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077B1 - 지진 판별 추론 장치 - Google Patents

지진 판별 추론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077B1
KR0141077B1 KR1019940013872A KR19940013872A KR0141077B1 KR 0141077 B1 KR0141077 B1 KR 0141077B1 KR 1019940013872 A KR1019940013872 A KR 1019940013872A KR 19940013872 A KR19940013872 A KR 19940013872A KR 0141077 B1 KR0141077 B1 KR 014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quake
time
signal
cycl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289A (ko
Inventor
다까지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다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찌이시 요시오, 오므론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다찌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95000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1V1/0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1/00Acoustics
    • Y10S181/40Wave coupling
    • Y10S181/401Earth

Abstract

지진의 판별을 고속으로 게다가 정밀도 높게 판별할 수 있는 지진 판별 추론 장치를 제공한다.
진동파형에 대응하는 감진기(2)로부터의 ON/OFF 신호로부터 ON 주기, ON 시간 총화 및 ON시간 최대치인 3개의 특징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론 수단(5)으로 지진인지 아닌지를 ON주기마다 최초의 ON 신호의 입력의 시점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추론토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지진 판별 추론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제2도는 진동 파형에 대응하는 감진기의 출력을 도시하는 도면.
제3A도 내지 제 3E 도는 각 특징량의 멤버십 함수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추론의 룰을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6도는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제7도는 가스 계량기와 일체로 구성된 가스 차단 장치의 일부 파단 사시도.
제8도는 감진 가스압 일체형 감지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감진기 3:마이크로컴퓨터
4:특징량 추론 수단 5:추론 수단
100:계량기 110:복귀 버튼
111:캡 200:가스 차단 장치
203:차단 밸브 204:마이크로컴퓨터
206:리튬 전지 208:표시부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정용 가스 계량기에 설치되고, 지진 발생시에 가스 공급을 차단하기 적합한 지진(진동) 판별 추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종래, 이러한 종류의 지진 판별 추론 장치로서 가스 계량기에 내장된 감진기로부터 ON/OFF 신호를 소정 기간에 걸쳐서 계측하고 소정의 조건을 만족했을 때 지진으로 판별하는 것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같은 종래예에선 소정기간, 예컨대, 3 초간에 걸쳐서 감진기로부터의 ON/OFF 신호 데이터를 축적한 후에 그들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판별 처리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축적을 위한 상기 소정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판별 처리를 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점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으로써 고속이며 또한 오판별이 적은 지진 판별 추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선 상술한 목적을 달설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지진 판별 추론 장치는 진동 파형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역치를 초과할 때 ON으로 되고, 초과하지 않을 때 OFF로 되는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ON/OFF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한 지진 판별 추론 장치에 있어서, 상기 ON/OFF 신호에 의거해서 ON 주기, ON 시간 총합 및 ON 시간 최대치인 3 개의 특징량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4)과, 추출된 특징량에 의거해서 지진인지 아닌지를 ON 주기마다 추론하는 추론 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작용
상기 구성에 의하면 ON 주기, ON 시간 총합 및 ON 시간 최대치인 3 개의 특징량중에 적어도 하나의 특징량에 의거해서 지진인지 아닌지를 ON 주기마다, 즉 ON 신호가 입력된 때마다 최초의 ON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추론하므로, 소정기간에 걸쳐서 ON/OFF 신호의 데이터를 축적한 후에 판별 처리하는 종래예에 비해서 고속 판별이 가능해지며, 또한 진동주기에 대응하는 ON 주기를 특징량으로 하므로서 지진 이외의 충격에 의한 오판별을 대폭 저감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의 지진 판별 추론 장치(1)는 진동에 의해서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ON/OFF 신호 출력수단인 감진기(2)와 마이크로컴퓨터(3)로 구성되며, 마이크로컴퓨터(3)는 후술한 바와 같이 ON 주기, ON 시간 총합 및 ON 시간 최대치인 3 개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론 수단(4)과 이들 특징량에 의거해서 지진인지 아닌지를 ON 주기마다 퍼지 추론하는 추론 수단(5)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이들의 특징량은 최초의 ON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 ON 신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각 시점까지 샘플링 한 데이터에 의거한 것이며 상기 각 시점에 있어서 대응하는 특징량에 의거해서 추론을 행하는 것이다. 즉, 특징량은 ON 신호가 입력될 때마다 최초의 ON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순차적으로 갱신되는 것이다.
