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310B1 - 유효성분방출조절용 저장소,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효성분방출조절용 저장소,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310B1
KR0145310B1 KR1019890702080A KR890702080A KR0145310B1 KR 0145310 B1 KR0145310 B1 KR 0145310B1 KR 1019890702080 A KR1019890702080 A KR 1019890702080A KR 890702080 A KR890702080 A KR 890702080A KR 0145310 B1 KR0145310 B1 KR 014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active ingredient
release
controlled release
reservo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0154A (ko
Inventor
헤르만느 프리츠
Original Assignee
프랑크 베커 쥬리겐 마쓰
엘테에스 로오만 테라피-지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카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랑크 베커 쥬리겐 마쓰, 엘테에스 로오만 테라피-지스테메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카케 filed Critical 프랑크 베커 쥬리겐 마쓰
Publication of KR90070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84Transdermal patches having a drug layer or reservoir, and one or more separate drug-free skin-adhesive layers, e.g. between drug reservoir and skin, or surrounding the drug reservoir; Liquid-filled reservoir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92Transdermal patches having multiple drug layers or reservoirs, e.g. for obtaining a specific release pattern, or for combining different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plasters or dressings
    • A61F13/027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2013/029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making transdermal patches (chemical processes exclud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효성분 방출 조절용 저장소,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의 저장소(reservoir)의 종단면도
제4도는 한 저장소 디자인의 사시도.
제4a도는 제4도의 원리에 따른 저장소 디자인의 사시도.
제5도는 다른 저장소 디자인의 사시도.
제5a도는 제5도의 원리에 따른 저장소 디자인의 사시도.
제6도는 불연속 단면감소를 하는 저장소의 종단면도.
제7도는 불연속 단면 감소를 하는 저장소의 사시도.
제8도는 불연속 단면 감소를 하는 다른 저장소의 종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종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장치의 종단면도.
제11도는 수색의 저장소를 포함한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장치의 종단면도.
제12도는 2종의 상이한 유효성분을 포함한 장치의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I/I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14도는 원추체 및 반구체인 경우에 단면감소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
제15도는 원추제인 경우에 원추각을 함수로서 단면감소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
제16도는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대한 유동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낸 도.
본 발명의 유효성분 방출 조절용 저장소,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경시감소(經時減少)하는 유효성분을 고체, 액체 도는 기체 수용체 (acceptor)에 조절 방출하는 방출표면을 부설한 저장소, 경시감소하는 유효성분의 조절방출용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라 함은, 해충구제를 비롯하여 기술(tochnology), 의료 또는 생물분야에서 광학적, 물리학적 또는 화학적/생물학적 성질중 어느 한쪽에서의 소망의 작용을 하는 물질을 뜻한다.
저장소로부터 특정의 수용매체에 유효성분을 방출하는 과정은 시간함수에 대하여 두 과정으로 나눌수 있다.
하나는 요구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단일량으로 한꺼번에 공급할수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요구되는 유효성분의 총량을 상이한 분량으로 세분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수용매체에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자의 경우를 다루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저장소로부터 특정의 수용매체에 유효성분을 방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유효성분 방출양의 조절은 물론, 그 유효성분의 방출 특성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은 많은 경우에 있어 불가피하며, 예를들어 피부 침투성 치료제제에 있어서는 중요한 기능을 발휘한다. 이들은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장치나 투여형태로서, 지정된 시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피부에 계속적으로 방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치료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경주하였다.
요구하는 시간 동안 거의 일정한 비율로 유효성분을 방출하려는 시도가 달성되었다.
유효성분의 방출특성을 위한 해결책이 제안되었으나, 완전히 만족스럽지 않았다.
그래서, 투여기간에 걸쳐 유효성분의 방출량을 조절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저장소 매트릭스(reservoir matrix)조성물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코티손 함유제제나 니트로글리세린 투여제제인 경우에는 감량조절이 필요할뿐 아니라 치료중 신체 각 기관의 바이오리듬(biorhythm)에 맞추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유효 성분이 매트릭스내로 확산할수 있는 기본요건을 충족시키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이다.
매트릭스내에 있어서의 유효성분의 농도 및/또는 농도분포로도 의도하는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이는 특별한 경우에만 적용할수 있다.
유효성분 저장소를 용량부로 나누어, 각각 유효성분의 농도를 포화농도보다 약간 상회하거나 하회하도록 하는 것이 미국특허 제4, 546,364호에 제안되었다.
