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315Y1 -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315Y1
KR0126315Y1 KR2019930022688U KR930022688U KR0126315Y1 KR 0126315 Y1 KR0126315 Y1 KR 0126315Y1 KR 2019930022688 U KR2019930022688 U KR 2019930022688U KR 930022688 U KR930022688 U KR 930022688U KR 0126315 Y1 KR0126315 Y1 KR 0126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tactor
slider
impact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95U (ko
Inventor
유태욱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2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315Y1/ko
Publication of KR950013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33Arrangements for non-electric triggering of inflation

Abstract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측면 충돌시 감지센서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센서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차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챔버가 형성된 슬라이드 테이블과; 상기한 챔버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 컨텍터와; 상기한 고정 컨텍터와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한 유동 컨텍터와; 상기한 유동 컨텍터가 제공됨과 아울러 챔버에 긴밀이 보전되도록 삽입 설치된 피스톤을 보유하고,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슬라이더와; 상기한 챔버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해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감지센서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나-나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마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6도는 종래 기술의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 테이블 3 : 가이드 레일
5 : 고정 컨텍터 7 : 챔버
9 : 유동 컨텍터 11 : 피스톤
13 : 슬라이더 15 : 벨로우즈
17,23 : 홈 19 : 고정돌기
21 : 마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측면 충돌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주지된 바와 같이 돌발사고에 대비하여 운전자와 승객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로 에어 백 장치가 실용화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에어 백 장치는 주행중 장애물이나 주행하는 차량과 소정의 충격력 이상으로 충돌하면, 상기 충격력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작동에 따란 에어 백 장치의 점화장치를 점화시켜 개스의 폭발 압력에 의해 에어 백이 부풀어 스티어링 휠과 운전자와의 충격을 완화 흡수토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생명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는 차량의 전면부에 장착되어 충격을 감지하여 그 출력신호를 전자제어유닛에 출력하는 것으로서, 규정된 충격력에 의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특히 충격력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도록 많은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다.
제6도는 종래 기술의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차량의 전면부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50)에 소정의 경사 각도로 배치된 단자(52)와, 상기한 단자(52)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방사형으로 감긴 또 다른 단자(4)가 고정 설치되어 충격에 의한 관성력에 의해 펼쳐지도록 되어 상기한 각각의 단자(52)(54)가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인 출력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전자제어유닛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는, 주행중 돌발 사고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면, 그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관성력에 때문에 방사형으로 감긴 단자(54)가 펼쳐서 그 대향측에 배치된 단자(52)에 접촉되어 그 전기적인 출력신호가 전자제어유닛에 출력됨으로써, 에어 백 장치의 점화장치가 점화되어 그 가스의 팽창에 의해 에어 백 팽창됨에 따라 운전자의 생명을 보호할 수 있지만, 단자(54)의 탄성력 저하에 따른 오작동이 발생되는 경우가 초래됨과 아울러 측면으로 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감지센서의 단자(54)가 펼쳐져 불필요한 작동 또는 오작동이 발생됨으로써, 불가피하게 에어 백 장치의 교환이 초래됨에 따라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측면 충돌시 감시센서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신뢰성이 향상된 센서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바와 같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체에 고정 설치됨돠 아울러 일측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챔버가 형성된 슬라이드 테이블과; 상기한 챔버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 컨덱터와; 상기한 고정 컨텍터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한 유동 컨텍터와; 상기한 유동 컨텍터가 제공됨과 아울러 챔버에 기밀이 보전되도록 삽입 설치된 피스톤을 보유하고,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는 슬라이더와; 상기한 챔버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해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가이드 레일은 슬라이더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유동 컨텍터는 고정 컨텍터와 접촉시 충격이 완화되도록 유체가 충진된 벨로즈를 개재하여 슬라이더의 홈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챔버와 마개는 챔버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이 고정돌기가 계지되는 원주상의 홈이 형성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정 돌기는 수개가 1조로 편성되어 다수조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센서의 작동영역을 설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고정돌기의 높이와 홈의 깊이에 의해 충격을 감지하는 영역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는, 주행중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면, 그 관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의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더가 안내된다.
따라서 슬라이더에 제공된 피스톤이 챔버에 충진된 유체를 압축시킴에 따라 그 타측에 결합된 마개는 고정돌기와 홈의 결합상태를 극복하고 외부로 해방됨과 동시에 고정 컨텍터와 유동 컨텍터가 상호 결합되어 전기적인 출력신호를 전자제어유닛에 출력함에 따라 에어 백 장치가 작동되게 된다.
이때 각각이 컨텍터가 결합될 때 그 충격력은 슬라이더의 홈에 마련됨과 아울러 유체가 충진된 벨로즈에 의해 흡수 완화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해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시센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가-가선 나-나선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관련하는 마개의 사시도로서, 부호(1)은 슬라이드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슬라이드 테이블(1)은 도시되지 않은 차체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가이드 레일(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고정 컨텍터(5)에 의해 챔버(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사이드 레일(3)에는 고정 컨텍터(5)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유동 컨텍터(9)를 보유함과 아울러 상기 챔버(7)에 긴밀하게 삽입된 피스톤(11)을 보유하는 슬라이더(13)가 안내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사이드 레일(3)은 슬라이더(1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역사다리꼴 형상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슬라이더(13)가 이탈되지 않고 안내되는 구조를 취하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유동 컨텍터(9)는 고정 컨텍터(5)와 접촉시 충격이 완화되도록 유체가 충진된 벨로즈(1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13)의 홈(17)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피스톤(11)이 긴밀하게 삽입됨은 물론 유체가 충진된 챔버(7)의 일측에는 수개가 1조로 편성된 다수조의 고정돌기(1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19)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는 마개(21)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개의 홈(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고정돌기(19)와 홈(23)의 갯수는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센서의 작동영역을 설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설계상 많은 실험을 거쳐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마개(21)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23)의 깊이와 챔버(7)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9)의 높이에 따라 충격을 감지하는 영역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는, 주행중 차량의 충돌이 발생되면, 그 관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1)의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는 슬라이더(13)가 제1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3)에 제공된 피스톤(11)이 챔버(7)에 충진된 유체를 압축시킴에 따라 그 타측에 마개(21)에 고정돌기(19)와 홈(23)의 결합상태를 극복하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해방됨과 동시에 고정 컨텍터(5)와 유동 컨텍터(9)가 상호 결합되어 전기적인 출력신호를 전자제어유닛에 출력함에 따라 에어 백 장치가 작동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컨텍터(5)(9)가 결합될 때 그 충격력은 슬라이더(13)의 홈(17)에 마련됨과 아울러 유체가 충진된 벨로즈(15)에 의해 흡수 완화되게 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는, 주행중 차량이 정면 충돌을 일으킬 때, 그 관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더의 피스톤이 유체가 충진된 챔버를 압축함에 기인하여 그 압축력을 극복하는 마개의 결합상태가 많은 시험 데이타값에 의해 고정돌기의 수와 높이, 그리고 마개의 홈 갯수와 깊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신뢰성이 향상된 센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충돌후 다시 마개를 설치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특히 측면 충돌시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어 백 장치의 교환을 하지 않음에 따른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6)

