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734B1 - 화상표시용 보정파형 데이타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용 보정파형 데이타 생성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734B1
KR0144734B1 KR1019890014543A KR890014543A KR0144734B1 KR 0144734 B1 KR0144734 B1 KR 0144734B1 KR 1019890014543 A KR1019890014543 A KR 1019890014543A KR 890014543 A KR890014543 A KR 890014543A KR 0144734 B1 KR0144734 B1 KR 0144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djustment
correction waveform
correction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255A (ko
Inventor
가즈오 기이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0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상 표시용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2도는 디지탈 컨버전스 보정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a도 내지 제3e도는 제2도의 디지탈 컨버전스 보정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데이타 맵 구성의 설명도.
제5a도 내지 제5i도는 데이타 맵의 데이타 구성도.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데이타 맵의 판독 방법의 설명도.
제7도는 워크 RAM의 구성도.
제8a도 내지 제8f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9도는 러프조 코맨드의 식별 루틴의 흐름도.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코맨더의 조작 설명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설명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파형도.
제13a도 내지 제13c도는 종래예의 컨버전스 보정의 설명도.
제14a도 및 제14b도는 종래예의 보정 파형도.
제15a도, 제15b도 및 제16a도, 제16b도는 종래예의 블랭킹 기간의 보정 파형에 대한 직선 보간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 2:코맨더
3:연산 처리부 4:EPROM
5:워크 RAM 6:EEPROM
7:데이타 RAM
[A.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등의 디지탈 컨버전스 및 디지탈 포커스 등의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B.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등의 디지탈 컨버전스 및 디지탈 포커스 등의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에서, 화면상에서 대표되는 소수의 대표 조정점의 조정데이타에서 블랭킹 기간의 영역을 포함하는 모든 조정점의 조정 데이타를 자동적으로 보간하여 보정 파형 데이타를 생성할 때에, 메모리에 각 대표 조정점마다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를 기억하여 두고, 그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를 각 대표 조정점에서의 조정 지시에 의하여 반복하여 가감산함으로써 상기 조정 데이타 및 보정 파형 데이타를 연산 시간이 걸리는 승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얻음으로써, 양호한 보정 파형을 조작성 좋게 고속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 종래기술]
종래부터 텔레비젼 수상기(이하 TV라고 한다)에서 컨버전스나 포커스 등의 조정을 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컨버전스 플레이트(컨버전스 코일)나 보정 코일에 인가하는 보정 파형을 디자탈 처리로서 자유자재로 조정하는 것이 있다.
제13a도 내지 제13c도는 종래예의 컨버전스의 보정 파형에 대한 디지탈 조정의 설명도이다. 제13a도는 TV(100) 화면상의 조정점을 나타내는 크로스해치(crosshatch) 패턴을 나타내고, 제13b도는 파인(fine)조의 설명도, 제13c도는 러프(rough)조의 설명도이다. 이 컨버전스의 보정 파형의 조정에서는 제13a도에 나타나듯이 TV(100)의 화면상에 복수(예컨대 종 17 x 횡 17 = 256점)의 조정점 Pi,j가 매트릭스형으로 할당되어 있으며, 초기에 제13a 도의 각 조정점의 1점 1점마다 조정(파인조 또는 정조)을 행하였지만, 조정점이 많으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부담해야 하고, 보정 파형이 불연속으로 되며, 결과로서 원활한 보정 파형을 얻을 수 없고, 화면에서 본 경우에 불연속이 두드러지는 경우가 있는 것이 결점이었다. 이러한 경우를 해소하기 위하여 고려된 것이, 대표로 되는 조정점을 어느개소에 설치하고, 어느 대표 조정점에 조정 데이타를 넣었을때에, 그 근방 조정점의 조정 테이타도 자동적으로 보간되며, 연속적인 변화를 얻도록 보정 파형 데이타의 연산 처리를 하는 것, 즉, 러프조에 의한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였다. 이것을 제13도에서 설명하면 제13b도에 나타내는 파인조는 화상(100a)(도면에서는 1/4 상한을 나타낸다)상의 예컨대 조정점 P0,0(원점)에서 조정한 경우에 그 조정점 P0,0만의 조정 데이타를 부여하는 것이고, 따라서 조정 데이타가 불연속이 될 가능성이 있었다. 그것에 대하여 제13c도에 나타내는 러프조에서는 화면(100a) (도면에서는 1/4 상한을 나타낸다)상의 수평축을 x, 수직축을 y로 하고, 보정 파형의 조정 데이타를 z 방향의 진폭(깊이)으로 나타내면, 제13a도에 나타내는 화면의 러프조의 경우에는 예컨대 대표점 P0,0에서 조정한 경우, 그 근방의 모든 조정점(격자의 교점)에서
z =a ·(k-x)2·(k-y)2(1)
a : 계수 , k: 정수
로 하는 연산식에 의한 연산에 의하여 제13c도에 나타내는 매끈한 곡면에 따른 조정 데이타가 부여된다.