용량부의 구역디자인을 통해, 유효성분 방출특성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제조는 복잡하고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며, 본 발명에서 해결한 유효성분이 경시적인 방출감량 조절에 대하여는 시사하는 것이 없다.
독일특허 제33 15 272호에는 매트릭스 저장소로부터 유효성분이 방출하는 것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되어있다. 이 경우에 저장소는 방출표면에 평행한 2개 이상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은 포화농도 이상의 농도로 되어 있고, 방추표면으로 부터 층이 멀어질수록 농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요구하는 시간 동안 방출량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수 있기는 하나, 유효성분의 방출량 감소를 계획대로 조절할 수는 없다.
EP-A-O 227 252호에는 유효성분의 방출특성, 특히 피부 침투성 치료기재에 있어서, 증강 보조수단을 설치하여 투여 제1기에는 방출량을 높게 지속하고 투여 제2기에는 방출량을 보다 낮게 지속시킨다고 설명되어있다. 그러나, 이러한 저장소의 구성과 제조는 매우 복잡하고, 시간이 걸리는 예비 시험을 통해 각 구성을 개별적으로 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이 장치는 2단계 유효성분 방출특성에 한해 적용할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널리 적용할수 있는 신규한 것으로서, 소기 또는 필요한 시간 동안 유효성분의 방출감량을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저장소의 방출표면보다 작고 그에 평행한 횡단면을 하나이상 설치함으로써 놀라웁게도 의도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개발에 따른 부수적인 이점도 확인할 수 있다.
방출표면을 통해 저장소로부터 일정기간 방출하는 유효성분의 양은 방출 표면이 크기에 비례한다.
저장소는 순수한 유효성분을 함유시키거나, 사용기간 불변하는 저장물질을 구성시켜 여기에 유효성분을 분배시키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방출됨에 따라 저장소가 마모되어 새로운 방출표면이 지속으로 형성된다.
만일 방출표면에 평행한 저장소의 단면을 한점 이상에서 감소시키면 유효성분 방출량을 감소시킬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분포된 저장소 물질에 있어 조건이 다르다.
저장소 제조과정에 형성된 방출표면은 투여 전기간에 걸쳐 전체크기를 유지한다. 유효성분이 방출표면을 통해 방출하면, 저장소의 잔부에 비하여 농도가 낮고 방출표면에 평행하는 대역이 형성되어, 이러한 농도의 희석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농도 저장소로부터 유효성분을 계속하여 공급한다. 따라서 표면을 통해 방출하는 양은 추가 공급되는 유효성분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대역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이렇게하여 저장소 부분은 농도가 증가된 부분과 감소된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분리표면 형태가 방출표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투여 전기간에 걸쳐 방출표면에 이루고 극 크기는 방출표면에 평행하는 저장소 횡단면에 상응한다. 이 분리표면의 크기와 저장소의 횡단면은, 방출표면을 통해 유효성분이 방출하는 양을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분리 표면의 크기는 저장소의 상응하는 구분 배열에 의하여 결정되며, 일정한 계획하에 감소시켜, 저장소로부터 방출하는 유효성분의 양을 정확히 감소시킬수 있고 초기량에 대한 양의 조절을 할 수 있다.
횡단면 크기의 감소는 전 저장소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감소형태는 평행 또는 비평행으로 차이를 둘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불연속성, 즉 계단 형태의 단면 감소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저장소에 대한 적합한 기학적 형상은, 예컨대 원추, 정부절단원추, 피라미드, 정부절단피라미드, 4면체, 정부절단4면체, 반구체, 구형(球形)단면, 구형층(球形層)등이다.
저장소는 부분적으로 횡단면이 감소되도록 구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문제 해결에 있어 저장소의 대칭적 요소는 필수요건이다. 대형저장소를 감안하여, 방출표면은 한 방향으로 최대연장을 할수있으며, 방출표면에 대해 직각의 방향 100X 까지 연장할수 있다. 사각형 방출표면인 특정의 경우에는, 길이와 넓이를 100X로 할수 있다.
저장소의 바깥면만이 유효성분 방출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저장소함유성분을 침투시키지 않는 하나이상의 층을 그밖의 모든 다른층에 고착시킬 수 있다.
