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190B1 -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190B1
KR100242190B1 KR1019950050628A KR19950050628A KR100242190B1 KR 100242190 B1 KR100242190 B1 KR 100242190B1 KR 1019950050628 A KR1019950050628 A KR 1019950050628A KR 19950050628 A KR19950050628 A KR 19950050628A KR 100242190 B1 KR100242190 B1 KR 10024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ttached
terminal
side impact
d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674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190B1/ko
Publication of KR97003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1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측면 충격에 대한 탑승자의 피해를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측면에 장치되는 측면 에어 백 장치와, 상기한 에어 백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도어 패널 사이에 설치되고 측면 충격이 발생하면 전기를 제공하는 측면 충격 감지장치로 구성되는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는 도어 외부 패널에 일면이 부착되어 있고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와, 도어 내부 패널에 일면이 부착되어 있고 내부 평면에 단자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와, 상기한 외부 케이스의 안쪽 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있는 감쇠 피스톤과, 이 감쇠 피스톤의 일단이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되어 있고 외부의 일면에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감쇠 실린더와, 이 감쇠 실린더의 외부면과 상기한 내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한 감쇠 실린더 내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설치되어 있고 내부면에 전도체가 끊어져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감지 단자와, 이 감지 단자의 내부에 있는 끊어진 전도체를 단속하는 면이 있고 일단이 상기한 감쇠 피스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속부재와, 상기한 감지 단자와 단속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제2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자동차 측면 충격에 대한 탑승자의 보호와, 제작비용의 절감과, 경쟁력 향상과, 설치의 편리성과, 작업 공정수의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이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을 설명하는 단면도로써,
(a)도는 차량의 측면 충돌이 커서 에어백을 점화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b)도는 차량의 측면 충돌이 작아서 에어백을 점화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에 용이하게 작동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하는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 충돌시에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부상을 최소 한도로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운전자용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으며, 시트 벨트를 장착하고 있지 않는 운전자를 생각해서 대형 에어백을 사용하는 시스템과 3점식 벨트의 장착을 전제로 하는 에스 알 에스[SRS(supplemental restraint system)]에어 백 시스템이라고 불리우는 2종류가 있다.
또한, 에어백을 부풀게 하는 방식에는 충돌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
통상, 차체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떼어 놓고 작업을 한다.
종래의 에어 백 시스템은 차량이 충격시에 가속 센서에서 감지하여 전자제어 장치에 보내면, 이 전자 제어 장치는 받은 정보를 토대로 하여 최적의 조건을 계산하여 에어 백 장치에 보내게 되어 있다.
그래서, 운전자의 신체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이면, 에어 백 장치의 점화 회로에 의하여 에어백이 부풀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종래의 에어 백 시스템은 자동차의 측면에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시스템은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경쟁력에 뒤질 수 있다.
또한, 전자적 센서에 의하여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고,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측면에 간단하게 장착하여 충격 정도에 알맞게 작동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의 측면에 장치되는 측면 에어 백 장치와, 상기한 에어 백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도어 패널 사이에 설치되고 측면 충격이 발생하면 전기를 제공하는 측면 충격 감지장치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는 도어 외부 패널에 일면이 부착되어 있고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와, 도어 내부 패널에 일면이 부착되어 있고 내부 평면에 단자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는 상기한 외부 케이스의 안쪽 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있는 감쇠 피스톤과, 이 감쇠 피스톤의 일단이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되어 있고 외부의 일면에 단자가 설치되어 있는 감쇠 실린더와, 이 감쇠 실린더의 외부면과 상기한 내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제1탄성부재를 더 보유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는 상기한 감쇠 실린더 내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설치되어 있고 내부면에 전도체가 끊어져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감지 단자와, 이 감지 단자의 내부에 있는 끊어진 전도체를 단속하는 면이 있고 일단이 상기한 감쇠 피스톤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속 부재와, 상기한 감지 단자와 단속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작용]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은 측면의 층격 정도와 이 충격 정도에 따라 도어의 패널이 변형되는 속도에 따라서 에어 백 장치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충격이 심하여 빠른 속도로 도어 패널이 변형하면 축전기의 전기가 감지단자를 경유하여 측면 에어 백 장치에 도달하게 되어 에어백의 부피가 커져서 탑승자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충격이 심하지 않으면 전기가 차단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에어 백장치가 작동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사시도로써, 운전자의 측방을 보호하도록 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차량의 측면에 장치되는 측면 에어 백 장치(1)와, 상기한 에어 백 장치(1)에 연결되어 있고 도어 패널 사이에 설치되고 측면 충격이 발생하면 측면 패널의 변형과 충격 속도에 의하여 상기한 에어 백 장치(1)에 전기를 제공하든지 제공하지 않든지 하는 측면 충격 감지장치(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3)는 도어 외부 패널(21)에 일면이 부착되어 있고 공기 압력이 증가하지 않도록 통기구(23)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5)와, 도어 내부 패널(25)에 일면이 부착되어 있고 내부 평면에 전원 단자(27)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한 외부 케이스(3)의 내부에 끼워져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내부 케이스(7)를 보유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3)는 상기한 외부 케이스(5)의 안쪽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있고 양단에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감쇠 피스톤(9)과, 이 감쇠 피스톤(9)의 일단이 내부에서 직선 운동하도록 되어 있고 외부의 일면에 이동 단자(29)가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점성 유체가 채워지는 감쇠 실린더(11)를 더 보유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3)는 상기한 감쇠 실린더(11)의 외부 일면과 상기한 내부 케이스(7)의 내부 평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제1탄성부재(13)를 더 보유하고 있다.
