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016B1 - 제어 전압 및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전압 및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016B1
KR0147016B1 KR1019940027848A KR19940027848A KR0147016B1 KR 0147016 B1 KR0147016 B1 KR 0147016B1 KR 1019940027848 A KR1019940027848 A KR 1019940027848A KR 19940027848 A KR19940027848 A KR 19940027848A KR 0147016 B1 KR0147016 B1 KR 0147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oltage
microcomputer
control
circuit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205A (ko
Inventor
이꾸오 오사와
Original Assignee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2368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578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8247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957867B2/ja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95001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04B1/202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신호 경로 및 소자 수로 제어가능한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를 얻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컴퓨터는 복수의 레벨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을 시분할로 발생하는 제 1 D/A컨버터,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전환 신호를 발생하는 제2 D/A컨버터를 갖고 있다.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는 이들 제1 및 제2 D/A컨버터의 출력을 수신하여 제2 D/A컨버터의 출력에 따라 필요한 피제어 회로를 선택하여 제어 전압을 인가한다. 이 결과, 2개의 신호선으로 복수의 피제어 회로가 제어된다.

Description

제어 전압 및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를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 회로의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회로도.
제6도는 제4도의 파형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컴퓨터 2~4 : PWM회로
5~7 : 적분 회로 8 : 아날로그 IC
9~11 : 제1~제3 피제어 회로 16 : 제1 D/A컨버터
17 : 제2 D/A컨버터 18~20 : 제1~제3 DC홀드 회로
21 :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 22,23 : 필터
24 : 편향 회로 25 : 수직 출력 IC
26 : 편향 코일 27 : 브라운관
38 : 제1 입력 단자 39 : 제2 입력 단자
본 발명은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아날로그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IC 내의 복수의 피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수상기나 오디오 기기에 있어서,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IC를 제어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TV수상기인 경우, 텔레비젼 신호의 틴트나 칼라의 농도 등의 명령이 시청자로부터 일단 마이크로컴퓨터로 취입되어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아날로그 IC로 인가된다.
이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장치로서, 제1도와 같은 것이 있다. 제1도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1) 내부에 복수의 PWM(펄스파 변조) 회로(2~4)가 배치되어 PWM회로로부터의 펄스폭 변조된 펄스 신호가 적분 회로(5~7)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조되어 아날로그 IC(8)내의 피제어 회로(9~11)로 인가된다. 그렇지만, 제1도의 방법에서는 1개의 제어를 행할 때마다 1개의 제어 라인이 필요하여 마이크로컴퓨터나 IC의 핀 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배선이 복잡하에 되어버린다.
그래서, 디지탈 신호를 시분할하여 클럭 라인과 데이타 라인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제2도와 같은 것이 있다. 제2도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1)로 부터 클럭 신호에 동일한 디지탈 데이타가 아날로그 IC(8)에 인가되어 있다. 아날로그 IC(8)내의 어드레스 제어 회로(12)는 도래한 디지탈 데이타를 디코드하고, 어떤 피제어 회로에 대해서 데이타가 전송되고 있는가를 선택하여, 선택되어 있는 피제어 회로에 디지탈 데이타를 분배하고 있다. 상기 디지탈 데이타는 D/A변환 회로(13~15)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피제어 회로(9~11)로 인가된다.