이러한 컨버전스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에서 작성된 조정 데이타는 RAM(랜덤 억세스 메모리)에 기입되며, 화상 표시의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의 주사에 동기하여 순차 판독되며, D/A변환에 의하여 수평 주기의 계단형 보정 파형이 된다. 이 컨버전스의 보정 파형은 저역 필터(LPF)를 통하여 평활화된 후 앰프등을 거쳐 컨버전스 플레이트나 보정 코일로 인가되어, 그 보정이 행해 졌다.
제14a도 및 제14b도는 종래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의 수평 보정 파형도이다. 컨버전스의 보정 파형은 포물선(parabora)형을 하고 있으며, 제14a도는 이상적인 보정 파형의 일예를 나타내고, 제14b도는 실제의 출력 보정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표시에 있어서 수평기간의 1주사는 영상 표시 시간 (활성 기간)과 수평 블랭킹 기간(H.BLK)으로 나뉘어져 있지만, 상기 종래의 조정은 활성 기간내에서만 행해지며(내삽 보간), 수평 블랭킹 기간에서는 제14a도에 나타나듯이 그라운드(GND)레벨을 부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보정 파형은 제14b도에 나타나듯이 활성 기간과 수평 블랭킹 기간 상호의 교체점에서, 저역 필터등의 영향등에 의하여 파형이 지연되고 (예컨대 A부) 둔해지므로, 화면의 좌우단에서 좋지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래서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려된 종래의 방법이 제15a도, 제15b도에 나타낸 수평 블랭킹 기간에서의 직선보간이다. 제15a 도는 이 경우의 이상적인 보정 파형을 나타내고, 제15b도는 실제의 출력 보정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방법은 활성 기간의 최초와 최후의 조정 데이타를 보고 수평 블랭킹 기간내를 직선으로 잇는다는 직선 보간 방법이었다.
[D.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의 컨버전스 등의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에서는 아래와 같은 해결해야할 문제점이 있었다.
(1) 러프조에서는 연산 처리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대표 조정점 근방의 조정점에서 컨버전스 등의 보정을 위한 최적 파형을 만들도록 조정 데이타를 생성하고 있지만, 이 연산 처리에는 식 (1)에 나타나듯이 복잡한 승산을 수반하므로 다대한 연산 처리 시간을 요하고, 화면상에서의 변화 속도가 지체되어 조작성이 나쁘고 조정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 식 (1)의 연산은 CPU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그래서 연산 처리 시간을 조금이라도 빠르게 하기 위하여는 성능이 높은 CPU나 연산 처리 프로세서(Coprocessor)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가격이 비싼 결점이 있다.
(2) 수평 블랭킹 기간의 직선 보간에서는 활성 기간의 최초와 최후 조정 데이타를 보고 수평 블랭킹내를 직선으로 이음으로써 화면상의 좌우단에서의 저역 필터등에 의한 지연이나 파형이 무뎌지는 영향을 방지하도록 하였지만, 그 효과는 직선으로 이어지는 2점간의 변화가 제15도와 같이 거의 없던지 또는 작은 경우에 유효하고, 제16a도, 제16b도에 나타나듯이 크게 되면, 실제 보정 파형도 제16b도의 B부와 같이 상기 영향이 나타나며, 모든 경우에서 그 영향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제16a도는 이 경우의 이상적인 보정 파형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고, TV 등의 컨버전스나 포커스 등의 보정 파형을 디지탈 조정으로 얻을 때, 최적의 파형을 조작성 좋게 고속으로 얻도록한 화상 표시의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정 파형 데이타의 생성 장치에 대한 하나의 구성은, 화면상의 대표 조정점 마다 그 대표 조정점과 그 근방의 조정점의 미리 산출된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각 대표 조정점에서의 조정 지시에 의해 그 대표 조정점을 포함하는 모든 조정점에서 상기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를 가감산하여 화상 표시에서의 보정 파형 데이타를 작성하는 연산 처리부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외의 구성으로는, 상기 화상 표시의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에서, 대표 조정점 이외의 조정점으로서 화상 표시의 블랭킹 기간의 영역에 조정점을 설치하고, 메모리는 이 블랭킹 기간 영역의 조정점의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를 포함하여 기억하고, 연산 처리부는 상기 블랭킹 기간의 영역 조정점에서도 보정 파형 데이타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 작용]
본 발명은 화면상에서 대표되는 소수의 대표 조정점에서의 조정 지시에 의하여, 대표 조정점을 포함하는 모든 조정점의 보정 파형의 조정 데이타를 메모리에 기억한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의 가감산에 의하여 보간하여 생상한다. 따라서 양호한 보정 파형을 얻기 위한 어떤 복잡한 연산도 미리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 작성 단계에서 반영되며, 조정시에는 연산 기간이 걸리지 않는 가감산으로 되어 고속으로 양호한 보정 파형 데이타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대표 조정점 이외의 조정점으로서, 화상 표시의 블랭킹 기간 영역에도 설치하면 보정 파형 데이타의 교체 타이밍을 블랭킹 기간내의 중앙부 부근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화면 좌우단에서의 저역 필터등에 의한 지연이나 파형 둔화의 악영향을 방지하여 한층 더 양호한 보정 파형을 얻을 수 있다.
