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303B1 - 압출도포헤드 - Google Patents

압출도포헤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303B1
KR0143303B1 KR1019950006155A KR19950006155A KR0143303B1 KR 0143303 B1 KR0143303 B1 KR 0143303B1 KR 1019950006155 A KR1019950006155 A KR 1019950006155A KR 19950006155 A KR19950006155 A KR 19950006155A KR 0143303 B1 KR0143303 B1 KR 014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slit
coating
coating head
extrus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561A (ko
Inventor
요시히사 오오사와
에이조 쯔노다
류지 호소가야
아키라 하타케야마
히데키 타나카
세이이찌 토비사와
Original Assignee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요네야마 타카노리
코니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요네야마 타카노리, 코니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히로시
Publication of KR95002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cord carriers
    • G11B5/848Coating a support with a magnetic layer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6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two different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the sam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wice, to the same side of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출도포헤드(10;20;40;60)는, 포켓(17;27;47,47';67,67',67)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를 소정 범위, 즉, 3.5㎛이하로 정해놓고, 더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상기 슬릿(18;28;48,48';68,68',68)의 슬릿면(18a)과 포켓의 포켓면(17a)과의 합류부에, 소정의 곡률 반경의 만곡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세정이 곤란한 압출도포헤드의 포켓의 세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가동률의 향상 및 에너지절약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세정불량이 원인으로 발생될지 모르는 도포형성물에의 악영향, 예를 들면, 도막면에의 줄무늬발생, 도막두께 변동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도포헤드
제1도는 본 발명의 단층압출(狎出)도포헤드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단면화살표방향사시도로서, 지지체에 도포하는 상태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측판(14),(14)을 제거한 후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A-A단면화살표방향사시도
제5도는 슬릿면과 포켓면의 합류부근처의 부분확대도
제6도는 슬릿면과 포켓면의 합류부근처의 부분확대도
제7도는 2층압출도포헤드의 단면도
제8도는 3층압출도포헤드의 단면도
제9도는 기타형태의 단층압출도포헤드의 사시도
제10도는 비자성지지체위에 도포액을 도포해서 감는 일련의 도포공정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표시한 개략도
제1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단층압출도포헤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지지체 (7),(8):만곡부
(10),(20):단층압출도포헤드 (11),(21),(41),(61):프런트에지
(11a):벽면 (13),(23),(43),(64) ... 백에지
(13a):접합면 (14):측판
(17),(27),(47),(47'),(67),(67'),(67):포켓
(17a):포켓면 (18),(28),(48),(48'):슬릿
(18a): 슬릿면
(19):접속구 (30):공급롤
(31):건조기 (32):감기롤
(40):2층압출도포헤드 (42),(62),(63):센터에지
(47a),(47'a):오목부 (48a),(48'a):연마면
(60) ... 3층압출도포헤드
본 발명은, 지지체위에, 예를 들면 자성도료 등의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출(押出)도포헤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자성도료등의 도포액을 지지체위에 도포해서 자기기록매체를 제조하는 경우, 그라비아도포방식, 리버스도포방식, 독터블레이드도포방식등, 여러 가지의 도포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압출도포방식은, 웨트상태에서의 막두께가 10㎛이하인 박막도포시에 있어서도, 매우 균일한 도막을 얻게되고, 정밀박막도포에 접합하다고 하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압출도포방식은, 고밀도기록화를 위해서 박막도포가 요구되는 자기기록 매체의 베법에 매우 적합한 도포방식이라고 할 수 있고, 이 방식에 사용되는 압출도포헤드에 관해서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제안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단순한 압출도포헤드의 기본구성은 제1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에지(111)와 백에지(113)를 접합하고, 이들의 접합후의 양단부를 측판(114),(114)에 의해 밀봉한 형상을 가지고, 백에지(113)에는, 소위 포켓(117)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와, 이 오목부에 연접해서 슬릿(118)을 형성하기 위한 연마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런트에지(111)와 백에지(113)를 조립한 후의 슬릿(118)선단의 간격의 정밀도나, 슬릿선단의 단차 정밀도 등은, 미묘하게 도막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일단 조립되어 미조정된 후의 압출도포헤드는, 가령 도포작업완료후의 세정에 있어서도, 프런트에지(111)와 백에지(113)의 접합을 분리시키는 일없이 행할 것이 요망된다.