  1. 차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일측에 가이드 레일(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챔버(7)가 형성된 슬라이드 테이블(1)과; 상기한 챔버(7)의 상측에 마련된 고정 컨텍터(5)와; 상기한 고정 컨텍터(5)와 선택적으로 접촉가능한 유동 컨텍터(9)와; 상기한 유동 컨텍터(9)가 제공됨과 아울러 챔버(7)에 기밀이 보전되도록 삽입 설치된 피스톤(11)을 보유하고, 가이드 레일(3)에 안내되는 슬라이더(13)와; 상기한 챔버(7)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해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개(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3)은 슬라이더(13)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유동 컨텍터(9)는 고정 컨텍터(5)와 접촉시 충격이 완화되도록 유체가 충진된 벨로즈(1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13)의 홈(17)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챔버(7)와 마개(21)는 챔버(7)에 형성된 고정 돌기(19)와, 이 고정돌기(19)가 계지되는 원주상의 홈(23)이 형성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고정돌기(19)는 수개가 1조로 편성되어 다수조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홈(23)이 형성되어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센서의 작동영역을 설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돌기(19)의 높이와 홈(23)의 깊이에 의해 충격을 감지하는 영역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KR2019930022688U 1993-11-01 1993-11-01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KR0126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688U KR0126315Y1 (ko) 1993-11-01 1993-11-01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688U KR0126315Y1 (ko) 1993-11-01 1993-11-01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95U KR950013995U (ko) 1995-06-16
KR0126315Y1 true KR0126315Y1 (ko) 1998-10-15

Family

ID=1936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688U KR0126315Y1 (ko) 1993-11-01 1993-11-01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3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95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0880A (en) Gas damped crash sensor
US5335749A (en) Crash sensor
US5307896A (en) Collision detection sensor
GB2252206A (en) Crash sensor
KR0126315Y1 (ko)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US3915474A (en) Recording mechanism for a safety device used in a motor vehicle
US5845730A (en) Electro-mechanical accelerometer to actuate a vehicular safety device
CN113276654B (zh) 一种电动汽车主动式电池防撞保护装置
KR0151670B1 (ko)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KR100197267B1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100242190B1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KR100220771B1 (ko) 전기저항식 측면충돌 에어백 장치 및 구동방법
KR100192424B1 (ko) 에어백의 압력조절장치
KR100230764B1 (ko) 에어백의 충돌감지 센서
KR0135502Y1 (ko) 에어 백 장착 차량의 충격 감지센서
KR0134206Y1 (ko) 급감속 및 충격감지센서
KR0137300B1 (ko)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KR200157334Y1 (ko) 자동차의 추락시 충격흡수장치
KR0170102B1 (ko) 자동차용 에어백 격발 장치
KR100448809B1 (ko)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200141825Y1 (ko) 차량용 에어백의 가스폭발 센서스위치구조
KR200143933Y1 (ko) 에어백의 충격감지센서
KR200141564Y1 (ko)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KR19990021387U (ko) 에어백 시스템의 안전 센서
KR19990003147A (ko) 자동차 에어백 제어장치의 크래쉬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