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294B1 - 스플리트 섬유와 그의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플리트 섬유와 그의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294B1
KR0145294B1 KR1019900013615A KR900013615A KR0145294B1 KR 0145294 B1 KR0145294 B1 KR 0145294B1 KR 1019900013615 A KR1019900013615 A KR 1019900013615A KR 900013615 A KR900013615 A KR 900013615A KR 0145294 B1 KR0145294 B1 KR 0145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split
layer
polypropylen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859A (ko
Inventor
가즈나리 니시노
슈우조오 사사가와
히로후미 가쓰라야마
다까미쓰 이가우에
쓰도무 기도
Original Assignee
다께바야시 쇼오고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하라 게이 이찌로오
유니 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께바야시 쇼오고, 미쓰이세끼유 가가꾸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하라 게이 이찌로오, 유니 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께바야시 쇼오고
Publication of KR91000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42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cutting films into narrow ribbons or filaments or by fibrillation of film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04Staple length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10T428/2931Fibers or filaments nonconcentric [e.g., side-by-side or eccentric,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7Contain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Manufacture Of Alloys Or Alloy Compoun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플리트 섬유(split fiber)와 그의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스플리트 섬유에 관한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해섬시에 가루로 되어 떨어짐을(powdwering)최소화 함과 동시에 접합강도가 높고 칫수 안정성이 우수한 스플리트 섬유 집합체를 제공할수 있는 스플리트 섬유 제조 방법 및 그를 사용한 스플리트 섬유 집합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성질의 2종의 합성수지가 조합된 섬유는 복합섬유로 알려져있으며 이는 또한 주름잡기잡기가 양호하고 피브릴(fibril)구조를 갖는 화학섬유들이다. 이러한 합성섬유를 제조하는 종래기술의 한 방법은, 일본 특개소 62-14490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같이 성질이 상이한 2재료로 구성된 2층구조,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으로 된 2층의 복합 합성수지 필름을 연신한후 슬리팅(slitting)하여 연신된 테이프를 형성하는 공정과 이 연신된 테이프들을 스플리트섬유로 해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알려진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해섬하여 얻은 스플리트 섬유 또는 세사는 층간 분리되기가 쉬워서 바람직하지 못한 한편, 복합 합성수지필름은 연신중에 층간 분리되기가 쉽다. 예를들어, 폴리프로필렌층과 폴리에틸렌층으로 구성된 복합합성수지필름은 해섬시에 폴리에틸렌이 분리되어 가루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특허출원 특원소63-48223(출원일:1998.3.1)(일본특개소64-221507호 공보)에서 본 발명자들중 일부는 층간 접착력과 연신성이 우수한 해섬시에 가루로 떨어짐이 최소화된 복합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여 주름잡기가 더욱 양호하고 피브릴구조를 갖는 스플리트섬유의 제조방법과 이러한 스플리트 섬유로 형성된 그물구조의 스플리트 섬유 집합체를 제안한 바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플리트섬유의 제조방법은 2층이상의 복합 합성수지 필름을 슬리팅후 연신 하거나 또는 연신후 스리팅하여 연신된 테이프를 제조하는 공정과 이 연산된 테이프를 스플리트섬유로 해섬하는 공정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합 합성수지필름은 1층을 용융지수가 0.5∼10인 폴리프로필렌 70∼95중량%와 용융지수가 0.5∼20인 폴리에틸렌 30∼5중량%로 된 혼합물로 된 폴리프로필렌층으로 하고, 다른 1층을 용융지수가 0.5∼20인 폴리에틸렌 70∼95중량%와 용융지수가 0.5∼10인 폴리프로필렌 30∼5%중량의 혼합물로 된 폴리에틸렌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원에는 2이상의 층을 갖는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슬리팅한후 연신하거나 또는 연신한후 슬리팅하여 연신된 테이프를 형성하고, 이 연신된 테이프를 스플리트 섬유로 해섬하고, 이 스플리트섬유들만을 혼합하거나 또는 이스플리트 섬유와 식물성 섬유재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폴리에틸렌의 융점과 폴리프로필렌의 융점간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스플리트 섬유를 서로 접합시키거나 또는 식물성 섬유재료와 접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트 섬유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이러한 스플리트섬유 단독으로 또는 펄프로 대표되는 식물성섬유와 혼합한후 스플리트 섬유들을 서로 또는 상기 식물성 섬유와 융착 시키는 경우, 특히 실질적으로 압력을 가하지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플리트 섬유를 구성한 폴리에틸렌층의 폴리에틸렌은 용융유동성이 불량하고 열수축되기 쉽기 때문에 스플리트섬유간 또는 스플리트섬유와 식물성 섬유간의 접합강도가 반드시 충분하지는 않다. 