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389B1 - 표면실장형 전자부품 - Google Patents

표면실장형 전자부품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389B1
KR0146389B1 KR1019940034323A KR19940034323A KR0146389B1 KR 0146389 B1 KR0146389 B1 KR 0146389B1 KR 1019940034323 A KR1019940034323 A KR 1019940034323A KR 19940034323 A KR19940034323 A KR 19940034323A KR 0146389 B1 KR0146389 B1 KR 014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tal member
dummy metal
soldering
s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248A (ko
Inventor
유세이 오야마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950023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3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5Holders; Supports
    • H03H9/10Mounting in enclosures
    • H03H9/1007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 H03H9/1014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 H03H9/1028Mounting in enclosures for bulk acoustic wave [BAW] devices the enclosure being defined by a frame built on a substrate and a cap, the frame having no mechanical contact with the BAW device the BAW device being held between spr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03H9/54Filters comprising resonators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58Multiple crystal filters
    • H03H9/60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 H03H9/605Electric coupling means therefor consisting of a ladder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H05K3/3426Leaded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le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1Surface mounted components
    • H05K3/3421Lead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완성된 표면실장형 전자부품을 얻는다.
본 발명은, 하우징(1)의 한쪽 단부에 입력단자(10)와, 접지단자(11) 및, 출력단자(12)가 도출되고, 다른 쪽 단부에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더미 금속부재(20)의 양단부에는 각각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가 하우징(10)에 설치된 凹부(5)의 경사부(5a,5b)에 걸려 더미 금속부재(20)와 하우징(1)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Description

표면실장형 전자부품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자부품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조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표면실장형 전자부품의 일부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표면실장형 전자부품의 전기등가회로도.
제4도는 내(耐)낙하 충격시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다른 내낙하 충격시험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5 : 凹부
5a,5b : 경사부(걸림부) 6,7,8,9 : 압전공진자
10 : 입력단자 11 : 접지단자
12 : 출력단자 20 :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
21 :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빠짐방지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인쇄배선판등에 표면실장되어 각종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표면 실장형 전자부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표면실장형 전자부품으로서, 종래부터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만 리드단자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구조를 갖춘 전자부품은, 인쇄배선판등으로의 땜납부착시에 위치오차등을 일으키기 쉽고, 땜납부착 후도 외부응력에 의해 리드단자에 틈이 발생하면서 부품이 일어나는 등의 부적합함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하우징의 다른쪽 단부에 도전성 풀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땜납부착용 더미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전성 풀을 도포하고 경화하는 공정이 번잡함과 함께 전극의 기계적 강도도 약하고, 더욱이 도전성 풀을 불필요한 부분에 부착하는 어려움도 있었다.
이에 다른 대책으로서, 하우징의 다른쪽 단부에 접착제로서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고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기 땜납부착용 더미전극의 결점이었던 번잡한 공정이나 기계적 강도등의 문제를 해결했지만 아직 접착제가 불필요한 부분에 부착하면서 접착제 도포량의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완성하는 표면실장형 전자부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전기기능 소자를 내장한 하우징과
b. 이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 도출된 리드단자 및
c. 빠짐방지부를 갖춘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구비하고
d. 상기 빠짐방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다른 쪽 단부에 설치된 걸림부에 물려 상기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기능 소자로서는 압전공진자와, 저항소자, 인덕터소자 및, 콘덴서 소자등이 임의로 선택된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다리형 필터등의 전자부품은 리드단자와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에서 인쇄배선판등에 땜납부착되어 고정된다.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의 빠짐방지부는 하우징의 걸림부에 물려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는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부품으로서 사다리형 필터를 예로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형 필터는 하우징(1)과, 4매의 압전공진자(6,7,8,9), 입력단자(10), 접지단자(11), 출력단자(12), 중계단자(13), 탄력단자(14) 및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로 구성되어 있다. 전압공진자(6~9)는 각각 표면과 이면에 전동전극을 설치한 잘 알려진 것이다.
