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104B1 - Pip 시스템의 자화면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Pip 시스템의 자화면 위치 조절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104B1
KR0148104B1 KR1019910701388A KR910701388A KR0148104B1 KR 0148104 B1 KR0148104 B1 KR 0148104B1 KR 1019910701388 A KR1019910701388 A KR 1019910701388A KR 910701388 A KR910701388 A KR 910701388A KR 0148104 B1 KR0148104 B1 KR 014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data
contro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148A (ko
Inventor
알란 캔필드 바쓰
제이 더필드 데이빗
Original Assignee
조세프 에스. 트리폴리
톰슨컨슈머일렉트로닉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프 에스. 트리폴리, 톰슨컨슈머일렉트로닉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조세프 에스. 트리폴리
Publication of KR920702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제1크기의 메모리 영역내에서 화면 중심점에 대한 자화상의 중심점 위치를 니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PIP시스템이 개시된다. 자화상 데이터는 독출 어드레스라고 불리는 메모리 위치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시작하여 메모리 영역에서 독출된다. ZOOM- IN 또는 ZOOM-OUT지령이 수령되면 다른 크기의 새 화상에 대한 데이터가 다른 크기의 미사용 메모리 영역에 표시를 위해 저장되고, 새로운 자화상 중심점과 독출 어드레스가 계산되어 다른 크기의 새로운 자화상 영역의 표시 중심과 기존의 자화상의 표시 중심은 거의 동일하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PIP 시스템의 자화면 위치 조절장치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PIP(Picture-in-picture)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수상기에 관한 것이다 .
[발명의 배경]
이하에서 텔레비전 수상기란 용어는 표시장치(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세트로 알려짐)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상기와,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CR)와 같이 표시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칭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된 텔레비전 수상기란 용어는 RF튜너 및 기저대 신호입력회로를 가진 텔레비전 모니터 및 수상기를 포함한다.
최근의 많은 텔레비전 수상기는 PIP(또는 PIX-IN-PIX)기능을 구비하는데, 이는 두 다른 신호원으로부터 영상신호(video signa)를 수신하고 이를 조합하여 제1프로그램을 한 화면의 주 가시영역(Viewing area)에 제 2프로그램을 부(자)가시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PIP(또는 PIX-IN-PIX) 유닛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디지탈 특성을 나타내도록 개발된 IC이다. PIP는 다양한 특수 효과를 발휘하는데 유용한 바, PIP의 가장 알려진 용도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한 이동하는 PIP화면을 형성하는 것일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PIP 시스템은 화면 중심점에 대한 자화면(inset picture)의 중심점의 위치를 저장한다. ZOOM-IN또는 ZOOM-OUT명령이 수령되면, 비사용 영역에 표시될 다른 크기의 새화상이 저장되고 새로운 자화면 중심이 계산되며, 새로운 독출 어드레스가 계산되어 다른 크기의 새로운 자화면의 표시된 중심과 구 자화면의 중심은 거의 동일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내지 제4a도는 제5도의 메모리 유닛의 실제 및 가상 영역을 보인 도면.
제1b, 1c, 2b, 3b 및 4b 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화면을 보이는 개략도.