[G.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G1. 제1실시예의 구성(제1도 내지 제7도)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는 디지탈 컨버전스 보정 회로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한다. 본 실시예의 컨버전스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1)는, 작업자가 대표 조정점에서 조정의 지시를 입력하는 코맨더(2)와 그 지시로 보정 파형 데이타를 작성하는 연산 처리부(3)와, 이 연산 처리부(3)의 프로그램과 그 연산 처리에서 사용하는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이하 데이타 맵이라 한다)를 기억하는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4)과, 상기 연산 처리 결과를 일시 기억하는 위크 RAM(5)과, 전기적으로 바꿔쓰기 가능한 백업용의 EEPROM(Electric Erasable Programmable ROM; 6)을 갖춘다. 연산 처리부(3)로서의 CPU 등이 사용되고 코맨더(2)와는 예컨데RS422A등의 인터페이스로 결합된다.코맨더(2) 조정 항목을 지시하는 코맨드나 화면상의 대표 조정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코맨드, 그 대표 조정점에서 보정 파형의 진폭값을 결정하는 조정 데이타를 증가시킬지 감소시킬지를 지시하는 코맨드 등을 송출할 수 있다. 연산 처리부(3)는 코맨더(2)에서 증가 또는 감소의 조정 지시가 있는 동안, 그 대표 조정점과 근방의 조정점의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를 단위로 하여 반복하여 가감산하여 가고, 최종적으로 모든 조정점의 보정 파형을 생성하기 위한 데이타를 작성한다.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는, 이미 매끄러운 최적의 보정 파형을 얻을 수 있도록 연산식에 의하여 산출되어 기억되어 있으며, 각 대표 조정점마다 그 대표 조정점과 그 근방의 조정점에 대하여 기억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보정 파형 생성 장치(1)는 포커스 등 다른 보정 회로에도 공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디지탈 컨버전스 보정 회로의 고유 부분을 설명한다. (7)은 이상에 의하여 얻어진 보정 파형 데이타를, 조정 모드시에는 워크 RAM(5)에서, 또한 통상모드시에는 전원 투입시에 EEPROM(6)에서 전송하여 기억 하는 데이타 RAM, (8)은 보정 파형 데이타를 수평·수직의 동기 신호에 동기시켜 판독하는 카운터, (9)는 판독된 보정 파형 데이타를 D/A변환하여 계단형 파형 (통상 컨버전스 보정 파형은 포물선 파형으로 된다)으로서 출려하는 D/A 변화기, (10)은 그 계단형 파형을 평활 화하기 위한 저역 필터, (11)은 출력 앰프이다. 풀력 앰프(11)에서 출력되는 보정 파형은 최종적으로 브라운관(12)의 컨버전스 플레이트(컨버전스 요크)(13)에 인가된다. 이들 데이타 RAM(7), D/A 변환기(9), 저역 통과 필터(10), 출력 앰프(11)등은 조정 항목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조정 항목으로서는 수평 컨버전스 적/청(H.CONV.R/B),수형 컨버전스 청(H.CONV.B), 수직 컨버전스 적/청(V.CONV.R/B) 수직 컨버전스 적(V.CONV.R), 다이나믹 포커스(DF), 축상 4극자(axial quadrupole: AQP), 대각선 4극자(diagonal quadrupole : DQP) 등이 있다.
제2도는 상기 디지탈 컨버전스 보정 회로의 고유 부분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3도는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제1도의 데이타 RAM(7)은 제2도에서 2개의 데이타 RAM(7a,7b)으로 구성되며, 동일 어드레스에 대하여 동일 보정 파형 데이타가 기입된다. 양방의 데이타 RAM(7a,7b)의 보정 파형 데이타는, 카운터(8)에서 부여되는 별개의 어드레스에 의하여 다른 라인의 데이타가 순차 교대로 판독되며, 각각 별개의 D/A변환기(9a,9b)에 입력된다. 이들 D/A변환기 (9a,9b)에는 위상이 다른 3각파형의 기준 전압(REFa,REFb) 이 입력되고, 이 기준 전압(REFa,REFb)의 기상점(apex)의 간격을 조정점이 가지는 수평 라인 간격분과 같게 되어 있으며, 한쪽이 증대하면 다른쪽은 감소하는 위상으로 되어 있다. 2개의 D/A변환기(9a,9b)의 출력(A),출력(B)은 믹스부(9c)에서 믹스되며, 저역 필터(10), 앰프(11)를 통하여 출력(C)이 생성된다. 이상의 구성은 조정점을 가지지 않는 수평 라인의 보정 파형을 인접하는 조정점을 가지는 수평 라인의 보정 파형 데이타를 토대로 직선 보간하는 것이다.
