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399B1 -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399B1
KR0142399B1 KR1019940025628A KR19940025628A KR0142399B1 KR 0142399 B1 KR0142399 B1 KR 0142399B1 KR 1019940025628 A KR1019940025628 A KR 1019940025628A KR 19940025628 A KR19940025628 A KR 19940025628A KR 0142399 B1 KR0142399 B1 KR 0142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guide path
platform
guide rai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506A (ko
Inventor
쥰지 요시즈미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가즈오
나카니시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가즈오, 나카니시 긴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니시 가즈오
Publication of KR95002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가이드레일(31)을, 팔렛(32)의 양연부를 끼워넣고, 또 개구끼리 서로 대향시켜서 쌍을 이루는 횡단면이 그 형상의 레일부재(61)로 형성한다. 가이드레일(31)의 반전가이드경로(31c)를 따라서 팔렛(32)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으로 한다. 구동장치(33)를 마찰구동바퀴(64)와 구동바퀴(64)의 차축에 연결된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65)와 팔렛저면과 구동바퀴 외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팔렛(32)을 이동시키도록 팔렛(32)에 구동바퀴(64)를 압압하는 스프링(78)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반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반송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차 물류센터의 입체자동창고의 사시도.
제2도는 이 반송장치의 적하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3도는 이 반송장치의 적재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4도는 이 반송장치의 입고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5도는 이 반송장치의 출고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이 반송장치의 적하 플랫폼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수직종단면도.
제7도는 상기 요부의 수직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고정가이드레일 31c : 반전가이드경로
32 : 팔렛 33 : 팔렛구동장치
61 : 레일부재 64 : 구동바퀴
65 : 모터 67 : 요동판
78 : 스프링
본 발명은 예를들어 자동차공장이나 자동차물류 센터에 있어서 자동차를 반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반송장치에 관한다.
이와같은 종류의 장치로서는 특개소 55-2526호 공보에 개시되는 바와같이 굴곡경로를 구비하는 가이드레일과 굴곡경로에 따라서 이동하도록 가요성의 팔렛과 가이드레일에 따라서 팔렛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구동장치가 팔렛의 저면에 설치되는 도크와 팔렛이동경로의 소요장소에 배치되는 스프로켓에 맞물리는 체인과 도크에 자유로이 계합이탈할 수 있도록 체인에 설치되는 푸셔로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스프로켓과 체인의 교합음, 도크와 푸셔의 계합음이 크고, 이것이 파렛의 이동에 있어서 최대의 소음원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팔렛을 조용히 이동시킬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송장치는 반전가이드경로를 구비하는 가이드레일과 반전가이드경로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으로 구성되는 팔렛과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팔렛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이 팔렛의 양연부를 끼워넣고, 또 개구끼리 대향적으로 쌍을 이루는 횡단면이 그 형상 레일부재로 형성되고, 구동장치가 마찰구동바퀴와 구동바퀴의 차축에 연결된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팔렛과 구동바퀴의 마찰력에 의하여 팔렛을 이동시키도록 팔렛에 구동바퀴를 누르는 압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반송장치에서는 가이드레일이 팔렛의 양연부를 끼워넣고, 또 개구끼리가 서로 마주보고 쌍을 이루는 횡단면이 그 형성의 레일부재로 형성되고, 구동장치가 마찰구동바퀴와 구동바퀴의 차축에 연결되는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팔렛과 구동바퀴의 마찰력에 의하여 팔렛을 이동시키도록 팔렛에 구동바퀴를 압압하는 압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로켓과 체인의 교합음, 도크와 푸셔의 계합음과 같은 소음의 발생이 없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앞뒤란 창고로부터 차가 나가는 방향을 앞(제2도~제5도의 우측), 이것과 반대측을 뒤로 하고, 좌우란 뒤를 향해서 그 좌우측을 좌우라고 칭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창고(11)에는 앞뒤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다단선반(12)이 좌우로 병렬상으로 형설되는 동시에 선반(12)의 열과 열 사이를 주행하도록 크레인(13)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12)에는 자동차(W)가 얹혀져 있게된다.