하우징(10)은 한쪽에 개구부(1a)를 갖추고, 표면에는 각 단자(10,11,12)들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凹부(2,3,4)와,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凹부(5)가 형성되어 있다. 凹부(5)의 양단부에는 2단의 경사부(5a,5b)가 설치되어 있다. 경사부(5a,5b)는 후술하는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의 형상에 맞추어 설정되어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를 걸리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경사부(5b)는 더미 금속부재(20)를 凹부(5)에 장착하기 쉽게 하는 기능도 함께 갖춘다. 개구부(1a)에도 경사부(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부(1b)는 압전공진자(6~9)를 단자(10~14)에서 협착한 상태로 일괄하여 하우징(1) 내에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입력단자(10)는 접촉편부(10a)와 외부접속부(10b)를 갖추고, 접촉편부(10a)에 설치된 돌기가 압전공진자(6)에 압접하고 있다.
접지단자(11)는 접촉편부(11a)와 절곡하여 이중으로 중첩된 접촉편부(11b) 및 외부접속부(11c)를 갖추고, 접촉편부(11a)에 설치된 돌기가 압전공진자(8)에 압접하며, 접촉편부(11b)에 설치된 돌기가 압전공진자(7)에 압접하고 있다.
출력단자(12)는 접촉편부(12a)와 절곡하여 이중으로 중첩시킨 접촉편부(12b) 및 외부접속부(12c)를 갖추고, 접촉편부(12a)에 설치된 돌기가 압전공진자(8)에 압접하며, 접촉편부(12b)에 설치한 돌기가 압전공진자(9)에 압접하고 있다.
중계단자(13)는 접촉편부(13a,13d)와 절곡하여 이중으로 중첩시킨 접촉편부(13b) 및 중간편부(13c)를 갖추고, 접촉편부(13a)에 설치된 돌기가 압전공진자(7)에 압접하며, 접촉편부(13b)에 설치된 돌기가 압전공진자(6)에 압접하고, 접촉편부(13d)에 설치된 돌기가 압전공진자(9)에 압접하고 있다.
더욱이, 압전공진자(6~9) 및 단자(10~14)는 하우징(1)에 수용되어 있다. 탄력단자(14)는, 압전공진자(6~9)와 단자(10~13) 사이에 적당한 정도의 압접력을 발생시켜야 하고, 하우징(1)과 단자(10)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하우징(1)의 개구부(1a)의 단부에는 절연지(17)가 세트되고, 이 개구부(1a)에 수지등의 보호재(18)가 충전되어 있으며, 하우징(1)의 내부를 밀봉하고 있다.
한편,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는 ㄷ 자 형상을 하고 있고, 양단부에 각각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더미 금속부재(20)는 예컨대, 청동판에 은도금 혹은, 철판에 납도금등을 실시한 것을 쳐서 구멍을 뚫는 가공에 의해 제작한 것이다. 더미 금속부재(20)는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를 하우징(1)의 경사부(5a,5b)에 물려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형 필터를 자동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압전공진자(6~9)를 단자(10~14)에서 협착한 상태로 하우징(1)의 개구부(1a)로부터 삽입한다. 정규의 입치로부터 다소 벗어난 상태로 전압공진자(6~9)와 단자(0~14)를 하우징(1)의 개구부(1a)로부터 수용부에 삽입하기 시작해도 이들의 부품(6~14)은 하우징(1)의 경사부(1b)에 이어 부드럽게 삽입되고, 위치오차가 수정되는 것으로 된다.