이상 제2도의 디지탈 컨버전스 보정 회로의 동작을 제3a, 3b, 3c, 3d, 3e도의 파형도로서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조정점을 가지는 수평라인(이하 라인이라고 표시한다) 간격은 4라인아다. 제3a도는 1라인의 D/A변환 파형을 나타내고, 계단형 포물선 파형으로 되어 있다. 제3b도는 D/A변환기(9a)의 출력(A)의 파형, 제3c 도는 D/A변환기(9b)의 출력(B)의 파형, 제3d도는 앰프(11)의 출력(C)의 파형이고, 제3e도는 같은 출력(C)의 파형이지만, 조정에 의하여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출력(A)의 최대점(L1)은 조정점을 가지는 라인의 출력이고, 최소점(L5)은 그 라인(L1)의 다음 조정점을 가지는 라인의 출력이다. 이 출력 사이 수평 주기에 동기하여 데이타 RAM(7a)에서는 라인(L1) 의 보정파형 테이타가 반복하여 출력되고, 데이타RAM(7b)에서는 라인(L5)의 보정 파형 데이타가 반복하여 출력된다. 이 사이, 출력(A)은 기준 전압(REFa)의 감소에 의하여 감소하고, 출력(B)은 기준 전압(REFb)의 증대에 의하여 증대한다. 따라서 라인(L1)의 출력 타이밍시의 보정 파형은 라인(L1)의 보정 파형 데이타에 의하여 출력되고, 라인(L5)의 출력 타이밍시의 보정 파형은 L5의 보정 파형 데이타에 의하여 출력되지만, 조정점을 가지지 않는 라인 (L2내지 L4)의 출력 타이밍시의 보정 파형은 상기 라인(L1, L5)중 가까운 쪽에 의하여 큰 직선 비율로서 믹스된 보정 파형 데이타에 의해 출력된다. 다음에 라인(L5)에서 라인(L9)까지의 보정 파형의 출력에서는 데이타 RAM(7a)에서 (L9)까지의 보정 파형 데이타가 반복하여 출력되고, 데이타 RAM(7b)에서 계속 하여 L5의 보정 파형 데이타가 출력되어 마찬가지로 라인(L6내지 L8)이 직선 보간된다. 출력(C)은 조정(통상 모드시=정조시)에 의해 포락선(D, D')에서 나타내는 범위에서 움직인다.
다음에 데이타 맵의 구성을 나타낸다. 제4a도 내지 제4c도는 그를 위한 설명도이다. 제4a도는 화면의 수평축 x방향에서 본 연산처리의 설명도, 제4b도는 화면의 1/4 상한의 러프조정(이하 러프조라한다)시의 대료 조정점을 나타내는 도, 제4c도는 데이타 맵 이용 설명도이다. 제5a내지 5i도는 데이타 맵의 데이타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화면상의 조정점은 조정 항목마다 예컨대 17x 17(계 289)점 할당되며,이중 예컨대 5x5(계25)점을 대표 조정점으로서 이용을 행하면, 러프조 즉 그것 이외의 조정점에서 자동적으로 매끈한 보정파형 얻을 수 있도록 디지탈 조정이 행해진다. 종래의 기술에서 서술했듯이 화면상에서 평축을 x, 수직축을 y, 보정 파형 데이타의 진폭(깊이)을 z로 하면, 화면코너 주변에서는 식 (1)즉 z =a ·(k-x)2·(k-y)2의 연산식에 의하여 각 조정점의 보정 파형 데이타를 갱신하면 양호하지만, 탑재하고 있는 CPU로서는 이 복잡한 연산은 매우 부담이 되며, 매우 많은 처리 시간을 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연산 처리를 피하는 방법으로 미리 연산한 결과를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데이타 맵)로서 EPROM(4)에 보유하여두고, 이 데이타를 조정 지시에 의하여 가산하는 것으로, 조정된 보정 파형 데이타를 얻는다. 선정의 연산식을 사용하여 표현하면,
z' = (k-x)2·(k-y)2(2)
z = a · z' (3)
으로 변형하고, 식 (2)의 결과를 데이타 맵으로서 가지며, 식 (3)만의 연산으로 보정 파형 데이타를 얻는 셈이다. 요컨대 제4a도에 나타나듯이 계수 a 를 변화시켜 가는 것이지만, 식(3)에서는 승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또한 상당의 연산 시간을 요하므로, 조정점의 데이타(z)의 데이타 길이를 예컨대 8비트로 했을 때에 그 2배의 데이타 길이인 16비트로 전개하고, 데이타 맵상의 데이타(예컨대 8비트)를 기본 단위로 하여 가산(증가의 조정지시가 있을 때) 또는 감산(감소의 조정 지시가 있을때)하여 계수 a 배가 되도록 하고, 전개한 데이타 길이 16 비트 중 상위 8비트를 유효하게 한다. 이 방법의 좋은점은 최적의 보정 파형을 얻기 위한 어떤 연산처리에서도 가감산만으로 되므로, 처리 시간이 짧다는 것이다. 또한 하위 8비트의 결과가 메모리상에 보유되므로 가감산을 반복했을 때의 환오차가 나오지 않는다. 즉, 유효 데이타 길이의 2배 데이타 길이로서 연산 처리를 행하므로 연산의 정확도가 보증된다.