스플리트섬유를 식물성 섬유들과 접합시키는 경우에 특히 접합강도가 낮다. 또한, 스플리트섬유집합체자체가 열수축되므로 칫수안정성 향상의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강도와 칫수안정성이 높은 스플리트섬유집합체를 제공하는 해섬 공정중 가루로 되어 떨어짐이 최소화되는 스플리트섬유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스플리트섬유들로 된 집합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층 양면에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3층구조의 복합합성수지 필름으로부터 얻어지는 스플리트섬유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층은 용융유속이 0.5∼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70∼95중량%와, 밀도가 0.93∼0.96g/㎤인 폴리에틸렌 30∼5중량%로 된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 에틸렌층은 밀도가 0.93∼0.96g/㎤이고 용융유속이 13g/10분이상인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트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스플리트섬유로 된 스플리트섬유 집합체가 제공되며 또한 식물성 섬유소재를 더 포함하는 스플리트섬유 집합체가 제공된다. 필요에 따라 사기 식물성섬유 소재외의 섬유 소재 또는 흡습성 중합체를 식물성 섬유소재와 함께 스플리트섬유에 첨가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의한 스플리트섬유 또는 세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스플리트섬유의 제조를 위해서는 먼저 복합합성수지필름 또는 쉬트를 제조한다.
이 복합 합성수지필름은 제1층 폴리에틸렌층, 제2층폴리프로필렌층 및 제3층 폴리프로필렌층을 필수요소로 하여 구성된 3층 구조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3층구조로 된 복합합성수지필름은 제1 및 제3층으로서 폴리에틸렌층과, 폴리프로필렌 70∼95중량%와 폴리에틸렌 30∼5중량%로 된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80∼92중량%와 폴리에틸렌 20∼8중량%의 혼합물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 기층을 갖는 것이다.
폴리에틸렌으로 된 제1 및 제3층은 서로 같거나 다르며, 폴리에틸렌 단독으로 된것이거나 또는 폴리에틸렌과 이 폴리에틸렌의 높은 용융 유동성과 낮은 열수축성을 실질적으로 손상하지않는 임의의 다른 수지와의 혼합물로 된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다른 수지가 폴리프로필렌인 경우, 층간 적합력이 손상되지 않고 어느정도 향상된다. 그러므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본 발명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과 제3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과 상기 제2층을 부분적으로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은 그특성이 같은 범위내인 것이 가루로되어 떨어짐을 최소화 할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그러나 반듯이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층의 주성분인 폴리프로필렌은, JIS K-6760에 의해 측정한 용융유속(MFR)이 0.5∼10g/10분, 바람직하게는 2∼8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이다.
상기 제1과 제3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3∼0.96g/㎤, 바람직하게는 0.93∼0.95g/㎤이며, 용융유속(MFR)은 13g/10분이상, 바람직하게는 20g/10분이상 이다. 다시말해서, 폴리프로필렌과 혼합되어 제2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3∼0.96g/㎤범위내로 상기제1 및 제3층의 폴리에틸렌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2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은 상기 제1 및 제3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과 동일한 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고, 다만 이들간의 밀도차가 0.02g/㎤의 범위내에 있도록 거의 동일한 성질을 갖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복합 합성수지필름은, 제1층 폴리에틸렌층, 제2층 폴리프로필렌층 및 제3층 폴리에틸렌층으로 구성된 것이며, 제1과 제3층은 용융유속이 높은 폴리에틸렌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2층은 거의 동일한 성질의 폴리에틸렌과 주 성인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로 된 것이다.