한편,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는 하우징(1)에 형성되어 있는 凹부(5)에 장착된다. 더미 금속부재(20)는 장착됨에 따라서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가 凹부(5)의 경사부(5b)의 비스듬한 면에 접촉하면서 탄성변형한다. 이때, 더미 금속부재(20)를 정규의 위치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다소 벗어난 상태로 凹부(5)에 장착하기 시작해도 더미 금속부재(20)는 경사부(5b)에 이어 부드럽게 협착되고, 위치오차가 수정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가 경사부(5b)를 통과하여 경사부(5a)에 이르면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가 갖는 탄력성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고, 빠짐방지용 갈고랑이부(21)가 경사부(5a,5b)에 물려 끼워 맞추어진다. 이 결과, 더미 금속부재(20)는 하우징(1)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 없이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와 하우징(1)을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단자(10~12)의 외부접속부(10b,11c,12c)가 도출하고 있는 하우징(1)의 개구부(1a)를 상측으로 한 상태로 에폭시수지등을 개구부(1a)에 충전한후, 본래 경화하여 보호재(18)로 한다. 각 단자(10~12)의 외부접속부(10b,11c,12c)는 보호재(18)의 본래 경화 후, 하우징(1)의 표면에 이어 절곡되고(제2도 참조), 표면실장형으로 된다.
이렇게 얻어진 사다리형 필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10~12) 및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가 땜납(28)을 매개로 인쇄배선판(25)등에 설치된 회로도체(26)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정된다.
제3도는 사다리형 필터의 전기등가회로도이다.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12)의 사이에 직렬로 압전공진자(6,9)가 접속되어 있고,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12) 사이에 병렬로 압전공진자(7,8)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얻어진 사다리형 필터의 내낙하 충돌시험을 실시했다. 시험에 사용된 필터의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20)의 재료에는 인청동에 은도금을 실시한 것을 채용했다.
제4도는 리플로우땜납에 의해 필터를 인쇄배선판에 실장하고, 이 인쇄배선판을 수평상태로 하여 10회 낙하시킨 후, 필터의 외관을 검사한 결과이다(실선(35)참조). 또한, 제5도는 인두납땜에 의해 필터를 중량이 130g의 낙하조정 공구에 고정하고, 이 낙하조정 공구를 필터의 종장방향(x방향)과, 횡폭방향(y방향) 및, 두께방향(z방향)의 순으로 1회 낙하시키는 것을 1사이클로 하고, 이것을 10사이클 반복한 후, 필터의 외관을 검사한 결과이다(실선(38)). 즉, 비교를 위한 종래의 필터의 시험결과도 함께 표시하고 있다(제4도중의 점선(36) 및 제5도중의 점선(39)참조). 이 종래의 필터는 접착제에서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재료로서는 철에 땜납도금을 실시한 것)을 고정한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에 의해, 더미 금속부재의 변형이나 이탈의 부적합은 본 실시예의 필터에는 전부 인식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종래의 필터에 서는 낙하 높이가 높게 됨에 따라서 부적합한 상태의 발생수가 증가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필터는 종래의 것과 비교해서 더미 금속부재와 하우징의 고정강도가 향상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면실장형 전자부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할 수 있다.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의 빠짐방지부의 형상은 임의이고 예컨대, 반원 구형상의 돌기이어도 된다. 이 경우, 하우징의 걸림부는 반원구상의 움푹 들어가게 된다.
더욱이, 전자부품으로서는 사다리형 필터에 한정하지 않고,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 리드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전자부품으로 있다면 발진자자 LC필터등이어도 된다. 또한, 리드단자의 수도 임의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에 빠짐방지부를 설치함과 함께 하우징에 걸림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빠짐방지부가 걸림부에 물려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는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완성된 표면 실장형 전자부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더미 금속부재와 하우징의 고정강도가 종래의 필터보다 우수한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하우징의 걸림부에 물리게 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자동조립하는 것이 용이하다. 더욱이, 하우징의 걸림부를 2단의 경사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자동조립할 때에 더미 금속부재의 위치가 다소 벗어나 있어도 더미 금속부재를 부드럽게 하우징에 협착할 수 있고, 보다 자동화에 적당한 것이 얻어진다.