또 저장소는 담체물질내의 상응하는 요부(depression)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방출표면을 제외한 하나 이상의 표면에 의해 상기 요부내에 고착될 수 있다.
유효성분 방출 개시를 정확히 이루게 하고, 방출표면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방출표면은 하나 이상의 층의 재 분리할수 있는 표면 구조물에 의해 보호될수 있으며, 이로써 저장소 함유성분의 침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저장소는 경시적으로 감소하는 유효성분의 방출량을 조절하는 장치의 구성요소이다. 경우에 따라 수개의 저장소 구성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들 기하학적 형상은 서로 다른 것이다. 적용시점에 장치의 고착을 허용할수 있는 요소를 구성시키는 것이 바라직하다.
저장소는 하나 이상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이들은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수용매체에 방출되어, 유효성분이 의약품, 수의약품, 화장품 및 해충구제기능을 발휘할수 있게된다.
특히 의약품으로서 피부침투치료제제를 위한 유효성분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저장소는 본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는 주형으로 성형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저장소 원료물질의 용융물을 냉각하여 용매 또는 분산제를 증발시키고, 저장소 원료물질을 열간 또는 냉간 입착하고, 종단면 압출(profile extrusion)시키거나, 방사선 또는 열처리로 중합체를 가교결합하는 것이다.
방출표면을 제외한 저장소의 외피는 적층(lamination), 분무, 침지(dipping)처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저장소의 일부를 담체물질의 요부내에 수용시키되, 이 요부를 심층 인출(deep-drawing) 또는 스탬핑(stamping)하거나 담체물질의 형상화시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의약품, 수의약품, 화장품, 해충구제 그밖의 기술분야에 적용할수 이다.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것은 피부침투성 치료제제 분야이다.
본 발명은 모든 경우에 괄목할만한 가능성을 부여하는데, 투여 또는 적용 전기간에 걸쳐 유효성분 방출량 감소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저장소의 유효 성분을 수용매체에 방출한다. 저장소와 수용매체 사이는 방출표면을 통하여 접촉시킨다. 방출표면은 입체 구조물의 표면이다. 수용매체가 고체인 경우에는 고체 물질 접촉표면의 윤곽에 따라 방출표면을 적합하게 맞추어 유효성분의 방출을 정확히 조절할수 있다. 제조 공정에 비추어 볼때 평면형 방출 표면이 적합하다. 액체 또는 기체 수용매체의 경우는 방출표현의 형상이 제조공정을 결하는데 이를 수용매체를 방출표면의 형상에 맞출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저장소를 하나 이상 함유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대 여섯개의 저장소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방출특성 및 방출량의 필요성에 따라 저장소의 형상은 번거롭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방출표면을 개별부위로 나누어, 작은 수개의 저장소에 다른 방출표면을 형성시켜, 하나의 장치내에 복합 구성시킨다. 상기 소형 저장소와 기하학적 상관성은 유효성분의 방출특성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다.
한편 두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이들이 동시에 방출하는데 차질이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장치내에 다수의 저장소를 구성시키고 방출특성의 동일 또는 상이에 따라 기하학적 형상을 다르게 조합할수 있다.
독일 실용신안 87 09 810.5 호에는 담체 물질에 기하학적으로 나타낸 홈통(trough)을 설치한 의약 연소제를 개시하고 있다 기하학적으로 나타낸 홈통 구조물은 종래 사용하여온 통상의 수단에 비하여 저장소 물질의 양을 보다 정확하게 규정시키려는 것이다. 그러나, 위의 공개 내용은 투여 전기간에 걸쳐 유효성분의 방출감량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에 대하여는 전혀 시사하는 바가없다.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저장소의 기하학적 형상이외에, 방출특성은 상기 형상의 선택성 구조물 요소를 자유롭게 고정하므로써 영향을 받을수 있다. 따라서 구형 (spherical)저장소의 방출특성은 원추 정점에서 임의 선택간에 따라 결정된다. 각이 작은 경우는 비교적 높은 원추가 형성되는데, 유효성분의 감량은 비교적 점진적이다. 이에 비하여 각이 큰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방출량 감소가 빠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소의 형상에 있어 위의 현상은 여러가지 요소에 의해 제어할수 있다
방출속도, 즉 일정한 단위 시간에 방출되는 유효성분 양은 다른 요건에 의해 결정되기도 한다. 순수한 유효성분 제제로 저장소가 구성되어 수용매체와 접촉을 하게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의 용해도가 방출속도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 두번째 요건은 방출표면의 크기로서 투여기간에 걸쳐 저장소 용량이 일정할 경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 밖의 파라미터(parameter)는 저장소 매트릭스에 있어서의 유효성분 용해도, 매트릭스에서의 유효성분 농도, 매트릭스에서의 농도 분포와 매트릭스에서의 유효성분 확산도 이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요건은 유효성분 방출기간 중의 온도인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장소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어느 경우에도 적당하다.