감진기(2)는 제2도의 A에 도시된 진동파형에 대해서 미리 정해진 역치를 넘어선 점을 ON 점으로 하고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특징량 추론 수단(4)은 이 감진기(2)의 ON/OFF 신호로부터 ON 주기, ON 시간 총합( =ON 시간 1 + ON 시간 2 + ON 시간 3 + . . .) 및 ON 시간 최대치인 3 개의 특징량을 ON 신호가 주어질 때마다 데이터 샘플링해서 추출하는 것이며, 특히, 이 실시예에선 ON 주기에 대해서 ON 주기(단, 중, 장)의 발생 빈도수를 특징량으로 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5 개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것이다.
1. ON 시간 총합
2. ON 시간 최대치
3.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 = ON 주기가 140msec미만의 발생횟수
4. ON 주기(중) 발생 빈도수 = ON 주기가 140msec∼400msec미만의 발생횟수
5. ON 주기(장) 발생 빈도수 = ON 주기가 400msec 이상의 발생횟수
이와 같이 ON 시간 총합(ON 시간의 합계), ON 시간 최대치 및 ON 주기 발생 빈도수를 특징량으로서 추출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거하는 것이다.
우선, ON 시간 총합은 진동의 계속시간을 나타내는 지표로 되는 것이며, 감진기로부터 출력되는 ON 시간은 소정의 가속도 이상의 속도라고 할 수 있고 이 때, 다음식으로 나타내듯이 ON 시간 총합은 진동 에너지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되며, 따라서 ON 시간 총합은 진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된다.
E = (1/2)mV2(E: 에너지, m: 질량, V: 속도)
E ∝ V2
또, ON 시간 최대치는 반주기당 요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직하형 지진인 경우 진동의 계속시간은 비교적 짧고 반주기당 에너지가 크다는 것에서 특징량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감진기에서 출력되는 ON 주기로부터 소정의 가속도 이상의 주파수 대역(주기 대역)을 대국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ON 주기는 진동 주기의 1/2로 되므로 ON 주기가 140msec 미만인 ON 주기(단)는 진동주기 = 0.28 초 미만(주파수 =3.6Hz이상)의 대역에 대응하며, 이 대역은 지진파와 충격파의 일부 겹친 대역으로 되고, ON 주기가 140msec 이상 140 msec 미만인 ON 주기(중)는 진동주기 = 0.28 초 ∼ 0.8 초(주파수 = 1.25 Hz∼3.5Hz)의 대역에 대응하며 지진파의 탁월 주파수가 가장 많아진다. 소위, 지진파의 중심 주파수 대역으로 되며 ON 주기가 400msec 이상의 ON 주기(장)는 진동 주기 0.8 초(주파수 = 1.25Hz) 이상의 대역으로 되며, 연약한 지반에서의 지진파의 응답 및 초고층 빌딩의 응답주기(주파수)의 대역으로 된다.
다음, 이같은 특징량에 의거하는 퍼지 추론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A도 내지 제 3E 도는 상술한 5 개의 특징량의 멤버십 함수를 나타내고 있다.
제3A도는 ON 시간 총합의 멤버십 함수를 나타내고 있는바, 단(短), 중(中) 및 장(長)인 3 개의 레벨을 가지고, 단은 ON 시간 총합이 140 msec 미만에 대응하며, 중은 ON 시간 총합이 140 msec이상 ∼400 msec 미만에 대응하고, 장은 ON 시간 총합이 400 msec 이상에 대응한다.
제3B도는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의 멤버십 함수를 나타내고 있는바, 소(小) 및 다(多)인 2 개의 레벨을 가지고 있으며, 소는 ON 주기(단)의 3 회 이하의 발생 빈도수에 대응하며, 다는 ON 주기(단)의 4 회 이상의 발생 빈도수에 대응한다.
제3C도는 ON 주기(중) 발생 빈도수의 멤버십 함수를 도시하고 있는바, 소 및 다인 2 개의 레벨을 갖고 있으며, 소는 ON 주기(중)의 7 회 이하의 발생 빈도수에 대응하고, 다는 ON 주기(중)의 8 회 이상의 발생 빈도수에 대응한다.
