프(P)는 항상 또는 소정시간마다에 구동되고 외기를 흡입하 고 전술한 경로를 경유하여 처리조(1)의 내부에 급기하는 동작을 하고 이 급기는 담 체(2)를 통기하고 다시또 망판(14)를 통과해서 배출관(15)로 도입된다.
이것에 의해 담체(2)중의 유기물(A)는 상기한 급기와의 접촉하에서 퇴비화되어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물 및 가스는 상기한 급기와 함께 배출관(15)로 모이고 배출통로(35) 및 배출호오스(6)을 경유해서 배출된다.
이 사이에 급기통로(33)의 중도에 권취된 히이터(H1) 및 지지대(3)상면의 히이터 (H2)는 처리조(1)의 내부온도를 미생물의 생식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처리 조(1)에 투입된 유기물(A)의 양에 따라 통전제어된다.
히이터(H1), (H2)에의 통전이 이루어진 경우 전자의 발열에 의해 급기통로(33)내 의 통기가 또 후자의 발열에 의해 처리조(1)의 저면판(13)이 각각 가열된다.
그 결과 처리조(1)의 내부온도는 교반축(50)의 상단으로부터 도입되는 가열 공기 와 저면판(13)으로부터의 전달열에 의해 상하양측으로부터 가열되어 소망의 온도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 가열에 의해 온도 상승하는 처리조(1)의 내부온도는 처리조(1)의 상부내면의 내측으로 임해서 부착된 온도센서(20)에 의해 검출되고 이 검출 결과는 도면중에 점선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조(1)의 원주벽면에 따라 뻗어설치된 신호선과 지지대(3)과의 끼워맞춤부에 설치한 코넥터에 의해 지지대(3)상 에 탑재된 가열제어부(8)(제3도 참조)에 부여된다.
제3도는 본 발명장치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해서된 가열제어부(8)은 가열수단인 히이터(H1),(H2)의 통전제어에 의해 상기한 온도센서(20)에 의해 검출되는 처리조(1) 내부온도를 소정 의 목표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동작하는 것이다.
그 가열제어부(8)의 입력측에는 상기한 온도센서(20)의 검출결과가 부여되어 있고 또한 상기한 조작부(7)이 접속되고 조작부(7)에 배치된 각종의 조작 수단의 조작내용 이 부여되어 있다.
또 가열제어부(8)의 출력측에는 상기한 히이터(H1),(H2)가 도시하지 않은 각별한 통전회로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고 이들 히이터(H1),(H2)에는 가열제어부(8)로부터 부여되는 통전지령에 따라서 소정의 전류가 통전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가열제어부(8)은 히이터(H1), (H2)의 통전제어에 추가해서 교반전동기(M) 및 공기펌프(P)의 구동제어를 벙합해서 행하는 운전제어부로서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상기한 구동제어를 위한 동작은 본 발명의 특징의 부분이 아니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는 가열제어부(8)의 동작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이다.
가열제어부(8)은 예를 들면 유기물(A)의 투입후 조작부(7)에 있어서 행해지는 운전스위치의 ON조작에 따라서 동작을 개시한다.
조작부(7)에는 유기물(A)의 투입마다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투입량을 설정하는 설정기가 배치되어 있고 가열제어부(8)은 동작의 개시와 한께 우선 상기한 설정기에 의한 설정치를 유기물(A)의 투입량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기록한다(스텝 1).
또한 상기한 유기물(A)의 투입량의 설정은 수치적인 설정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들면「많음」「보통」「적음」등의 복수의 선택사항의 어느것인가를 선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이와 같은 사용자에 의한 설정 대신에 적절한 중량센서에 의해 투입마다에 유기물(A)의 중량을 검출하여 이 검출결과를 투입향으로서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투입량을 기록한 후 가열제어부(8)은 이 투입량에 따른 목표온도 to를 설정한다 (스텝 2).
이 설정은 예를들면 투입량의 증감에 대해서 비례적으로 증감되는 직선상에서 행해지고 투입량의 다소에 따라 고저가 되는 목표온도 to가 얻어진다.
그후 가열제어부(8)은 온도센서(20)의 검출결과를 처리조(1)의 내부온도 to로서 기록한다.
이어서 동작개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이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예를들면 1시간)에 달 했는가 아닌가를 판정하고(스텝 4), 소정시간에 달하기까지의 사이 상기한 내부온도 t 를 미리설정된 소정온도 t1과 비교한다(스텝 5).
이 비교의 결과 내부온도 t가 소정온도 t1을 하회하는 경우 히이터(H1), (H2)에 통 전지령을 발해서 (ON) 시키고 (스텝 6), 이들 발열에 의해 처리조(1)의 내부를 가열 하는 한편 내부온도 t가 소정온도 t1이상인 경우 히이터(H1), (H2)를 OFF 시키는 동작(스텝7)을 계속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처리조(1)의 내부는 유기물(A)의 투입후의 소정시간, 상기한 소정온도 t1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 동작은 유기물(A)의 투입초기에 처리조(1)내를 고온으로 유지하고 담체(2)중 에 생식하는 미생물의 활성을 높여서 유기물(A)의 처리개시의 시작을 빠르게 함과 동시에 이 유기물(A)와 함께 도입되는 유해한 균류(중저온균)을 사멸시키기 위해 행 해지는 것이다.
상기한 소정온도 t1은 담체(2)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이 유해한 균류를 사멸시킬수 있는 온도 (50~60℃)로 설정되어있다.
이상의 동작을 소정시간 계속한 후 가열제어부(8)은 처리조(1)의 내부온도 t를 재 차 기록하고 (스텝8) 이것을 앞서 설정된 목표온도 t0와 비교한다(스텝 9).
이 비교의 결과 내부온도 t가 목표온도 t0를 하회하는 경우 히이터(H1), (H2)에 통 전지령을 발해서 ON 시키고 스텝(10) 이들 발열에 의해 처리조(1)의 내부를 가열 하는 한편 내부온도 t가 목표온도 t0이상인 경우 히이터(H1), (H2)를 OFF시키는 (스텝11) 동작을 계속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처리조(1)의 내부는 유기물(A)의 투입량의 다소에 따라 고저 로 설정된 목표온도 t0로 유지되게 된다.