상기 제1과 제2층간의 접착력과 제2층과 제3층간의 접착력은 상기 복합합성 수지필름의 연신된 테이프의 해섬 공정중 가루로되어 떨어짐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높다. 스플리트 섬유의 제1과 제3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은용융 유동성이 높고, 식물성 섬유소재에 대해서 습윤성이 좋고 열수축이 적고 또한 수축응력이 적어 이 스플리트 섬유로부터 칫수안정성이 우수하고, 면적수축률이 작고 접합강도가 우수한 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리트 섬유들은 내부층인 폴리프로필렌층이 용융유속이 높은 외부층인 폴리에틸렌층들 사이에 샌드위치된 3층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플리트 섬유들간 또는 스플리트 섬유들과 식물성 섬유들간의 접합면적을 넓힐 수 있고, 또한 접합강도가 우수한 스플리트 섬유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층간 접착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참고한 출원(일본특원소 63-48223호)에는 폴리에틸렌 5∼30중량%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층과, 폴리프로필렌 5∼30%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조성물로 구성된 폴리에틸렌층으로 구성된 복합 합성수지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양층모두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써 형성함으로써 층간 접합강도를 높인 것이다.
본 출원인등은 특정의 폴리에틸렌층의 경우 폴리프로필렌층에만 5∼30중량%의 폴리에틸렌을 혼합함으로써 특히 만족스런 층간접합을 얻을 수 있음을 밝혀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출원발명에서와는 달리, 폴리프로필렌층과 폴리에틸렌층에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각각 혼합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복합합성 수지필름의 주성분들인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외에 본 발명의 목적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로 다른 수지, 안료, 염료, 활제, 자외선, 흡수제 및 난연제등의 첨가제들을 첨가할 수 있다.
스플리트섬유의 제조방법을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용융압출법, 캘린더링법 및 캐스팅법등의 임의의 종래 공지된 필름형성법에 의하여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제조한다. 그 중에서도 블로운-필름압축법(Blown-film extrusion)(또는 팽창법)과 T-다이 압출법이 바람직하다.
복합 합성수지필름의 전체 두께는 통상 20∼300㎛, 바람직하게는 30∼100㎛의 범위내이다.
얻어진 복합합성수지필름을 슬리팅한후 연신하거나 또는 연신후 슬리팅하여 연신된 테이프 또는 스트리프(strip)를 제조한다. 연신배율은 약3∼10으로 한다. 즉, 예를들면 연신전의 복합합성수지필름의 전체 두께(30∼100㎛)가 연신후에 15∼40㎛가 되도록 한다. 연신후의 제1과 제3층의 두께는 접합강도면에서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의 제2층의 두게는 내열성면에서 5㎛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연신하는데는 임의의 종래 공지된 연신기, 즉 핫 롤, 공기 오분 및 핫 플레이트 연신장치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신온도 및 배율은 연신방법, 복합합성수지필름의 종류 및 기타 변수들에 따라 다르나 예를들어 핫 롤을 사용하여 복합합성수지필름을 연신하는 경우, 연신온도는 97∼138℃, 연신배율은 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슬리팅후 연신공정에서 얻은 연신된 테이프를 톱니상(serrate)칼날에 통과시키거나 바늘박힌 롤러에 통과시켜 미세하게 해섬하여 미세그물구조의 스플리트섬유 벌크를 얻는다.
상기 그물구조의 스플리트섬유로부터 더 이상의 처리없이 집합체를 얻을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물구조의 스플리트섬유를 집합체로 접합시키기전에 커터등에 이해서 더 분할하여 더 단 섬유(short fiber)로 만드는 것이 좋다.
이 단섬유의 길이는 통상 1∼100㎜이며, 바람직하게는 5∼50㎜이다. 단섬유들을 펄프등의 식물성 소재와 혼합하는 경우 길이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단 섬유들의 직경은 통상 수∼수십 데니어(denier) (데니어는 섬유굵기단위이며, 전체길이 9000m의 섬유의 중량으로써 표시된다.)이다.