이와 같은 도포헤드의 세정방법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4-281876호 공보에는,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웨브에 도포액을 도포하는 도포장치로서, 이 도포장치가 도포액을 압출하느 슬롯을 가지고, 또한 도포폭을 규제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스페이서를 가지고, 도포종료후에 스페이서를 분리해서, 도포장치끝부분으로부터 브러시, 고압호스 등의 세정수단을 삽입함으로써, 도포장치를 세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평 4-281876호 공보에 제안된 바와 같이, 도포장치의 내부에 브러시, 고압호스 등의 세정수단을 삽입해서, 압출도포헤드내면의 상태를 고려하는 일없이, 단지 외부로부터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것만으로는, 도포헤드내부의 세정을 완전하게하는 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본 출원에 관한 발명자들이 예의 실험을 거듭하였던 바, 압출도포헤드의 내부에 있어서도 특히 포켓내벽면에 잔존하는 도포액의 부착력은 강고하여, 깨끗이 떨어뜨리는 일이 매우 곤란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 슬릿면과 그것에 인접하는 포켓면과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에도, 때로는 부분적으로 도포액이 부착해서 남는 일이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오염된 도포액을 완전제거하는 일이 곤란한 것도 판명되었다.
이와 같이 압출도포헤드내의 특히 포켓의 내벽면에, 오염되어 부착한 도포액은, 통상의 세정으로는 완전제거시키는 일이 곤란하다. 그리고 이 불완전한 세정상태 그대로의 도포헤드를, 도포장치에 재차 탑재해서 도포공정에 사용하면, 제품으로서 완성된 제품도막면에의 줄무늬발생이나 도막두께변동등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정하에 본 발명은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출도포헤드의 세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가동률의 향상 및 에너지절약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세정불량이 원인으로 발생될지 모르는 도포형성물에의 악영향, 예를 들면, 도막면에의 줄무늬발생, 도막두께변동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에 관한 발명자들이, 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의 값이나, 슬릿의 슬릿면과 포켓의 포켓면과의 합류부에 형성한 만곡부의 곡률반경의 값에 주목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이들의 값이, 압출도포헤드의 포켓의 세정성, 나아가서는 제품의 품질에 크게 기여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지지체위에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압출도포헤드로서,ㅡ이 압출도포헤드는, 압출도포헤드내에 공급되는 도포액을 균일하게 압출하기 위해 일단 액을 저류시키기 위한 포켓과, 이 포켓에 연접되어 도포액을 압출하는 토출구가 되는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3.5㎛이하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 더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상기 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3.0㎛이하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 더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상기 슬릿의 슬릿면과 이 슬릿면에 연접하는 포켓의 포켓면과의 합류부에, 곡률반경R이 0.1~5.0㎜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1개의 만곡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더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상기 슬릿면과 포켓면과의 합류부에 형성된 만곡부의 곡률 반경R이 1.0~3.0㎜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또, 더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슬릿의 슬릿면과 이 슬릿면에 연접하는 포켓의 포켓면과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의 정점을 만곡가공해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또, 더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슬릿의 슬릿면과 이 슬릿면에 연접하는 포켓의 포켓면과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의 정점을, 모떼기 가공한 후, 그 모떼기부의 양단부를 각각 만곡가공해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펌프등의 도포액공급수단으로부터 보내온 도포액은, 압출도포헤드에 도달하면, 압출도포헤드내부의 포켓에 저류되고, 이 포켓에 연통하는 슬릿(갭)을 통과해서 압출도포헤드외부로 압출된다. 이 압출된 도포액은, 지지체위에 도포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를 소정의 범위로 정하고 있고, 더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의 슬릿면과 포켓의 포켓면과의 합류부에, 소정의 곡률반경의 만곡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세정이 곤란한 압출도포헤드의 포켓의 세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가동률의 향상 및 에저지절약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세정불량이 원인으로 발생될지 모르는 도포형성물에의 악영향, 예를 들면, 도막면에의 줄무늬발생, 도막두께변동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제10도에 기초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첫째로, 본 발명의 압출도포헤드의 일례로서, 가장 단순한 형상인, 소위 단층압출헤드를 예로들어 설명한다(제1도~제6도).