이 동작은 온도센서(20)에 의해 검출되는 처리조(1)의 내부온도 t에 기초새서 행 해지고 온도의 검출은 간소한 구성의 온도센서(20)에 의해 정확히 행해지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5도는 공기펌프(p)에 의한 급기량을 일정하게 (5.5리터/분)
유지한 상태에서 처리조(1)의 내부온도(조내온도)의 변화에 대한 유기물 처리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담체(2)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의 활성은 적정량의 수분, 공기의 보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주변온도에 영향받도 처리조(1)의 내부에서의 유기물(A)의 처리능력은 도시한 바와 같이 조내온도의 상승에 수반해서 비례적으로 증대한다.
또한 도면중의 횐동그라미는 배출호오스(6)를 경유해서 배출되는 수분량(수분제거량)이며 이것은 유기물처리량과 대략 동일한 변화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종적을 하는 가열제어부(8)를 구비한 본 발명장치에 의하면 처리조 (1)내에 투입되는 유기물(A)는 이 양에 따른 적정한 처리조건하에서 처리되게 된다.
또 처리조(1)의 내부온도는 유기물(A)의 투입이 정상적으로 행해지는 일반적인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담체(2)중에서의 미생물의 활동에 수반하는 발열에 의해 온도 상승하므로 상기한 히이터(H1), (H2)에의 통전에 의한 가열은 희소하게 필요한 것 뿐 이며 상기한 제오동작의 실시에 수반하는 운영비용은 근소하다. 또 가열제어부(8)의 제어동작은 히이터(H1), (H2)의 ON/OFF 제어이며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히이터(H1), (H2)의 양쪽을 제어대상으로 하고 있 으나 이들 한쪽만을 제어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유기물(A)의 투입초기의 동작(스텝3~스텝7)에는 상기한 소정 온도 t의 달성을 빠르게 하기 위해 양쪽의 히이터(H1), (H2)를 제어 대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는 온도센서(20)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도면의 온도센서(20)는 감온부로서의 더미스터(21)에 직렬접속된 가변저항(22)의 양자간의 전위와 소정전위 를 비교하는 비교기(23)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들면 조작부(7)에 배치된 조작손잡이를 유기물(A)의 투입량에 따라 조작하고 상기한 가변저항(22)의 저항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비교기(23) 의 출력을 가열제어부(8)에 부여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서 온도센서(20)은 이저항치에 상당하는 온도의 전후에서 비교기(23)의 출력레벨을 전환하는 온도스위치로서 가능 하다.
따라서 이와같이 구성된 온도센서(20)을 사용하여 비교기(23)의 출력을 가열제어 부(8)에 부여하는 구성에 의해 제4도에 나타내는 플로우차아트에 있어서의 목표온도 t0의 설정스텝(스텝2) 및 내부온도 t와 목표온도 t0와의 비교스텝(스텝9)가 생략되고 가열제어부(8)은 상기한 온도센서(20)의 출력레벨의 고저의 변화에 따라 히이터 (H1), (H2)를 ON/OFF시키는 동작을 행하면 되고 새로운 구성의 간소화가 도모된다.
다음에 제7도~제34도에 기초하여 본발명의 청구항 4~22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 를 설명한다.
(101)은 톱밥등의 목질세편 및 활성탄으로된 담체(182)를 수납시키는 상면이 개방된 처리조이며 저면부를 후술하는 교반날개(138)의 회전 궤적에 따른 단면이 대략 반원형상으로하고 실리콘 오일등의 미생물에 대해 무해한 저마찰 물질을 처리조 (101)의 저면부 내벽에 도포하고 있다.
처리조(101)의 외면에는 제19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면상 히이터 (181)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담체(182)와 후술하는 순환로(183)과의 사이의 공기에는 공기층(184)가 형성되어있다.
상기한 제1면상히이터(181)는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에 대용하는 처리조(101)외면에 장착되고 후술하는 공기유로에 임해있고 처리조(101) 저면부 외면근방에 설치된 제1더미스터(185)에 의해 처리조(101)내에 투입된 유기물을 섭시30도~40도로 유지하도록 제어되어 있다.
(186)은 상기한 공기층(184)에 대응하는 처리조(101)외면에 장착되고 공기 유로에 임하게한 제2면상 히이터이며 후술하는 순환로(183)에 설치된 제2더미스터(187)에 의해 공기층을 섭시20도~25도로 유지하도록 제어되어있다.
(102)는 처리조(101)저면의 최하부에 형성된 개방구이며 개방구 가장자리를 아래 쪽으로 향해서 뻗어 설치되어 있다.
제1면상 히이터(181)은 개방구(102)의 양측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처리조 (101)내의 유기물이 균일하게 가열되고 불균일이없이 퇴비화된다.
처리조(101)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배출통(113)의 전방 부분 근방에 흡입구(197)이 천설되어 있다.
흡입구(197)은 처리조(101)외면과 후술하는 본체케이스와의 사이에 형성한 공기 유로를 거쳐서 후술하는 흡기구(106)에 연달아 통하고 있다.
(103)은 합성수지제의 하부케이스이며 처리조(101)를 탑재시키도록 되어있고 후술하는 상부케이스(161)와 본체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104)는 하부케이스(103)양측에 형성된 다리부이며 다리부(104)에 의해 하부케이스(103)저면과 설치면간에 간격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리부(104)간에는 처리조 (101)저면의 개방구(102)에 대응하는 위치를 개방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03)에는 케이스(103)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리브(188)이 형성되어 있고 그 보강용리브(188)은 하부케이스(103)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해서 복수개 돌출시키고 그 높이는 처리조(101)이 위에 탑재된 때에 처리조(101) 저부에 맞닿도록 되어있다.