이러한 단 섬유화된 스플리트 섬유들을 사용하는 경우 어떤 처리(예를들어, 오프너(oppener), 코튼 믹서(cotton mixer)등에 의해)를 하여 실질적으로 스프리트섬유의 그물 구조를 적게하여 단섬유화하는 것이 펄프등의 식물성 섬유 소재와의 균일한 혼합에 유리하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플리트 섬유들은 폴리프로필렌층의 양면상에 높은 용융유속의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3층구조를 유지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미세하게 해섬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높은 벌크성을 갖는다.
다음은 스플리트섬유, 바람직하게는 상기와 같이 단섬유화된 미세한 스플리트 섬유들로부터 집합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세한 스프리트 섬유들을 서로 혼합하거나 또는 미세한 스플리트 섬유와 식물성 섬유소재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식물성 섬유소재외의 다른 섬유소재와 흡수성 중합체로 된 군에서 선택한 적어도 1종이상을 혼합하여 집합체를 제조한다.
이때에 코튼믹서 또는 유사한 혼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성 섬유소재로는 면, 마, 황마, 대마, 펄프등이 있다.
혼합물 전체중 이러한 식물성 섬유소재의 혼합비는 통상2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 좋다. 적합한 첨가제로는 레이욘, 아세테이트, 나일론등의 합성섬유(그 양은 통상 50중량%이하), 전분계, 합성중합체계의 고흡수성 중합체이 분말등을 들 수 있다.(그 양은 통상 0.5∼5중량%이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식물성 섬유소재의 크기는 통상 길이가 1∼5㎜이고, 직경이 5∼15㎛인 식물성 섬유를 사용하나, 집합체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다르다.
스플리트 섬유들을 단독으로 또는 식물성 섬유소재와 혼합한후, 그 혼합물을 폴리에틸렌의 비점과 폴리프로필렌 융점사이의 온도로 가열하여 스플리트섬유들끼리 또는 식물성 섬유소재와 융착 또는 접합시켜 스플리트섬유 집합체를 얻는다. 가열온도는 통상 100∼160℃, 바람직하게는 120∼150℃의 범위내이다.
스플리트섬유의 집합체는 스플리트섬유들이 서로 융착 또는 접합된 것이다. 스플리트 섬유와 식물성 섬유소재의 집합체는 식물성 섬유소재와 첨가제가 있는 경우 그 첨가제가 스플리트섬유에 의해 접합된 것이다. 이러한 스플리트 섬유집합체들은 둘 다 다른 재료에 양호하게 접합되며 융점이 높은 부분, 즉 폴리프로필렌이 접합중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접합후에 그의 탄성과 벌크성을 보존한다. 또한, 상기 집합체들은 그 스플리트 섬유들이 방수성이므로 습윤되어도 강성을 잃지 않는다. 친수화 처리된 스플리트 섬유들을 사용하면, 흡수성 집합체가 얻어진다.
상기에서 해섬 공정중 가루가 떨어짐이 최소화되는 복합 합성수지필름으로부터 양호한 스플리트 섬유들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스플리트섬유들을 접합시켜 접합강도와 칫수 안정성이 우수한 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복합 합성수지필름으로부터 얻어진 스플리트 섬유는 서로 엉켜 있기 때문에, 이들 스플리트섬유들과 그의 집합체들은 벌크성, 피브릴구조 및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스플리트 섬유들과 집합체들로부터 제조한 제품들은 벌크성이 있고 그 외관이 볼륨감이 있으며, 감촉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좋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층으로 구성된 복합합성수지필름은 내수성이므로, 얻어진 스플리트섬유 또는 그의 집합체는 물에 습윤되어도 그 강성을 보존한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한 스플리트섬유 그의 집합체는 부직포, 펄프와의 복합 부직포, 커튼 및 카페트와 같은 내장재, 스웨터등의 의복재료, 기저귀등의 흡수재료, 제진재재료, 외장재 재료, 포장재료등의 다양한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플리트섬유들 또는 그의 집합체들을 기저귀등의 흡수재로 사용하는 경우에 흡수성 중합체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하기에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수지로 부터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이하와 같이 제조했다. 용융유속이 2.4g/10분인 폴리프로필렌 90중량부와 밀도가 0.945g/㎤, 용융유속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중량부를 혼합하여 북합필름의 중간층 형성용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했다.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을 외부층 형성 폴리에틸렌수지로 사용했다.
