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4675B1 - 제초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초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4675B1
KR0144675B1 KR1019900008789A KR900008789A KR0144675B1 KR 0144675 B1 KR0144675 B1 KR 0144675B1 KR 1019900008789 A KR1019900008789 A KR 1019900008789A KR 900008789 A KR900008789 A KR 900008789A KR 0144675 B1 KR0144675 B1 KR 0144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s
compound
herbicides
parts
herbic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018A (ko
Inventor
다케시 유야마
Original Assignee
미리암디. 메코너헤이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암디. 메코너헤이, 이.아이.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리암디. 메코너헤이
Publication of KR91000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4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46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61,2-Diazoles; Hydrogenated 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초제 조성물
본 발명은 수도(水稻)용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A)일반식(Ⅰ)의 아세트안닐리드계 화합물, (B)일반식 (Ⅱ)의 파라졸계 화합물 및 (C)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메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고, 각각 단독 사용으로는 기대할 수 없는 현저한 상승효과를 가지며, 더욱이 적은 시용량으로 많은 문제 잡초를 고사시킬 수 있는 수도용 제초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부톡시메틸기 또는 프로폭시에틸기이고,
X는 4-톨루엔설포닐기 또는 펜아실기이다.
현재, 논용 제초제로서 수많은 제초제가
실용화되고 있으며, 단제(單劑) 및 혼합제로서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 논 잡초는 많은 종류가 있으며, 1년생 잡초에 유효한 제초제가 많으나, 다년생 자초에 효과가 있는 제초제는 적다. 따라서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고, 그 방제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다년생 잡초는 일반적으로 성장이 왕성하고, 발생기간이 긴 강한 해초이다. 따라서, 제초제로서는 1년생 잡초 뿐만 아니라 다년생 잡초에서 유효한 제초 범위가 넓은 약제가 요망된다. 또한, 현재의 논벼 재배의 기계화와 이식 시기의 조기화는 종래 이상으로 잡초의 생육에 적절한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논벼에 약해가 업고, 잡초를 장기간 방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지만 1회의 제초제 사용으로는 잡초를 완전히 방제할 수 없고, 동일하거나 도는 상이한 제초제가 수회에 걸쳐 반복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초제의 반복 사용은 많은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량 사용에 의한 논벼의 약해 및 토양 잔류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1년생 잡초에 유효한 제초제를 매년 사용함으로써 다년생 잡초가 증식하며, 근년에 특히 올미, 벗풀,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미나리 및 물고랭이 등이 전국 각지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년에 단발용 제초제라고 불리우는 새로운 타입의 제초제가 시판되고 있다. 이들 제초제는 모두 지금까지의 제초제에 비하여 제초 범위가 넓고 제초효과도 강력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제초제도 방제가 어려운 잡초인 너도방동사니, 벗풀, 올방개, 물고랭이, 미나리등에 대하여는 효과가 불충분하다. 또한, 단발용 제초제로 언급되고 있는 이들 제초제도 잔효성이 반드시 충분하지 않고, 잔효가 끝남에 따라 돌피, 올챙이고랭이, 광엽 잡초 등의 후발생이 생겨, 이들 잔존하는 잡초에 대하여 보정산포라고 하여 별도의 제초제를 살포하거나, 손으로 제초하는 등이 실시되고 있는 것이 현상태이다.