(105)는 하부케이스(103)저면으로부터 수하 형성된 수하벽이며 후술하는 용기 (158)의 배면측에 위치하고 용기(158)의 날부(159)에 맞닿게해서 용기(158)의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수하벽(105)는 다리부(104)간에 걸쳐서 용기(158)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 고 또한 용기(158)의 날부(159)상면보다도 아래쪽까기 뻗어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상부케이스(161)으 배변측을 타고 낙하하는 빗물등이 용기(158)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부케이스(103)은 수하벽(105)로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고 후술하는 상부 케이스(161)에 결로된 물방울등을 수하벽(105)로 수집하고 수하벽(105) 저면에 천설한 도시하지 않은 적은 구멍으로부터 배수하도록 되어있다.
(106)은 하부케이스(103) 배면측에 형성된 흡기구이다.
(107)은 처리조(101)의 한쪽면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제1보강판이며 처리조(101) 측으로 절곡된 상단을 처리조(101)상면에 나사고정시킴과 동시에 처리조(101)에 대해 반대측으로 절곡된 하단을 하부케이스(103)에 나사고정시키도록 되어있다.
(109)는 전기한 처리조(1)의 제1보강판(107) 및 제2보강판(108)이 장착된 양측 면과 인접하는 양측면의 대략 중앙부에 고정되는 제1보강틀이며 제1보강판(107) 및 제2보강판(108)에 나사고정되어서 처리조(101)을 보강하고 후술하는 교반체(135) 의 교반에 의해 처리조(101) 측면벽이 외측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면상히이터(181)은 처리조(101)이 개방구(102) 양측위치에 설치되고 일단이 제1보강틀(109)에 협지되고 타단이 하부케이스(103)의 보강용리브(188)과 의 사이에 협지되어서 처리조(101) 저면 외측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면상 히이터(181)을 접착제에 의해 처리조(101)에 부착시키는 것 이외에 일단을 제1보강틀(109)에 그리고 타단을 하부케이스(103)의 보강용리브 (188)에 의해 협지하기 따문에 접착제의 접착력이 쇠퇴하여 제1면상 히이터(181)이 단말로부터 박리되려고 해도 제1보강틀(109)와 보강용 리브(188)에 의해 억압 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히 고정시킬수가 있고 박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110)처리조(101)의 전면측하부에 배치되는 제2보강틀로서 제1보강판(107), 제2 보강판(108) 및 하부케이스(103)에 고정되고 처리조(101)의 하부케이스(103)에의 고정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111)은 처리조(101)의 후벽상부에 처리조(101)의 좌우방향에 걸쳐서 형성된 오목한 곳이며 그 오목한 곳(111)의 양단부에 처리조(101)에 연달아 통하는 흡입통 (112) 및 배출통(113)을 아래쪽으로 향해서 뻗어 설치하고 있다.
배출통(113)은 처리조(101) 후면벽에 의해 전후로 구획되어 있고 후면벽보다 전 방부분이 처리조(101)내로 연달아 통하고 후술하는 순환로의 일부를 구성함과 동시 에 후면벽보다 후방부분은 철조(101)배면에 형성된 배기로(114)를 거쳐서 하부케이 스(103)에 형성된 배기구(115)에 연달아 통하고 있다.
(116)은 상기한 오목한 곳(111) 저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오목한 곳(111) 위쪽을 덮고 오목한 곳(111)에 나사고정되는 기판수납케이스이며 면상히이터, 후술하는 팬(118), 히이터(119) 및 전동기(122)에의 통전을 제어하는 제어부품 등을 탑재시킨 제어기관(117)을 수납하고 있고 상기한 오목한 곳(111)과 가판수납 케이스(116)과의 사이의 공간, 흡기통(112) 및 배출통(113)의 전방부분에 의해 처리조(101)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로(183)를 구성하고 있다.
(118)은 배출통(113)에 장착된 팬이며 그 팬(118)의 구동에 의해 처리조(101)내 의 공기가 흡입통(112)으로부터 흡입되고 오목한 곳(111)과 기판수납케이스(116) 과의 사이의 공간을 거쳐서 배출통(113)으로부터 배출되지만 배출통(113)은 처리조(101)후면벽에 의해 전후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흡기통(112)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순환로(183)을 거쳐서 처리조(101)을 순환함과 동시에 이 공기의 일부가 배출통 (113)의 후방부분으로부터 배기로 114를 거쳐서 배기구(115)로부터 외부로 배기된 다.
(119)는 배출통(113)의 순환로에 배치된 히이터 팬(118)의 송풍을 가열하고 처 리조(101)내에 온풍을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히이터(119) 및 제2면상 히이터(186)은 순환로(183)에 배치된 제2더미스터(187)의 온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조(101)내를 섭씨 50도-60 도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120)은 흡입구(112)에 장착된 필터로서 후술하는 교반체(135)의 교반에 의해 날아오르는 먼지등이 팬(118), 히이터(119) 및 제2더미스터(187)에 부착하는 등의 불합리함을 방지한다.
(121)은 처리조(101) 상부에 흡입통(112)에 인접해서 오목하게 형성한 오목한부 이며 전동기(122)가 배치되어 있다.
전동기(122)는 제1보강판(107)에 고정되고 회전축을 제1보강판(107)로부터 바깥 쪽으로 돌출시키고 회전축에 풀리(123)을 고정시키고 있다.
(124)는 제1보강판(107)의 처리조(101)과 대향하는 측면에 장착된 풀리이며 전동기(122)의 풀리(123)과의 사이에 벨트(125)를 가설함과 동시에 그 풀리(124)에 설치한 기어부(126)에 기어(127), (128), (129)를 맞물리게 하고 풀리(123), (124) 및 기어(126), (127), (128)로 된 감속기구에 의해 전동기(122)의 회전을 감속시켜서 후술하는 교반체(135)를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풀리(124) 및 기어(126), (127), (128)은 내마모성 및 고내구성을 갖는 재료, 분실시예에서는 듀라콘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풀리(124) 및 기어(127), (128)은 일단을 제1보강판(107)에 체결고정시킨 축(130), (131), (132)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기한 감속기구는 가장 고속이 되는 감속기구 부분을 전동기(122)의 회전축에 설치한 풀리(123)과 풀리(124)와의 사이에 벨트(125)를 가설해서 감속시키는 기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음의 발생이 제어된다.