폴리프로필렌수지 50중량부, 폴리에틸렌 수지 50중량부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하에서 복합합성수지필름을 제조했다.
복합합성 수지필름 제조조건
팽창 압출기
다이직경:300㎜
스크린:80메쉬, 100메쉬
150메쉬, 200메쉬
100메쉬, 80메쉬
칠름성형속도:14mg/분
필름연신 권친속도:102mg/분
온도조건
Figure kpo00001
다음, 상기 복합 합성필름을 슬리팅 및 연신하여 연신 된 테이프로 한 것을 미세하게 해섬했다. 이 스플리트섬유들의 해섬공정중 가루로 되어 떨어짐, 폴리에틸렌층의 면적수축률 및 접합강도를 다음 방법으로 시험했다.
[가구로 되어 떨어짐]
복합필름을 30㎜폭으로 슬리팅한후 7.3배율로 연신했다. 이 연신테이프를 톱니상 칼날로 해섬했다. 이 과정중, 가루의 퇴적을 관찰하여 평가한다.
[면적 수축률]
상기와 같은 칼날로 단섬유화한 10㎜의 스플리트섬유 50중량부와 펄프 50중량부를 코튼 믹서중에서 혼합한후 쉬트로 형성하여 300g/㎥의 쉬트를 제조했다. 사용한 펄프는 남방 수나무를 원료로하는 IP SUPER SOFT(상품명)였고, 그 섬유길이 평균치는 2.5㎜ 였다.
상기 쉬트를 20㎝×20㎝의 정사각편으로 절단했다.
이 정사각편들의 양면에서 135℃의 열풍을 1.5m/sec의 속도로 송풍시켜 열처리했다.
이 정사각편들의 면적을 재차 측정하여 면적수축률을 구했다.
[접합강도]
단섬유펄프 혼합물의 사각편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 및 열처리했다.
이 시료들을 길이 20㎝, 폭 25㎜의 스츠리프로 절단했다. 각각의 스트리프를 인장시험기텐실론(시마쥬사제)를 사용하여 물림구간(chuck-to-chuck)거리 10㎝, 인장속도 300m/분에서 파단강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들은 표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밀도가 0.950g/㎤, 용융유속이 30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중간층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중에 혼합한 폴리에틸렌 및, 상기 외부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들과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3]
밀도가 0.935g/㎤, 요융유속이 25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중간층의 폴리프로필렌수지 중에 혼합한 폴리에틸렌 및 상기 외부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들과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고 시험했다.
그결과들을 표1에 나타냈다.
[실시예 4]
밀도가 0.935g/㎤, 용융유속이 21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중간층의 폴리프로필렌수지중에 혼합한 폴리에틸렌 및 상기 외부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섬유들과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1에 나타냈다.
[실시예 5]
폴리프로필렌 95중량부와 폴리에틸렌 5중량부를 함유한 폴리프로필렌수지를 중간층으로 사용한 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와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6]
폴리프로필렌 75중량부와 폴리에틸렌 25중량부를 함유한 폴리프로필렌를 수지중간층으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2와 유사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와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1에 나타냈다.
열처리전의 쉬트의 밀도는10×10-3g/㎤∼15×10-3g/㎤였고, 푹신푹신했다. 면적수축률 10%의 열처리후의 쉬트의 밀도는 30×10-3g/㎤∼50×10-3g/㎤였고, 감촉이 부드러웠다. 굽힘내성은 10∼20이었다.
이 굽힘내성은 로드 벤딩(load bending)법에 의해 보드의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시험방법인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
P-8125에 준하여 측정했다.