적합한 저장소의 현상을 선택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 결정할수 있으며 일괄적인 기초를두고 한정될 수도 없다. 요구하는 방출특성과 함께 상술한 파라미터가 변수로 작용한다. 방출장치는 저장소로 구성되며, 표면 전충이 방출기능을 하지 않는 경우는 수용매체와 직접 접촉시키지 않는다. 저장소 함유 성분과 수용매체 모두에 침투성이 없는 표면 구조물로 이들을 피복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저장소로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상술한 표면 구조물과 같은 기능을 보유한 담체물질의 요부내에 저장소를 매립시키는 것이다.
장치는 사용시점에 임의로 고착시킬수 있으며, 이 목적을 위해 외부에로 보조수단이나 고착요소를 부설한다. 후자의 경우에는 접촉성 접착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체 수용매체의 경우에는 저장소 자체와 방출표면이 접촉성 접착기능을 갖게하거나, 이에 유효성분의 통과를 저해하는 접촉성 접착면을 부착시킨다. 수용매체가 액체 또는 기체인 경우는 장치의 다른 표면에 접촉성 집착면을 부설할 수도 있다.
방출표면은 장치의 적용을 대비하여 보호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는 표면 구조물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이는 저장소 함유성분에 대하여 비침투성이며, 적용시점에 재분리시킬 수 있다.
장치를 제조하는데 쓰일수 있는 물질은 각 경우에 따라 기능을 발휘하며, 이들은 숙련자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장치로 투여할수 있는 유효성분은 다양하며 숙련자는 쉽게 알수 있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저장소의 종단면도인데, 3각형 종단면 10에서, 방출표면이 11로 표시되어 있다.
관련 저장소로는 원추형 또는 피라미드형 저장소를 들수 있는데, 이는 연속적, 비선형 단면감소를 하고 있다. 또 제 4도 또는 제 4a도에서 상기 부위 10은 저장소 형상 40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단면감소는 연속적 선형으로 진행한다. 소기의 방출은 각도 12의 선택에 따라 결정된다.
제 2도는 방출표면 21이 부설된 반구체 저장소의 종단면 20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기하학적 가변 파라미터는 구체 반경이다.
또 단면 20은 제 5도 및 제 5a도에서 볼수 있다. 3가지 모든 경우에서 종단면은 연속적 비선형으로 감소한다. 방출량이 투여기간의 종결무렵에 급속히 강하하는 것이면 이들 저장소 형상은 어느거나 좋다. 제 3도의 종단면 30은 정부절단 피라미드형 저장소에 적용된 것이다. 방출표면은 31로 표시되어 있다. 정부절단부의 높이와 관련 피라미드 정점각의 크기는 변화를 주어 활용할수 있다. 종단면 감소는 연속적 비선형 일수도 있다.
제 4도는 방출표면으로서 41을 갖는 텐트형상의 저장소 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정부 모서리(the upper edge)42의 길이는 제 4a도의 저장소에서 예시하는 바와같이 변화를 줄수 있으며, 정점각 43은 저장소 형상을 여러 모습으로 바꿀수 있다. 종단면의 감소는 연속적 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5도에서 투시적으로 보이는 저장소 형상 50의 변형은 방출표면 51과 연직선 52에 따라 이루어지고, 후자의 경우를 제 5a도에 도시하고 있다. 종단면의 감소는 연속적 비선형으로 이루어진다.
불연속 종단면 감소를 하는 저장소의 형상을 제 6도에서 종단면 60을 통해 나타낸다.
저장소가 모든 각점에서 동일한 종단면을 보유하는 경우 감소는 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저장소의 방출표면은 61로 표시되어 있다. 위의 저장소에서 제1부위의 기하학적 형상은 유효성분을 일정 비율로 방출할수 있다. 횡단면의 급격한 감소에 이어 저장소의 제 2부위에서도 계속 감소한다.