(133)은 상기한 풀리(123), (124) 및 기어(127), (128), (129)를 씨우는 합성 수지제의 커버이며 외면에 금속제보강판(134)를 고정시키고 그 보강판(134)에 의해 풀리(124) 및 기어(127), (128)의 축(130), (131), (132)의 타단을 축지지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커버(133)에 의해 풀리(123), (124) 및 기어 (127), (128), (129)를 씨우므로서 기어의 맞물리는 소리의 누설을 억제하고 있다.
(135)는 처리조(101)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매치된 교반체이며 처리저(101) 양측면을 관통하고 제1보강판(1017) 및 제2보강판(108)에 고정된 축받이(136)에 회전 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교반축(137)에 고정되는 복수의 교반날개(138)로 구성되어 있다.
제31도-제32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189)는 처리조(101)외벽에 관통구멍 (190)과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통부로서 선단부에 상기한 축받이(136)를 처리조 (101)외벽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유지하는 계단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아 래쪽에 개방구(19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교반날개(138)는 일단측을 적은 직경으로 형성해서 소직경부(139)를 형성 함과 동시에 이 소직경부(139)와 타단측의 사이에 계단부를 형성하고 소직경부 (139)를 교반축(137)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관통구멍에 삽입하고 계단부에 의해 교반축(137)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상기한 교반날개(138)의 소직경부(139)에는 걸어맞춤홈(140)을 형성함과 동시에 걸어맞춤홈(140)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해서 점차 적은 직경으로 되는 데이퍼부(141)를 형성하고 테이퍼부(141)선단을 후술하는 저지륜(171)의 내경보다도 약간 적은 직경으로 형성하고 있다.
교반날개(138)은 그 소직경부(139)측을 교반축(137)에 형성한 도시하지 않은 관 통구멍에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걸어맞춤홈(140)에 C링등의 저지륜(171)을 장착하므로서 고정된다.
교반날개(138)의 소직경부(139)의 길이(A)는 제2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반 날개(138)이 타단측 선단과 처리조(101) 저면과의 간격(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고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저지륜(171)이 탈락한 경우 교반날개(138)이 교반축(137)로 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저지륜(171)이 탈락한 경우에는 교반날개(138)은 회전궤적의 상부절반에 있어서는 자중에 소직경부(139)가 교반축(137)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서 탈락이 방지되고 그 회전 궤적의 하부 절반에 있어서 교반축(137)로부터 탈락하려고 하지만 교반 날개(138)의 소직경부(139)의 길이(A)가 타단측 선단과 처리조(101) 저면과의 간격 (B)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138)의 타단측 선단이 처리조(101) 저면에 맞닿은 상태에서도 소직경부(139)가 관통구멍에 삽입된 채의 상태가 되고 교반날개(138)이 교반축(137)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다.
또한 교반날개(138)의 소직경부(139)의 교반축(137)로부터 돌출한 부분의 길이 (C)를 교반날개(138) 타단측 선단과 처리조(101) 저면과의 간격(B)보다도 길게하 므로 저지륜(171)이 탈락한 경우에 있어서의 교반날개(138)의 덜커덩거림과 탈락을 일층 확실히 억제할 수가 있다.
(142)는 상기한 케이스(103)에 고정되는 합성수지제의 안내부재이며 대략 엘(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143)은 상기한 안내부재(142)와 처리조(101)의 개방구(102)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형성된 제1안내부로서 후술하는 셔터(149)측면 가장자리를 협지하도록 되어있다.
(144)는 안내부재(142)에 형성된 제2안내부로서 후술하는 용기(158)의 날부 (159)를 지지하게 되어있고 상기한 제2안내부(144)는 그 전방측 단말부를 다리부 (104)의 전면측 단면보다 후방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제2안내부(144)는 전방으로 향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시킴과 동시에 일부에 후술하는 용기(158)을 위치결정하는 오목한 부(145)를 형성하고 있다.
제9도에 있어서 (146)은 처리조(101)저면의 개방구(102) 근방에 복수개소 형성 된 오목한 부이며 용수철(147) 및 용수철(147)에 의해 힘이 가해진 걸어맞춤부재 (148)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한 용수철(147) 및 걸어맞춤부재(148)에 의해 걸어맞춤수단을 구성하고 상기한 개방구(102)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후술하는 셔터(149)의 걸어맞춤구멍(152)에 걸어맞춤부재(148)이 걸어맞추어지고 셔터(149)를 위치 결정하게 되어있다.
상기한 용수철(147) 및 걸어맞춤부재(148)로된 걸어맞춤수단은 셔터(149)가 개방구(102)를 완전희 폐색시킨위치 및 셔터(149)가 개방구(102)를 대략 개방한 위 치에서 걸어맞춤부재(148)이 셔터(149)의 걸어맞춤구멍(152)에 걸어맞추어지도록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149)는 상기한 제1안내부(143)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장착되고 처리조(101)저면의 개방구(102)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이며 고내식성 금속재료,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강으로된 평판상의 폐색체(150)과 그폐색체(150)에 나사조임 고정되는 합성수지제의 손잡이(151)로 구성되어 있다.
(152)는 셔터(149)의 폐색체(150)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이며 상기한 걸어맞춤 부재(148)이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고 셔터(49)를 위치결정하도 록 되어있다.
(153)은 상기한 손잡(151)에 형성된 수납부이며 자석(154)가 수납되고 그 자석 (154)를 커버(155)로 덮도록 되어있고 그 커버(155)를 폐색체(150)에 형성한 투과 구멍(156)으로부터 노출시키고 있다.
제10도에 있어서 (157)은 하부케이스(103)에 설치된 리이드스위치이며 자석 (154)의 자력에 의해 ON/OFF 조작되며 개방구(102)를 셔터(149)가 개방한 것을 검출하여 전동기(122)를 정지시키도록 되어있다.