제5도는 메모리 유닛을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적합한 리모콘 송신기를 도시한 개략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PIP시스템은 1989년 4월 20일에 미국에 출원되어 그 출원권이 본 출원인에게 양수된 적어도 한 자화면의 줌(ZOOM) 기능을 가진 텔레비전 시스템이란 명칭의 계속중인 출원(미국 서류번호 RCA 85,550, 발명자 더필드 및 맥닐리)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간략히 설명하면, 이 PIP 시스템은 512픽셀(pixel)×256라인(line)의 대용량 디지탈 메모리에 기초하고 있다. 이 메모리는 순환적이어서, 라인 2가 라인 1에 후속하는 것처럼 라인 1이 라인 256에 후속하며, 픽셀 2가 픽셀 1에 후속하는 것처럼 픽셀 1은 픽셀 512에 후속한다. PIP모드에서는 PIP입력회로가 자화면 필드를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PIP유닛에 프로그램된 메모리내의 소정 위치의 메모리에 기록해 넣는다. 이 위치는 좌상단 위치로 지정된다. 기록된 자화면 필드의 크기(축소율 및 크로핑(cropping)비율)역시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PIP유닛에 프로그램된다. PIP모드에서, PIP 출력회로는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된 위치로부터 메모리의 독출을 개시한다. 이 독출 위치는 주 화면(main picture)이 새로운 필드의 개시(좌상단 위치)시에 PIP 유닛이 독출을 개시하는 위치이다. 주 화면내의 자화면 위치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는, PIP출력 회로는 다른 위치로부터 메모리의 독출 개시하도록 프로그램된다. 자화면의 크기를 변화시키고자 할 때는, PIP입력회로가 더 작거나 큰 자화면 필드를 메모리 내에 기록하도록 프로그램된다.
PIP 기능이 턴온(turn on)되면 , PIP입력 회로는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를 초기화한다. 이 메모리 초기화는 PIP경계를 설정하고 신속한 스위칭 제어를 위해 수행된다. 그러면 PIP입력회로는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이 축소되거나 크로핑된 자화면 필드를 메모리내에 기록하기 시작한다. PIP출력회로는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되어 주어진 위치로부터 메모리의 독출을 개시한다. 자화면 필드가 기록되는 위치와 출력 회로가 독출을 개시하는 위치의 양위치가 주화면상의 자화면의 위치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자화면의 주화면에 대한 새로운 위치를 명령하면,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PIP출력회로가 메모리의 독출을 개시할 위치를 변화시킨다. 자화면 위치의 변화는 자화면 필드의 기록 위치 또는 출력 회로의 독출 개시위치의 어느것의 변화로도 이뤄진다. 그러나 입력회로가 자화면 필드가 기록될 위치를 변화시키면 먼저 메모리가 다시 초기화되어야 하므로, 표시되는 자화면에 감지가능한 짧은 교란이 발생된다. 따라서 주화면에 대한 자화면의 유연한 이동은 PIP독출 위치(독출 어드레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화면에 대한 PIP자화면이 이동을 제1a도, 제1b도, 제1c도, 제2a도 및 제 2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하에 PIP유닛에 사용되는 영상 메모리 (VRAM)는 약 1Mbit 의 메로리를 가진다. 이것은 256라인의 어레이로 구성되고 각 라인은 512픽셀(화소)을 포함한다. 이 메모리는 순환적으로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각 어드레스들은 수평 방향으로나 수직 방향으로 순환된다.
제1a도에서, 실제(physical)메모리(VRAM)는 점(0,0)에서 좌상 구석을 가진 블록(100)으로 표시된다. 메모리 위치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하며 0내지 511로 지정된다.
어레이(array)의 라인은 위에서 아래로 증가되며 0내지 255로 지정된다. 따라서 실체 메모리(100)에서 좌상단 메모리 위치는 (0,0)이며 우하단 메모리 위치는 (255,511)이다. 이 메모리 위치들은 순환적으로 어드레스가 부여되었으므로 라인 255다음의 어드레스는 라인 0이며 각 라인에서 픽셀 511 다음의 어드레스는 픽셀 0이다.
이러한 순환적 어드레싱에 의해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상(virtual)메모리 (102,104,106)의 확장이 가능해진다. 또 가상 메모리 개념은 PIP 자화면이 화면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가시화할 수 있도록 한다.
PIP 자화면(110)은 실체 메모리 블록(100)내에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화면(Insert;110)은 메모리 위치(0,0)에서 좌상단을 갖는다. 데이터가 VRAM(100)으로부터 위치(0,0)에서 개시되어 위치(511,255)에서 종료되도록 독출된다면 PIP자화면은 제1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될 것이다. 그러나 자화면은 위치(0,0)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독출이 개시됨으로써 화면의 다른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 프레임(wire frame;120)이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체 및 가상 메모리에 걸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와이어 프레임(120)의 좌상단은 대략 가상 메모리(104)의 메모리 위치(478;244)에 위치한다. 물론 이 점은 가상 메모리(104)가 가상적이므로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점은 가상 메모리(104)에는 실재하며, 이점에서 메모리 독출을 개시하면 제1c도와 같이 표시된다.