본 발명자 등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량하는 목적으로, 1회 살포로 문제시되고 있는 모든 잡초를 완전히 방제하고, 잔효성이 길고, 더구나 논벼에 대하여 안전성이 높으며, 사람과 가축에 대한 독성이 극히 낮은 안전한 제초제를 계속 검색한 결과, 3종의 특정한 유효성분을 조합함으로써, 이들 문제점을 개량하는 우수한 제초제가 수득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A)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 즉 2-클로로-2',6'-디에틸-N-(부톡시메틸)아세트아닐리드(A-1) 또는 2-클로로-2',6'-디에틸-ㅜ-(프로폭시에틸)아세트아닐리드(A-2),
(B) 상기 일반식(Ⅱ)의 혼합물, 즉 4-(2,4-디클로로벤조일)-1,3-디메틸-5-피라졸릴-P-톨루엔설포네이트(B-1) 또는 2-[4-(2,4-디클로로벤조일)-1,3-디메틸피라졸-5-일옥시]아세트페논(B-2) 및
(C)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메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의 3종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논용 제초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다음에, 본 발명은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설물의 유효성분의 하나인 아세트 아닐리드계 화합물(A-1) 및 (A-2)는 각각 부타클로르 및 프레틸라클로르로서 알려진 제초제이며, 돌피, 광엽 잡초 및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너도방동사니 등에 대하여 발생 이전에서부터 발생 초기의 처리로 효과가 높으며, 논벼에 대하여는 통상의 사용량으로는 약해가 없는 제초제이지만, 잡초의 생육이 진행하면 효과가 약해진다. 또한, 올미, 벗풀, 올방개, 물고랭이 및 미나리 등에 대해서는 거의 효과가 없는등의 결점이 있다.
한편, 피라졸계 화합물(B-1) 및 (B-2)는 각각 피라졸레이트 및 피라족시펜으로서 알려진 제초제이고 1년생 벼과 잡초, 광엽잡초 및 올미, 벗풀, 너도방동사니 등에 대하여 발생 이전부터 발생 초기의 처리로 효과가 높다. 그러나, 잡초가 어느 정도 성장된 시기의 처리에서는 그 효과가 저하하며, 특히 피에 대한 효과는 불충분하다. 또한, 올방개, 물고랭이 및 미나리 등에 대하여는 거의 효과가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다른 하나의 성분인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메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C)는 벤술푸론메틸로서 또한 알려진 제초제이며, 피에 대해서는 효과가 적으나, 1년생 광엽 잡초 및 근년에 다발하여 문제가 되고 있는 다년생 잡쵠 올챙이고랭이, 너도방동사니, 올미 및 벗풀 등에 대하여 발생 이전부터 생육 초기 처리로 효과가 높고, 논벼에 대해서는 통상적인 사용량으로는 약해가 적은 제초제이다. 그러나, 잡초의 생육이 진행된 시기의 처리로서는 효과가 불충분하며 , 또한 올방개, 미나리 및 물고랭이에 대한 효과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한 3종의 화합물 중에서 성분(A) 및 (B)의 2성분의 혼합사용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보 제(소)61-4806호, 특허공보 제(소)61-4803호, 특허공보 제(소)61-4361호 및 특허공보 제(소)61-4362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이들의 특허공보에 의하면, 이들 혼합 제초제는 각 단제의 결점을 보충할 뿐만 아니라 상승적 효과에 의해 효과가 증강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2성분 혼합 제초제는 근년에 특히 증식이 문제되고 있는 방제가 어려운 잡초인 벗풀, 올방개, 물고랭이 및 미나리 등의 다년생 잡초에 대하여 효과가 적고, 또한 잔효성에 약간 난점이 있어서, 잔효가 없어짐에 따라 여러 가지 잡초의 후발생이 생기는 등의 결점이 분명해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상기한 3종 화합물 (A), (B) 및 (C)를 필수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제초제 조성물이며, 각각의 단독 사용과 (A) 및 (B)의 2종의 화합물의 혼합 사용에 의해 달성되는 적용범위를 초월하여 제초폭이 확대되어, 그 제초효과는 1년생 벼과 잡초, 사초과 잡초, 광엽 잡초 및 다년생 잡초(예:올챙이고랭이, 너도방동사니, 올미, 벗폴, 올방개, 미나리 및 물고랭이)까지 미치는 폭넓은 잡초에 대하여 제초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논벼에 대한 안전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살포 적기의 폭도 확대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또한 (A), (B) 및 (C)의 각 화합물의 단독 사용량보다 훨씬 적은 양끼리의 혼합으로 충분히 그 효과를 발휘하고, 1회의 처리로 충분한 효과가 수득될 정도로 제초효력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그 효력은 장기간 지속하며, 더구나 잡초의 후발생도 전연 볼 수 없는 여러 가지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것은 분명히 각각의 화합물로부터는 예측할 수 없는 우수한 상호작용이 3종의 화합물 사이에 존재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A), (B) 및 (C)의 3성분으로 이루어진 제초제 조성물은,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신규한 조합이며, 물론 그 특이한 상승적 효력증강효과도 종래에는 전혀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상승작용은 화합물 (A), (B) 및 (C)의 광범위한 혼합비로 확인되지만, 일반적으로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A) 1중량부에 대하여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B)를 1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중량부, 화합물(C)를 0.02 내지 0.2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여 유용한 제초제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제되는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잡초의 발생 이전에서부터 발생후에 걸쳐 토양처리함으로써 높은 효과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혼합물은 원체 그대로 살포하여도 좋으며, 담체 및 필요에 따라 다른 보조제와 혼합하여, 제초제로서 통상 사용되는 제제 형태, 예를 들면, 분제, 조분제, 미립제, 입제, 수화제, 유제, 수용액제, 수용제 및 유현탁제 등으로 조제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을 조제하는 사용하는 적당한 고체 담체로는 카올리나이트군, 몬모릴로나이트군 떠는 애터펄자이트군 등으로 대표되는 점토류; 활석, 운모, 엽납석, 경석, 버미큐라이트, 석납, 탄산칼슘, 돌로마이트, 규조토, 마그네슘 석회, 인 석회, 제올라이트, 무수 규산, 합성 규산칼슘 등의 무기물질; 대두분, 담배분, 호두분, 소맥분, 목분, 전분, 결정 셀룰로스 등의 식물성 유기물질; 쿠마론 수지, 석유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알킬렌 글리콜, 케톤 수지, 에스테르 검, 코팔 검, 댐머 검 등의 합성 또는 천연 고분자 화합물; 카르나우바 왁스, 밀납 등의 왁스류 또는 요소 등이 있다.
적당한 액체 담체의 예를 들면, 케로신, 광유, 스핀들유, 화이트 오일 등의 파라핀계 또는 나프텐계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큐멘, 메틸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트리클로로에틸렌, 모노클로로벤젠, 0-클로로톨루엔 등의 염소화 탄화수소; 디옥산, 테트라히드로 푸란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디이소부틸 케톤, 사이클로헥산온, 아세토페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아밀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아세테이트 , 디에틸렌 글리콜 아세테이트 , 디부틸 말레에이트, 디에틸 석시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메탄올, n-헥산올,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사이클로헥산올, 벤질 알콜 등의 알콜류; 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데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등의 에테르 알콜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극성 용매 또는 물 등이 있다.
유화, 분산, 습윤, 확전, 결합, 붕괴성 조절, 유효성분 안정화, 유동성 개량, 방청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은 비이온성 및 (또는) 음이온성인 것이 사용된다.
적당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를 들면, 라우릴 알콜, 스테라릴 알콜, 올레일 알콜 등의 고급 알콜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중합부가시킨 것; 이소옥틸 페놀, 노닐 페놀 등의 알킬 나프톨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중합부가시킨 것; 부틸 나프톨, 옥틸 나프톨 등의 알킬 나프톨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중합부가시킨 것;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등의 고급 지방산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중합 부가시킨 것; 스테아릴 인산, 디라우릴 인산 등의 모노 또는 디알킬 인산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중합부가시킨 것; 도데실아민, 스테아릴아민에 에틸렌 옥사이드를 중합부가시킨 것; 소르비탄등의 다가 알콜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및 이것에 에틸렌옥사이드를 중합부가시킨 것;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중합부가시킨 것 등이 있다. 적당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를 들면, 라우릴 황산나트륨, 올레일알콜 황산 에스테르 아민염 등의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설포석신산 디옥틸 에스테르 나트륨, 2-에틸헥센 설폰산나트륨 등의 알킬 설폰산염; 이소프로필 나프탈렌 설폰산나트륨, 메틸렌비스나프탈렌 설폰산 나트륨, 리그닌 설폰산나트륨, 도데실벤젠 설폰산나트륨 등의 아릴 설폰산염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는 제제의 성질과 상태를 개량하고 생물효과를 높이는 목적으로 카제인, 젤라틴, 알부민, 아교, 알긴산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알콜 등의 고분자 화합물 및 다른 보조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담체 및 여러가지 보조제는 제제의 제형 및 적용 분야 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 각각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적절히 사용된다.