제2도의 방법인 경우, 2개의 신호 라인으로 복수 종류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렇지만, 제2도의 방법에서는 아날로그 IC(8)내부에 복수의 D/A변환 회로(13~15)를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IC에서는 소자 수가 많은 D/A변환 회로를 다수 갖고 있는 것은 칩 면적의 증가로 이어져 문제가 되었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1)은 MOSIC로 제작되기 때문에 소자 수가 많은 D/A변환기가 존재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신호 라인이 적음과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측에서 D/A변환 처리를 행하는 바와 같은 전송 방법이 희구(希求)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컴퓨터는 복수의 레벨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을 시분할로 발생하는 제1 D/A컨버터와; 상기 제어 전압의 시분할 타이밍과 동기하여 발생하고, 그 레벨이 상기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전환 신호를 발생하는 제2 D/A컨버터를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는 복수의 레벨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이 시분할로 인가되는 제1 입력 단자와; 상기 제어 전압의 시분할 타이밍과 동기하여 도래하고, 그 레벨이 상기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전환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인가된 제어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서 유지하여 상기 복수의 피제어 회로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DC홀드 회로와; 복수의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의 전환 신호의 레벨을 판별하여 상기 복수의 DC 홀드 회로를 동작시키는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제어 전압을 시분할로 전송함과 동시에, 각 시분할된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전환 신호를 전송한다. 한펴, 상기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는 이들 2개의 신호를 입력하여, 먼저 비교기에 의해 전환 신호의 레벨을 판별해서 DC 홀드 회로로부터 원하는 DC 홀드 회로를 선택하고, 계속해서 제어 전압을 DC 홀드 회로에서 직류 전압으로서 유지하며, 최종적으로 그 전압을 피제어 회로로 인가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TV화면에 복사 출력되는 일이 없는 수직 펄스 기간에 제어 전압 및 전환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에 의한 화면으로의 영향이 표시되지 않는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참조 번호(16)은 복수의 레벨로 변환하는 TV신호용의 제에 전압을 시분할로 발생하는 제1 D/A 컨버터이고, 참조 번호(17)은 상기 제어 전압의 시분할로 타이밍과 동기하여 발생하고, 그 레벨이 상기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전환 신호를 발생하는 제2 D/A컨버터이며, 참조 번호(18~20)은 상기 제1 D/A컨버터(16)의 제어 전압이 인가되어 제 1~제3 피제어 회로(9~11)에 대해 자기가 보유하는 직류 전압을 인가하는 제1~제3 DC 홀드 회로이고, 참조 번호(21)은 복수의 비교기를 소유하고, 상기 제2 D/A컨버터(17)로부터의 전환 신호의 레벨을 판별하여 상기 복수의 DC홀드 회로 중, 원하는 DC 홀드 회로를 동작시키는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이며, 참조 번호(22 및 23)은 제1 및 제2 D/A컨버터(16 및 17)의 출력 신호 중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이고, 참조 번호(24)는 TV신호의 수직 펄스를 수직 출력IC(25)와 마이크로컴퓨터(1)로 인가하는 편향 회로이며, 참조 번호(26)은 상기 수직 출력 IC(25)로부터의 수직 편향 펄스가 인가되는 브라운관(27)의 편향 코일이고, 참조 번호(38)은 제1 입력 단자이며, 참조 번호(39)는 제2 입력 단자이다.
제4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로, 상부 난에 제2 D/A컨버터(17)의 출력 신호 레벨, 하부 난에 제1 D/A컨버터(16)의 출력 신호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제4도에서 횡측은 시간이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TV신호용 제어인 틴트, 칼라 및 콘트라스트의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먼저, 틴트에 대해 설명한다. 제2 D/A컨버터(17)로부터 발생하는 틴트의 전환 신호의 레벨은 0.5V에서 1.0V사이로 설정되어 이 범위에서 임의의 값을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0.75V로 하고 있다. 0.75V의 틴트의 전환신호가 발생하고 있는 기간 중, 제1D/A컨버터(16)에서는 2V의 제어 전압이 발생하여 아날로그 IC(8) 내의 제1~제3 DC 홀드 회로(18~20)으로 인가되고 있다. 한편,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21)은 상기 0.75V의 전환 신호의 레벨에 의해 도래하고 있는 제어 전압이 틴트용인지를 판별하여 제1~제3 DC 홀드회로(18~20)중, 제1 DC 홀드 회로(18)만을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 DC 홀드 회로(18)은 2V의 제어 전압을 유지하고, 유지한 전압을 제1 피제어 회로(9)로 인가한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의해 틴트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제3도의 장치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복수의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제 1 DC 홀드 회로(18)이 2V의 제어 전압을 유지하기 전은 일반적으로 다른 제어(예를 들면, 휘도)가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전(前)의 제어 전압과 다음의 제어 전압의 레벨이 크게 다른 경우, 필터(22)의 시정수의 영향에 의해 제어 전압의 천이에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시분할된 제어의 경계에 있어서, 제1~제3 DC 홀드 회로(18~20)이 입력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금지하는 기간을 설정하고 있다. 이 기간 중에도, 제1 D/A컨버터(16)의 다음의 제어 전압은 아날로그 IC(8)의 핀에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금지기간의 종료 후에 안정한 제어 전압의 취입이 가능하게 된다. 틴트의 예에서는 제4도와 같이 제2 D/A컨버터(17)로부터 0.75V의 제어 전압이 발생하기 전에 0.25V의 제어 전압이 발생하고 있다. 이 0.25V의 제어 전압이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21)로 인가되면, 제어 회로(21)은 제1~제3 DC 홀드 회로(18~20)의 입력 취입 동작을 금지한다.