상기에서 말하는 데이타 맵은 가감산의 기본 단위가 되는 식 (2)의 연산 처리 결과를 미리 메모리에 기억한 데이타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구성을 아래에 서술한다. 러프조의 대표 조정점은 상기의 예에서 5x5(계 25)점이고, 이것에 대하여 조정되는조정점은 1화면에서 17x17(=289)점이다. 기본적으로는 데이타 맵은 각대표 조정점 마다 1화면분 보유하면 양호하지만, 그렇게하면 25점분 보유에는 17x17x25=7225 바이트의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그 메로리 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4B도에 나타나듯이 화면(100a)을 4분할하고 그중의 1/4 상한의 데이타 맵만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1/4 상한내의 대표 조정점은 ① 내지 ⑨에 나타내는 3x3=9점으로 되며, 보간되는 조정점을 포함한 조정점은 9x9(=81)점으로 된다. 각 대표 조정점 ① 내지 ⑨에 대응하는 데이타 맵이 제5a도 내지 제5i도의 각각이고, 다이나믹 레인지를 8비트로 하여 (최대 데이타를 28-1로 하여) 깊이 방향의 데이타(z)가 9x9의 각 조정점에 대응하여 메모리(EPROM(4))에 기억 된다. 남은 화면의 2/4 의 내지 4/4 상한의 데이타 맵은 제4c도에 나타나듯 이 2/4 상한의 경우는 1/4 상한의 데이타 맵을 V 방향으로 당기어 복귀하고, 4/4 상한의 경우는 H 방향으로 당기어 복귀하고, 3/4 상한의 경우는 H 방향과 V 방향으로 당기어 복귀하여 판독하여 사용한다. 이와같이하면 데이타 맵의 메모리 용량은 9x9x9=729 바이트로 약 1/10 로 할 수 있다
제6a도 내지 제6d도는 데이타 맵의 구체적인 판독 방법의 설명도이다. 러프조에서 워크 RAM(5)의 어드레스는 항시 증가되어 가지만, EPROM(4)의 어드레스는 상한에 의하여 아래와 같이 구사한다. 제6a도에 나타내는 1/4 상한의 경우에는 x=9의 방향으로 y=1측에서 y=9측으로 판독한다. 제6b도에 나타내는 4/4 상한의 경우에는 x=9→ x=1의 방향으로 y=1측에서 y=9 측으로 판독한다. 제6c도에 나타내는 2/4상한의 경우에는 x=1→ x=9 방향으로 y=9 측에서 y=1 측으로 판독한다. 제6d도에 나타내는 3/4 상한의 경우에는 x=9→ x=1방향으로 y=9 측에서 y=1측으로 판독하여 간다. 또한 제4c도의 대교 조정점→과 같이 2 상한에 걸친 경우는 제6a도와 제6c도를 사용하고, 대표 조정점 ④와 같이 4 개의 모든 상한에 걸친 경우는 제6a도 내지 제6d도의 모두를 사용한다.
다음에 워크 RAM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7도는 워크 RAM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워크 RAM(5)에는 상위 8 비트 데이타의 메인 에리어(ME1)와, 하위 8 비트 데이타의 메인 에리어(ME2)와, 상기 상위 8 비트 데이타의 서브 에리어(SE1) 와,상기 하위 8 비트 데이타의 서브 에리어(SE2)가 설치된다. 메인 에리어 (ME1, ME2)로는 러프 조정 모드로 들어가면, 제1도의 EEPROM(6)에서 필요한 조정점의 데이타를 전송하고, 조정의 지시에 의하여 인크리즈 (증가) 또는 디크리즈(감소)의 명령이 오면, EPROM(4)의 데이타 맵을 참조한 값을 그 명령이 계속되는 동안, 하위 8 비트 데이타의 메인 에리어(ME2)에서 가산 또는 감산하여 가며, 그결과의 상위 8 비트 데이타의 메인 에리어(ME1)값을 인터럽트 처리 등에 의해 수평 블랭킹 기간에 데이타 RAM(7)으로 전송한다. 서브 에리어(SE1, SE2)로는 조종의 결과에서 상위 8 비트 데이타에 캐리(carry)나 바로우(borrow)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메인 에리어(ME1,ME2)의 데이타가 복사되며, 상위 8 비트 데이타의메인 에리어(ME1) 값에 캐리 혹은 바로우가 발행했을 때 등의 백업용으로 되어 있다.