분제는, 예를 들면, 유효성분 화합물을 1 내지 25중량부 함유하며, 잔부는 고체 담체이다. 수화제는, 예를들면, 유효성분 화합물을 통상 25 내지 90중량부 함유하며, 잔부는 고체 담체 및 분산 습윤제이고, 필요에 따라 보호 콜로이드제, 틱소트로피제 및 소포제 등이 가해진다.
입제는, 예를 들면, 유효성분 화합물을 통상 1내지 35중량부 함유하며, 잔부는 대부분이 고체 담체이다. 유효성분 화합물은 고체 담체와 균일하게 혼합되거나, 도는 고체 담체 표면에 균일하게 고착 또는 흡착되고, 입자의 직경은 약 0.2 내지 1.5mm 정도이다.
유제는, 예를 들면, 유효성분 화합물을 통상 5내지 30중량부 함유하고, 이것에 5 내지 20중량부의 유제가 함유되며, 잔부는 액체 담체이며, 필요에 따라, 방청제(Rust-proofing agent)가 가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제초제 조성물 배합예를 나타낸다. 또한, 다음에서 「부」는 특별히 표시하지 않는한 「중량부」이다.
[배합 실시예 1]
화합물(A-1) 원체 20부, 화합물(B-1) 원체 35부, 화합물(C) 원체 1부, 카플렉스 #80 20부, 점토 17부, 네오겐파우더[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도데실 벤젠 설폰사나트륨] 5부 및 고세놀 GL 05S[닛뽄고오세이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폴리비닐 알콜] 2부를 잘 혼합하고, 햄머 밀을 사용하여 분쇄하여 화합물(A-1) 20%, 화합물(B-1)35% 및 화합물(C) 1%를 함유하는 혼합 수화제를 수득한다.
[배합 실시예 2]
화합물(B-2) 3.5부, 화합물(C) 0.1부, 벤토나이트 30부, 탄산칼슘 63.2부 및 트리폴리인산나트륨 1부를 혼합하고, 전량을 젯트 0-마이저로 분쇄한다. 이것에 네오콜 SWCE[다이이치코교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디알킬설포석신산 나트륨]0.2부를 물 17.5부로 희석한 액을 가하여 흔련하고, 직경이 0.7mm인 스크린을 통하여 압출시켜 조립한다. 수득된 조립 습품을 건조시키고, 체질하여 0.3mm 내지 1.0mm의 구분을 수득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입제 98부에 화합물(A-1) 2부를 균일하게 흡수시켜 (A-1) 2%, (B-1) 3.5% 및 (C) 0.1%의 입제를 수득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논용 제초제로서, 논벼의 묘 이식 전의 논의 토양 또는 침수상태의 논의 수면에 사용할수 있거나, 또는 논벼의 묘 이식 후의 침수상태의 수면에 사용하여도 좋다. 사용시기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잡초의 발아 전이거나, 발아 후에도 좋으나, 일반적으로 논벼의 묘이식후 3일부터 15일의 기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성분 화합물의 각각의 단일 사용량보다 훨씬 적은 양끼리의 혼합으로 우수한 제초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1년생 잡초 및 다년생 잡초에 대하여 제초 범위가 넓고 유효하게 작용하며, 더구나 그 효과는 장기간 지속하여, 잡초의 후발생이 전연 보이지 않는 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의 사용량은 엄밀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시기, 유효성분 화합물 조함의 태양 및 비율, 논의 토양의 성질 및 상태, 자연 조건, 지역, 논벼의 품종 등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약 762.5내지 약 4600g/ha 바람직하게는 약 1325 내지 3825g/ha,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500 내지 2075g/ha의 범위가 적당한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은 제초 스펙트럼이 넓고, 1년생 및 다년생 논 잡초를 유효하게 제초할 수 있으며, 더구나 논벼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약해가 없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초제 조성물에 의해 유효하게 제초되는 1년생 논 잡초의 예를 들면, 물피, 알방도사니, 물달개비, 마디꽃, 밭뚝외풀, 등애풀, 물별 등이 있으며, 또한 다년생논 잡초의 예를 들면, 올미, 벗풀, 올챙이 고랭이, 너도방동사니, 쇠털골, 올방개, 미나리, 물고랭이, 가래, 택사 등이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제초제 조성물의 유용성을 더욱 구체저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시험예를 들어 설명한다.