(158)은 제2안내부 (144)에의해 처리조(101)의 개방구(102)아래쪽 위치에 지지되는 투명한 합성수지제의 용기이며 주위가장자리에 날부(159)를 갖고 있고 날부(159)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낮게 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용기(158)의 폭치수는 하부케이스(103)의 다리부(104)간의 치수보다도 약간 좁게 형성되고 용기(158)의 제2안내부(144)의 장착시 다리부(104)가 위치결정하도록 되어있다.
또 용기(158)의 날부(159)는 전방측을 제2안내부(144)의 높이치수보다도 높게형성하고 제2안내부(144)의 장착시에 용기(158)의 장착방향에 착오가 나지않게 되어있다.
(160)은 날부(159)하면에 형성한 돌기부이며 제2안내부(144)의 오목한부(145)에 걸어맞춰져서 용기(158)를 위치결정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용기(158)은 전방측의 날(159)의 중앙부분에 아래쪽으로 내리고 용기(158)의 인출실에 셔터(149)의 손잡이(151)이 닿지않게하고 있다.
(161)은 처리조(101)를 씌우는 합성수지제의 상부케이스이며 양측면하부 및 후면하부를 하부케이스(103)에 나사고정시키고 하부케이스(103)과 상부케이스(161)로서 본체케이스를 구성하도록 되어있다.
(162)는 상부케이스(161)전면하부에 형성된 슬릿이며 하부케이스(103)하면에 고정된 엘(L)자형상의 금속박판(163)이 삽입되고 상부케이스(161)전면측을 하부케이스(103)에 고정시키고 있다.
하부케이스(103) 및 상부케이스(161)은 처리조(101)측면의 구동기구보다도 하측에서 접합되어있고 상부케이스(161)를 떼어내므로서 구동기구 및 히이터가 노출되고 구동기구의 보수등을 용이하게할수있게 되었다.
(164)는 상부케이스(161)에 장착된 손잡이부로서 처리조(101) 및 커버(133)에 나사고정되어 있다.
(165)는 상부케이스(161)상면에 형성된 투입개방구로서 개방구가장자리를 처리조(101)내로 뻗어설치하고 있다.
(166)은 처리조(101)의 상면개방구가장자리에 장착된 밀봉부재이며 발포수지로 형성되고 투입개방구(165)가장자리에 맞닿고 악취의 노출과 벌레등의 칩입을 방지하고 있다.
(167)은 상부케이스(161)상면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뚜껑이며 투입개방구(165)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도록 하고 있다.
(168)은 상기한 뚜껑(167)이면에 장착된 발포수지제의 밀봉부재이며 상부케이스(161)상면의 투입개방구(165)원주가장자리에 맞닿아서 처리조(101)내의 악취가 투입개방구(165)를 거쳐서 외부로 누출되거나 투입개방구(165)를 거쳐서 처리조(101)내로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169)는 상부케이스(161)상면에 형성된 조작부이며 전동기(122), 면상히이터, 히이터(119), 및 팬(118)을 제어함과동시에 전동기(122) 및 팬(118)등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도록 되어있고 뚜껑(167)에 형성된 투시창(170)을 거쳐서 뚜껑(167)이 폐색된채의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게되어있다.
(192)는 제1더미스터(185), 제2더미스터(187), 리이드스위치(157) 및 후술하는 뚜껑검지수단(193)으로부터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어회로이며 제1제어부(194)를 거쳐서 제1면상히이터(181), 제2제어부(196)를 거쳐서 제2면상히이터(186), 팬(118) 및 전동기(122)를 제어하도록 되어있다.
뚜껑검지수단(193)은 상부케이스(161)에 도시하지않은 리이드스위치가 장착되고 뚜껑(167)에 장착된 도시하지않은 자석에 의해 ON/OFF 조작되는것으로서 뚜껑(167)을 개방한때에 전원을 정지시키고 폐색한때에 전원이 들어오게 되어있다.
그리하여 뚜껑(167)을 개방하고 투입개방구(165)로부터 처리조(101)내에 유기물을 투입하여 뚜껑(167)을 폐색시킨다.
뚜껑검지수단(193)이 뚜껑(167)의 폐색상태를 검출하고 그 출력에 기초해서 제어회로(192)가 전동기(122), 제1면상히이터(181), 팬(118) 및 제2면상히이터(186)에 통전한다.
그리고 교반체(135)가 회전해서 담체와 유기물과를 혼합한다.
유기물은 담채에 배양되는 미생물등에 의해 2산화탄소와 물로 발효되고 퇴비화한다.
전동기(122) 및 제1면상히이터(181)에의 통전에의해 교반체(135)가 회전해서 담체(182)와 유기물과의 혼합함과동시에 처리조(101)내온도를 미생물등의 활성화에 최적의 범위로 유지해서 담체(182)에 배양되는 미생물등에 의해 유기물을 2산화탄소와 물로 발효해서 퇴비화한다.
또 팬(118) 및 제2면상히이터(186)에의 통전에의해 공기층(184)의 공기를 순환로를 거쳐서 가열하면서 순환시키고 유기물의 발효에의해 생기는 수분을 기화하고 담체(182)의 온도 및 함수량을 미생물등의 활성화에 최적의 범위로 유지함과 동시에 미생물의 활성화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처리조(101)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일부는 배출통(113)의 후방부분으로부터 배기로(114) 및 배기구(115)를 거쳐서 본체케이스밖으로 배기되고 처리조(101)내의 공기가 과습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처리조(101)내의 수분제거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생물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유기물처리효율을 향상시킨다.
처리조(101)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것에 수반하여 하부케이스(103)에 형성한 흡기구(106)으로부터 본체케이스내로 외기가 흡기되고 처리조(101)상면에 형성된 흡입구로부터 처리조(101)내로 흡기된다.
본체케이스내로 흡기된 공기는 처리조(101)외면에 장착된 면상히이터에의해 가열되고 더구나 처리조(101)내를 순환하는 공기과 혼합되기때문에 동계에 있어서도 처리조(101)내의 온도를 크게 저하시키는일이없이 유기물처리효율에 악영향을 미치는일이없다.