창고(11)의 전방에는 적하 플랫폼(21) 및 적재용 플랫폼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적하 플랫폼(21)은 원형의 레일(23)에 얹혀있고 가동식으로 구성된다. 한편 적재용 플랫폼(22)은 고정식이다.
선반(12)의 열의 각각 전단에 연결되어서 입출고용플랫폼(24)이 설치되고 있고, 이들 압출고용플랫폼(24)과 적하 플랫폼(21) 및 적재용 플랫폼(22)사이에는 무단의 대차주행레일(25)이 설치된다. 레일(25)에는 복수의 자주대차(26)가 얹혀 있다. 이들 대차(26)는 평면으로 보아서 레일(25)위를 시계방향(제1도에 화살표 A로 표시)으로 주행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적하 플랫폼(21)에는 고정가이드레일(3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적하 플랫폼(21)에는 팔렛(32)을 고정가이드 레일(31)을 따라서 이동시키기 위한 3개의 팔렛구동장치(33)가 구비된다.
고정가이드레일(31)은 앞뒤방향으로 뻗은 상측가이드경로(31a)와 이것과 평행으로 뻗은 하측가이드경로(31b)와 상측가이드경로(31a)와 하측가이드경로(31b)의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대략 반원형상의 반전가이드경로(31c)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가이드경로(31a) 및 하측가이드경로(31b)는 1대의 자동차(W)를 싣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측가이드경로(31a) 및 하측가이드경로(31b)의 후단은 개방되어 있다.
3개의 팔렛구동장치(33)중 2개의 팔렛구동장치(33)가 상측가이드경로(31a)에 따라서, 1개의 팔렛구동장치(33)가 하측가이드경로(31b)를 따라서 각각 배치된다. 고정가이드레일(31)을 따르는 방향을 보고, 3개의 팔렛구동장치(33)의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의 간격은 팔렛의 길이보다 좁게 구성된다.
적재용플랫폼(22)은 제3도에 도시되고 있으나 가동식은 아니고 고정식인 점이외는 적하 플랫폼(21)과 동일 구조이다. 제3도에 제2도와 대응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입출고용플랫폼(24)은 입고용이 되는 경우와 출고용이 되는 경우가 있으나, 어느것이나 동일구조이다. 입고용의 경우의 플랫폼(24)이 제4도에, 출고용의 경우의 플랫폼(24)이 제5도에 각각 도시된다.
입출고용플랫폼(24)에는 고정가이드레일(41)이 설치되어 있다. 3개의 팔렛구동장치(33)가 1개의 유닛을 형성하고, 2개의 유닛을 형성하는 전부 6개의 팔렛구동장치(33)가 고정가이드레일(41)에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6개의 팔렛구동장치(33)의 상호 인접되는 것끼리의 사이의 간격도 팔렛(32)의 길이보다 좁다.
고정가이드레일(41)은 앞뒤방향으로 뻗은 상측가이드경로(41a)와 이것과 평행으로 뻗은 하측가이드경로(41b)와 상측가이드경로(41a)와 하측가이드경로(41b)의 후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대략 반원형상의 반전가이드경로(41c)로 구성되어 있다. 상측가이드경로(41a) 및 하측가이드경로(41b)는 2대의 자동차(W)를 실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또 적하 플랫폼(21)의 고정가이드레일(31)의 상측가이드경로(31a) 및 하측가이드경로(31b)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 상측가이드경로(41a) 및 하측가이드경로(41b)의 전단은 개방되어 있다.
