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651A -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60651A KR20180060651A KR1020160160388A KR20160160388A KR20180060651A KR 20180060651 A KR20180060651 A KR 20180060651A KR 1020160160388 A KR1020160160388 A KR 1020160160388A KR 20160160388 A KR20160160388 A KR 20160160388A KR 20180060651 A KR20180060651 A KR 20180060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portion
- mounting
- portions
- disposed
- mounting br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실장 금구는, 커넥터에 배치되어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실장 금구로,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판부, 제1 판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판부, 제1 판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판부와 대향되는 제3 판부, 제2 판부로부터 제2 및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3 판부가 배치되는 평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로크부, 제2 판부로부터 제1 방향과 반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로크부와 대향되는 제2 로크부, 제2 판부에 연결되고, 제1 판부와 대향되는 제3 로크부, 및 제3 판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실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의 강도를 보강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실장성을 향상시키는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납땜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이러한 플러그 커낵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최근에, 이러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휴대용 단말 등의 전자기기의 회로 기판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형화 및 저배화된 커넥터는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일 예로, 소형화 및 저배화된 커넥터의 몰드부는 커넥터에 가해지는 외력에 더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때 작용될 수 있는 외력은 몰드부를 마멸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커넥터가 소형화 및 저배화됨에 따라 더 심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소형화 및 저배화된 커넥터는 기판과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커넥터는 몰드부에 배치되는 실장 금구를 통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가 소형화 및 저배화됨에 따라 기판에 실장되는 실장 금구의 면적이 축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는 기판과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러그 커넥터의 강도를 보강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실장성을 향상시키는 실장 금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강도가 보강되거 실장성이 향상된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는, 커넥터에 배치되어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실장 금구로,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판부, 제1 판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판부, 제1 판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판부와 대향되는 제3 판부, 제2 판부로부터 제2 및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3 판부가 배치되는 평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로크부, 제2 판부로부터 제1 방향과 반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로크부와 대향되는 제2 로크부, 제2 판부에 연결되고, 제1 판부와 대향되는 제3 로크부, 및 제3 판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실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로크부는, 제1 판부가 배치되는 평면을 향해 연장되어 제1 판부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갖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로크부는 체결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3 판부로부터 돌출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실장부는, 제1 내지 제3 로크부와 제3 방향에서 각각 오버랩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실장부는, 제1 내지 제3 로크부가 연장되는 평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장부는 각각 제3 판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벤딩부는 각각 제2 판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러지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벽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벽부, 제1 벽부와 마주 보는 제3 벽부, 및 제2 벽부와 마주 보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제1 벽부에 배치되는 제1 실장 금구, 및 제2 및 제4 벽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제1 실장 금구는, 제1 벽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판부와, 제1 판부에 연결되고 제1 벽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판부와, 제1 판부에 연결되고 제1 벽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3 판부와, 제2 판부와 연결되고 제1 벽부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로크부와, 제2 판부와 연결되고 제1 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3 로크부와, 제3 판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실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벽부에 배치되는 제2 실장 금구를 더 포함하고, 제2 실장 금구는 제1 실장 금구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제1 실장 금구와 마주 본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장 금구는, 제3 판부로부터 돌출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실장부는 각각 제1 내지 제3 로크부 아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장부는 각각 제3 판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벤딩부는 각각 제2 판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러지는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는, 커넥터의 몰드부를 다면적으로 보호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외력에 의해 마멸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는, 3개의 실장부를 구비하여 커넥터가 기판과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장 금구 및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장 금구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8a는 도 6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6의 D-D'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장 금구 및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장 금구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8a는 도 6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6의 D-D'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장 금구 및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는 몰드부(100), 제1 및 제2 실장 금구(120, 130), 및 복수의 플러그 단자(140)를 포함한다.