제1도에는, 단층압출도포헤드의 사시도가 표시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층 압출도포헤드(10)는, 프런트에지(11)와 백에지(13)를, 조합하고, 그후,프런트에지(11)와 백에지(13)의 양측면부를 측판(14),(14)에 의해 밀봉해서 형성된다. 제2도에는, 제1도의 A-A단면화살표방향 사시도로서, 도포상태까지를 구체적으로 표시한 단면도가 표시된다. 제3도에는 제1도의 측판(14),(14)을 제거하고, 프런트에지(11)와 백에지(13)와의 조합만을 표시한 사시도가 표시된다.
이들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백에지(13)에는, 프런트에지(11)와의 접합면(13)과, 액괴임용의 포켓(17)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17a)와, 슬릿(18)을 형성하기 위한 연마면(18a)(접합면(13a)을 기준으로 해서 슬릿형성을 위해 면연마되어 있고, 이하 단지「슬릿면18a」이라호칭)이, 도포헤드의 폭방향양단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프런트에지(11)는, 평활면(11a)를 구비하고 있고, 이 평활면(11a)과 상기 백에지(13)의 접합면(13a)를 접합해서 조합시킴으로써, 포켓(17)과 슬릿(18)이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또, 포켓(17)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구(19)를 개재해서 도포액공급라인(S)이 외부로부터 접속되고, 펌프(P)등의 도포액공급수단으로부터 압출된 도포액은, 도포액공급라인(S)을 경유해서 포켓(17)속으로 도입된다. 포켓(17)에 도입된 도포액은, 슬릿(18)내를 화살표(E)와 같이 압출되고(제2도), 압출된 도포액은, 화살표(F)방향으로 반송되고 있는 지지체(2)의 한쪽면위에 도포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체(2)위에 도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출도포헤드(10)는, 압출도포헤드내에 공급되는 도포액을 균일하게 압출하기 위해 일단 액을 저류시키기 위한 포켓(17)과, 이 포켓(17)에 연접되어 도포액을 압출하는 토출구가 되는 슬릿(18)을 구비하고 있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켓(17)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3.5㎛이하, 바람직하게는, 3.0㎛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이 값이 3.5㎛를 초과하면, 압출도포헤드(10)를 완전 분해하는 일없이(예를 들면, 제1도에 표시된 측판(14),(14)만을 분리하는 것만으로)세정한 경우에 있어서, 포켓내벽면을 충분히 세정할 수 없다고 하는 불편이 발생한다. 이 일은 또, 이 불완전한 세정상태의 압출도포헤드(10)를, 도포장치에 재차 탑재해서 도포공정에 사용하게 되는 일이 발생되어, 결국, 제품(특히 도막면)불량의 원인으로도 될 수 있다. 또한, 중심선평균거칠기(Ra)의 하한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없이 영에 가까운 값으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단, 경제성은 고려되어야한다). 현행의 최선단의 가공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Ra=0.03㎛정도의 하한치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켓(17)의 내벽면이란, 포켓(17)을 형성하기 위해, 형성된 오목부(17a)의 벽면을 의미하나, 이 오목부(17a)에 대향하는 프런트에지(11)쪽의 벽면(11a)도, 오목부(17a)와 마찬가지의 중심선거칠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켓(17)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17a)를 백에지(13)쪽에 형성하고 있으나, 물론 프런트에지(11)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중심선 평균거칠기(Ra)란, JIS B 0601(1982)에 준해서 측정되는 수치이다. 즉, 중심선평균거칠기(Ra)는, 거칠기곡선으로부터 그 중심선의 방향으로 측정길이의 부분을 빼내고, 이 빼낸부분의 중심선을 X축, 세로배율의 방향을 Y축으로 하고, 거칠기곡선을 y=f(x)로 표시했을 때, 다음식에 의해서 구하여지는 값을 마이크로미터(㎛)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본발명에서는, 상기의 포켓(17)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를 규제하는데 부가해서, 상기 슬릿(18)의 슬릿면(18a)과, 이 슬릿면(18a)에 연접하는 포켓(17)의 포켓면(17a)(상기 오목부(17a)형성면과 같은 뜻임)의 합류부(M)에, 곡률반경R이 0.1~5.0㎜, 바람직하게는, 1.0~3.0㎜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1개의 만곡부를 구비하느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합류부(M)에 적어도 1개의 만곡부를 형성시키는 태양으로서는, 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릿(18)의 슬릿면(18a)과 이 슬릿면(18)에 연접하는 포켓(17)의 포켓면(17a)과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의 정점을 만곡가공해서, 1개의 만곡부(7)를 형성시키는 태양, ②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슬릿(18)의 슬릿면(18a)과 이 슬릿면(18a)에 연접하는 포켓(17)의 포켓면(17a)과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의 정점을 일단 모떼기가공한 후, 그 모떼기부의 양단부를 각각 만곡가공해서 2개의 만곡부(8),(8)를 형성시키는 태양, 등을 들 수 있다. 