다음에 담체(182) 또는 퇴비화된 유기물의 배출작업을 설명한다.
셔터(149)를 전방향으로 빼내고 처리조(101)저부의 개방구(102)를 개방하면 담체는 개방구(102)로부터 용기(158)로 낙하하여 저장된다.
이 상태에서는 셔터(149)에 설치한 자석(154)가 리이드스위치(157)로부터 멀어져서 리이드스위치(157)이 OFF 가되기때문에 전동기(122)가 정지된다.
용기(158)이 가득차면 셔터(149)를 장착하여 개방구(102)를 폐색시킨다.
이때 개방구(102)가장자리에 담체(182) 또는 퇴비화된 유기물이 부착되어있는 경우가있으나 셔터(149)는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하기때문에 개방구(102)가장자리에 부착한 담체등은 셔터(149)가장자리에의해 이동시켜져서 개방구(102)가장자리와 셔터(149)와의 사이의 맞물림이 방지된다.
또 셔터(149)는 금속제의 폐색체(150)에의해 형성되어있기때문에 개방구(102)가장자리에 부착한 담체등은 폐색체(150)와 개방구(102)가장자리와의 사이에서 절단되고 개방구(102)가장자리와 셔터(149)와의 사이에 유기물등이 맞물린채로의 불완전한 폐색상태가 되는일은없다.
다음에 셔터(149)를 폐색한상태에서 용기(158)를 전방으로 빼낸다.
용기(158)의 날부(159)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감에따라 높이가 높게되도록 형성하고있고 제2안내부(144)는 전방이 낮게되도록 경사지게 되어있기 때문에 용기(158)은 전방으로 빼냄에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셔터(149)이면과의 사이의 간격이 증대한다.
따라서 수북하게 쌓인 담체등이 셔터(149)의 이면에 스쳐서 붕괴되고 용기(158)의 밖으로 쏟아지는것과같은 불합리한 것이 해소된다.
처리조(101)저부는 유기물의 교반효율 및 히이터에의한 가열효율을 향상시키기위해 교반날개(138)의 회전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형상으로 하고 있으나 처리조(101)저부내벽에 실리콘오일등의 저마찰물질을 도포해서 교반날개(138)에 의해 담체(182)가 처리조(101)저부내벽을 활강시킬수가있기대문에 담체(182)와 처리조(101)저부내벽과의 사이에서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처리조(101)저부내벽에 도포한 실리콘오일은 미생물에 대해 무해하기때문에 담체(182)의 교반중에 미생물이 처리조(101)저부내벽에 접촉해도 미생물이 사멸하는일은 없다.
상기한 실시예는 처리조(101)저부내벽에 저마찰물질을 도포해서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하고있으나 제33도 및 제3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교반날개(138)의 회전궤적에 직각으로 교차하는 돌기(195)를 처리조(101)저부내벽에 설치한 구성으로해도된다.
이 구성에서 교반날개(138)에의해 담체(182)가 처리조(101)저부내벽에 밀어붙여진경우 돌기(195)가 저항이되어 담체(182)가 처리조(101)저부내벽을 마찰하는 것을 방지해서 저마찰물질을 도포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담체(182)와 처리조(101)저부내벽의 사이에서 이상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대신에 교반축(138)의 회전궤적에 경사지게 교차하는 돌기를 처리조(101)저부내벽에 설치한 구성으로해도된다.
또 돌기(195)대신에 처리조(101)저부내벽을 조잡한면으로한구성 혹은 교반날개(138)의 회전궤적에 직각으로 교차 혹은 경사지게 교차하는 홈을 처리조(101)저부내벽에 설치한구성으로해도 같은 모양으로 이상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가 있다.
용기(158)내의 담체등을 폐기한후 재차 제2안내부(144)에 장착하는 것이지만 용기(158)은 다리부(104)간의 폭보다도 적은폭으로 좁게 형성하고 제2안내부(144)선단을 다리부(104)전면측단보다 후방으로 위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용기(158)의 장착조작시 다리부(104)가 용기(158)의 위치결정이되고 용기(158)의 날부(159)를 용이하게 제2안내부(144)에 장착시킬수가있다.
용기(158)를 제2안내부(144)에 장착하는때 제1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58)을 전후로 착오해서 장착하려고한 경우에는 용기(158)의 날부(159)의 전면측단말부의 높이가 제2안내부(144)에 삽입되지 않고 용기(158)을 전후로 착오해서 장착되는일은 없다.
다음에 처리조(101)에의 교반체(135)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처리조(101)측면에 제1보강판(107) 및 제2보강판(108)을 장착한 상태에서 처리조(101)측면으로부터 교반축(137)을 처리조(101)에 삽입하고 교반축(137)양단을 축받이(136)에 축지지한다.
그리고 교반날개(138)의 소직경부(139)를 교반축(137)의 관통구멍에 삽입하고 교반날개(138)의 소직경부(139)측에 형성한 테이퍼부(141)선단에 저지륜(171)를 삽입하고 그 저지륜(171)을 도시하지않은 치구에 의해서 압축해서 교반날개(138)의 걸어맞춤홈(140)에 걸어맞춘다.
저지륜(171)은 테이퍼부(141)에의해 확대개방되면서 걸어맞춤홈(140)에 장착되기 때문에 저지륜(171)의 확대개방 상태가 균일하게 되고 치구에 의해 확대 개방한 상태에서 걸어맞춤홈에 장착하는경우와 같이 치구에 의한 저지륜(171)의 확대개방 상태가 불균일하게 되어 교반날개(138)의 유지력이 불균일하게 되는 불리함을 해소할수 가 있다.
또 착오로 투입한 단단한 이물질이 교반날개(138)와 처리조(101)과의 사이에 물려든 경우등 교반날개(138)에 과대한 부하가 걸려서 교반날개(138)이 변형한 경우등에는 치구에 의해 저지륜(171)을 확대개방해서 저지륜(171)을 교반날개(138)로부터 떼어낼 수가 있고 용이하게 교반날개(138)를 교환할 수가 있다.