몰드부(100)는 제1 내지 제4 벽부(101~10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벽부(101~104)는 서로 연결되어 몰드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벽부(101)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벽부(103)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제1 벽부(101)와 마주 볼 수 있다. 제2 벽부(102)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제2 벽부(102)는 제1 벽부(101)와 제3 벽부(103)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제4 벽부(104)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제2 벽부(102)와 마주 볼 수 있다. 이 때, 제4 벽부(104)는 제1 벽부(101)와 제3 벽부(103)의 타측과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벽부(101)는 내측면(101a), 상면(101b), 외측면(101c), 하면(101d), 및 양 측면(101e)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벽부(103)는 제1 벽부(101)와 마주 보고 제1 벽부(10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벽부(10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벽부(101)는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벽부(101)의 내측면(101a)은 제1 벽부(101)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향하고, 몰드부(100)의 안쪽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 벽부(101)의 상면(101b)은 제1 벽부(101)에서 제1 및 제2 방향(X, Y)과 교차하는 제3 방향(Z)을 향하고, 몰드부(100)의 위쪽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 벽부(101)의 외측면(101c)은 제1 벽부(101)의 내측면(101a)과 대향되고, 몰드부(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 벽부(101)의 하면(101d)은 제1 벽부(101)의 상면과 대향되고, 몰드부(10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면이다. 제1 벽부(101)의 양 측면(101e)은 제1 방향(X)을 향하고 서로 대향되며, 제2 및 제4 벽부(102, 104)의 외측면과 연결되는 면이다.
몰드부(1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실장 금구(120, 130)는 각각 제1 및 제3 벽부(101, 10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실장 금구(130)는 제1 실장 금구(120)와 마주 보고 제1 실장 금구(12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이하에서 제1 실장 금구(1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실장 금구(120)는 제1 벽부(101)에 배치되어,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커넥터를 기판(미도시)에 실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0)는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장 금구(120)는 플러그 커넥터(10)에 배치되어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실장 금구(120)는 소켓 커넥터에 배치되어 소켓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할 수도 있다.
제1 실장 금구(120)가 단자로 사용되는 경우에, 제1 실장 금구(120)는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즉, 제1 실장 금구(120)는 전원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장 금구(120)가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제1 실장 금구(120)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실장 금구(120)가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제1 실장 금구(120)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의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전기 소자 등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실장 금구(12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140)는 제2 및 제4 벽부(102, 104)에 배치되어, 전원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플러그 단자(14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전원 단자, 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단자(140)의 전원 단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러그 단자(140)의 신호 단자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배치되는 기판의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전기 소자 등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14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는 이에 대응되는 소켓 커넥터(20)와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플러그 커넥터(10)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가 뒤집힌 것이다.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 커넥터(10)의 제1 내지 제4 벽부(101, 102, 103, 104)는 소켓 커넥터(20)의 대응되는 공간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소켓 커넥터(2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3c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5a는 도 1의 A-A'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1의 B-B'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장 금구(120)는 제1 내지 제3 판부(121a, 121b, 121c), 제1 내지 제3 로크부(122a, 122b, 122c), 및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를 포함한다.
제1 판부(121a)는 제3 방향(Z)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한 형상의 금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판부(121a)는 제1 벽부(101)의 내측면(101a)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판부(121a)는 제1 벽부(101)의 내측면(101a)을 보호할 수 있다.
제2 판부(121b)는 제1 판부(121a)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한 형상의 금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판부(121b)는 제1 판부(121a)에 연결되고 제1 벽부(101)의 상면(10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판부(121b)는 제1 벽부(101)의 상면(101b)을 보호할 수 있다.
제3 판부(121c)는 제1 판부(121a)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제2 판부(121b)와 대향되는 평탄한 형상의 금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제3 판부(121c)는 제1 벽부(101)의 하면(101d)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3 판부(121c)는 몰드부(100)의 하부를 관통하여 제1 벽부(101)의 하부에 매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판부(121c)는 제1 벽부(101)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로크부(122a)는 제2 판부(121b)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고, 제3 판부(121c)가 배치되는 평면을 향해 연장되는 평탄한 형상의 금구일 수 있다. 