G. 제1실시예의 동작 (제8도 내지 제10도)
이상과 같이 구성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8a도 내지 제8f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8a도는 러프조 모드 설정의 수속을 나타내고, 지시에 의하여 러프조 모드로 들어가면 인터럽트 벡터의 서환(고쳐쓰기)과 필요한 경우에는 워크RAM(5)의 리플레쉬 등 여러가지 초기화의 처리를 행한다. 제8b도는 데이타 RAM으로의 데이타 전송 루틴을 나타내고, 수직 블랭킹 기간 V.BLK에서의 인터럽트 처리에 의하여 RAM(5)의 메인 에리어(ME1)에 생성한 예컨대 1H(수평라인)분(17개)의 상위 8비트이 보정 파형 데이타를 데이타 RAM(7)로 전송한다. 제8c도는 러프조 루틴을 나타내고, 여기에서는 우선 외부의 코맨더(2)에서 보내져오는 러프조 코맨드를 식별하여 조정항목 설정등의 지시에 따라 러프조모드의 설정(제8d도)또는 러프조(제8e도) 또는 러프조의 종료 처리(제8f도)를 지시한다. 제 8d도에 나타내는 러프조 모드의 설정에서는 조정항목(H.CONV R/B, DF, ...등)에 관계하는 데이타 RAM(7)이나 EEPROM(6)의 어드레스 및 조정점에 의하여 데이타 맵을 선택하기 위해 EPROM(4)의 어드레스 등을 셋트한다. 그후 EEPROM(6)에서 워크 RAM(5)의 메인 에리어(ME1, ME2)로 현재의 보정 파형 데이타(예컨대 16비트)를 전송하고, 계속하여 백업하기 위해 워크 RAM(5)의 서브 에리어(SE1, SE2)로도 기입하여간다. 이후, 러프조 코맨드의 식별 루틴에 의하여 조정 항목에 최적의 화면 패턴(크로스해치, 전백, 전흑, 도트를 발생하는 SG(시그날 제너레이터 등))의 셋트틀 행한다. 다음에 제8e도에 나타내는 러프조에서는 러프 조정 코맨드의 식별 루틴에 의하여 코맨도(2)에서의 조정(adjust)의 지시와 조정 데이타의 증가/감소(UP/DOWN)의 코맨드를 수취하고, 그 증가 또는 감소의 지시가 있는 동안 워크 RAM(5)의 메인 에리어(ME1, ME2)의 데이타에 EPROM(4)의 데이타 맵의 데이타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간다. 조정의 결과, 워크 RAM(5)의 데이타에 캐리 또는 바로우(상위 8비트 데이타가 FFH → OH 또는 OH →FFH)가 생긴 경우에는 즉시 조정 처리를 중지하여 워크 RAM(5)의 서브 에리어(SE1SE2)에 격납되어 있는 하나전의 데이타를 메인 에리어(ME1, ME2)에 기입하여 백업한다. 캐리도 바로우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조정 결과를 워크 RAM(5)의 서브 에리어(SE1, SE2)에 카피하여 둔다. 그리고 제8f도에 나타내는 러프 조정 종료 처리에서는 조정 종료시에 발생되는 코맨더(2)로부터의 러프조 종료의 코맨드에 의하여 워크 RAM(5)의 메인 에리어(ME1, ME2)의 데이타를 EEPROM(6)에 퇴피(dump)시키고, 전송 루틴을 기동하는 인터럽트 처리를 중지함으로 인터럽트 벡터를 서환할 수 있다.
제9도는 러프조 코내드의 식별 루틴의 순서도이다. 이 루틴은 제9도의 순서도 각각의 처리에서 필요에 따라 기동되며, 코맨더(2)에서의 코맨드를 코드에 의하여 식별하여 각각에 지시를 부여한다. OOH 내지 OFH의 코맨드는 조정항목 설정을 지시하고, 40 내지 4FH는 조정 데이타의 UP/DOWN을, AO 내지 AFH는 워크 RAM(5) 데이타의 클리어를, CO 내지 CFH는 워크 RAM(5) 데이타의 EEPROM(6)으로의 퇴피를, BO 내지 BFH는 EEPROM(6)에서 워크 RAM(5)으로의 데이타 전송(데이타 리셋트)을, FO 내지 FFH는 러프조의 종료를, 80 내지 8FH는 대표 조정점(커서)의 이동을, 60 내지 6FH는 SG(시그날 제너레이터)의 셋트를, 90내지 9FH는 R, G, B의 색 신호 표시의 온/오프를, 70 내지 7FH이면 조정 데이타를 리드하여 코맨더(2)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각각 지시한다.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코맨더의 조작 설명도이고, 퍼스널 컴퓨터 등의 조작키를 사용하여 러프조 코맨드의 지시를 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0a도에 나타나듯이 데이타의 세이브, 리셋트, 클리어의 코맨드는 대응하는 기능 키 F1, F2F3와 시프트(shift) 키를 동시에 눌러 부여한다. 데이타 UP/DOWN의 지시는 제10b도, 제10c도 나타나듯이 커서키를 사용하여 행한다. ()안은 컨버전스 보정의 경우를 나타내고 []안은 포커스 보정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CTRL(콘트롤) 키를 누르지 않는 경우는 제10b도의 항목 UP/DOWN을 지시하고, 누른 경우는 제10c도의 항목 UP/DOWN을 지시한다.