제 7도는 횡단면이 불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저장소 7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각 단계별 종단면은 일정하다. 이러한 형상은 유효성분의 방출량 감소를 단계적으로 조절할수 있다. 이 기초 형상을 근거로하여 여러가지 다른 기하학적 형상을 도출할수 있다.
제 8도는 변형된 형상의 저장소 80을 도시한 것으로서, 방출표면 81로 구성되고, 정부절단 원추형과 반구체가 조합하여 전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종단면의 감소는 각 구분별로 비선형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 9도 본발명의 유효성분 방출 조절용 장치90을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저장소 92가 제 1도의 저장소에 해당되며 비침투성층 93이 부착되어 유효성분 방출을 유보한다. 방출표면 91은 보호층 94로 둘러 쌓여있다. 두층 사이에 임의로 접촉성 접착층을 설치할 수 있다.
제10도는 장치 100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2도에 상응하는 저장소 102가 담체물질 103의 요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저장소를 접착층에 의해 요부내에 고착시킬 수 있다. 층 104는 사용전에 방출표면 101을 보호한다.
필요에 따라 여러 형상의 저장소를 조합할 수 있는데 그 일례를 제 11도에서보이고 있다. 장치 110의 종단면도로서 수개의 원추형 저장소 112가 담체물질 113의 요부내에 매립되어 있다. 방출표면 111은 보호층 114와 인접하고 있다.
저장소 상호간의 기하학적 배열은 여러가지로 변형시켜 실제 수요에 맞출수 있다.
제 12도는 두개의 저장소를 한 장치에 조합한 예를 장치 120의 종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저장소 122를 담체물질 123내에 다시 매립한다. 중앙부 저장소는 단면 감소가 없고, 공지된 방출 특성에 따라 방출하는 제 1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제 2저장소는 제 1저장소를 둘러싸고 있으며 3각형의 종단면을 보이고, 방출감량 조절하에 방출하는 제 2 유효성분을 함유한다. 방출 표면 121은 접촉성 접착층 125와 접촉하고, 보호층 124로 덮혀진다.
제 13도는 제 12도의 I/I선에 따라 절단한 장치 130의 횡단면도이다. 담체물질 123내에 저장소 121이 배치되어 있음을 볼수 있는데, 유효성분 1의 중앙 실린더형 저장소가 유효성분 2의 저장소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 14도는 원추체와 반구체 저장소인 경우에 단면 감소율을 나타낸 것이다. 두 기하학적 형상은 완전히 다른 감소 특성을 나타낸다. 원추체의 경우는 감소율이 완만한데, 반구체의 경우는 시초의 높은 수치가 갑자기 떨어진다. 양자의 경우 방출표면은 동일하고 원추각은 53°이다.
제 15도는 원추각의 함수로서 동일 방출표면을 가진 경우에 횡단면에 감소 특성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각의 선정에 따라 무작위 감소성을 실질적으로 형성시킬수 있음을 알수 있다.
a) 실린더
b) 단계형 실린더 (하층 실린더 구경은 상층 실린더 구경의 절반)
c) 정부절단 원추
등이 설치된, 단부 길이 40 × 40㎜및 높이의 24㎜의 3 PVC 평행 6면체에 있어, 314㎟의 평행 6면체 표면에 개구부(opening)를 가진 깊이 20㎜의 구명을 천공한다. 정부절단 원추형의 작은 표면을 14.1㎜이다. 형성된 구멍에 단부(edge) 및 약 3㎜에 이르기까지 용융 폴레에틸렌 글리콜 6000(PEG 6000)을 도입한다. 시험편으로서 PEG 6000을 고체화 한후, 용융 PEG 6000을 추가하여 약 2㎜ 높이의 돌기가 시험편에 형성되게 한다.
냉각 후, 빠져나온 시험물질을 나이프로 시험편의 상단부(上端部)까지 제거한다. 물의 PEG 6000 방출량을 통상의 방법 (참조 : paddie- over disk method, USP XX)으로 측정한다. 시험편을 매 30초 간격으로 욕조(bath)에서 빼내어 조심스럽게 건조하후 무게를 단다.