제3D도는 ON 주기(장) 발생 빈도수의 멤버십 함수를 도시하고 있는바, 소 및 다인 2 개의 레벨을 갖고 있으며, 소는 ON 주기(장)의 3 회 이하의 발생 빈도수에 대응하고, 다는 ON 주기(중)의 4 회 이상의 발생 빈도수에 대응한다.
제3E도는 ON 시간 최대치의 멤버십 함수를 도시하고 있는바, 단 및 장인 2 개의 레벨을 갖고 있으며, 단은 ON 시간 최대치가 200msec 미만에 대응하고, 장은 ON 시간 최대치가 200msec 이상에 대응한다. 제 4 도는 지진 판별 추론 룰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선 아래의 7 개의 룰에 의해서 지진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이다.
룰 1
if ON 시간 총합이 단 and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가 소 and ON 주기(중) 발생 빈도수가 다
then 지진
룰 2
if ON 시간 총합이 단 and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가 소 and ON 주기(장) 발생 빈도수가 다
then 지진
룰 3
if ON 시간 총합이 중 and ON 주기(중) 발생 빈도수가 소
then 지진
룰 4
if ON 시간 총합이 중 and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가 소 and ON 주기(중) 발생 빈도수가 다
then 지진
룰 5
if ON 시간 총합이 중 and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가 소 and ON 주기(장) 발생 빈도수가 다
then 지진
룰 6
if ON 시간 총합이 장 and ON 주기(장) 발생 빈도수가 다
then 지진
룰 7
if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가 다 and ON 주기(중) 발생 빈도수가 다 and ON 시간 최대치가 장
then 지진
즉, 이 실싱에선 상술한 멤버십 함수에 의해 구한 1. 0의 적합도(등급)를 이들 룰에 따라서 논리적 연산을 행하고 그 결과가 1 로 되었을 때는 지진, 0 으로 되었을 때는 지진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들 룰이 어떤 지진을 상정(상상)하고 규정되어 있는가를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룰1 및 룰2는 비교적 무른 지반에서의 지진을 상정한 것이며, ON 시간 총합은 짧지만 ON 주기(중)의 발생 빈도수가 많다는 것에서 지진의 전형적인 주파수 성분을 가진 진동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오동작을 회피하기 위해서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의 소와의 논리적을 취하고 있다.
룰3은 직하형 지진을 상정한 것이며, ON 주기(중) 발생 빈도수가 소 이고 또한 ON 시간 총합이 중이므로 진동수는 적지만 ON 시간 총합이 중위하는 것에서 단위 주기당 요동이 강하고 위험하다고 생각된다.
룰4 및 룰5는 비교적 진원이 멀고 강한 지진을 상정한 것이며, 진동 주기가 중에서 장으로 되고, ON 시간 총합이 중위라는 것에서 계속시간이 긴 지진이며 위험한 지진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진원이 먼 경우 그 반사파, 요동의 세기에 의해서 진동이 길어지는 것이다. 또 오동작을 회피하기 위해서 ON 주기(단) 발생 빈도수의 소와의 논리적을 취하고 있다.
룰6은 연약한 지반에서의 지진 및 고층 빌딩에 있어서의 지진 요동을 상정한 것이며, ON 시간 총합이 길고, ON 주기(장) 발생 빈도수가 많다는 것에서 매우 큰 에너지의 진동이라고 생각된다.
룰7은 굳은 지반에서의 지진 및 매우 피해가 큰 지진을 상정한 것이며, 진동의 요동 성분이 넓은 대역에 걸쳐서 발생하고 또한 ON 시간 최대치가 크다는 것에서 매우 큰 지진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을 갖는 지진 판별 추론 장치의 동작을 제 5 도의 흐름도 및 제 6 도의 타이밍 차트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 지진 판별 추론 장치에선 감진기(2)로부터 ON 신호가 부여된 때마다 즉 ON 주기마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상술한 특징량을 추출하여 추론을 행하는 것이다. 즉, ON 신호가 부여될 때마다 최초의 ON 신호가 입력된 시점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특징량이 순차적으로 새로 갱신되고, 이 갱신된 특징량에 의거해서 추론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예에선 최로의 ON 신호가 부여되고 나서 5 초 경과했을 때, 데이터의 샘플링 및 추론을 중단하여 클리어 상태로 하고 다시 처리를 최초부터 개시하는 것이며 또, 최후에 ON 신호가 부여되고부터 2.5 초 이상 경과해도 새로운 ON 신호가 부여되지 않을 때는 추론을 종료하는 것이다.