이때 PIP자화면(110')은 제 1b도에서의 위치보다 약간 하측 및 우측으로 이동하여 나타난다. 또한 제1c도에서의 이 자화면 위치는 가상의 와이어 프레임(120)에 대한 자화면 위치에 정확히 대응한다.
또다른 예로서 제2a도를 고찰해보면, 자화면(110)은 앞의 예와 동일한 위치에 저장되나, 와이어 프레임(120)은 새로운 위치로 이동했다 .이 와이어 프레임(120)의 좌상단은 대략 메모리 위치(163,93)에 위치한다. VRAM(100)에서 독출되는 데이터가 실체 메모리에서 위치(163,93)에서 개시된다면 결과적으로 제2b도와 같이 표시될 것이다. 제 2b도의 자화면(110')은 제1b 및 1c도의 자화면 위치에 비해 상당히 떨어져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자화면이 VRAM(100)에서의 실제저장 위치를 변화시키지 않고 한 표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상당히 이동했다는 점이다. 위치의 변화는 전적으로 개시 독출 어드레스의 변화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자화면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지령하면,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먼저 PIP 유닛이 메모리를 다시 초기화시켜 새로운 축소율과 크로핑 비율로 자화면 필드의 기입을 개시하도록 프로그램해야 한다. 자화면의 중심 위치가 주화면 내에서 크기 변화를 하기전의 자화면 위치와 동일점에 있다면 기입위치나 독출 위치중의 어느 하나가 변화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화면의 좌상단은 주화면상의 동일 위치에 유지되어 자화면의 중심은 동일 위치에 유지되지 못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자화면 크기가 변화되어도 자화면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PIP 시스템은 여러 가지 대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시스템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축소 및 크로핑된 자화면 필드는 메모리에서 언제나 동일한 위치에 기입되는 바, 즉 자화면 필드의 좌상단은 축소율이다 크로핑 비율과 무관하게 언제나 메모리의 동일 위치에 위치한다. 주화면에 대한 자화면의 위치는 언제나 독출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된다.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주화면에 대한 자화면의 수평(HC) 및 수직(VC) 중심 위치를 유지하는 변수를 보유한다.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HC 및 VC변수와 자화면의 현재 크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독출 어드레스를 연산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자화면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지시하면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HC 및 VC변수들을 변화시켜 PIP유닛에 사용될 새로운 독출 어드레스를 재계산한다. 사용자가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자화면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지시하면 제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1)PIP 유닛이 메모리를 다시 초기화하도록 하고,
2)자화면 축소율 및 크로핑 비율과 관련된 매개변수들을 변화시키고,
3)현재의 HC 및 VC와 새로운 자화면 크기 정보에 따라 독출 어드레스를 재계산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새로운 자화면의 중심은 주화면에 대해 동일 위치를 유지한다.
PIP 자화면의 확대(ZOOM)에 대해 제3a도, 제3b도 및 제4a도, 제4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a도는 제1a도, 제1b도 , 제1c도 및 제2a도 , 제 2b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체 및 가상 메모리 구성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의 와이어 프레임(120)이 자화면 부근에 위치하여 제3b도에 도시된 것처럼 자화면의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이 와이어 프레임(120)의 좌상단은 대략 메모리 위치(313,193)에 위치하는데, 이는 물론 표시 시간의 개시시에 데이터의 독출이 개시될 실체 메모리상의 위치이다.
제4a도에서, 더 큰 자화면(115) 데이터의 일례가 VRAM(100)에 저장되어 있다. 새로운 자화면(115')의 표시 중심은 이전에 표시되던 자화면(110')의 표시 중심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와이어 프레임(120)을 이동시켜 자화면(115')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제4a도의 와이어 프레임(120)의 좌상단은 대략 메모리 위치(383, 193)에 위치한다.