시험조건
패들-오버-디스크 장치 : SOTAX AT 6 (Sotax AG, Basle)
방출 매체: 1000ml의 광물성 제거 처리수
온도 : 35℃
교반속도: 50rpm
시험편의 교반높이: 15㎜
결과
다음 방출 속도를 측정한다 : (g/h)
실린더형 시험편 (비교시험);
실린더형 시험편으로부터 방출속도(유량)는 약 1.8g/h에 있어 약 4시간 으로 일정하며, 그후 0으로 급강하 한다. 2단계를 갖는 단계식 실린더형 시험편인 경우에는 시험 개시후 약 2시간 까지는 약 1.8g/h의 방출속도로 일정하다.
그후 0.3g/h 과정에 이르는 방출속도로 급강하하여 약 1 시간 지속하다가 제 2 단계 완료후 0으로 떨어진다.
정부절단형 저장소에 있어서, 방출속도를 g/h의 유동으로 측정한다. 시험 개시 초기는 약 1.8g/h의 균일 강하를 나타내며 4시간 이내에 0으로 떨어지고 감량이 계속된다. 시간에 대한 감량의 그래프에서 직선을 나타낸다.
제 16도에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를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례를 보이는 것으로서, 이들로 본 발명
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8)

  1. 방출표면(11, 21, 31,41, 51, 61, 81, 91, 101, 111, 121)에 평행하고, 그 보다 작은 횡단면 표면을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의 한점 이상의 곳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을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수용체에 조절 방출하는 방출표면에 설치된 저장소.
  2. 제 1항에 있어서, 횡단면의 감소가 연속 또는 불연속이고,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이루어지는 저장소.
  3. 제 2항에 있어서, 원추형 또는 정부절단 원추형, 피라미드형 또는 정부절단 피라미드형, 4면체 또는 정부절단 사면체, 반구체, 구체단편(球체端片) 또는 구체층의 형상을 보유한 저장소.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횡단면 감소가 저장소의 일부에서만 이루어지는 저장소.
  5. 제 1항 또는 제 2항 있어서, 대칭요소가 없는 저장소.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직각 방향으로 최대길이 100X를 보유한 방출표면으로 구성된 저장소.
  7. 경시감량의 유효성분을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수용체에 조절 방출하는 방출표면(11, 21, 31, 41, 51, 61, 81, 91, 101, 111, 121)이 설치된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로서, 상기 방출표면에 평행하고, 그 보다 작은 횡단면 표면을 상기 저장소의 한점 이상의 곳에 설치한 저장소를 1개 이상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가 서로 다른 기하학적 배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방출표면(11, 21, 31, 41, 51, 61, 81, 91, 101, 111, 121)이외의 저장소의 모든 표면에는 저장소 성분에 스며들지 않는 1개 이상의 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방출표면(11, 21, 31, 41, 51, 61, 81, 91, 101, 111, 121)이외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의해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의 일부를 수용하는 데 사용되는 담체물질(103, 113, 123)내의 요부의 1개 이상의 내부벽에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11. 제 7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사용전에,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의 방출표면(11, 21, 31, 41, 51, 61, 81, 91, 101, 111, 121)이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의 성분에 스며들지 않는 1층 이상의 재분리 가능한 표면구조물(104, 114, 124)로 보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12. 제 7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사용장소에 고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접촉성 접착면(125)에 의하여 고착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 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의약품, 수의약품, 화장품 및 해충구제제의 유효성분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피부침투성 치료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16. 경시감량 유효성분을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수용체에 조절 방출하는 방출표면(11, 21, 31, 41, 51, 61, 81, 91, 101, 111, 121)이 설치된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로서, 상기 방출표면에 평행하고, 그 보다 작은 횡단면 표면을 상기 저장소의 한점 이상의 곳에 설치한 저장소를 1개 이상 보유한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소 원료물질의 용융물질을 냉각시키고, 용매 또는 분산제를 증발시키고, 저장소 원료물질을 열간 또는 냉간 압착하고, 종단면 압출(profile extrusion)시키거나, 방사선 또는 열처리로 중합체 성분을 가교결합시킨 후 적층, 분무 또는 침지처리에 의해, 주형내에 저장소를 형성하여 방출표면 이외의 모든면을 비침투성 피복물로 덮거나 바라는 저장소 형상에 따라 담체물질의 요부내에 저장소를 배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의 제조방법.