Claims (2)

  1. 전기기능 소자를 내장한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 도출된 리드단자 및, 빠짐방지부를 갖춘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방지부를 상기 하우징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걸림부에 끼워 맞추어 상기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와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전자부품
  2. 단순 상자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수납된 전압공진자, 접촉편부와 외부접속부를 갖추고, 상기 접촉편부가 상기 하우징내에 수납되며, 상기 외부접속부가 상기 하우징의 한쪽 단부에서 도출된 리드단자 및, 빠짐방지부를 갖춘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빠짐방지부가 상기 하우징의 다른쪽 단부에 설치된 걸림부에 끼워 맞추어져 상기 땜납부착용 더미 금속부재와 상기 하우징이 고정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형 사다리형 필터
KR1019940034323A 1993-12-15 1994-12-15 표면실장형 전자부품 KR0146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314613A JPH07170144A (ja) 1993-12-15 1993-12-15 表面実装型電子部品
JP93-314613 1993-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248A KR950023248A (ko) 1995-07-28
KR0146389B1 true KR0146389B1 (ko) 1998-10-01

Family

ID=18055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323A KR0146389B1 (ko) 1993-12-15 1994-12-15 표면실장형 전자부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21672A (ko)
JP (1) JPH07170144A (ko)
KR (1) KR0146389B1 (ko)
CN (1) CN1047043C (ko)
TW (1) TW2569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493A (en) * 1997-03-13 1999-02-16 Nokia Mobile Phones, Ltd. Bulk acoustic wave (BAW) filter having a top portion that includes a protective acoustic mirror
US6233133B1 (en) * 1999-05-05 2001-05-15 Shui-Te Weng Capacitor
DE102016003866A1 (de) * 2015-04-10 2016-10-13 Marquardt Gmbh Baugrupp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6876A (en) * 1945-01-04 1947-03-04 Walter E Kuenstler Casing for piezoelectric crystals
US2577576A (en) * 1950-11-30 1951-12-04 Mannes N Glickman Hermetic crystal holder
US3697789A (en) * 1970-06-23 1972-10-10 Citizen Watch Co Ltd Mechanical oscillator
JPS587672Y2 (ja) * 1977-08-11 1983-0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振動子の密閉構造
US5265316A (en) * 1987-02-27 1993-11-30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ure seal type piezoelectric oscillator
US5274529A (en) * 1990-03-05 1993-12-28 Murata Manufacturing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molded 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70144A (ja) 1995-07-04
KR950023248A (ko) 1995-07-28
CN1047043C (zh) 1999-12-01
CN1111043A (zh) 1995-11-01
US5821672A (en) 1998-10-13
TW256986B (ko) 1995-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12832A1 (en) Connector
CA1156769A (en) Packaging of solid state relay
DE19928917A1 (de) Drucksensorvorrichtung
KR0146389B1 (ko) 표면실장형 전자부품
JPS59172288A (ja) プリント基板装置
DE19733237C1 (de) Elektrisches Gerät
CN210157541U (zh) 电子控制单元
JP4213820B2 (ja) 電子部品
KR101976695B1 (ko) 인쇄회로기판에 압입 되는 형태의 전기 터미널 단자의 조립 구조
JPH0973960A (ja) コネクタ
JP3903542B2 (ja) チップ形コンデンサ
RU168167U1 (ru) Печатная плата с массивным компонентом
JP4218912B2 (ja) 電子部品
KR200252323Y1 (ko)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JPH0922761A (ja) プリント基板の取付・接続構造
JPS6124121A (ja) プリント基板用小形リレ−端子
CN113424286A (zh) 开关装置及开关装置的制造方法
JP4263046B2 (ja) 電子機器の基板に実装する接続部品
KR100319175B1 (ko) 전자 부품_
JPH1126300A (ja) チップ形コンデンサ
JPH09329732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装着方法及び光学機器
JP2004207419A (ja) 貫通コンデンサ装置
KR20030025166A (ko) 표면실장용 커넥터 및 이것을 사용한 반도체 모듈
JP4213818B2 (ja) 電子部品
JPH06140274A (ja) 複合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