또, 모떼기가공을 수회 행햐여, 3개이상의 만곡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어느 것의 방법이라도 되나, 만곡부의 곡률반경R은 상기의 범위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곡률반경R의 값이, 0.1㎜미만으로 되거나, 5.0㎜를 초과하면, 슬릿면(18a)와의 합류부(M)에, 국부적으로, 강고히 부착한 도포액이 잔존하기 쉽게되고, 이 잔존물은, 통상의 세정으로서는 제거나 매우 곤란하다고하는 불편이 생긴다. 또, 슬릿면(18a)과 포켓면(17a)의 합류부(M)에 부가해서, 포켓(17)내부에 존재하는 기타의 모서리는 모두, 상기 곡률반경R을 구히바는 만곡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층압출도포헤드의 다른 형태로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이 대략 원형상인 포켓(27)과, 이것에 연통하는 슬릿(28)을 구비한 단층압출도포헤드(20)도 존재한다(부호(21) 및 (23)은 각각 프런트에지 및 백에지를 표시함).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역시, 포켓(27)의 내벽의 중심평균거칠기(Ra)는, 본 발명의 소정범위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또, 2개의 합류부(M),(M)에 있어서도 소정의 곡률반경R의 만곡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압출도포헤드의 일례로서, 가장 단순한 형상인, 소위 단층압출도포헤드를 예로 들어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제7도나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의 슬릿과 포켓을 구비한 다층압출도포헤드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하, 간단히 설명한다.
제7도에 표시된 2층압출도포헤드(40)는, 프런트에지(41), 센터에지(42), 백에지(43)의 3개의 블록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런트에지(41) 및 백에지(43)에는, 각각, 포켓(47),(47')을 형성하기 위한 오목부(47a),(47'a) 및 슬릿(48),(48')를 형성하기 위한 연마면(48a),(48'a)이 형성되고 있고, 포켓의내벽면이 되는 오목부(47a),(47'a)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의 값은, 상기 본 발명의 범위내로 된다. 또, 포켓과 슬릿의 합류부(M),(M)에 형성되는 만곡부의 고률반경R의 값도, 상기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도에 도시된 3층압출도포헤드(60)는, 프런트에지(61), 센터에지(62), 센터에지(63), 백에지(64)의 4개의 블록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제7도에 도시되는 2층압출도포헤드(4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포켓(67),(67'),(67)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의 값은, 상기 본 발명의 범위내로 되고, 또, 포켓과 슬릿의 합류부(M),(M)에 형성되는 만곡부의 곡률반경R의 값도 상기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출도포헤드에 사용할 수 있는 도포액의 일례로서는, 자기기록매체의제조에 사용되는 자성도료를 들 수 있다. 자성도료는, 자성분말, 바인더, 용제 등을 함유하고 있고, 자성분말로서는, γ-Fe2O3, Co함유 γ-Fe2O3, Fe3O4, Co함유 Fe3O4, CrO2바륨페라이트, 스트론튬페라이트 등의 산화물미분말, Fe, Co, Ni등의 금속 혹은 이들의 합금미분말 탄화철 등을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또, 바인더로서는, 공지의 각종 수지바인더는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또, 용제는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들면, 시클로헥사논,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 케론 등의 케톤계,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등의 각종 용제를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또, 자성도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무기미립자, 윤활제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시켜도 된다.
