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559Y1 -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559Y1
KR0140559Y1 KR2019960022872U KR19960022872U KR0140559Y1 KR 0140559 Y1 KR0140559 Y1 KR 0140559Y1 KR 2019960022872 U KR2019960022872 U KR 2019960022872U KR 19960022872 U KR19960022872 U KR 19960022872U KR 0140559 Y1 KR0140559 Y1 KR 0140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over
body portion
foreign matter
airba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683U (ko
Inventor
박민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2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559Y1/ko
Publication of KR9800076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6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5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에어백 장치의 커버와 몸체부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에어백장치(1)의 양측부에서 에어백커버(2)와 몸체부(3)의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부착되는 몸체(4)와, 상기 몸체(4)가 곡면 형태의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쉽게 휘어지며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4)의 아래쪽으로 절개된 홈(5)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조각편(6)으로 이루어져, 에어백이 팽창될 때 몸체부 내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본 고안은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백 장치의 커버와 몸체부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몸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이 몸체부에 에어백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이물질 차단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어느 순간 발생될 지 모르는 돌발상황에 대비해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안전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차량의 앞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와 승객을 직접적으로 보호하는 에어백 장치가 있다.
이 에어백 장치 중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는 하나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조수석의 앞에 있는 대쉬보드에 몸체부가 내장되고 커버는 대쉬보드의 일면을 이루도록 노출된 채 설치되어 있다.
한편, 몸체부와 커버의 사이에는 에어백을 내장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통상 이 공간의 양측은 밀폐되지 않고 외부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간을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이 스크류와 같은 날카로운 금속부재인 경우에는 에어백의 표면을 손상시켜 에어백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컨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50)는 커버(52)와 몸체부(53)의 사이에 외부와 연통하는 빈공간(5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에어백 장치(50)는, 커버(52)와 몸체부(53)의 사이에 상기 공간(51)을 통해 몸체부(53)속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수석 에어백장치를 대쉬보드에 설치하는 조립공정 중에 조립자의 부주의로 나사 등과 같은 이물질이 상기 공간(51)을 통해 몸체부(53)에 들어간 상태에서 에어백이 팽창하게 될 경우, 이물질로 인해 에어백(54)이 소손되어 제기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없게 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커버와 몸체부의 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빈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몸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에어백이 팽창될 때 몸체부 내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을수 있도록 한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에어백 장치의 양측부에서 에어백커버와 몸체부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에어백커버의 아래면에 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가 곡면 형태의 에어백커버의 아래면에 쉽게 휘어지며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아래쪽으로 절개된 홈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조각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백커버와 몸체부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지 않게 함으로써, 몸체부에 내장된 에어백이 팽창될 때 빈공간을 통해 들어온 이물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에어백 자체의 고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차단판이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커버의 아래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2도는 일반적인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백장치 2 : 에어백커버
3 : 몸체부 4 : 몸체
5 : 홈 6 : 조각편
7 : 에어백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차단판이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커버의 아래면에 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고안은 에어백 장치(1)의 양측부에서 에어백커버(2)와 몸체부(3)의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부착되는 몸체(4)와, 상기 몸체(4)가 곡면 형태의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쉽게 휘어지며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4)의 아래쪽으로 절개된 홈(5)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조각편(6)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4)를 상기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4)의 상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몸체(4)를 활모양으로 휘어지게 한 다음, 상기 몸체(4)를 상기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의 소정의 접착위치에 놓고 가압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4)는 상기 홈(5)에 의해 쉽게 휘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4)는 상기 곡면형태의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에어백커버(2)와 몸체부(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측을 몸체(4)와 조각편(6)으로 막을 수 있어, 몸체부(3)에 내장된 에어백(7)이 팽창될 때 빈 공간을 통해 들어온 이물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에 의하면, 에어백 커버와 몸체부의 사이에 외부와 연통되는 빈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몸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 에어백이 팽창될 때 몸체부 내의 이물질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을 수 있도록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에어백 장치(1)의 양측부에서 에어백커버(2)와 몸체부(3)의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부착되는 몸체(4)와, 상기 몸체(4)가 곡면 형태의 에어백커버(2)의 아래면에 쉽게 휘어지며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4)의 아래쪽으로 절개된 홈(5)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조각편(6)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KR2019960022872U 1996-07-30 1996-07-30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KR0140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872U KR0140559Y1 (ko) 1996-07-30 1996-07-30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872U KR0140559Y1 (ko) 1996-07-30 1996-07-30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83U KR980007683U (ko) 1998-04-30
KR0140559Y1 true KR0140559Y1 (ko) 1999-05-01

Family

ID=1946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872U KR0140559Y1 (ko) 1996-07-30 1996-07-30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5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83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2800B2 (en) Mounting structure for a pillar trim in an automobile having a curtain type airbag
JP2604310Y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930017754A (ko) 차량 탑승자의 보호장치
GB9508616D0 (en) Two stage inflator with module venting for passenger side airbags
KR930005836A (ko) 팽창가능한 운전자 보호 모듈 덮개와 견고한 보강재 구조물을 구비한 일체형의 경적 스위치
KR100352659B1 (ko)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JPH08310333A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のガス袋用カバー
JP3067795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自動車用エアバッグ折畳方法
KR100244542B1 (ko) 차량 승원의 보호장치
KR930023218A (ko) 조수석용 에어백장치
KR940006853A (ko) 에어백 장치
US6340170B1 (en) Actuatable knee bolster
EP0945309B1 (en) Method of folding an air bag
KR0140559Y1 (ko) 차량의 조수석용 에어백장치의 이물질 차단판
JPH08230605A (ja) 車輛安全装置
US5286055A (en) Modular cover for an air bag assembly
KR100503296B1 (ko) 측면에어백
KR100503297B1 (ko) 측면에어백
US6290252B1 (en) Air bag module
JP2833334B2 (ja) 側突時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
KR100230764B1 (ko) 에어백의 충돌감지 센서
KR100353064B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 백 도어 구조
KR19990029174U (ko) 후방시트 탑승객용 에어백 장치
KR013102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100242190B1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