교반날개(138)는 교반축(137)에 천설한 관통구멍에 소직경부(139)를 삽입관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138)이 교반축(137)에 대해 경사지는 일이 없고 교반날개(138)선단과 처리조(101)저면과의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하게되는 일이 없고 처리조(1010)저면 근방위치의 담체도 확실히 교반할 수가 있다.
처리장치를 사용장소에 설치하는 때에는 상부케이스(161)측면의 손잡이부(164)에 손을 걸어서 처리장치를 운반하는 것이지만 손잡이부(164)를 장착한 상부케이스(161)은 배면 및 양측면을 하부케이스(103)에 나사고정 시킨것뿐이므로 기계적강도가 부족하여 상부케이스(161)이 변형해서 잡기어렵게 되지만 손잡이부(164)를 제2보강판(108) 및 커버(133)에 나사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164)가 이동하는일이없고 처리장치의 운반에 지장을 주는일이 없다.
또 상부케이스(161)전면하부는 하부케이스(103)에 고정한 금속박판(163)을 상부케이스(161)전면하단의 슬릿(162)에 삽입해서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부케이스(161)전면이 변형해서 하부케이스(103)와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일이 없다.
유기물의 투입시 착오로 맥주병 뚜껑등의 처리불능인 것 및 소나 돼지의 뼈 등의 처리에 시간을 요하는 것이 투입될 우려가 있으나 이들 난처리성의 이물질은 교반체(135)의 회전에 의해 점차로 처리조(101)저부로 이동한다.
처리조(101)저부의 개방구(102)가장자리를 아래쪽으로 뻗어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날개(138)의 회전궤적과 개방구(102)원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난발효성 이물질은 이 공간에 저장된다.
난발효성의 이물질은 셔터(149)의 개방시에 최초로 개방구(102)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그 이후에 배출되는 담체(182)에는 거의 이물질이 혼입되어있지 않고 그대로 퇴비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제29도는 본 발명의 다시 또다른 실시예의 셔터(172)를 나타내고 그 셔터(172)는 고내식성금속재료, 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레스강제의 폐색체(173)과 그 폐색체(173)의 처리조(101)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는 저열전도성재료, 본 실시예에서는 ABS등의 합성수지제의 손잡이(174)로 구성하고 있고 손잡이(174)는 셔터(172)의 붙이고 떼는 조작시에 손걸침부가 되는 파지부(175)와 폐색체(173)의 처리조(101)에 대향하는면의 대략 전면을 덮은 피복부(176)으로 구성하고 있다.
(177)은 상기한 폐색체(173)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으로서 걸어맞춤부재(148)이 걸어맞춤이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고 셔터(172)의 위치결정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이 실시예의 셔터(172)는 스테인레스강제의 폐색체(173)의 처리조(101)에 대향하는 면의 대략 전면을 저열전도성재료로된 손잡이(174)로 덮고 있기 때문에 처리조(101)내부의 온도가 폐색체(173)를 거쳐서 방열되는 것이 억제되고 동계에 있어서의 처리조(101)내의 온도저하를 억제해서 처리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수가있다.

Claims (22)

  1. 담체(2)를 수납한 처리조(1)에 투입된 유기물을 상기한 담체(2)중에 혼합시켜 그 담체(2)중에 생식하는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처리조(1)내에 도입되는 외기와의 접촉 하에 퇴비화하는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처리조(1)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 열수단과 상기한 처리조(1)의 조내온도를 유기물의 투입량에 따른 목표온도로 유지 하기위해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기물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유기물의 투입후의 소정시간, 미리정한 온도를 목표온도로서 동작시키는 것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열수단의 ON/OFF 시간의 조절에의해 목표온도가 상기한 목표온도를 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기물처리장치.
  4.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수단을갖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를 덮는 본체케이스와 상기한 처리조(101)측면과 본체케이스와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한 교반수단을 교반시키는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를 구비하고 본체케이스를 처리조(101)를 탑재고정시키는 하부케이스(103)와 처리조(101)를 덮고 하부케이스(103)에 고정되는 상부케이스(161)로 구성하고 상기한 상하부케이스(161), (103)의 접합부를 상기한 구동기구보다도 아래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5. 유기물을 수납하는 처리장치는 유기물을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135)와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교반체(135)를 처리조(101)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교반축(137)과 교반축(137)에 천설된 관통 구멍(190)에 삽입관통되고 저지륜(171), 키이, 혹은 핀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교반날개(13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유기물을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135)와 교반체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교반체(135)를 처리조(101)내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된 교반축(137)과 교반축(137)에 천설된 관통 구멍(190)에 삽입관통되고 저지륜(171)으로서 고정되는 복수의 교반날개(138)로서 구성하고 상기한 교반날개(138)에 저지륜 걸어맞춤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저지륜 걸어맞춤홈으로부터 교반날개(138)의 선단으로 향해서 점차 적은직경으로 형성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7. 유기물을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저면최하부근방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와 그 개방구(102)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149)와 상기한 처리조(101)를 덮는 본체케이스와 개방구(102)의 아래쪽 위치에 붙이고 떼는 것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용기(158)를 구비하고 상기한 본체케이스에 용기(158)를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안내부(148)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안내부(142)는 용기를 개방구(158) 아래쪽으로부터 빼낸 위치로부터 용기(158) 아래쪽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8.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 저면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102)와 그 개방구(10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개방구(102)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149)와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135)와 그 교반체(135)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셔터(149)를 평판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 저면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102)와 그 개방구(10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개방구(102)를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149)와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135)와 그 교반체(135)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방구(102)가장자리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뻗어설치하고 그 개방구(102)가장자리하단부에 평탄상셔터(149)를 밀접시킨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0.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 저면에 형성된 유기물 배출용 개방구(102)와 그 개방구(102)에 대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시키는 셔터(149)와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135)와 그 교반체(135)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개방구(102)를 처리조(101)저면외측에 개방구(102)에대해 양측위치에 가열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1.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101)와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135)와 그 교반체(135)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한 처리조(101)를 탑재시키는 하부케이스와 상기한 처리조(101) 측면을 덮는 상부케이스(161)와를 구비하고 처리조(101) 외측에 면상히이터(181)를 배치함과 동시에 그 면상히이터(181)를 하부케이스(103)와 처리조(101)와의 사이에서 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2. 