G3. 제2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제11도, 제12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나타나듯이 화면에 대응한 조정점에 대하여, 즉 화상 표시의 활성 기간 (트레이스 기간)의 조정점에 대한 보정 파형 데이타를 생성하고 있으며, 따라서 제1도의 EPROM(4)의 데이타 맵도, EEPROM(6)의 데이타도, 워크 RAM(5)의 데이타도, 데이타 RAM(7)의 데이타도 이들의 조정점 17×17점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활성 기간(ACTIVE) 전후의 수평 블랭킹 기간 H.BLKAH.BLKB에도 조정점을 예컨대 3점 (단 1점은 시간적으로 버리게 된다), 3점씩 설치하고(전부 23×17점), 이 조정점의 데이타를 활성 기간의 최초 경사 또는 최후의 경사에서 그 경사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제1실시예의 수법으로 조종 데이타를 자동적으로 보간(외삽 보간이라 한다)한다. 즉, 컨버전스 보정이면, 수평 블랭킹 기간 H.BLKA, H.BLKB내에도 포물선 파형이 계속되는 데이타 맵을 산출하여 EPROM(4)에 기억하여두고, 다른 메모리 EEPROM(6)에도 워크 RAM(5)도 데이타 RAM(7)도 모두 그 수평 블랭킹 기간 H.BLKA, H.BLKB영역의 조정점에 대한 데이타 에리어를 설치하여 두고, 연산 처리부(3)는 그 조정점의 보정 파형 데이타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와같이 하면 제12a 및 제12b도에 나타나듯이 활성 기간 ACTIVE의 최초와 최후에 극단으로 차이 있는 데이타가 들어간 경우에도 그 데이타의 절환을 제12a도의 이상적인 보정 파형에 나타나듯이 수평 블랭킹 기간 H.BLK의 중앙 부근에서 행할 수 있고, 제12b도에 나타내는 실제의 보정 파형과 같이 저역 필터(10)등에 의한 파형의 무딤이나 지연이 생기어도 활성 기간 ACTIVE 내로의 악영향 즉 화면 좌우단에서의 비양호한 경우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주지에 따라 여러 가지로 응용되고, 여러 가지 실시 상태를 취득하는것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화상 표시의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에 의하면,
(1)연산 처리 속도가 단축되어 조정이 보다 부드럽고 빠르게 행해진다.
(2)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데이타맵)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2승계산 코사인 등의 복잡한 계산도 가감산에 의하여 그 복잡에 의존하지 않고 빠른 속도로서 처리 할 수 있으며, 최적의 보정파형 데이타도 쉽게 생성할 수 있다.
(3)화면 표시의 활성기간(트레이스 기간)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자동적으로 수평 블랭킹 기간내에도 연속적인 보정 파형 데이타가 생성되므로, 특히 화면의 좌우단에서 양호한 보정을 실현할 수 있다.
(4)트레이스 기간의(수평 블랭킹 기간)에도 연속성 있는 기본 파형 데이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디지탈 데이타의 판독 타이밍을 변경하여도 화면 좌우단에 극단적인 불연속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

  1. 화상 표시의 1/4 상한의 조정점의 총수보다 사실상 적은 상기 화상 표시의 1/4 상한의 다수의 대표 조정점 각각에 대해 미리 산출된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대표 조정점을, 화상 표시의 보정될 상한(quadrant)에 따라 4개의 다른 시작점에서 판독하는 수단 및; 화상 표시의 각 상한의 각각의 대표 조정점에 관계된 조정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대표 조정점을 포함하는 모든 조정점에서 상기 기본 보정 파형 데이타에만 가산 또는 감산을 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표시를 형성하기 위한 보정 파형 데이타를 생성하는 워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는 연산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용 보정 파형 데이타 생성 장치
KR1019890014543A 1988-10-14 1989-10-11 화상표시용 보정파형 데이타 생성장치 KR0144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9000A JP3035912B2 (ja) 1988-10-14 1988-10-14 画像表示の補正波形データ生成装置
JP259000 1988-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255A KR900007255A (ko) 1990-05-09
KR0144734B1 true KR0144734B1 (ko) 1998-07-15

Family

ID=1732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543A KR0144734B1 (ko) 1988-10-14 1989-10-11 화상표시용 보정파형 데이타 생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16095A (ko)
JP (1) JP3035912B2 (ko)
KR (1) KR0144734B1 (ko)
GB (1) GB2225518B (ko)
MY (1) MY10626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6398A1 (de) * 1990-05-22 1991-11-28 Thomson Brandt Gmbh Fokussiereinrichtung fuer eine bildwiedergabeeinheit
DE4214317A1 (de) * 1992-05-04 1993-11-11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JPH0767122A (ja) * 1993-06-18 1995-03-10 Pioneer Electron Corp コンバーゼンス調整装置
JPH07162878A (ja) * 1993-12-02 1995-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コンバーゼンス調整回路及び投写型表示装置
JPH07255059A (ja) * 1994-03-15 1995-10-03 Sony Corp 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装置及び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方法
KR0130871B1 (ko) * 1994-03-21 1998-04-21 김광호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JP3513669B2 (ja) * 1994-07-06 2004-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偏向歪補正回路
US5739870A (en) * 1996-03-11 1998-04-14 Display Laboratories, Inc. Math engine for generating font gradients
JPH11514813A (ja) * 1996-04-26 1999-12-14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スポット位置表示信号発生
JP3436005B2 (ja) * 1996-07-25 2003-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波形発生装置
DE19704775A1 (de) * 1997-02-08 1998-08-13 Thomson Brandt Gmbh Verfahren zur Korrektur der Konvergenz bei einem Projektionsfernsehgerät
US6281950B1 (en) 1997-06-16 2001-08-28 Display Laboratories, Inc. High speed digital zone control
DE19927782A1 (de) * 1999-06-18 2000-12-21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 zur Korrektur von Ablenkfehlern in einem Fernsehgerät
KR100306212B1 (ko) * 1999-08-21 2001-11-01 윤종용 스플라인 보간을 이용한 컨버젼스 조정장치 및 방법