대차(26)에는 가동가이드레일(51)이 설치되어 있다. 가동가이드레일(51)은 상측가이드경로(51a) 및 하측가이드경로(51b)로 구성된다. 상측가이드경로(51a) 및 하측가이드경로(51b)는 1대의 자동차(W)를 실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또 적하 플랫폼(21)의 고정가이드레일(31)의 상측가이드경로(31a) 및 하측가이드경로(31b)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있다. 상측가이드경로(51a) 및 하측가이드경로(51b)의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대차(26)에도 3개의 팔렛구동장치(33)가 장비된다. 상측의 2개의 팔렛구동장치(33)의 간격은 팔렛(32)의 길이보다 좁다.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적하 플랫폼(21)에 대차(26)가 도착된 상태에서 고정가이드레일(31) 및 가동가이드레일(51)은 하나로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가이드레일(31) 및 가동가이드레일(51)을 따라서 배치된 전부 6개의 팔렛구동장치(33)의 상호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의 간격도 팔렛(32)의 길이보다 좁아진다.
제6도 및 제7도는 적하플랫폼(21)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것이다.
고정가이드레일(31)은 좌우로 간격을 두고 상호 평행으로 뻗고, 또 개구끼리 상호 대향하는 좌우 1쌍의 횡단면이 그 형상을 이루는 레일부재(61)로 구성된다.
팔렛(32)은 1대의 자동차(W)를 실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또 가요성의 것으로 양레일부재(61)에 각각 끼워진 좌우 1쌍의 롤러체인(62)과 이들 체인(62)에 연속하여 건너질러 고정하는 복수의 슬랫(63)으로 구성된다.
팔렛구동장치(33)는 슬랫(63)저면에 눌러지는 마찰구동바퀴(64)와 구동바퀴(64)의 차축에 출력축이 직결되는 모터(65)와 모터(65)를 브래킷(66)을 개재하여 매다는 상하방향 요등판(67)으로 구성된다. 구동바퀴(64)의 외면에는 고무제탄성링(64a)이 끼워져 있다.
요동판(67)을 사이에 두고 앞 뒤 1쌍의 가로부재(71,72)가 배설된다. 요동판(67)의 전단은 앞쪽가로부재(71)에 형성된 귀형상부(73)에 수평핀(74)에 의하여 힌지식으로 지지된다. 요동판(67)의 후단 하방으로 진입되도록 뒤쪽가로부재(72)에 스프링받이(75)가 설치된다. 요동판(67)의 후단부 및 스프링받이(75)에 스프링압조절볼트(76)가 관통되어 있다. 볼트(76)는 스프링받이(75)보다 하방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부에는 스토퍼너트(77)가 나사식 고정되어 있다. 볼트(76)를 에워싸고 요동판(67)의 후단부 및 스프링받이(75)사이에는 압출스프링(78)이 개재되어 있다.
스토퍼너트(77)의 위치를 변경하면 스프링(78)의 장착길이가 변경되어 스프링의 힘이 변경된다. 이것에 의하여 슬랫(63)에 대한 구동바퀴(64)의 압압력이 변경된다.
모터(65)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바퀴(64)를 회전하면 슬랫(63)저면과 구동바퀴(64)외면의 마찰력에 의하여 가이드레일(31)을 따라서 팔렛(32)이 이동된다. 모터(65)는 자유로이 정역회전할 수 있고, 팔렛(32)은 자유로이 전진.후퇴할 수 있다.
팔렛(32)의 이동시에는 가이드레일(31)의 레일부재(61)와 팔렛(32)의 체인(62)의 롤러가 회전 접촉하고, 팔렛(32)의 슬랫(63)에는 구동바퀴(64)의 탄성링(64a)이 당접되므로서 팔렛(32)의 이동에 수반되는 소음은 극히 감소되고 있다.
이상, 적하 플랫폼(21)의 가이드레일(31), 팔렛(32) 및 팔렛구동장치(33)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것과 같은 것이 적재플랫폼(22), 입출고용플랫폼(24) 및 대차(26)에 장치되어 있다.