더우기, 상기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3)는 상기한 감쇠 실린더(11) 내부의 일면에 부착되어 설치되어 있고 내부면에 전도체가 끊어져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감지 단자(15)와, 이 감지 단자(15)의 내부에 있는 끊어진 전도체를 단속하는 면이 있고 일단이 상기한 감쇠 피스톤(9)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속 부재(17)와, 상기한 감지 단자(15)와 단속 부재(17)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는 제2탄성부재(19)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한 감지 단자(15)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한 단속 부재(17)에 의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하,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제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이 크고 도어 패널의 변형 속도가 빠르면 감쇠 피스톤(9)이 감쇠 실린더(11) 사이를 빠르게 이동하지 못하므로 상기한 감쇠 실린더(11)의 이동력이 제1탄성부재(13)의 탄성력을 이기게 된다.
이때, 이동 단자(29)과 전원 단자(27)가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접지→감지 단자(15)→단속 부재(17)→감지단자(15)→이동 단자(29)→전원 단자(27) 순으로 전기가 흐르고, 측면 에어 백 장치(1)에 전기가 제공되어 에어백의 부피가 순간적으로 커진다.
제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이 작은 상태에서 변형이 일어나면 탑승자의 신체에 피해가 없으므로, 감쇠 피스톤(9)이 감쇠 실린더(11)에서 서서히 이동하게 되고, 이동 단자(29)와 전원 단자(27)이 접촉하기 전에 감지 단자(15)가 끊어지게 된다.
그래서, 변형이 전적으로 일어나더라도 에에 백 장치(1)는 작용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장치는 차량의 여러 위치의 측면에 장착할 수 있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자동차의 측면에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하여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고, 간단한 장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작비용을 줄이므로 경쟁력에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 공정수를 줄이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차량의 도어 외부패널(21)과 도어 내부패널(25)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이를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기 위한 측면 충격 감지장치 (3)를 갖추고 있는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면 충격 감지장치(3)는, 도어 외부패널(21)에 일단이 부착되고, 통기구(23)가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5)와; 일단이 상기 외부 케이스(5)에 끼워지고, 타단이 도어 내부패널(25)에 부착되며, 그 내부 하면에는 전원단자(27)가 형성되는 내부 케이스(7)와; 상기 외부 케이스(5) 내부 상면에 하방으로 설치되는 감쇠 피스톤(9)과; 상기 감쇠 피스톤(9)이 내부에서 승강하도록 되고, 외부의 일면에 이동단자(29)가 설치되는 감쇠 실린더(11)와; 상기 감쇠 실린더(11)와 내부 케이스(7)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3)와; 상기 감쇠 실린더(11) 내부의 일면에 부착되고, 내부면에 전도체가 끊어져 있도록 설치되는 감지단자(15)와; 상기 감지단자(15)의 내부의 끊어진 전도체를 단속하는 면이 있고, 일단이 상기 감쇠 피스톤(9)쪽으로 돌출되는 단속부재(17) 및; 상기 감지단자(15)와 단속부재(17)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1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1019950050628A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100242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28A KR100242190B1 (ko)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628A KR100242190B1 (ko)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74A KR970039674A (ko) 1997-07-24
KR100242190B1 true KR100242190B1 (ko) 2000-03-02

Family

ID=19440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628A KR100242190B1 (ko) 1995-12-15 1995-12-15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1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74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1989B2 (en) Side collision sensor system for side airbag apparatus
JP6086563B2 (ja) 自動車用の圧力および加速度に基づく歩行者衝突センサアセンブリ
US7500394B2 (en) Fastener integrated sensor
US5435409A (en) Deformation sensor for a safety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vehicle occupants in the event of a side-on collision
US20190054957A1 (en) Vehicle frame mounted deployable metal bag to mitigate side impact crash intrusions
US6685221B1 (en) Device for stopping an airbag unfolding in a motor vehicle
KR100242190B1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100381251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100230764B1 (ko) 에어백의 충돌감지 센서
KR100337824B1 (ko) 차량용 에어백과 시트벨트의 작동제어장치
CN216783453U (zh) 一种安全气囊电控系统以及车辆
KR100210931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센서
KR100220771B1 (ko) 전기저항식 측면충돌 에어백 장치 및 구동방법
KR100197267B1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100324375B1 (ko) 더블 에어 백 시스템
WO200103247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KR0116030Y1 (ko) 차량용 에어백장치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KR20040015985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0126315Y1 (ko)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KR19980048826U (ko) 운전자 및 동반석의 승객 동시보호식 에어백
KR19980046200U (ko)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커버
KR19980038493U (ko) 차량의 측면도어용 에어백장치
KR19990051052A (ko) 사이드 에어백
KR19980037717A (ko) 자동차의 에어백 전원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