제5도는 제3도의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21)의 상세한 설명을 도시하는 회로도로, 예를 들면 제4도의 틴트 기간에서 0.75V의 전환 신호가 입력 단자(24)로 인가된 것으로 한다. 제1~제4 비교기(25~28)의 기준 전압(29~32)의 값은 0.5V, 1V, 1,5V 및 2.0V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비교기(25)의 출력만이 「H」레벨로 되고, 다른 비교기의 출력은 전부 「L」레벨로 된다. 이 결과, 출력 단자(33)의 레벨이 「H」레벨로 되고, 이「H」레벨의 기간에만 제3도의 제1 DC 홀드 회로(18)의 스위치(34)를 닫는다. 즉, 제1 및 제2 비교기(25 및 26), 인터버(35) 및 앤드 게이트(36)은 윈드 비교기를 구성하고, 0.5V와 1.0V 사이의 입력 전압을「H」레벨로서 검출한다.
여기에서, 입력 단자(24)에 0.25V의 전환 신호가 인가된 것으로 하면, 이 전압은 제5도의 2개의 윈드 비교기 중 어는 범위에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단자(33 및 37)의 레벨은 어느 것이나 레벨로 된다. 따라서, 제3도의 제1~제3 DC 홀드 회로(18~20)은 취입 동작을 정지한다.
다음에, 칼라의 제어 기간으로 이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1.25V의 전환 신호가 제5도의 입력 단자(24)에 인가되어 출력 단자(33 및 37)은 「L」 레벨로 된다. 다음에, 1.75V의 전환 신호가 입력 단자(24)로 인가되면, 출력 단자(37)만이 「H」 레벨로 되고, 제3도의 제2 DC 홀드 회로(19)가 제4도에 도시하는 3V의 제어 전압을 취입한다. 이 결과, 칼라의 제어 전압을 제2 피제어 회로(10)에 인가할 수 있다. 콘트라스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마이크로컴퓨터(1)로부터 아날로그 IC(8)로의 신호 전송은 TV화면에 영상 신호가 표시되어 있는 기간에 행해져서는 안된다. 그것은 펄스 형태의 신호가 IC핀을 통해 전송되기 때문에, 핀으로부터 EMI 노이즈가 발생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에 악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 아날로그 IC(8)내의 제1~제3 DC 홀드 회로 (18~20)은 DC의 취입 기간이 종료해도 즉시 그 동작을 정지할 수 없어 충전한 콘덴서의 전하가 약간 방전된다. 그러면, 상기 DC 홀드 회로의 출력에 DC 오프셋을 가진 직류 신호가 나타나 그 DC 오프셋에 의해 아날로그 IC(8) 내의 피제어 회로로의 제어량이 변화한다. 이 오프셋은 그대로 화면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화면에 영상이 나타나지 않는 기간을 이용하여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간인 경우, IC의 핀으로부터 EMI노이즈가 발생해도 문제는 없고, 또 전송하는 직류 전압의 초기값에 오프셋이 발생하고 있어도 그 최종값이 일정하면 문제가 없다.