  17. 경기감량의 유효성분을 고체, 액체 또는 기체 수용체에 조절 방출하는 방출표면(11, 21, 31, 41, 51, 61, 81, 91, 101, 111, 121)이 설치된 저장소(10, 20, 30, 40, 50, 60, 70, 80)로서, 상기 방출표면에 평행하고, 그 보다 작은 횡단면 표면을 상기 저장소의 한점 이상의 곳에 설치한 저장소를 1개 이상 보유한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심층 인출(deep-drawing) 또는 스탬핑(stamping)처리하거나, 담체물질을 형상화시켜, 저장소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담체물질의 요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7항에 있어서, 장치가 의약품, 수의약품, 화장품, 해충구충제에 사용되고, 방출되는 1개 이상의 유효성분이 상기 의약품, 수의약품, 화장품, 해충구제기능을 발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시감량의 유효성분 조절방출용 장치.
KR1019890702080A 1988-03-24 1989-03-21 유효성분방출조절용 저장소,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0145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09978A DE3809978A1 (de) 1988-03-24 1988-03-24 Reservoir fuer gesteuerte wirkstoffabgabe, dieses enthaltende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DEP3809978.O.DE 1988-03-24
DEP3809978.0,DE 1988-03-24
PCT/DE1989/000177 WO1989009080A1 (en) 1988-03-24 1989-03-21 Reservoir for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substances, device containing it,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use of th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154A KR900700154A (ko) 1990-08-11
KR0145310B1 true KR0145310B1 (ko) 1998-07-01

Family

ID=635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080A KR0145310B1 (ko) 1988-03-24 1989-03-21 유효성분방출조절용 저장소,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6207181B1 (ko)
EP (1) EP0334306B1 (ko)
JP (1) JP3154478B2 (ko)
KR (1) KR0145310B1 (ko)
AT (1) ATE142517T1 (ko)
AU (1) AU639664B2 (ko)
CA (1) CA1336665C (ko)
CZ (1) CZ281559B6 (ko)
DD (1) DD283567A5 (ko)
DE (2) DE3809978A1 (ko)
ES (1) ES2103702T3 (ko)
FI (1) FI104151B (ko)
GR (1) GR3021589T3 (ko)
HU (1) HU210618B (ko)
IE (1) IE80803B1 (ko)
IL (1) IL89603A (ko)
MY (1) MY110263A (ko)
NO (1) NO174536C (ko)
NZ (1) NZ228455A (ko)
PL (1) PL162187B1 (ko)
PT (1) PT90058B (ko)
SK (1) SK279081B6 (ko)
WO (1) WO1989009080A1 (ko)
YU (1) YU60089A (ko)
ZA (1) ZA8919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8432A1 (de) * 1989-03-14 1990-09-27 Lohmann Therapie Syst Lts Pflaster als therapeutisches system zur verabreichung von wirkstoffen an die haut mit einer abgestuften wirkstoffabgab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DE4341442C2 (de) * 1993-12-04 1998-11-05 Lohmann Therapie Syst Lts Vorrichtung zur kontrollierten Freisetzung von Wirkstoffen sowie ihre Verwendung
US6002797A (en) 1994-06-22 1999-12-14 Hitachi, Ltd. Apparatus for detecting position of featuring region of picture, such as subtitle or imageless part
DE19820999A1 (de) * 1998-05-11 1999-11-18 Lohmann Therapie Syst Lts Laminat zum Aufbringen auf einen Akzeptor
DE19923427A1 (de) 1999-05-21 2000-11-23 Lohmann Therapie Syst Lts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igerung der transdermalen Permeation von Arzneistoffen
US6569152B2 (en) 2000-03-21 2003-05-27 Farrington Pharmaceuticals, Llc Sustained release delivery systems for solutes
EP1294356B1 (en) * 2000-03-21 2007-05-30 Farrington Pharmaceuticals, LLC Sustained release delivery systems for solutes
SE0101154D0 (sv) * 2001-03-29 2001-03-29 St Jude Medical An electrically conductive lead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a lead
US6893655B2 (en) * 2001-10-09 2005-05-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 Transdermal delivery devices
DE10250848A1 (de) * 2002-10-24 2004-05-13 Paul Hartmann Ag Wundkontaktmaterial
EP2018835B1 (de) * 2007-07-09 2014-03-05 Augustinus Bader Wirkstoff abgebendes Pflaster