우선, 감진기(2)가 ON 해서 최초의 ON 신호가 부여되면 (스텝 n1), 상술한 5 초의 타이머를 작동시키고(스텝 n2) , 이 5 초의 타이머 또는 2.5 초의 타이머가 타임업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n3), 타임업했을 때는 지진이 아니라고 종료하고, 타임업하고 있지 않을 때는 감진기가 ON 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 n4), 감진기(2)가 ON 하고 ON 신호가 부여되면 2.5 초의 타이머를 갱신하고(스텝 n5), 데이터의 샘플링을 예컨대, 10msec 이하의 샘플링 주기로 행하고(스텝 n6), 상술한 특징량을 추출하고(스텝 n7),추출한 특징량에 의거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추론하고(스텝 n8), 지진인지 아닌지 판단하고(스텝 n9), 지진인때는 대응하는 출력을 부여하고, 지진이 아닌때는 스텝(n3)으로 되돌아 간다. 또한, 지진이라는 판별 출력에 의거해서 차단 밸브가 닫혀서 가스 공급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감진기(2)가 ON 할 때마다 데이터 샘플링이 행해져서 최초의 ON 신호가 입력된 시점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는 특징량이 추출되어서 추론이 행해지므로, 종래예와 같이 소정시간, 예컨대, 3 초간에 걸치는 감진기의 ON/OFF 신호로부터 데이터 샘플링한 후에 판별하는 것에 비해 고속으로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진파/충격파의 탁월 주기에 착안하고 요동 주기에 대응하는 ON 주기를 특징량으로 하고 있으므로 지진 이외의 충격에 의한 오판별을 저감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진동에너지와 비례 관계에 있는 ON 시간 총합 및 반주기마다의 진동의 세기에 대응하는 ON 시간 최대치를 특징량으로 하고 있으므로 위험한 진동도 판별하게 된다.
또한, 이 실시예의 평가를 위해서 지진 판별 추론 장치가 내장된 가스 계량기의 배란길이를 바꾸고 강철로 된 공(球)을 부딪쳐서 충격을 부여하거나 가스 용기를 쓰러뜨려 충격을 부여한 결과, 이 지진 판별 추론 장치가 지진 이외의 충격으로 오판별하는 일이 없고 매우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7도는 가스 계량기(100)와 일체로 구성되고, 가스 계량기(100)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이 이상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 또는 소정의 진도를 초과하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또는 소정의 압력이하로 가스압이 저하된 것과 같은 이상 상태로 되었을 경우, 도시되지 않은 가스 사용 기기에 대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스 차단 장치(200)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가스 차단 장치(200)에는 도시되지 않은 가스 사용 기기에 대한 가스의 공급을 차다나는 차단 밸브(203)가 설치되어 있으며, 가스 계량기(100)를 통과하는 가스의 유량이 이상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 차단 밸브(203)가 차단 제어도니다. 차단 밸브(203)를 제어하기 위해서 마이크로컴퓨터(204)를 중추로 하는 제어 회로가 프린트 기판(205)에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제어 회로의 전원으로서 소형 리튬 전지(206)가 장착되어 있다, 이 리튬 전지(206)는 계속해서 10 년 정도나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의 것이 쓰이고 있다.
가스 차단 장치(200)에는 가스 계량기(100)내의 도시되지 않은 계량기의 움직임에 의거해서 가스의 유량을 검출하는 유량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04)는 마이크로컴퓨터(204)가 유량과 시간에 의거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설정치와 유량 감지기에 의한 검출기를 비교해서 이상인지 정상인지를 판단한 다음에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차단 밸브(203)를 차단 제어한다.
가스 차단 장치(200)의 정면부에는 가스의 적산 유량을 표시하는 표시부(208)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표시부(208)에는 가스의 적산 유량이 숫자로 표시된다. 또, 가스 차단 장치(200)의 정면부엔 표시 램프(209)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스 사용상태가 이상으로 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단 밸브(203)를 작동시키는 것 외에 이 표시 램프(209)를 점멸시켜서 경보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가스 차단 장치(200)의 정면부에는 상기 이상 상태가 해제된 후에 리세트를 조작하기 위한 복귀 버튼(1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복귀 버튼(110)에는 통상 캡(111)이 씌워져 있고, 상기 리세트 조작을 하는 경우는 캡(111)을 벗기고 행한다.