제3도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직 펄스 기간을 이용하여 신호 전송을 행한다. 아날로그 IC(8)의 편향 회로(24)로부터 발생된 수직펄스는 수직 출력 IC(25)로 인가되어 수직 펄스로 되어 브라운관(27)의 수직 편향코일(26)으로 힌가된다. 이 수직 펄스를 마이크로컴퓨터(1)에 취입하여, 이 수직펄스를 트리거로서 제4도의 전환 신호 및 제어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 수직 기간에, 제1~제3 DC 홀드 회로(18~20)에 대해 1회씩 제어를 행해도 좋고, 필요하면 2회 이상의 제어를 행해도 좋다.
제6도는 제4도의 파형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파형도로, 제6도 상부 난이 전환 신호를, 하부 난이 제어 전압을 표시하고 있다. 시각 t1의 수직 펄스의 하강에서 마이크로컴퓨터(1)은 수직 펄스의 도래를 인식한다. 그리고, 소정 시간 후의 시각 t2에 먼저 제어 전압이 발생하고, 이 제어 전압이 안정하다고 예상되는 시각 t3으로부터 전환 신호를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안정한 전압 2V의 취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각 t4에 전환 신호가 틴트의 범위(0.5V에서 1.0V)에 들어 있으면, 상기 전압 2V가 취입되어 취입 동작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시각 t5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시각 t5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시각 t6에서 제어 전압의 천이가 개시된다. 이들 시간은 미리 계산하여 마이크로컴퓨터(1)에 프로그램해 둠으로써, 안정한 제어 전압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전송 방법은 수직 펄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실시할 수 있지만, 수직 펄스를 이용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는 유지해야 할 최종적인 전압값만 확정하면 좋고, 제6도의 시각 t3과 시각 t4의 순서를 고려할 필요는 없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신호 경로로 복수의 피제어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D/A컨버터를 마이크로컴퓨터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를 아날로그 IC 측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적은 소자 수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펄스 기간에 제어 전압을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TV화면으로의 악 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Claims (6)

  1. 복수의 레벨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을 시분할로 발생하는 제1 D/A컨버터,및 상기 제어 전압의 시분할 타이밍과 동기하여 발생하고, 그 레벨이 상기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전환 신호를 발생하는 제2 D/A컨버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2. 외부로부터의 제어 전압에 의해 아날로그 IC내의 복수의 피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레벨로 변화하는 제어 전압이 시분할로 인가되는 제1 입력 단자, 상기 제어 전압의 시분할 타이밍과 동기하여 도래하고, 그 레벨이 상기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전환 신호가 인가되는 제2 입력 단자, 상기 제1 입력 단자로부터 인가된 제어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서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피제어 회로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DC 홀드 회로, 및 복수의 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단자로부터의 전환 신호의 레벨을 판별하여 상기 복수의 DC 홀드 회로 중, 원한는 DC 홀드 회로를 동작시키는 비교 및 전환 제어 회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TV신호의 수직 펄스를 발생하는 편향 회로를 더 갖고 있고, 상기 수직 펄스의 발생 기간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입력 단자로부터의 신호를 취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
  4. 제1항에 기재한 마이크로컴퓨와 제2항에 기재한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제1 입력 단자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1 D/A컨버터의 출력을 접속하고, 제2 입력 단자에 제2 D/A컨버터의 출력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2 D/A컨버터가 발생하는 전환신호에 상기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의 상기 DC 홀드 회로에 의한 입력 전압 유지를 금지하는 레벨의 신호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
  6. 제 1항에 기재한 마이크로컴퓨터와 제3항에 기재한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의 제1 입력 단자에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의 제1 D/A컨버터의 출력을 접속하고, 제2 입력 단자에 제2 D/A컨버터의 출력을 접속하며, 상기 아날로그 IC로부터 수직 펄스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인가하여 상기 수직 펄스 기간 중에 상기 제어 전압 및 상기 전환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회로의 제어 장치.