최초 독출위치, 즉 와이어 프레임(120)의 좌상단의 위치를 정하는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술한 시스템은 VRAM(100)에 기입 및 독출되는 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하게 다른 크기의 (예를들어 약 80가지 크기의)자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실용상으로는 자화면의 크기는 4,5가지 정도면 충분하다.
제5도에서, 콘트롤러(500)는 내장 키보드(local keyboard;505)와 적외선 (IR) 수신기(51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IR수신기(510)는 리모콘 유닛(remote control unit; 515)에 의해 전송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디코딩(decoding)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콘트롤러(500)는 텔레비전 튜너(520)가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특정 RF신호를 선택하여 동조되도록 한다. 튜너(520)는 중간 주파수(IF)신호를 형성하여 이를 , 화상(pixture;PIX)증폭단과 AFT회로와 영상 검출기를 구비하는 제1부분(525a)과, 음성 증폭단과 오디오 검출기 및 스테레오 디코더를 구비하는 제2부분(525b)을 포함하는 처리 유닛(525)에 공급한다.
처리 유닛(525)은 기저대(baseband) 영상신호(TV)와, 기저대 좌측 및 우측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처리 유닛(525)의 AFT회로는 또한 AFT크로스 오버(crossover)가 검출되는 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도선(524)을 통해 콘트롤러 (500)에 인가한다.
기저대 영상신호(TV)는 도선(526)을 통해 4입력 비디오 스위치(530)의 한 입력단에 접속된다. 기저대 좌측 및 우측 오디오 신호는 4쌍의 오디오 입력으로부터 한쌍의 입력을 선택하는 오디오 스위치(540)의 한쌍의 입력단에 공급된다.
비디오 스위치(530)와 오디오 스위치(540)는 각각 외부원으로부터 기저대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받는 세 다른 입력단(AUX1,AUX2,AUX3) 등을 구비한다. 비디오 스위치(530)와 오디오 스위치(540)의 각 입력단은 콘트롤러(540)에서 발생된 2진 신호에 의해 선택 가능한데, 각각 도선(531,532)을 통해 제어입력(C1,C0)을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C1 및 C0가 각각 로우 신호 레벨(2진 신호로 00)인 경우는 TV입력이 선택된다.
C1이 로우이고 C0가 하이(2진 신호로 01)이면 AUX1이, C1이 하이이고 C0가 로우(2진 신호로 10)이면 AUX2 가, C1 및 C0가 모두 하이(2진 신호로 11)이면 AUX3이 각각 선택된다. 도선(531, 532)이 비디오 스위치(530) 및 오디오 스위치(540)의 해당 제어 입력단(C1,C0)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해당 영상 및 오디오신호의 선택이 확실하다.
선택된 영상 신호는 비디오 프로세서 유닛(560)에 공급되어 최종적으로는 표시장치(570)의 화면상에 표시된다.
화상 신호는 또한 이로부터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를 분리해내는 동기 분리기 유닛(565)에도 공급된다. 선택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프로세서 유닛(580)에 공급되어 최종적으로는 스피커(590,595)를 통해 재생된다. 상술한 회로는 미합중국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에 소재하는 톰슨 가전회사(Thomson Consumer Electronics)가 제작한 텔레비전 수상기 RCA CTC-140에 의해 기본적으로 공지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PIP유닛(550)이 비디오 스위치(530)와 비디오 프로세서(560)사이에 개재된다. PIP유닛(550)의 A입력단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내장 튜너 및 1F 회로로부터 기저대 신호를 공급받도록 접속되고, B입력단은 비디오 스위치(530)의 출력신호를 받도록 접속된다. PIP유닛(550)은 동기 분리기 유닛(565)으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를 받는 VS IN입력단과 수평 동기 신호를 받는 HS IN 입력단을 구비한다. 동기 분리기 유닛(565)은 또한 도선 (522)을 통해 콘트롤러의 VERT SYNC IN 입력단에 수직 동기 신호를 제공한다.