EP3829505A1 (en) * 2018-07-30 2021-06-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microbial foam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0683A (en) * 1985-07-02 1987-09-01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Transdermal varapamil delivery device
US4698062A (en) * 1985-10-30 1987-10-06 Alza Corporation Medical device for pulsatile transdermal delivery of biologically active agents
DE3634016A1 (de) * 1986-04-17 1987-10-29 Lohmann Gmbh & Co Kg Flaechenfoermiges therapeutisches system,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US4816262A (en) * 1986-08-28 1989-03-28 Universite De Montreal Controlled release tablet
US4803076A (en) * 1986-09-04 1989-02-07 Pfizer Inc. Controlled release device for an active substance
US4849224A (en) * 1987-11-12 1989-07-18 Theratech Inc. Device for administering an active agent to the skin or mucos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D283567A5 (de) 1990-10-17
PT90058B (pt) 1994-03-31
FI895638A0 (fi) 1989-11-24
IL89603A0 (en) 1989-09-10
NZ228455A (en) 1990-08-28
ATE142517T1 (de) 1996-09-15
CS8901812A2 (en) 1991-11-12
GR3021589T3 (en) 1997-02-28
NO174536C (no) 1994-05-25
YU60089A (en) 1990-06-30
KR900700154A (ko) 1990-08-11
DE3809978A1 (de) 1989-10-05
EP0334306B1 (de) 1996-09-11
EP0334306A1 (de) 1989-09-27
AU3217389A (en) 1989-10-16
WO1989009080A1 (en) 1989-10-05
SK279081B6 (sk) 1998-06-03
NO894467D0 (no) 1989-11-09
HU892315D0 (en) 1990-11-28
MY110263A (en) 1998-03-31
DE58909724D1 (de) 1996-10-17
CA1336665C (en) 1995-08-15
FI104151B1 (fi) 1999-11-30
FI104151B (fi) 1999-11-30
DE3809978C2 (ko) 1992-03-12
JPH02503524A (ja) 1990-10-25
HUT53815A (en) 1990-12-28
PL278443A1 (en) 1989-11-27
NO894467L (no) 1989-11-09
US6207181B1 (en) 2001-03-27
CZ281559B6 (cs) 1996-11-13
JP3154478B2 (ja) 2001-04-09
AU639664B2 (en) 1993-08-05
PL162187B1 (en) 1993-09-30
PT90058A (pt) 1989-11-10
HU210618B (en) 1995-06-28
NO174536B (no) 1994-02-14
ES2103702T3 (es) 1997-10-01
IE890908L (en) 1989-09-24
IE80803B1 (en) 1999-03-10
IL89603A (en) 1993-01-31
ZA891949B (en) 198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310B1 (ko) 유효성분방출조절용 저장소, 이를 포함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I95539B (fi) Transdermaalinen järjestelmä, sen valmistusmenetelmä ja käyttö
US4816262A (en) Controlled release tablet
KR0154545B1 (ko) 유위 거환용 오리피스 삽입체
US4186184A (en) Selective administration of drug with ocular therapeutic system
JP5687276B2 (ja) 涙点プラグからの薬剤のパルス放出
DE3905050C2 (ko)
US20020072734A1 (en) Chip systems for the controlled emission of substances having a chemosensory effect
FI107371B (fi) Menetelmä laastarin valmistamiseksi ihon läpi vaikuttavaksi terapeuttiseksi järjestelmäksi tehoaineiden vapauttamiseksi iholle käsittäen porrastetun tehoaineen vapautuksen
JP2001505108A (ja) 活性成分を含有する円板状成型体の無駄の少ない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含む経皮吸収治療システム
Sanopoulou et al. Controlled drug release systems: Mechanisms and kinetics
DE3319469C2 (ko)
CA1251708A (en) Constant release system with pulsed release
CN102378619A (zh) 用于将药剂分配到泪点塞中的方法和设备
DK171223B1 (da) Indretning til styret i løbet af anvendelsestiden aftagende afgivelse af stoffer
JP4955888B2 (ja) ディスペンサーを備えて構成されるデバイス、及びそのデバイスを有するキット
Rathbone et al. Mechanisms of drug release from veterinary drug delivery systems
KR20230164533A (ko) 마이크로니들 및 이의 제조 방법
Tojo Prolonged drug release from a cylindrical matrix device with a small release hole
Rao et al. NOVEL DRUG DELIVERY SYSTEM
Patel Design of diffusion controlled drug delivery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