US6473139B1 (en) 1999-09-30 2002-10-29 Thomson Licensing S.A. Data error recovery for digital beam landing error correction arrangement
US6369780B2 (en) 1999-09-30 2002-04-09 Thomson Licensing S.A. Auxiliary deflection winding driver disabling arrangement
KR100393559B1 (ko) * 2000-09-30 2003-08-02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지털 동적 컨버젼스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2123213A (ja) * 2000-10-18 2002-04-26 Fujitsu Ltd 画像表示のためのデータ変換方法
JP2002158946A (ja) * 2000-11-20 2002-05-31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歪補正方法
KR20030042514A (ko) * 2001-11-23 2003-06-02 삼성전기주식회사 Crt 화상장치의 디지털 동적 컨버전스 제어 시스템
KR100490407B1 (ko) * 2002-07-12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Crt 포커스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0509502B1 (ko) * 2003-06-14 2005-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버전스 출력용 dac와 다이나믹 포커스 출력용dac를 공유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JP4079147B2 (ja) * 2005-01-14 2008-04-23 船井電機株式会社 液晶テレビ
US8584416B2 (en) * 2005-12-02 2013-11-19 Alabama Metal Industries Corporation Movement control screed
JP5416799B2 (ja) * 2012-03-30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包装体、および包装体パッケージ
KR102255670B1 (ko) 2019-04-29 2021-05-25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기 바늘 수납용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608A (en) * 1970-08-18 1973-06-19 Alphanumeric Inc Scanning correction methods and systems utilizing stored digital correction values
JPS57212492A (en) * 1981-06-24 1982-12-27 Hitachi Ltd Color diviation corrector for color braun tube
US4422019A (en) * 1982-07-12 1983-12-20 Tektronix, Inc. Apparatus for providing vertical as well as horizontal smoothing of convergence correction signals in a digital convergence system
GB2126855B (en) * 1982-09-09 1986-04-23 Link Electronics Ltd Focus correction
JPS6163177A (ja) * 1984-09-04 1986-04-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イジタルコンバ−ゼンス装置
JPS6178294A (ja) * 1984-09-25 1986-04-21 Sony Corp デイジタルコンバ−ジエンス補正装置
JPS61281791A (ja) * 1985-06-07 1986-12-12 Sony Corp デイジタルコンバ−ジエンス装置
US4687973A (en) * 1986-07-09 1987-08-18 Electronic Image Systems, Inc. Digital waveform generator
US4870329A (en) * 1987-02-27 1989-09-26 Nippon Gijutsu Boeki Co., Ltd. Digital convergence circuit storing coefficients of fundamental waves of correction data
JP2778016B2 (ja) * 1987-02-27 1998-07-23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 株式会社 デイ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回路
US4835602A (en) * 1987-08-27 1989-05-30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Color projection television system with apparatus for correcting misconvergence and misgeometry which calculates coefficients of equations representing deflection correction waveforms
US4871948A (en) * 1988-11-08 1989-10-03 Honeywell Inc. Memory mapped deflection corre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05793A (ja) 1990-04-18
MY106268A (en) 1995-04-29
KR900007255A (ko) 1990-05-09
US5016095A (en) 1991-05-14
GB2225518A (en) 1990-05-30
JP3035912B2 (ja) 2000-04-24
GB8923173D0 (en) 1989-11-29
GB2225518B (en) 199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4734B1 (ko) 화상표시용 보정파형 데이타 생성장치
CA1262282A (en) Digital apparatus for convergence correction
US6570611B1 (en) Image display
KR100248452B1 (ko) 디지털 신호 처리용 집적 회로
US4488169A (en) Digital chromakey apparatus
EP0280316A2 (en) Video image transforming method and apparatus
EP0982934A2 (en) CRT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389678A (ja) 位置依存遠隔制御装置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5325446A (en) Apparatus for image transformation
GB2323998A (en) Converting input video signal image into an image with a metallic lustre
US5351094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can velocity modulation being adjusted according to aspect ratio
US5283652A (en) Pattern generation using wipe solid generator
JP2906814B2 (ja) 色信号変換装置
JPH02107089A (ja) 画像表示の補正波形データ移相処理装置
KR100265325B1 (ko) 컨버전스 데이터간의 차분을 이용한 디지털 컨버전스 장치
US5751122A (en)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KR100387000B1 (ko) 화상 표시 장치 및 수평 속도 변조 장치
JPS6346881A (ja) デジタル輪郭補正回路
KR100308259B1 (ko) 디지탈콘버젼스보정장치
JPH07222182A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信号発生装置
JP2840690B2 (ja) ワイプパターン発生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装置
JP3216271B2 (ja) 走査変換装置
JP2644592B2 (ja) 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960016847B1 (ko)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KR100265324B1 (ko) 다중 동기 시알티(crt)디스플레이 장치에 이용되는 디지털 컨버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