직렬 제어 버스(Serial control bus; 553)에는 PIP유닛 (550)이 주화면과 자화면을 포함하는 표시화상(image)을 형성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550)의 지령 데이터가 인가된다.
콘트롤러의 지령은 직렬 버스(553)를 통해 PIP 기능을 작동 또는 비작동시켜 자화면을 예를들어 4구석중 하나 또는 다른 부분에 표시시키게 된다. PIP유닛(550)은 제어버스 인터페이스(550a)와, 래치(550b)와 프로세서(550c)를 구비한다.
래치(550b)는 수령된 프로세서 지령이 수직 동기되도록 한다.
직렬 버스(553)를 통한 콘트롤러 지령에 의해 주화면과 자화면 화상을 치환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스피커(590,595)로 재생되는 음성은 바람직하기로는 주화면에 표시되는 화상(image)을 추종, 즉 이와 대응한다.
제5도에 도시된 구성은 비디오 스위치(530) 및 오디오 스위치(540)의 병렬로 접속된 제어 입력단(C1,C0)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와 주부화면 치환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음성신호를 선택한다. 이러한 작동은 저항(R531,R532)과 다이오드(D531, D532)와 트랜지스터(Q531)와 SWAP제어선(541)을 구비하는 회로로 수행된다. 이러한 음성 선택 회로의 작동은 본 발명과 직접적 관계가 없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R수신기(510)는 예를 들어 제 6도에 60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은 리모콘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IR신호를 수신한다.
제6도에서, 리모콘 유닛(600)은 0내지 9의 숫자와 채널 증감 지령을 위한 키들(602)과, 수상기를 켜는 키(604)와, 수상기를 끄는 키(605) 등을 포함한다. 리코콘 유닛(600)은 또한 ON/OFF라 표시된 키(608)와 MOVE로 표시된 키(611)와 화살표 키(614내지 617)들을 포함하여 화면상에 자화면의 이동을 제어하며 PIP/SURROUN CONTROL이라 표시된 복수의 키(610)들을 구비한다. 리모콘 유닛(600)은 그 내부에 눌려진 키에 따라 신호를 인코딩하여 IR 다이오드로 전송시키는 전자회로(도시안됨)를 내장하고 있다.

Claims (9)

  1. 사용자의 기동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엔트리 수단과; 복수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단과, 제1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입력단을 가지며, 상기 제1제어 신호에 응답으로 상기 무선 주파수 신호중의 하나와 동조되어 검출 화상 신호를 제1출력단으로 출력하는 튜너 복조 수단과; 비디오 화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튜너 복조수단의 상기 제1출력단에 접속되어 상기 검출 화상신호를 수신하고, 제2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 신호의 소정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제1메모리 위치부터 독출하여 제1표시 신호를 형성하며, 상기 제1표시 신호는 화면상에 표시될 때 복수의 화상 위치중의 하나에 표시된 제1크기의 화상 영역을 갖는 표시 화상을 형성하며, 상기 화상은 상기 저장된 화상 신호와 관계되는 PIP처리 수단과; 상기 튜너 복조수단과 상기 PIP처리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엔트리 수단에 접속되어 성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입력단과 상기 제1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1출력단과 상기 제2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2출력단을 갖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PIP처리 수단이 다른 소정량의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2크기의 화상 영역을 갖는 제2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신호의 상기 다른 양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제1중심 위치에 응답하여 독출을 개시할 제2메모리 위치를 연산하여 상기 제1 및 제2표시 화상 영역의 표시 중심이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PIP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PIP 시스템 .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2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ZOOM OUT제어 데이터 신호이며, 상기 제2크기의 표시 화상 영역에 대해 저장된 신호의 상기 다른 소정의 양이 상기 제1크기의 표시 화상 영역에 대해 저장된 양보다 큰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PIP 시스템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가 ZOOM IN제어 데이터 신호이며, 상기 제2크기의 표시 화상 영역에 대해 저장된 신호의 상기 다른 소정의 양이 상기 제1크기의 표시 화상 영역에 대해 저장된 양보다 적은 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PIP 시스템 .