[실험예 1]
면적이 1300㎠이고 높이가 20㎝인 염화비닐제 용기포트에 논 토양을 충전하고, 화학비료를 40㎏/10a 상당량 사용한 다음, 물을 넣고 혼합하여 논 상태로 하고, 물피, 올챙이고랭이 및 물달개비, 밭둑외풀, 마디꽃 등의 광엽 잡초 종자를 파종하고, 이어서 올미, 벗풀,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물고랭이의 괴경과 미나리의 포복경 소편을 심는다. 다시 2엽기의 벼묘를 2본 1주로 하여 2주를 이식한다. 포트를 20 내지 30℃의 온실 속에 넣어 식물을 육성하고, 이후식 10일째에 물피의 1.5엽기에 배합에 2에 표시된 제제예에 준하여 시제된 입제를 침수상태에서 처리한다. 약제 처리후 30일째에 제초효과를 조사한다. 제초효과는 억초율을 관찰하고 다음과 같이 0 내지 10의 숫자로 표시한다. 그 결과를 제 1표에 나타낸다.
평가 억초율
10 100% (완전고사)
9 90 내지 99
8 80 내지 89
7 70 내지 79
6 60 내지 69
5 50 내지 59
4 40 내지 49
3 30 내지 39
2 20 내지 29
1 10 내지 19
0 0 내지 9
Figure kpo00002
[실험예 2]
면적이 0.3㎡이고 높이가 50㎝인 콘크리트 포트에 일본국 시가켄 쿠사즈의 논 토양을 넣고, 화학비료(치요다카세이 제품 14-8-14)를 40㎏/10a 상당량을 사용한 다음, 물을 넣고, 혼합한다. 물피, 물달개비, 밭뚝외풀, 마디꽃, 벗풀 종자를 파종하고, 토양 표층에 혼하한 다음, 올미, 벗풀, 너도방동사니, 올방개, 물고랭이의 괴경을 각각 4개씩 심고, 다시 미나리의 포북경 소편을 심는다. 이어서, 2엽기의 논벼 묘(품종:고시히까리)2개를 1주로 하여 6주를 이식하고, 4㎝의 깊이로 침수시킨다. 이식후 11일째에 1.5엽기의 물피에 배합예 2에 표시된 제제예에 준하여 시제된 입제를 처리한다. 처리 다음날부터 하루 2㎝씩 3일간 누수시킨다. 처리후 30일째에 잔존하는 잡초를 뽑고, 생체 무게를 측정하여 무처리에 대한 지수를 구한다. 그 결과를 제 2표에 표시한다.
Figure kpo00003
3종의 활성 화합물의 상호작용을 검정하는 방법으로서 통상 콜비(Colby)의 계산식이 사용된다. 즉,
Figure kpo00004
단,
Qa는 화합물 A의 ag를 처리했을 때 생육량 대 무처리 구역의 비율이고,
Qb는 화합물 B의 bg를 처리했을 때 생육량 대 무처리 구역의 비율이며,
Qc는 화합물 C의 cg를 처리했을 때 생육량 대 무처리 구역의 비율이고,
Qn는 화합물 N의 ng를 처리했을 때 생육량 대 무처리 구역의 비율이며,
QEn은 화합물 A의 ag, B의 bg, C의 cg, N의 ng을 사용했을 때 예산되는 값이다.