유기물을 수납하고 대략 원호상의 저면을 갖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 외측면에 장착되는 보강틀(109)과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는 교반체(135)와 그 교반체(135)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한 처리조(101) 외측에 면상히이터(181)를 장착함과 동시에 그 면상히이터를 보강틀(109)과 처리조(101)와의 사이에서 협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3. 유기물을 수납하고 퇴비화를 행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를 덮는 본체케이스와 그 처리조(101)에 형성된 흡입구(197)와 상기한 본 체케이스에 형성된 흡기구(106)와 흡기구(106)를 연달하 통하는 공기유로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상기한 처리조(101)외면에 공기유로에 임하게 해서 처리조(101)내를 가열하는 히이터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4. 유기물을 수납하고 퇴비화를 행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101) 외면에 장착하고 처리조(101)내를 가열하는 제1의 히이터(108)와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보다 위쪽위치 에 대응하는 처리조(101)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101)내를 가열하는 제2의 히이터(10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유기물을 수납하고 퇴비화를 행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101) 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101) 내를 가열하는 제1의 히이터(181)와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보다 위쪽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101) 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101)내를 가열하는 제2의 히이터(186)와 상기한 제1의 히이터(181)를 제어하는 제1의 제어부(194)와 제2의 히이터(186)를 제어하는 제2의 제어부(196)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유기물을 수납하고 퇴비화를 행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내의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101)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101)내를 가열하는 제1의 히이터(181)와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보다 위쪽위치에 대응하는 처리조(101)외면에 장착되고 처리조(101)내를 가열하는 제2의 히이터(186)와 상기한 제1의히이터(181) 제2의 히이터(186)를 제어하는 제어회로(192)를 구비하고 상기한 처리조(101)내의 유기물보다 위쪽위치의 온도를 유기물이 퇴적되는 위치의 온도보다도 낮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7.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182)를 수납하고 양측면에 관통구멍(190)을 갖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 양측면에 장착되는 보강판(107),(108)과 처리조(101) 외벽에 보강판(107),(108)을 거쳐서 관통구멍(190)과 동심원상으로 장착되는 축받이(136)와 상기한 관통구멍(190)에 삽입관통되고 축받이(136)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는 교반축(137)과 그 교반축(137)을 회전구동시키는 전동기(122)와 그 교반축(137)에 고정되고 처리조(101)내의 담체(182)를 교반하는 교반날개(138)와를 구비하고 상기한 축받이(136)와 처리조(101)외벽과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8.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182)를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 내에 설치되고 처리조(101)내의 담체(182)를 회전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135)를 구비하고 처리조(101) 저부를 교반체(135)의 회전 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저마찰 물질을 처리조(101) 저부내벽에 도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19.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182)를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내에 설치되고 처리조(101)내의 담체(182)를 회전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135)를 구비하고 처리조(101) 저부를 교반체(135)의 회적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형상으로 하고 처리조(101) 저부내벽을 조잡면으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20.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182)를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내에 설치되고 처리조(101) 내의 담체(182)를 회전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135)를 구비하고 처리조(101) 저부를 교반체(135)의 회전 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돌기(160)를 처리조(101) 저부 내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21.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182)를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내에 설치되고 처리조(101) 내의 담체(182)를 회전 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135)를 구비하고 처리조(101) 저부를 교반체(135)의 회점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교반체(135)의 회전 궤적에 교차하는 돌기(160)를 처리조(101) 저부내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22. 미생물을 배양하는 담체(182)를 수납하는 처리조(101)와 그 처리조(101) 내에 설치되고 처리조(101)내의 담체(182)를 회전 구동에 의해 교반하는 교반체(135)를 구비하고 처리조(101) 저부를 교반체(135)의 회전 궤적에 따른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교반체(135)의 회전 궤적에 교차하는 홈을 처리조(101) 저부 내벽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KR1019950040206A 1994-11-08 1995-11-08 유기물처리장치 KR01483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74040 1994-11-08
JP27404094A JP3505242B2 (ja) 1994-11-08 1994-11-08 厨芥処理装置
JP7069740A JPH08257538A (ja) 1995-03-28 1995-03-28 有機物処理装置
JP95-69740 1995-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8316B1 true KR0148316B1 (ko) 1998-08-17

Family

ID=26410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206A KR0148316B1 (ko) 1994-11-08 1995-11-08 유기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48316B1 (ko)
CN (1) CN125702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083B1 (ko) * 2006-09-11 2007-12-07 권상동 유기 폐기물 처리용 교반 장치
CN111922047B (zh) * 2020-08-10 2021-09-21 郭卫 一种建筑垃圾分类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42243A (zh) 2003-09-17
CN1257024C (zh) 200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316B1 (ko) 유기물처리장치
JP3505242B2 (ja) 厨芥処理装置
KR1998001516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3599885B2 (ja) 厨芥処理装置
KR2002007895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공기 공급장치
JP3349289B2 (ja) 厨芥処理装置
JP3438933B2 (ja) 厨芥処理装置
JP3599916B2 (ja) 厨芥処理装置
JP3316294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3485674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H1190403A (ja) 有機物処理装置
JP3594361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3363625B2 (ja) 厨芥処理装置
JP3369683B2 (ja) 厨芥処理装置
JPH05221765A (ja) 家庭用生ゴミの堆肥化装置における通気方法
JP3363626B2 (ja) 厨芥処理装置
JP3819581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3363627B2 (ja) 厨芥処理装置
JPH0913248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H08131996A (ja) 厨芥処理装置
JP2001239236A (ja) 有機物処理装置
JPH11309433A (ja) 有機物処理装置
JPH08281240A (ja) 有機物処理装置
JPH11333431A (ja) 有機物処理装置
JPH08290150A (ja) 廃棄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