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323Y1 -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323Y1
KR200252323Y1 KR2020010022224U KR20010022224U KR200252323Y1 KR 200252323 Y1 KR200252323 Y1 KR 200252323Y1 KR 2020010022224 U KR2020010022224 U KR 2020010022224U KR 20010022224 U KR20010022224 U KR 20010022224U KR 200252323 Y1 KR200252323 Y1 KR 200252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s
component
phone
ri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2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3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323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회로를 삽입 고정한 프린트기판을 내장하는 상, 하부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부품고정장치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부재의 바닥면에 부품을 삽입 고정하는 부품고정리브를 다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그 분할 형성된 부품고정리브의 상단에 신축성을 갖는 고정돌기부를 각각 형성하는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전화기의 하부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품고정 리브를 다수개로 분할형성하고 그 분할 형성된 부품고정리브의 상단에 신축성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부품고정리브에 부품을 신축적으로 간단히 삽입할 수 있고 삽입후에도 고정돌기가 부품을 고정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부품의 조립성을 상당히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 부품고정시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이나 고정조립구조가 필요없으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component setting structure of the telephone case}
본 고안은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의 하부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품고정리브를 다수개로 분할형성하고 그 분할 형성된 부품고정리브의 상단에 신축성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부품고정리브에 부품을 신축적으로 간단히 삽입할 수 있고 삽입후에도 고정돌기가 부품을 고정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부품의 조립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 혹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텔레비젼이나 냉장고, 에어컨, 셀룰러폰, 전화기등 다양한 장치들이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전기 혹은 전자장치들은 그 본래의 기능을 실현시키기위해 다수의 전자회로가 내장된 프린트기판 혹은 보드들을 내부에 내장 혹은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프린트기판 혹은 보드들에는 다수의 부품이 납땜 혹은 기타의 방법을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부품들은 부품의 종류나 설치환경에 따라 프린트기판 혹은 보드 이외에 하우징이나 기타 내부 프레임 상에도 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다수의 전자장치중 일례로서, 전화기의 부품고정장치구조를 도 1의 (a)를 통해 살펴보면, 전화기의 하우징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케이스부재(70)의 내부 바닥면에 각종 부품 예컨대, C-AIC(71), 부저 혹은 스피커 등을 고정하는 부품고정리브(72)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고정리브(72)의상면에는 고정날개(73)를 고정하는 스크류(74)를 수납하는 수납홈(7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화기의 부품고정장치구조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전화기 조립시 부품 예컨대, C-MIC(71), 부저 혹은 스피커 등의 외면에 신축성을 갖는 고무부재(76)를 원통형으로 쒸운다음 이 고무부재(76)가 쒸워진 부품(71)을 하부 케이스부재(7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부품고정리브(72)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부품삽입공정후에 다수개의 고정날개 예컨대, 2개의 고정날개(73)를 이미 부품고정리브(73)에 삽입된 부품(71)의 상면 외곽에 고정하여 눌러준 다음 스크류(74)를 돌려 수납홈(75)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부품을 부품고정리브(72)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전화기에 외부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부품(71)이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부품고정리브(72)에 부품을 고정하는 다른 실시예로는 부품고정리브(72)에 스크류(73)를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품고정리브(72)내에 신축성을 갖는 고무부재(76)가 쒸워진 부품(71)을 삽입한후 상면의 대응되는 위치에서 하부방향으로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부재(77)의 돌출된 고정리브(78)가 부품(71)의 상면 외곽을 눌러주어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화기의 부품고정장치구조는 부품고정리브(72)에 스크류(74)를 통하여 부품을 조립할 경우 부품고정리브(72)에 수납홈(75)을 형성해야하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을 뿐만아니라 부품고정을 위해 다수의 날개부재(73)등을 사용해야 하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생산 및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어려움을 야기시켰으며, 또한, 상부 케이스부재(77)의 고정리브(78)를 통해 조립할 경우도부품(71)이 부품고정리브(72)에 삽입된 후 상부케이스부재(77)의 고정리브(78)가 내려와 조립되기전에 고무부재(76)의 탄력이나 부품(71)에 연결된 전선 등으로 인하여 부품(71)이 들떠 오조립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전화기의 하부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품고정 리브를 다수개로 분할형성하고 그 분할 형성된 부품고정리브의 상단에 신축성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부품고정리브에 부품을 신축적으로 간단히 삽입할 수 있고 삽입후에도 고정돌기가 부품을 고정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부품의 조립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부품고정시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이나 고정조립구조가 필요없으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자회로를 삽입 고정한 프린트기판을 내장하는 상, 하부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부품고정장치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부재의 바닥면에 부품을 삽입 고정하는 부품고정리브를 다수개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그 분할 형성된 부품고정리브의 상단에 신축성을 갖는 고정돌기부를 각각 형성하는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의 (a)는 종래 전화기의 하부케이스의 부품고정리브에 부품을 스크류를 통해 고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
(b)는 종래 전화기의 하부케이스의 부품고정리브에 부품을 상부
케이스를 통해 고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의 부품고정리브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3의 (a)는 본 고안의 부품고정리브를 평면으로 보여주는 설명도.