KR1019940027848A 1993-10-29 1994-10-28 제어 전압 및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KR0147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36893A JP2957866B2 (ja) 1993-10-29 1993-10-29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JP93-272368 1993-10-29
JP28824793A JP2957867B2 (ja) 1993-11-17 1993-11-17 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JP93-288247 1993-1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205A KR950013205A (ko) 1995-05-17
KR0147016B1 true KR0147016B1 (ko) 1998-09-15

Family

ID=2655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848A KR0147016B1 (ko) 1993-10-29 1994-10-28 제어 전압 및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72603A (ko)
EP (1) EP0651585B1 (ko)
KR (1) KR0147016B1 (ko)
DE (1) DE6942051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8849B2 (ja) * 1998-04-28 2006-03-22 ローム株式会社 データ変換装置
WO2006035015A1 (en) 2004-09-27 2006-04-06 Unitron Electronic filter device for the reception of tv-signals
KR100747271B1 (ko) * 2006-02-06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의 알루미늄 실린더블록
TWI316794B (en) * 2006-06-15 2009-11-01 Mstar Semiconductor Inc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related method
CN101141130B (zh) * 2006-09-04 2011-06-01 晨星半导体股份有限公司 数/模转换器与相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8120A1 (fr) * 1974-07-08 1976-02-06 Cit Alcatel Dispositif de designation d'un element d'une image
JPS59116995A (ja) * 1982-12-23 1984-07-06 Toshiba Eng Co Ltd アナログホ−ルド回路の書込み装置
US4879625A (en) * 1987-12-11 1989-11-07 Potenzone Richard A Voltage monitor
JPH02287933A (ja) * 1989-04-27 1990-1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JPH0338703A (ja) * 1989-07-05 1991-02-19 Yokogawa Electric Corp アナログ信号入出力装置
US5231475A (en) * 1990-02-16 1993-07-27 Video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signal representing controllable color matte
JPH04111145A (ja) * 1990-08-31 1992-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US5262680A (en) * 1991-07-08 1993-11-1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witch control apparatus for eliminating intermittent on/off condition on a power supply switch
US5239243A (en) * 1992-10-01 1993-08-24 Alliant Techsystems, Inc., CRT beam defl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0510T2 (de) 2000-04-27
DE69420510D1 (de) 1999-10-14
US5872603A (en) 1999-02-16
EP0651585B1 (en) 1999-09-08
KR950013205A (ko) 1995-05-17
EP0651585A1 (en) 1995-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8818A (en) Digital shade control for color crt background and cursors
US5126832A (en) Character synthesizer for inserting into video signals characters having the complementary colors with the video signals
KR0147016B1 (ko) 제어 전압 및 제어 전압의 종류를 표시하는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0460549B1 (ko) 다중비디오입력클램프장치
US5323438A (en) Programmable pulse-width modulation signal generator
US71804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calibration of display device
US4636839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lor matte signals
US5124796A (en) Charge coupled device having a circuit for handling a fundamental clock signal
US5436677A (en) Focus voltage control apparatus
KR100307571B1 (ko) 자동키네스코프바이어스시스템용샘플펄스발생기
JP2957866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US5060054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color video display
US45367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ne or more measurement values of arbitrary measurement variables on a screen
JPH07143415A (ja) 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JP3081554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RU2122296C1 (ru) Саморастровая схема монитора
JPH07143005A (ja) 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JP3179978B2 (ja) 出力信号電圧制御回路
JP3043242B2 (ja) 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JPS6126279B2 (ko)
KR100285904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에이징모드에따른테스트패턴출력장치
KR900006835Y1 (ko) 텔레텍스트 색채신호 출력장치
JP3096588B2 (ja) アナログ回路の制御装置
JPH07105350A (ja) 画像信号処理用ad変換器の信号レベル調整回路
KR970028962A (ko) 통상의 영상 기기와 피씨 (pc) 의 접속이 가능하게 하는 영상 인터페이스 장치와 영상 인터페이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