  5. 제4항에 있어서, 독출을 개시할 상기 제2메모리 위치가 , 상기 표시 화면의 중심과 관련해서 상기 제1크기의 표시 화상 영역의 수평 및 수직 중심 위치로부터 연산되고, 상기 제2크기의 표시 화상 영역에 대해 저장된 데이터의 상기 다른 양으로부터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PIP 시스템 .
  6. 사용자의 기동에 응답으로 데이터 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 엔트리 수단과;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과; 상기 입력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화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화상 신호의 소정량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 수단으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여 제1표시 신호를 형성하며, 상기 제1표시신호는 화면상에 표시될 때 복수의 화상 위치중의 하나에 표시된 제1크기의 화상영역과 상기 화면의 중심에 대한 제1중심위치를 가지며, 상기 화상은 상기 저장된 화상 신호와 관련되는 PIP처리 수단과; 상기 PIP처리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엔트리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입력단과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을 갖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PIP 수단이 다른 소정량의 신호와 제2크기의 화상 영역을 갖는 제2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도록 하는 상기 제2제어 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상기 다른 양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데이터와 상기 제1중심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제2신호의 표시 화상의 표시 위치를 연산하여 상기 제1 및 제2표시 화상 영역의 표시 중심이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PIP 시스템 .
  7. 제1 및 제2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주화상(main image)영역과 상기 제2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주화상 영역내의 자화상(inset image)영역을 포함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제3영상 신호를 형성하는 PIP처리 수단과; 상기 PIP처리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자화상 영역의 상기 주화상 영역내의 위치를 제어하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화상 영역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주화상 영역내의 상기 자화상 영역의 위치를 상기 화상 영역크기의 함수로 연산하여 상기 자화상의 기하학적 중심이 상기 자화상 영역의 크기가 변화하여도 수평 및 수직 방항으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IP처리 수단에 접속되어 상기 자화상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상기 제2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KR1019910701388A 1989-04-20 1990-03-07 Pip 시스템의 자화면 위치 조절 장치 KR0148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41,123 US5031044A (en) 1989-04-20 1989-04-20 Inset picture centering in a pix-in-pix system
US341,123 1989-04-20
PCT/US1990/001085 WO1990013202A1 (en) 1989-04-20 1990-03-07 Inset picture centering in a pix-in-pix system
US341123 2003-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148A KR920702148A (ko) 1992-08-12
KR0148104B1 true KR0148104B1 (ko) 1998-09-15

Family

ID=2333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388A KR0148104B1 (ko) 1989-04-20 1990-03-07 Pip 시스템의 자화면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031044A (ko)
EP (1) EP0470079B1 (ko)
JP (1) JP2616840B2 (ko)
KR (1) KR0148104B1 (ko)
CN (1) CN1024386C (ko)
AT (1) ATE140837T1 (ko)
CA (1) CA2051440A1 (ko)
DE (1) DE69027926T2 (ko)
FI (1) FI914929A0 (ko)
HK (1) HK1004314A1 (ko)
MY (1) MY105577A (ko)
SG (1) SG84475A1 (ko)
TR (1) TR28274A (ko)
WO (1) WO1990013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4625A (en) * 1990-06-01 1995-07-1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Formatting television pictures for side by side display
KR930005730B1 (ko) * 1990-12-15 1993-06-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예약녹화 예고 디스플레이 장치
KR950000828B1 (ko) * 1991-12-11 1995-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내장형 tv
US6008860A (en) * 1995-12-29 1999-12-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Television system with provisions for displaying an auxiliary image of variable size
JPH09326958A (ja) * 1996-06-05 1997-12-1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CN1110779C (zh) * 1996-10-31 2003-06-04 传感电子公司 视频信息智能管理系统
US8290351B2 (en) 2001-04-03 2012-10-16 Prime Research Alliance E., Inc. Alternative advertising in prerecorded media