[실시예 7]
펄프를 사용하지않고 스플리트섬유만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집합체(쉬트)를 제조 및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8]
펄프를 사용않고 스플리트섬유만으로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스플리트 섬유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1]
밀도가 0.935g/㎤, 용융유속이 1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 중간층의 폴리프로필렌수지중에 혼합한 폴리에틸렌 및 상기 외부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들과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2]
밀도가 0.958g/㎤, 용융유속이 0.4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 중간층의 폴리프로필렌수지중에 혼합한 폴리에틸렌 및 상기 외부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들과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3]
밀도가 0.918g/㎤, 용융유속이 2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 중간층의 폴리프로필렌수지중에 혼합한 폴리에틸렌 및 상기 외부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들과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4]
밀도가 0.926g/㎤, 용융유속이 22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 중간층의 폴리프로필렌수지중에 혼합한 폴리에틸렌 및 상기 외부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 섬유들과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5]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지않고 폴리프로필렌 단독으로 중간층을 형성한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스프리트섬유들과 그의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6]
폴리프로필렌 50중량부와 폴리에틸렌 50중량부를 함유한 폴리프로필렌을 중간층으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스플리트섬유 및 그의 집합체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1에 나타냈다.
[비교예7]
펄프를 사용않고 스플리트섬유만으로 비교에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8]
폴리에틸렌수지의 제1층과 폴리프로필렌수지의 제2층으로 구성된 2층구조의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사용한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스플리트섬유 및 그의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밀도는 50×10-3g/㎤이상이고 거친 감촉이었고, 실시예6과 동일방법으로 측정한 굽힘내성은 20이상 이었다.
[비교예 9]
제1 폴리에틸렌층과 제2 폴리프로필렌층으로 된 2층구조의 복합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하고 밀도가 0.965g/㎤, 용융유속이 13g/10분인 폴리에틸렌을 상기 제2층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중에 혼합시킨 폴리에틸렌 및 상기 제1층의 폴리에틸렌수지로서 사용한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스플리트섬유 및 그의 집합체(쉬트)를 제조하여 시험했다.
그 결과들을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10]
용융유속이 0.4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구조가 거칠어서 연신이 불가능했다.
[비교예 11]
용융유속이 15g/10분인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외에는 실시예2와 동일하게 실시했다.
용융시 용융 장력(melt tension)이 부족하여-필름성형이 불가능했다.
Figure kpo00002
(표계속)
Figure kpo00003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설명한 요지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지적이 없는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된다.

Claims (6)

  1. 폴리프로필렌층 양면에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3층구조의 복합 합성수지필름으로부터 얻어지는 스플리트섬유에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층은 용융유속이 0.5∼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70∼95중량%와, 밀도가 0.93∼0.96g/㎤인 폴리에틸렌 30∼5중량%로 된 혼합물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에틸렌층은 밀도가 0.93∼0.96g/㎤이고 용융유속이 13g/10분이상이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트섬유.
  2. 제1항의 스프리트섬유 또는 상기 스플리트섬유와 식물성섬유 소재의 혼합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인 스플리트섬유집합체.
  3. 제2항에있어서, 식물성 섬유소재외의 다른 섬유소재들과 흡수성 중합체로 된 군에서 선택한 1종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스플리트섬유 집합체.