상기와 같은 자성도료를 사용해서 형성되는 자기기록층은, 건조두께가 0.1~6.0㎛정도이며, 이 자기기록층의 30~90중량%를 자성분말이 점유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도포액을 습윤상태에서 다층화해서 도포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포액은 자성액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비자성액, 수지의 용해액등, 상기와 같이 압출도포헤드에 의한 도포에 적합한 도포액이면 적용가능하며, 도포층의 층구성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도포액이 도포형성되는 지지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나 금속박 등으로 이루어진 긴 가요성지지체를 들 수 있고, 특히 제한은 없다. 비자성지지체에는 미리 여러 가지의 처리층을 형성한 것이라도 된다.
지지체위에 도포액을 도포형성해서 감는 일련의 도포공정의 일례를, 제10도 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공급롤(30)로부터 풀려나온 지지체(20)의 위에는, 압출도포헤드(10)로부터 압출된 도포액이 도포형성된다. 도포액이 도장된 지지체는 건조기(31)에 도입되고, 여기서 도포액의 건조가 행하여지고, 그런후, 감기롤(32)에 감겨진다. 도포액을 자성도료로 하는 경우에는, 자장배향공정이나, 캘린더공정이 적당한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 실험예를 표시하고, 본 발명을 더상세히 설명한다.
[실험예 1]
먼저, 첫째로, 하기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자성도료 1의 도포액을 준비하였다.
자성도료 1
· Co함유γ-Fe2O3… 100중량부
(Hc:750Oe, BFT치:43m2/g)
˙알루미나분말 … 5중량부
˙염화비닐-아세트산비틸-비닐알콜공중합체
(중합도:310, 조성비=88:6:6) … 10중량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 … 10중량부
˙카본블랙 … 5중량부
˙스테아르산 … 2중량부
˙부틸스테아레이트 … 1중량부
˙메틸에틸케톤 … 100중량부
˙톨루엔 … 100중량부
˙시클로헥사논 … 80중량부
상기 조성의 원재료를 혼련, 분산후, 여과처리를 행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4중량부를 첨가혼합해서, 도포액으로 하였다.
이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층용 압출도포헤드(10), 즉 2개의 블록(프런트에지(11), 백에지(13)과 이들의 끝부분을 막는 2매의 측판(140,(14)으로 이루어진 단층용 압출도포헤드(10)를 준비하고, 이 도포헤드(10)내에 펌프(P)(제2도)를 사용해서 상기의 도포액을 계속 공급하여, 슬릿(18)의 선단부로부터 도포액이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압출되게된 시점에서 공급을 중지하였다. 그런후, 하기의 요령으로 세정실험을 행하였다.
즉, 단층용 압출도포헤드(10)의 앙측판(14),(14)을 분리하고, 내부에 저류되어 있는 도포액을 배출시킨 후, 포켓(17)에 부직포를 넣어서, 이 부직포에 메틸에틸케톤을 적하시키면서, 부직포를 포켓(17)의 폭방향으로 3회 왕복이동시켜서, 포켓(17)내부의 오염(부착된 도포액)을 세정하였다. 그런후, 압출도포헤드(10)를 완전분해하고, 포켓(17)내부를, 세로테이프(일본국 닛토덴코(주), 셀로판테이프No.29)에 의해 오염물을 채취해서 그 오염정도를 육안으로 관찰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단충용 압출도포헤드(10)는, 포켓(17)의 내벽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1.0㎛, 2.0㎛, 3.0㎛, 3.5㎛, 4.0㎛, 5.0㎛의 6종류로 하였다. 또, 상기 슬릿(18)의 슬릿면(18a)과, 포켓(17)의 포켓면(17a)과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의 정점은, 모든 도포헤드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곡률반경R=3㎜의 만곡가공으로 하였다(모떼기없음).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2]
단충용 압출도포헤드(10)의 슬릿(18)의 슬릿면(18a)과 이 슬릿면(18a)에 연접하는 포켓(17)의 포켓면(17a)과의 합류부(M)에 있어서 만곡부의 형태, 즉 곡률반경의 크기나, 모떼기의 유무등의 영향을 조사하는 실험을 행하였다(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1㎛로 일정). 즉, 하기표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떼기의 유무에 부가해서 여러 가지의 곡률 반경을 변경한 단충용 압출도포헤드를 준비하고, 상기 실험예1과 마찬가지의 도포액을 사용하는 동시에 마찬가지수법으로 세정실험을 행하였다. 단, 오염정도를 확인하는 장소는, 슬릿(18)의 슬릿면(18a)과 포켓(17)의 포켓면(17a)과의 합류부(경계부)로 하였다.