상기 가스 차단 장치(200)에는 종방향으로 부착된 감진 가스압 일체형 감지기(12)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감진 가스압 일체형 감진기(12)는 예컨대 진도 5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감진 신호를 출력하는 감진부와 1 차측 가스 공급 압력이 예컨대 약 30 mm H2O 이하로 저하된 때 가스압 저하 신호를 출력하는 가스압 검출부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다음, 제8도를 참조하여 감진부(MS)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24)에 장착되는 하부 케이스(31)의 저부는 완만한 절구형상으로 되어 있고 강철로 된 공(32)이 들어가는 공간(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공간(33)에 강철로 된 공(32)이 배열 설치된 상태에서 공간(33)의 상부로부터 링 형상의 가이드(34)가 끼워 부착되며 또한 가이드(34)에는 위쪽으로부터 단면 형상이 H형이고 평면 형상이 원반 형태인 플런저(35)가 상하 방향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35)가 장착되면 그 하단면이 강철로 된 공(32)의 표면과 접촉한다.
플런저(35)의 상면 중앙부에는 돌출부(3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돌출부(35A)는 가동접점(36)과 맞닿고 있다. 한편, 이 가동접점(36)과 접촉되는 고정 접점(3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 접점(36)은 가동접점 단자(36A)에 결합되고 있으며 가동 접점 단자(36A)는 리드선(38)을 거쳐서 상기 가동 접점 단자(27A)의 선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또, 고정 접점(37)은 고정 접점 단자(37A)에 결합되고 있으며 고정 접점 단자(37A)의 선단부에는 리드선(39)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 단자(36A) 및 고정 접점 단자(37A)는 상기 가이드(34)의 모서리부에 장착되는 상부 케이스(40)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단자(27A)는 공통 단자로 되기 때문에 리드선이 3 개로 된다.
감진부(MS)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그 지진으로 강철로 된 공(32)이 좌우로 진동하면, 플런저(35)가 강철로 된 공(32)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 진동하고 가동 접점(36)이 고정 접점(37)과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 한다. 이 때, 진도에 따라서 고정 접점(37)에 대한 가동 접점(36)은 온, 오프 시간이 변화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204)에 대해서 미리 각 진도에 대응한 상기 온, 오프 신호의 온, 오프 시간 데이터를 기억시켜두면, 마이크로컴퓨터(204)는 리드선(29, 39)을 거쳐서 입력된 상기 온, 오프 신호에 따라서 지진의 진도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204)는 그 판정한 진도가 예컨대 5 이상이면 차단 밸브(203)를 차단 제어하고 안전을 확보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선 ON 주기, ON 시간 총합 및 ON 시간 최대치인 3 개의 특징량에 의거해서 추론을 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량, 예컨대 ON 시간 최대치가 장으로 되었을 때 지진이라고 판별할 수 있게 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ON 주기, ON 시간 총합 및 ON 시간 최대치인 3 개의 특징량중에 적어도 하나의 특징량에 의거해서 지진인지 아닌지를 ON 주기 마다 추론하므로 소정기간에 걸쳐서 ON/OFF 신호의 데이터를 축적한 후에 판별하는 종래예에 비해서 고속으로 그리고 고 정밀도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진동파형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역치를 초과할 때 ON 으로 되고, 초과하지 않을 때 OFF로 되는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ON/OFF 신호 출력 수단(2)을 구비한 지진 판별 추론 장치에 있어서,
    상기 ON/OFF 신호에 의거해서 ON 주기, ON 시간 총합 및 ON 시간 최대치인 3 개의 특징량중에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4)과,
    추출된 특징량에 의거해서 지진인지 아닌지를 ON 주기마다 추론하는추론 수단(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판별 추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론 수단은 퍼지 추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 판별 추론 장치.
  3. 진동파형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져 있는 역치를 초과할 때 ON 으로 되고, 초과하지 않을 때 OFF로 되는 ON/OFF 신호를 출력하는 ON/OFF 신호 출력 수단(2)을 구비한 지진 판별 추론 장치에 있어서,
    상기 ON/OFF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진동파형의 특징량을 추출하는 특징량 추출 수단(4)과,
    추출된 특징량에 의거해서 검출하려는 진동인지 아닌지를 ON 주기마다 추론하는 추론 수단(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판별 추론 장치.