제2도는 적하 플랫폼(21)에 대차(26)가 도착했을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적하 플랫폼(21)의 하측가이드경로(31b)에는 빈 팔렛(32)이 얹혀있고, 대차(26)의 상측가이드경로(51a)에는 전방을 뒤로 향한 자동차(w)를 적재한 팔렛(32)이 얹혀 있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W)를 실은채로 팔렛(32)이 대차(26)의 상측가이드경로(51a)로부터 적하 플랫폼(21)의 상측가이드 경로(31a)에 바꾸어 실리고, 빈 팔렛(32)이 적하 플랫폼(21)의 하측가이드경로(31b)로부터 대차(26)의 하측가이드경로(51b)에 바꿔 실린다. 이것에 의하여 대차(26)로부터 자동차(W)를 내리면 적하 플랫폼(21)을 대차(26)가 출발한다.
자동차(W)를 적재한 팔렛이 적하 플랫폼(21)에 이송되면 적하 플랫폼(21)은 180도 회전된다. 그 결과 자동차(W)의 전방은 앞으로 향하게 되므로 이것에 운전자가 타고 자동차(W)가 적하 플랫폼(21)에서 내리게 된다. 그후 적하플랫폼(21)는 반전되어서 빈 팔렛(32)이 상측가이드 경로(31a)로부터 하측가이드경로(31b)에 반전가이드경로(31c)를 경유하여 이동된다.
제3도는 적재플랫폼(22)에 대차(26)가 도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적재플랫폼(22)의 상측가이드경로(31a)에는 프런트축을 뒤로 향하게 한 자동차(W)를 실은 팔렛(32)이 적재되고, 대차(26)의 하측가이드경로(51b)에는 적하 플랫폼(21)에서 적재된 빈팔렛(32)이 실려 있다. 이 상태에서 자동차(W)를 적재한 채로 팔렛(32)이 적재플랫폼(22)의 상측가이드경로(31a)로부터 대차(26)의 상측가이드경로(51a)에 바꿔실리고, 빈 팔렛(32)이 대차(26)의 하측가이드경로(51b)로부터 적재플랫폼(22)의 하측가이드경로(31b)로 바꿔 이송된다. 이것에 의하여 대차(26)에 자동차(W)가 적재되면 적재플랫폼(22)을 대차(26)가 출발한다. 그후 빈 팔렛(32)이 적재플랫폼(22)의 하측가이드경로(31b)로부터 상측가이드경로(31a)에 이동되고, 이것에 다음에 실리는 자동차(W)가 적재된다.
제4도는 입고용이된 플랫폼(24)에 대차(26)가 도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플랫폼(24)에서는 대차(26)로부터 자동차(W)를 싣게 되는데, 이 플랫폼(24)에서의 싣는 작업의 순서는 적하 플랫폼(21)에서의 순서와 대략 동일하다. 간단히 설명하면 자동차(W)를 실은채로 팔렛(32)이 대차(26)로부터 플랫폼(24)에 옮겨지고, 빈 팔렛(32)이 플랫폼(24)으로부터 대차(26)에 옮겨진다. 플랫폼(24)에 내려진 자동차(W)는 크레인(13)에 의하여 선반(12)으로 운반된다.
제5도는 출고용이 된 플랫폼(24)에 대차(26)가 도착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플랫폼(24)에서는 크레인(13)에 의하여 선반(12)에서 내린 자동차(W)가 대차(26)에 적재되는데, 이 플랫폼(24)에서의 적재작업의 순서는 적재플랫폼(22)에서의 순서와 대략 동일하다. 간단히 설명하면, 자동차(W)를 실은채로 팔렛(32)이 플랫폼(24)으로부터 대차(26)로 옮겨지고, 빈팔렛(32)이 대차(26)로부터 플랫폼(24)에 옮겨진다.