EP1079619B1 (en) 1999-08-26 2006-10-18 Sony Service Centre (Europe) N.V. Televis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television system
US20020056083A1 (en) * 2000-03-29 2002-05-09 Istvan Anthony F.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in-browser scaling
JP3884226B2 (ja) * 2000-10-10 2007-02-2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
US20020178447A1 (en) * 2001-04-03 2002-11-28 Plotnick Michael A. Behavioral targeted advertising
US20020184047A1 (en) * 2001-04-03 2002-12-05 Plotnick Michael A. Universal ad queue
US6844878B2 (en) * 2001-12-04 2005-01-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dia processing reduction in hidden areas
US7982809B2 (en) 2004-10-06 2011-07-19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icture cropping function
TW200814776A (en) * 2006-09-11 2008-03-16 Realtek Semiconductor Corp TV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video signals
JP5658451B2 (ja) * 2009-11-30 2015-01-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2300083A (zh) * 2011-09-27 2011-12-28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放大局部区域图像的方法和设备
US10210833B2 (en) * 2017-03-31 2019-02-19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5920A (en) * 1978-02-07 1979-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icture display device
JPS59276A (ja) * 1982-06-25 1984-01-05 Nec Corp 画像編集回路
US4772007A (en) * 1984-10-19 1988-09-20 Canon Kabushiki Kaisha Cut sheet holding and feeding apparatus
US4744581A (en) * 1986-08-21 1988-05-17 Gilbert Cables Antijackknifing means
IT1215099B (it) * 1986-09-02 1990-01-31 Seleco Spa Ricevitore televisivo perfezionato
US4722007A (en) * 1986-12-02 1988-01-26 Rca Corporation TV receiver having zoom processing apparatus
US4811103A (en) * 1987-03-30 1989-03-07 Rca Licensing Corporation Interlace inversion corrector for a picture-in-picture video signal generator
US4774581A (en) * 1987-04-14 1988-09-27 Rca Licensing Corporation Television picture zoo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7926D1 (de) 1996-08-29
WO1990013202A1 (en) 1990-11-01
DE69027926T2 (de) 1997-01-16
EP0470079A1 (en) 1992-02-12
EP0470079B1 (en) 1996-07-24
CA2051440A1 (en) 1990-10-21
JPH04504788A (ja) 1992-08-20
SG84475A1 (en) 2001-11-20
HK1004314A1 (en) 1998-11-20
FI914929A0 (fi) 1991-10-18
CN1024386C (zh) 1994-04-27
KR920702148A (ko) 1992-08-12
ATE140837T1 (de) 1996-08-15
JP2616840B2 (ja) 1997-06-04
CN1046651A (zh) 1990-10-31
EP0470079A4 (en) 1992-04-01
MY105577A (en) 1994-10-31
TR28274A (tr) 1996-04-09
US5031044A (en) 199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104B1 (ko) Pip 시스템의 자화면 위치 조절 장치
JP2850037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326628B2 (ja) 多重映像テレビ受像機
JP2787166B2 (ja) ベースバンド・テレビジョン信号切換装置
KR100650127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54868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nd revealing the display of captions
JP3368586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5258839A (en) Video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t least two images on a divided screen
US55394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fting a display position of a small-sized picture on a display screen of a television receiver
JP3041147B2 (ja) マルチ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0654267A (ja) 選局装置
JPH11275486A (ja) 液晶表示装置
JP3391786B2 (ja) 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KR100261356B1 (ko) 텔레비전의이동물체확대표시장치
JPH05336461A (ja) 映像信号出力装置
JP2831160B2 (ja) 二画面表示装置
KR100193098B1 (ko) 더블 윈도우 화면을 이용한 자막위치 이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89921B1 (ko) 미러특성을 갖는 이중 스크린 장치
JPH0884304A (ja) 映像多重装置
JPH0955912A (ja) ストロボ表示装置
JPH06178258A (ja) 映像記憶再生装置
JPH06308936A (ja) 画像再生装置
JPH0829862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映像機器
JPH065921B2 (ja) 2画面表示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980007651A (ko) 텔레비젼 수상기에 표시되는 자막 재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