결과를 하기표 2에 표시한다.
[실험예 3,4]
상기 실험예 1및 실험예 2에서 사용한 자성도료 1을, 하기의 자성도료 2로 바꾸었다. 그이외는 상기 실험예 1및 2에 준해서 세정시험 3및 4를 행하였다.
자성도료 2
˙메탈자성분말 … 100중량부
(Hc:16500e, BFG치:60m2/g)
˙염화비닐계공중합체 … 12중량부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수지 … 8중량부
˙알루미나분말 … 10중량부
˙카본블랙 … 1중량부
˙스테아르산 … 1.2중량부
˙부틸스테아레이트 … 0.4중량부
˙메틸에틸케톤 … 95중량부
˙톨루엔 … 95중량부
˙시클로헥사논 … 95중량부
상기 조성의 원재료를 혼련, 분산후, 여과처리를 행하고 폴리이소시아네이트 4중량부를 첨가혼합해서, 도포액으로 하였다.
상기 자성도료 2를 사용해서 세정실험 3및 4를 행한 결과, 상기 표1 및 표 2에 표시되는 실험결과와 마찬가지결과가 각각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상기 실험예 1 및 실험예 2에서, 각각 실험한 세정후의 각 압출도포헤드를 준비하고, 도포헤드(10)내에 펌프(P)(제2도)를 사용해서 상기의 자성도료 1으 공급하고, 제 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속적으로 풀려나오는 지지체위에 연속도포형성하였다. 지지체로서는, 폭 1000㎜, 두께 1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필름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1롤째의 원단롤에 대해서 하기의 요령으로, 도포줄무늬불량 및 도막두께변동을 평가하였다.
도막두께변동
도포폭 1000㎜에 걸쳐서, X선 막두께계 3710A(일본국(주)리카크제품)를 사용해서, 폭방향의 도막두께변동을 실측하고, 최대변동폭의 값을 가지고 도막두께변동의 값으로 하였다. 구체적 판단기준은 이하와 같다.
◎ …폭방향도막두께변동 0.2㎛미만
○…폭방향도막두께변동 0.2㎛이상 0.4㎛미만
X …폭방향도막두께변동 0.4㎛이상
도포줄 무늬불량
도포폭 1000㎜ 길이×1000m에 걸쳐서, 발생한 도포줄무늬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구체적 판단기준은 이하와 같다.
◎ …도포줄무늬가 전연 보이지 않는다.
○ …도포줄무늬가 1~2개 보인다.
X …도포줄무늬가 3개이상 보인다.
결과를 표3 및 표4에 표시한다.
상기의 실험결과에서 본 발명의 효과는 명백하다.
즉, 본 발명의 압출도포헤드는, 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를 소정의 범위로 정해놓고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릿의 슬릿면과 포켓포켓면과의 합류부에, 소정의 곡률 반경의 만곡부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특히 세정이 곤란한 압출도포헤드의 포켓의 세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고, 가동률의 향상 및 에너지절약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세정불량이 원인으로 발생될지 모르는 도포형상물에의 악영향, 예를 들면, 도막면에의 줄무늬발생, 도막두께변동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도포헤드내에 공급되는 도포액을 균일하게 압출하기 위해 일단 액을 저류시키기 위한 포켓(17;27;47,47';67,67',67)과, 이 포켓에 연접되어 도포액을 압출하는 토출구가 되는 슬릿(18;28;48,48';68,68',68)을 구비한 압출도포헤드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 평균거칠기(Ra)가 3.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도포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내벽면의 중심선평균거칠기(Ra)가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도포헤드.