(b)는 본 고안의 부품고정리브에 부품이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
1 : 프린트기판 2 : 상부 케이스부재
3 : 하부 케이스부재 4 : 부품
5 : 부품고정리브 6 : 고정돌기부
7 : 고무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 장비 예컨대, 전화기의 전자회로를 삽입 고정한 프린트기판(1)을 내장하는 상, 하부 케이스부재(2,3)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부재(3)의 바닥면에 부품(4) 예컨대, C-MIC, 부저 및 스피커 등을 삽입 고정하는 부품고정리브(5)를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 예컨대 4개로 분할하여 형성하고 그 분할 형성된 부품고정리브(5)의 상단에 신축성을 갖는 고정돌기부(6)를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부품고정리브(5)는 부품(4)이 내부로 삽입될 경우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소재로 형성되는데, 평면으로 볼 때 대체로 원형 형상을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부품(4)은 외부 충격이나 부품고정리브(5)에 삽입시 그 접촉충격을 완충하여 부품파손을 방지하는 고무부재(7)로 씌울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부품을 조립할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때 삽입될 부품(4)의 외부면에 고무부재(7)를 씌워 부품고정리브(5)에 삽입할 경우나 외부충격으로부터 그 충격을 완충하여 부품파손을 방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부품(4)에 고무부재(7)가 씌워지면 그 고무부재(7)가 씌워진 부품(4)을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 즉, 4개로 갈라진 부품고정리브(5)의 상부에 위치시킨 다음 하부로 밀면 상기 4개로 분할된 부품고정리브(5)의 각각이 신축력을 갖고 뒤로 밀려 부품(4)이 그 내부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부품고정리브(5)에 부품(4)이 안착되면 뒤로 밀려져 있던 부품고정리브(5)의 각각이 원래대로 복원되는데, 이때 상기 부품고정리브(5)의 상부측에 형성된 고정돌기부(6)가 안착된 부품(4)의 상부 외곽을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부품(4)이 부품고정리브(5)에 한번 고정되면 고정돌기부(6)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므로 별도의 스크류나 고정리브 등이 필요없고 삽입시 들뜸현상도 없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부재(2)를 하부 케이스부재(3)에 조립할 경우 그러한 조립공정이 한층 더 용이해지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의 하부 케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품고정 리브를 다수개로 분할형성하고 그 분할 형성된 부품고정리브의 상단에 신축성을 갖는 돌기를 형성하므로써, 부품고정리브에 부품을 신축적으로 간단히 삽입할 수 있고 삽입후에도 고정돌기가 부품을 고정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부품의 조립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고정시 별도의 고정을 위한 부품이나 고정조립구조가 필요없으므로 그에 따라 전화기의 제조비용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전자회로를 삽입고정한 프린트기판을 내장하는 상, 하부 케이스부재를 포함하는 전화기의 부품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부재의 바닥면에 다수개로 분할설치된 부품고정리브와, 상기 부품고정리브의 상단부에 부품고정리브와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을 신축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KR2020010022224U 2001-07-23 2001-07-23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KR200252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224U KR200252323Y1 (ko) 2001-07-23 2001-07-23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224U KR200252323Y1 (ko) 2001-07-23 2001-07-23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323Y1 true KR200252323Y1 (ko) 2001-11-17

Family

ID=7310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224U KR200252323Y1 (ko) 2001-07-23 2001-07-23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3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361B1 (ko) * 2010-11-10 2012-07-09 친-흐싱 호릉 금속판 부품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부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361B1 (ko) * 2010-11-10 2012-07-09 친-흐싱 호릉 금속판 부품에 일체로 구비되는 결합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856A (en) Electronic control unit with electrical connector
EP1742503A1 (en) Electric acoustic convert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950009774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립방법
JP2003051347A (ja) 電気コネクタ
JP2003143679A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器
KR100417015B1 (ko) 전자 장치용 스피커
KR910007189A (ko) 전자 어쎔블리 탑재 패널(panel)
KR200252323Y1 (ko) 전화기케이스의 부품고정장치
JP2005142215A (ja) 筐体の蓋の変形防止構造
CN204795924U (zh) 电子设备及其壳体组件
JPH11261254A (ja) プリント基板の取付構造
KR102138549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6719571B2 (en) Housing with an electrical circuit accommodated therein
JP2002299859A (ja) プリント基板取り付け構造
EP1100241B1 (en) Mobile wireless apparatus
JP2007317545A (ja) 蛍光管用コネクタ
JP4359741B2 (ja) 電気部品の実装装置
JP2004328108A (ja) 補助アンテナ取付構造、無線装置、アンテナユニット、およびグランド取付構造
JPH0818640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H11354966A (ja) シールド構造体
CN215815847U (zh) 圆形芯片结构
KR20180060651A (ko)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JP4461881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US20220190688A1 (en) Device comprising a housing, an electrical circuit in the housing,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ircuit
JP2000223363A (ja) 電子部品およびこれを実装する配線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