실제로 측정된 값이QEn값보다 적으면 상승효과가 있고, 많으면 길항작용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제2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3종의 화합물의 조합이 우수한 상승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잔효성 시험)
1/5,000ard의 와그넬 포트에 일본국 시가켄 쿠사즈의 논 토양을 넣고, 화학비료(치요다카세이 14-8-14)를 40㎏/10a 상당량을 사용한 다음, 물을 넣고, 혼합한 다음, 올챙이 고랭이 종자를 토양 표층에 혼합하고, 너도방동사니와 올방개의 괴경을 3개씩 심은 다음, 4㎝로 침수시킨다.
심은후 10일째의 1.5엽기의 올챙이고랭이에 배합예 2에 표시된 제제예에 준하여 시제된 입제를 처리한다. 처리 다음날부터 하루 2㎝씩 5일간 누수시킨다. 처리후 20일째 및 35일째에 잔존하는 잡초를 2회 뽑고, 생체량을 측정하여 무처리구역에 대한 지수를 구한다. 그 결과를 제 3표에 표시한다.
Figure kpo00005
제 3표의 결과는 화합물(A-1)와 (B-1)의 조합에 의한 잔효성에 비교하여, 본 발명 조성물은 현저하게 개량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1)

  1. (A)일반식 (Ⅰ)의 야세트아닐리드계 화합물, (B)일반식 (Ⅱ)의 피라졸계 화합물 및 (C)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아미노]카보닐아미노]설포닐메틸]벤조산 메틸 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제초제 조성물.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은 부톡시메틸기 또는 프로폭시에틸기이고,
    X는 4-톨루엔설포닐기 또는 펜아실기이다.
KR1019900008789A 1989-06-16 1990-06-15 제초제 조성물 KR0144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2447A JP2786258B2 (ja) 1989-06-16 1989-06-16 除草剤組成物
JP152447/89 1989-06-16
JP1-152447 1989-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018A KR910000018A (ko) 1991-01-29
KR0144675B1 true KR0144675B1 (ko) 1998-07-15

Family

ID=15540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789A KR0144675B1 (ko) 1989-06-16 1990-06-15 제초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86258B2 (ko)
KR (1) KR01446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2782B2 (ja) * 1997-04-16 2007-10-17 ローヌ・プーラン油化アグロ株式会社 水田用除草剤組成物
JP4116935B2 (ja) 2003-07-01 2008-07-09 日立電線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カールコード
US8568382B2 (en) * 2004-03-29 2013-10-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co-elongation
US9241841B2 (en) 2011-06-29 2016-0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istband for an absorbent article
JP5810009B2 (ja) * 2012-03-01 2015-11-11 三井化学アグロ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粒状農薬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786258B2 (ja) 1998-08-13
KR910000018A (ko) 1991-01-29
JPH0324003A (ja) 199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30146B1 (hu) Herbicid készítmények
KR0166095B1 (ko) 논 제초체 조성물
KR0144675B1 (ko) 제초제 조성물
CN103392715B (zh) 一种含有嘧菌环胺和克菌丹的杀菌组合物
KR100866664B1 (ko) 논용 제초 조성물
RU2150833C1 (ru) Гербицидный препарат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и способ селективной борьбы с сорняками и травами
KR100415595B1 (ko) 수전용제초제조성물
KR830002858B1 (ko) 제초제 조성물
KR840000270B1 (ko) 제초제 조성물
JPH04120006A (ja) 水田用除草剤組成物
JPS5982307A (ja) 水田用複合除草剤
KR100336318B1 (ko) 제초제조성물
KR840000187B1 (ko) 제초제 조성물
KR840000269B1 (ko) 억초용 조성물
WO1998046079A1 (fr) Composition herbicide pour rizieres
JP2793286B2 (ja) 除草剤組成物
KR840000267B1 (ko) 살초용 조성물
JPS5862102A (ja) 除草剤
KR840000265B1 (ko) 제초성 조성물
JP3678785B2 (ja) 除草剤組成物
CN107751194A (zh) 一种包含双环磺草酮的除草组合物及其应用方法
JPH1036205A (ja) 水田用除草剤組成物
JPS5867606A (ja) 除草剤
JPH02174705A (ja) 水田用除草組成物
JPS60214703A (ja) 殺草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