  3. 제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슬릿면(18a)과 이 슬릿면에 연접하는 포켓의 포켓면(17a)과의 합류부(M)에, 곡률반경R이 0.1~5.0㎜의 범위내에 있는 적어도 1개의 만곡부(7;8,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도포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면과 포켓면과의 합류부에 형성된 만곡부의 곡률반경R이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도포헤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슬릿의 슬릿면과 이 슬릿면에 연접하는 포켓의 포켓면과의 경계가 되는 모서리의 정점을 만곡가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도포헤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상기 슬릿의 슬릿면과 이슬릿면에 연접하는 포켓의 포켓면과의 경계가되는 모서리의 정점을, 모떼기가공한 후, 그 모떼기부의 양단부를 각각 만곡가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도포헤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액은, 자성분말과 바인더를 함유하는 자성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도포헤드.
KR1019950006155A 1994-03-25 1995-03-23 압출도포헤드 KR0143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77772 1994-03-25
JP6077772A JPH07256188A (ja) 1994-03-25 1994-03-25 押出し塗布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561A KR950026561A (ko) 1995-10-16
KR0143303B1 true KR0143303B1 (ko) 1998-07-15

Family

ID=1364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155A KR0143303B1 (ko) 1994-03-25 1995-03-23 압출도포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91266A (ko)
EP (1) EP0678340B1 (ko)
JP (1) JPH07256188A (ko)
KR (1) KR0143303B1 (ko)
DE (1) DE6951981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30A (ko) * 1996-08-20 1998-05-25 이웅열 압출형 도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7576A (ja) * 1998-01-08 1999-07-27 Konica Corp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JP2000140739A (ja) * 1998-11-10 2000-05-23 Canon Inc 枚葉塗工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塗工方法と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DE102007031263A1 (de) * 2007-07-05 2009-01-08 Acheson Industries Deutschland Zweigniederlassung Der Findag Corp. N.V. (Curacao) Sprühwerkzeug
TWI496621B (zh) * 2010-10-26 2015-08-21 Prologium Technology Co 塗佈頭及其應用之佈漿機
CN113058810B (zh) * 2021-03-26 2022-05-03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锂电池涂覆模头的清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785A (ja) * 1983-06-30 1985-01-19 Fujitsu Ltd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9285B2 (ja) * 1989-06-29 1996-03-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塗布装置
US5336322A (en) * 1992-03-06 1994-08-09 Konica Corporation Coating apparatus
JP2942938B2 (ja) * 1992-10-20 1999-08-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塗布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230A (ko) * 1996-08-20 1998-05-25 이웅열 압출형 도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91266A (en) 1997-01-07
DE69519814T2 (de) 2001-06-07
KR950026561A (ko) 1995-10-16
JPH07256188A (ja) 1995-10-09
EP0678340B1 (en) 2001-01-10
DE69519814D1 (de) 2001-02-15
EP0678340A2 (en) 1995-10-25
EP0678340A3 (en) 199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93957B1 (en) Coating method
EP0388818B1 (en) Coating apparatus
KR0137109B1 (ko) 도포방법 및 도포장치
KR0143303B1 (ko) 압출도포헤드
KR0142740B1 (ko) 압출도포헤드
JPH02268862A (ja) 塗布装置および重層塗布方法
JP2630522B2 (ja) 塗布方法及び装置
EP0678341B1 (en) Coating apparatus
JP2691443B2 (ja) 2層塗布方法とその装置
JP3585136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EP1004931B1 (en) Coating apparatus
JPH06150306A (ja) 磁気記録媒体表面処理装置
EP0678339B1 (en) Coating apparatus
EP0705647A1 (en) Extrusion coating apparatus
JPH08182955A (ja) エクストクルージョン型の塗布装置
JPH02207865A (ja)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3161A (ja) 塗布方法
EP0997774A1 (en) Coating method
JP2000070817A (ja) 押出し塗布ヘッド
JP3180974B2 (ja) 塗布方法
JPH07121870A (ja) 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639670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JPH07227563A (ja) 塗布装置
JPH03153A (ja) 塗布装置
JPH01288364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