  4. 제 3 항에서 청구하는 진동 판별 추론 장치(3)를 구비하고, 상기 진동 판별 추론 장치의 추론 결과에 의거하여 작동되는 차단 밸브(20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계량기.
KR1019940013872A 1993-06-30 1994-06-20 지진 판별 추론 장치 KR0141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060493A JP3201075B2 (ja) 1993-06-30 1993-06-30 地震判別推論装置および方法
JP93-160604 1993-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289A KR950001289A (ko) 1995-01-03
KR0141077B1 true KR0141077B1 (ko) 1998-07-01

Family

ID=1571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872A KR0141077B1 (ko) 1993-06-30 1994-06-20 지진 판별 추론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84968A (ko)
EP (1) EP0636905B1 (ko)
JP (1) JP3201075B2 (ko)
KR (1) KR0141077B1 (ko)
CN (1) CN1087078C (ko)
DE (1) DE69420343T2 (ko)
TW (1) TW3456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8109A (ja) * 1995-07-05 1998-08-04 ゲオフォルシュンクスツェントルム・ポツダム 地震モニタリング
US7266533B2 (en) * 2000-12-15 2007-09-04 The Western Union Company Electronic gift greeting
US8655797B2 (en) * 2009-12-14 2014-02-18 Lane D. Yoder Systems and methods for brain-like information processing
JP5338705B2 (ja) * 2010-02-15 2013-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運動状態検出方法及び運動状態検出装置
TWI636276B (zh) * 2014-05-16 2018-09-21 財團法人國家實驗研究院 人工智能地震判斷方法及地震偵測系統
TWI605424B (zh) * 2016-08-16 2017-11-11 jing-ru Zheng Elevator seismic strain method and system
CN106297196B (zh) * 2016-09-23 2019-07-26 深圳摩登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开关、智能主机和地震预警系统
JP6465257B1 (ja) * 2017-06-30 2019-02-06 オムロン株式会社 感震センサ及び地震判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4238A (en) * 1977-03-08 1980-07-22 Indiana University Foundation Seismic trigger
JP2596452B2 (ja) * 1988-07-08 1997-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地震管制運転からの復旧方法
JPH03219517A (ja) * 1990-01-25 1991-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地震検出装置
FR2695527B1 (fr) * 1992-09-08 1994-10-07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e réception de signaux électriques incohérents et application à la détection d'ondes électromagnétiques liées aux phénomènes précurseurs de séismes.
US5373486A (en) * 1993-02-03 1994-12-13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eismic event classif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6905A3 (en) 1995-03-22
DE69420343T2 (de) 2000-05-18
JP3201075B2 (ja) 2001-08-20
KR950001289A (ko) 1995-01-03
EP0636905B1 (en) 1999-09-01
EP0636905A2 (en) 1995-02-01
US5484968A (en) 1996-01-16
DE69420343D1 (de) 1999-10-07
TW345611B (en) 1998-11-21
CN1101429A (zh) 1995-04-12
JPH0720248A (ja) 1995-01-24
CN1087078C (zh) 200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1077B1 (ko) 지진 판별 추론 장치
US7376533B2 (en) Electronic pedometer
EP0819925A3 (en) A preignition detection apparatus
US6731220B2 (en) Strong shaking judgment device and method
US20200012003A1 (en) Seismic sensor and earthquake determination method
JP5108287B2 (ja) ガス流路用感震装置および感震方法
CN110114644A (zh) 测震装置和使用该测震装置的安全装置
US6196130B1 (en) Electrostatic arming apparatus for an explosive projectile
AU700627B2 (en) Coin detection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20210302602A1 (en) Seismic sensor
JPH08145776A (ja) 地震判別推論装置
JPH10142041A (ja) 感震装置
JPH09280940A (ja) 感震装置
JP3736079B2 (ja) 感震装置
JPH08145775A (ja) 地震判別推論装置
JP3744331B2 (ja) 感震装置
US20230314642A1 (en) Seismic sensor, earthquake detection method, and earthquake detection program
JP3620062B2 (ja) ガス遮断制御装置
JPH09229757A (ja) 感震装置
JP3104320B2 (ja) 振動波形判別推論装置
JPH07294323A (ja) 感震器の出力判定装置
JP4211090B2 (ja) 地震検出装置
JP3744333B2 (ja) 感震装置
JP3428118B2 (ja) ガス遮断制御装置
JPH05288597A (ja) 振動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