또한, 제2 로크부(122b)는 제2 판부(121b)로부터 제1 방향(X)과 반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 로크부(122a)와 대향되는 평탄한 형상의 금구일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로크부(122a, 122b)는 제1 및 제3 판부(121a, 121c)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로크부(122b)는 제2 판부(121b)와 연결되고 제1 벽부(101)의 양 측면(101e)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로크부(122a, 122b)는 제1 벽부(101)의 양 측면(101e)을 각각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로크부(122a, 122b)는 제1 방향(X)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항하여, 제1 실장 금구(120)가 몰드부(100)의 제1 벽부(10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로크부(122a, 122b)는 각각 체결홈(122a-1, 122b-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122a-1, 122b-1)은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20)와 체결될 때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20)와 결합하여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때, 체결홈(122a-1, 122b-1)은 소켓 커넥터(20)에 형성된 체결돌기와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제3 로크부(122c)는 제2 판부(121b)에 연결되고, 제1 판부(121a)와 대향되는 평탄한 형상의 금구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제3 로크부(122c)는 제1 벽부(101)의 외측면(101c)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로크부(122c)는 제1 벽부(101)의 외측면(101c)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3 로크부(122c)는 제2 방향(Y)을 따라 플러그 커넥터(10)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항하여, 제1 실장 금구(120)가 몰드부(100)의 제1 벽부(10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각각 제3 판부(121c)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의 금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제3 판부(121c)로부터 돌출되어, 제1 내지 제3 로크부(122a, 122b, 122c)와 제3 방향(Z)에서 각각 오버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및 제2 실장부(123a, 123b)는 제3 판부(121c)로부터 제1 방향(X) 및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실장부(123c)는 제3 판부(121c)로부터 제2 방향(Y)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각각 제1 내지 제3 로크부(122a, 122b, 122c)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각각 제1 내지 제3 벤딩부(123a-1, 123b-1, 123c-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내지 제3 벤딩부(123a-1, 123b-1, 123c-1)는 각각 제3 판부(121c)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벤딩부(123a-1, 123b-1, 123c-1)는 제2 판부(121b)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제3 판부(121c)가 배치되는 평면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제1 벽부(101)의 하부에 매립되는 제3 판부(121c)와 달리, 제1 벽부(101)의 하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몰드부(100)의 하면에서 노출될 수 있다. 몰드부(100)의 하면에서 노출된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미도시)에 실장 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10)는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에 의해 기판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는, 커넥터의 몰드부를 다면적으로 보호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외력에 의해 마멸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장 금구(120)는 몰드부(100)의 제1 벽부(101)를 다면적으로 보호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외력에 의해 마멸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실장 금구(120)의 제1 내지 제3 판부(121a, 121b, 121c), 제1 내지 제3 로크부(122a, 122b, 122c)는 제1 벽부(101)의 6면을 각각 보호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외력에 의해 마멸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는, 3개의 실장부를 구비하여 커넥터가 기판과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실장 금구(120)는 3개의 실장부를 구비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과 쉽게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를 포함하는 실장 금구는, 기판과 실장되는 부분의 면적을 확장하여 1개 또는 2개의 실장부를 포함하는 실장 금구에 비해 커넥터가 기판과 쉽게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실장 금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7은 도 6의 실장 금구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8a는 도 6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6의 D-D'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장 금구(120)는 제1 판부(121a)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로크부(122a, 122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로크부(122a, 122b)는 각각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제1 판부(121a)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로크부(122a, 122b)는 제1 판부(121a)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제1 간격(d1)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장 금구(120)는 제1 벽부(101)의 양 측면(101e)에 더 넓게 배치되어 제1 벽부(101)의 양 측면(101e)을 더욱 견고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장 금구(120)는 제1 내지 제3 로크부(122a, 122b, 122c)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내지 제3 실장부(123a, 123b, 123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장부(123a)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로크부(122a)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장부(123a)는 제1 로크부(122a)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제2 간격(d2)만큼 돌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실장부(123b)는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로크부(122b)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장부(123b)는 제2 로크부(122b)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제3 간격(d3)만큼 돌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실장부(123c)는 제2 방향(Y)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3 로크부(122c)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장부(123c)는 제3 로크부(122c)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제4 간격(d4)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장 금구(120)는, 납땜과 같은 방법으로 기판과 접속되는 부분인 실장부의 면적을 확장시켜 플러그 커넥터(10)를 기판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20: 소켓 커넥터
100: 몰드부 101, 102, 103, 104: 벽부
120, 130: 실장 금구 140: 플러그 단자
121a, 121b, 121c: 판부 122a, 122b, 122c: 로크부
123a, 123b, 123c: 실장부
100: 몰드부 101, 102, 103, 104: 벽부
120, 130: 실장 금구 140: 플러그 단자
121a, 121b, 121c: 판부 122a, 122b, 122c: 로크부
123a, 123b, 123c: 실장부
Claims (12)
- 커넥터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실장 금구에 있어서,
상기 실장 금구는,
제3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판부;
상기 제1 판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판부;
상기 제1 판부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판부와 대향되는 제3 판부;
상기 제2 판부로부터 상기 제2 및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3 판부가 배치되는 평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로크부;
상기 제2 판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로크부와 대향되는 제2 로크부;
상기 제2 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판부와 대향되는 제3 로크부; 및