  4. 폴리프로필렌층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3층구조의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슬리팅 및 연신하여 연신된 테이프를 형성한후, 이 연신된 테이프를 스플리트섬유로 해섬 하는 스플리트섬유 제조방법에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층은, 용융유속이 0.5~1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70∼95중량%와, 밀도가 0.93∼0.96g/㎤인 폴리에틸렌 30∼5중량%로 구성된 혼합물로 되고, 상기 폴리에틸렌층은 밀도가 0.93∼0.96g/㎤이고 용융유속이 13g/10분 이상인 폴리에틸렌으로 된 것이 특징인 스플리트섬유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기재한 폴리프로필렌층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3층구조의 복합 합성수지필름을 슬리팅 및 연신하여 연신된 테이프를 형성하고, 이 연신된 테이프를 스플리트섬유로 해섬하고, 얻어진 스플리트 섬유들을 단독으로 또는 식물성 섬유소재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상기 폴리에틸렌의 융점과 폴리프로필렌의 융점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스플리트 섬유들을 서로 또는 식물성 섬유소재와 접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공정에서, 상기 식물성 섬유소재 이외의 섬유소재들과 중합체들로 된 군에서 선택한 1종이상의 첨가제를 상기 스플리트 섬유에 첨가하는 것이 특징인 스플리트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
KR1019900013615A 1989-08-31 1990-08-31 스플리트 섬유와 그의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0145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5765 1989-08-31
JP22576589 198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859A KR910004859A (ko) 1991-03-29
KR0145294B1 true KR0145294B1 (ko) 1998-07-15

Family

ID=16834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615A KR0145294B1 (ko) 1989-08-31 1990-08-31 스플리트 섬유와 그의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188895A (ko)
EP (1) EP0415759B1 (ko)
JP (1) JP2828757B2 (ko)
KR (1) KR0145294B1 (ko)
AT (1) ATE115201T1 (ko)
AU (1) AU635960B2 (ko)
CA (1) CA2024313C (ko)
DE (1) DE69014777T2 (ko)
DK (1) DK0415759T3 (ko)
ES (1) ES2067686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911B1 (ko) * 1997-09-25 2005-04-08 주식회사 효성 카페트용폴리프로필렌섬유의제조방법
KR101243470B1 (ko) * 2013-01-22 2013-03-13 김건 저수축성 해저용 폴리프로필렌 얀 및 이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884A (en) * 1994-08-25 1995-10-24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and strong thermoplastic polymer fibers and nonwoven fabric made therefrom
US5759462A (en) * 1994-10-14 1998-06-02 Amoco Corporaiton Electrically conductive tapes and process
US5681646A (en) * 1994-11-18 1997-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 strength spunbond fabric from high melt flow rate polymers
DE69634723T2 (de) * 1995-01-23 2006-02-23 Stockhausen Gmbh Träger mit hochabsorbierendem material,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US5759926A (en) * 1995-06-07 1998-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e denier fibers and fabrics made therefrom
BR9611827A (pt) 1995-11-30 1999-09-28 Kimberly Clark Co trama não entrelaçada de microfibras superfinas.
US5895710A (en) * 1996-07-10 1999-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producing fine fibers and fabrics thereof
US5783503A (en) * 1996-07-22 1998-07-21 Fiberweb North America, Inc. Meltspun multicomponent thermoplastic continuous filaments, products made therefrom, and methods therefor
US6200669B1 (en) 1996-11-26 2001-03-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ntangl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5993537A (en) 1998-03-11 1999-11-30 Dalhousie University Fiber reinforced building materials
KR100269031B1 (ko) * 1998-05-14 2000-10-16 김석훈 폐각폐기물을 이용한 수산화칼슘의 제조방법
US6440533B1 (en) 2000-09-22 2002-08-27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PVC replacement film
US6983571B2 (en) * 2000-09-29 2006-01-10 Teel Plastics, Inc. Composite roofing panel
US8364342B2 (en) * 2001-07-31 2013-01-29 Immersion Corporation Control wheel with haptic feedback
US20050260380A1 (en) * 2004-05-20 2005-11-24 Moon Richard C Tuftable carpet backings and carpets with enhanced tuft holding properties
US20070178790A1 (en) * 2006-01-31 2007-08-02 Propex Fabrics Inc. Secondary carpet backing and buckling resistant carpet made therefrom
US7735287B2 (en) * 2006-10-04 2010-06-15 Novik, Inc. Roofing panels and roof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US8020353B2 (en) * 2008-10-15 2011-09-20 Novik, Inc. Polymer building products
US8209938B2 (en) 2010-03-08 2012-07-03 Novik, Inc. Siding and roofing panel with interlock system
CA135807S (en) 2010-06-04 2011-01-27 Novik Inc Roof or siding shingle panel
CA2838061C (en) 2012-12-19 2016-03-29 Novik Inc. Corner assembly for siding and roofing coverings and method for covering a corner using same
US9388565B2 (en) 2012-12-20 2016-07-12 Novik Inc. Siding and roofing panels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9769A (en) * 1968-01-03 1974-06-25 Bemberg Ag Split fibers from blends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US4134951A (en) * 1971-08-31 1979-01-16 Smith & Nephew Polyfabrik Limited Production of filaments
WO1987002719A1 (en) * 1985-11-01 1987-05-07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Conjugated fiber and water absorbing material using same fiber as base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m
WO1987005860A1 (en) * 1986-04-02 1987-10-08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Water-absorbent composite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DE3777721D1 (de) * 1986-08-11 1992-04-30 American Cyanamid Co Zusammensetzungen zur parenteralen verabreichung und deren verwendung.