상기에 있어서 가이드레일을 무단의 경로로 하여 그것에 따라서 팔렛을 이동할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팔렛의 저면측으로부터 구동장치의 구동바퀴를 압압하는 대신 팔렛의 상면측으로부터 구동바퀴를 압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팔렛의 한쪽으로부터 구동바퀴를 압압하여 다른쪽에 구동바퀴의 압압력을 받는 수단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로켓과 체인의 교합음, 도크와 푸셔의 계합음과 같은 소음의 발생이 없으므로 팔렛의 이동에 따르는 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

Claims (1)

  1. 반전가이드경로(31c)를 가지는 가이드레일(31)과, 반전가이드경로(31c)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으로 구성되는 팔렛(32)과, 가이드레일(31)에 따라서 팔렛(32)을 이동시키는 구동장치(33)를 구비하는 반송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31)이, 팔렛(32)의 양 연부를 끼워넣고, 또 개구끼리 서로 대향시켜서 쌍을 이루는 횡단면이 그 형상 레일부재(61)로 형성되고, 구동장치(33)가 마찰구동바퀴(64)와 구동바퀴(64)의 차축에 연결된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65)와 팔렛(32)과 구동바퀴(64)의 마찰력에 의하여 팔렛(3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팔렛(32)에 구동바퀴(64)를 압압하는 압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KR1019940025628A 1994-04-20 1994-10-07 반송장치 KR0142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158994A JP3538714B2 (ja) 1994-04-20 1994-04-20 搬送装置
JP94-81589 1994-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06A KR950029506A (ko) 1995-11-22
KR0142399B1 true KR0142399B1 (ko) 1999-02-18

Family

ID=13750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628A KR0142399B1 (ko) 1994-04-20 1994-10-07 반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38714B2 (ko)
KR (1) KR0142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4858A1 (de) * 2010-01-18 2011-07-21 BEUMER GmbH & Co. KG, 59269 Reibradantrieb
JP5736229B2 (ja) * 2011-04-26 2015-06-17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ラットコンベア装置
CN104355073A (zh) * 2014-10-24 2015-02-18 无锡华联科技集团有限公司 底座移动机构
JP2015155354A (ja) * 2015-04-20 2015-08-27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スラットコンベア装置
CN106185195B (zh) * 2016-08-26 2018-12-04 博众精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输送机构
CN108557403A (zh) * 2018-06-11 2018-09-21 太仓市兴益披覆有限公司 用于物流的分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06A (ko) 1995-11-22
JP3538714B2 (ja) 2004-06-14
JPH07285640A (ja) 1995-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616511A3 (ru) Установка дл сортировки деталей
KR100511175B1 (ko) 화물이송장치용컨베이어
EP0999152B1 (en) Device for transferring goods
KR0142399B1 (ko) 반송장치
US5201407A (en) Steel plate conveyor with drive
JPH02193889A (ja) キャリヤ自走式コンベヤ
US5960938A (en) Conveyor for cantilevered loads
KR910004255B1 (ko) 낱개로 포장된 물품등의 운송장치
KR0142398B1 (ko) 반송장치
US6050196A (en) Storage conveyor system for carrier car
KR100242536B1 (ko) 트래버서(traverser) 상의 적재대차(台車)의 위치이탈 방지구조
GB2191755A (en) A cargo-handling apparatus
JPH0761811B2 (ja) 搬送装置
NL1028586C2 (nl) Transport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ombouwen van een transportinrichting.
KR100296479B1 (ko) 자동창고용물품출입장치
JP3200681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のパレット落下防止装置
ES2936308T3 (es) Vehículo de almacén con accionamiento de oruga
KR920000596B1 (ko) 주차장치에 있어서의 자동차 이송장치
JPH0419132B2 (ko)
JPH0730580Y2 (ja) 搬送装置
JPH0730565Y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JP2816140B2 (ja) 移動フロア装置
JPH01150623A (ja) 物品搬送装置
JP2525731Y2 (ja) コンベア移送受渡式駐車装置のスラット部材構造
JP2632400B2 (ja) 搬送用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