상기 제3 판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실장부를 포함하는 실장 금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크부는, 상기 제1 판부가 배치되는 평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제1 판부가 배치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실장 금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크부는 체결홈을 갖는 실장 금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판부로부터 돌출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실장 금구.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장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로크부와 상기 제3 방향에서 각각 오버랩되는 실장 금구.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장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로크부가 연장되는 평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실장 금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는 각각 상기 제3 판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부는 각각 상기 제2 판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러지는 형상을 갖는 실장 금구. -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벽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벽부, 상기 제1 벽부와 마주 보는 제3 벽부, 및 상기 제2 벽부와 마주 보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상기 제1 벽부에 배치되는 제1 실장 금구; 및
상기 제2 및 제4 벽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실장 금구는,
상기 제1 벽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벽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벽부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3 판부와, 상기 제2 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벽부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로크부와, 상기 제2 판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벽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3 로크부와, 상기 제3 판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실장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벽부에 배치되는 제2 실장 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실장 금구는 상기 제1 실장 금구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실장 금구와 마주 보는 플러그 커넥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 금구는, 상기 제3 판부로부터 돌출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장부는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3 로크부 아래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는 각각 상기 제3 판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벤딩부는 각각 상기 제2 판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부러지는 형상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388A KR102638823B1 (ko) | 2016-11-29 | 2016-11-29 |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388A KR102638823B1 (ko) | 2016-11-29 | 2016-11-29 |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651A true KR20180060651A (ko) | 2018-06-07 |
KR102638823B1 KR102638823B1 (ko) | 2024-02-21 |
Family
ID=6262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0388A KR102638823B1 (ko) | 2016-11-29 | 2016-11-29 |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88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3464A (ko) * | 2019-12-10 | 2021-06-18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1110A (ko) * | 2005-05-23 | 2006-11-28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
JP2015135816A (ja) * | 2014-01-17 | 2015-07-27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端子、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
KR20150110313A (ko) * | 2014-03-20 | 2015-10-02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조립체 |
KR20160118141A (ko) * | 2015-04-01 | 2016-10-11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2016
- 2016-11-29 KR KR1020160160388A patent/KR1026388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21110A (ko) * | 2005-05-23 | 2006-11-28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접속 및 비접속의 반복을 견딜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 |
JP2015135816A (ja) * | 2014-01-17 | 2015-07-27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端子、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
KR20150110313A (ko) * | 2014-03-20 | 2015-10-02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조립체 |
KR20160118141A (ko) * | 2015-04-01 | 2016-10-11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73464A (ko) * | 2019-12-10 | 2021-06-18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US11515670B2 (en) | 2019-12-10 | 2022-11-29 | Molex, Llc | Connector |
KR20230002249A (ko) * | 2019-12-10 | 2023-01-05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KR20230035023A (ko) * | 2019-12-10 | 2023-03-10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KR20230035305A (ko) * | 2019-12-10 | 2023-03-13 | 몰렉스 엘엘씨 | 커넥터 |
US12027802B2 (en) | 2019-12-10 | 2024-07-02 | Molex, Llc |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8823B1 (ko) | 2024-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56466B2 (en) | Connector | |
US7344385B2 (en) | Power supply device | |
KR102333832B1 (ko) |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JP4761397B2 (ja) | 組合せコネクタ | |
US7651372B2 (en) |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 |
US7029308B2 (en) | Socket for electronic module | |
EP1949503A1 (en) |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 |
KR20190085601A (ko) | 플러그 커넥터 | |
US7226315B2 (en) |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rying for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 |
CN111064050A (zh) | 一种弹性接触式接地的连接器组合件 | |
US8529286B2 (en) | Detachment and displacement protection structure for insertion of flexible circuit flat cable | |
JP7379309B2 (ja) | 中央凸部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コネクタを保護するための保護部材、及び、保護部材を配置したコネクタ | |
KR102268227B1 (ko) | 소켓 커넥터 | |
KR20180060651A (ko) |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 |
JP2021036502A (ja) | ケーブル接続構造 | |
KR100567587B1 (ko) | 접지 연결용 홀드다운을 갖춘 전기 커넥터 | |
JP5778940B2 (ja) | ハウジングの接続構造 | |
US7695317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7311427A (ja) | 電気回路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7432332B2 (ja) | 複数部材の接続構造および盤面取付機器 | |
JP6831255B2 (ja) | プラグコネクタ、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US20140055966A1 (en) | Positioning structure for audio video jack | |
KR102319024B1 (ko) | 소켓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 |
KR102420029B1 (ko) |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 |
KR20090006783U (ko) | 커넥터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