JPH01246412A (ja) * 1988-03-24 1989-10-02 Chisso Corp 結晶性ポリプロピレン微細繊維糸及び結晶性ポリオレフイン微細繊維糸の製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911B1 (ko) * 1997-09-25 2005-04-08 주식회사 효성 카페트용폴리프로필렌섬유의제조방법
KR101243470B1 (ko) * 2013-01-22 2013-03-13 김건 저수축성 해저용 폴리프로필렌 얀 및 이를 이용한 해저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5960B2 (en) 1993-04-08
US5275884A (en) 1994-01-04
CA2024313A1 (en) 1991-03-01
EP0415759B1 (en) 1994-12-07
DE69014777D1 (de) 1995-01-19
CA2024313C (en) 2001-03-13
DE69014777T2 (de) 1995-04-13
KR910004859A (ko) 1991-03-29
JP2828757B2 (ja) 1998-11-25
JPH03220308A (ja) 1991-09-27
EP0415759A3 (en) 1991-11-21
ATE115201T1 (de) 1994-12-15
EP0415759A2 (en) 1991-03-06
AU6202290A (en) 1991-03-07
ES2067686T3 (es) 1995-04-01
DK0415759T3 (da) 1995-02-13
US5188895A (en)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294B1 (ko) 스플리트 섬유와 그의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EP0394954B1 (en) Strong nonwoven fabrics from engineered multiconstituent fibers
DE69826390T3 (de) Vliese aus Hohlfaden und Hohlfilamente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69417258T3 (de) Verbundmaterial aus einer undurchlässigen, textilartigen folie und einem vlies
JP5519717B2 (ja) 高強度および高伸長率のワイパー
JP3302690B2 (ja) 多層ブローンミクロファイバーを基礎とする拭取り材料
AU782574B2 (en) Soft polypropylene melt spun nonwoven fabric
KR100453609B1 (ko) 열융착성복합섬유및이로부터제조된부직포
KR100403057B1 (ko) 셀룰로오스 결합 섬유
MXPA02006534A (es) Telas no tejidas termoplasticas biodegradables para manejo de fluido.
MXPA05001752A (es) Materiales no tejidos capaces de estirarse con controlada fuerza de retraccion y metodos para hacer los mismos.
US20030129909A1 (en) Nonwoven barrier fabrics with enhanced barrier to weight performance
JPH0874128A (ja) 熱融着性複合繊維およびその繊維を用いた不織布
KR20030045070A (ko) 다층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960000087B1 (ko) 불투명 특성을 갖는 연수(soft water)투과성 폴리올레핀 부직포
US20040133177A1 (en) Barrier performance of absorbent article components
EP0089113A2 (en) Fire retardant composite fibr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JPH07103490B2 (ja) 複合系熱融着性繊維
JP2909837B2 (ja) 熱融着性繊維
JP2613614B2 (ja) 解繊維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解繊維を用いた解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JPH03260115A (ja) 熱接着性複合繊維
JPH03152214A (ja) 熱接着性繊維
KR20000040990A (ko) 가공성 및 촉감이 우수한 부직포용 복합방사섬유 및 이로부터제조된 단섬유 부직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