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670B1 -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1670B1
KR0151670B1 KR1019950018377A KR19950018377A KR0151670B1 KR 0151670 B1 KR0151670 B1 KR 0151670B1 KR 1019950018377 A KR1019950018377 A KR 1019950018377A KR 19950018377 A KR19950018377 A KR 19950018377A KR 0151670 B1 KR0151670 B1 KR 0151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xed
vehicle
hinge pi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947A (ko
Inventor
황준연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1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1670B1/ko
Publication of KR970000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1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1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의 층격감지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단(13a)이 내측 일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13), 상기 스프링(13)의 타단(13b)에 고정되며 전,후로 이동가능한 작동추(14), 상기 작동추(14)에 의해 이동되며 전선(15a)에 의해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1전극(15), 및 내측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전극(15)이 접촉가능하며 전선(16a)에 의해 에어백장치의 점화수단에 연결되는 제 2전극(16)을 내장하며, 하부벽(11a)의 외측에는 힌지핀(1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벽(11b)에는 힌지핀(12b)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케이싱(11)를 포함하는 본체(10)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10)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는 수용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1)의 하부면에는 상기 케이싱(11)의 하부벽(11a)에 형성된 힌지핀(12a)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케이싱(11)의 상부벽(11b)에 형성된 힌지핀(12b)이 회전가능하에 고정되는 고정홈(22a)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되며, 에어백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제1도는 종래 에어백장치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에어백장치의 층격을 감지하는 센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가 힌지에 의해 회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점화수단이 폭발하여 에어백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케이싱
13 : 스프링 84 : 작동추
15 : 제 1전극 16 : 제 2전극
20 : 고정부재 21 : 수용홈
본 발명은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감지센서의 본체를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구성하여 자동차의 전,후방향 충돌뿐 아니라 좌,우방향 충돌시에도 정확히 충돌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킬 수 있는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내의 운전석 전면의 조향핸들 또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장착되는 에어백장치는, 자동차의 정면충돌 또는 후방충돌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한다. 이같은 에어백장치는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하기 위한 충격감지센서, 상기 충격감지센서에 의해 수신 또는 인가된 신호 또는 전원에 의해 폭발하는 점화수단 및 상기 점화수단에 의해 팽창하여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이같은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여 에어백장치의 점화수단을 폭발시켜 압축된 가스를 분출시켜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팽창 시켜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한다.
물론 이같은 에어백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특히 전방의 운전자와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자의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장착한 것으로, 안전벨트와 함께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에어백장치에 적용되는 충격감지센서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바, 이같은 충격감지센서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충격감지센서(1)의 내측의 일단부에는 스프링(2)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2)의 타단에는 일정의 중량을 갖는 작동추(3)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작동추(3)는 자동차의 충돌시 원심력에 의해 또는 스프링(2)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감지센서(1)의 내벽(4)을 따라 왕복운동을 한다.
또한, 충격감지센서(1)의 내측의 타단부에는 상호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2개의 전극 즉, 상기 작동추(3)에 의한 가압에 따라 일측으로 이동하며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1전극(5) 및 상기 제 1전극에 접촉가능하게 대향하며 점화수단(7)에 연결되는 제 2전극(6)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각각의 전극(5)(6)은 전선(5a)(6a)이 연결되어 있어 연계되는 해당 구성부품(5)(7)에 연결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충격감지센서(1)는 자동차의 주행시에 자동차의 충돌을 감지한다. 즉, 자동차의 주행중 충돌이 발생되면 작동추가 이동하게 되는 바, 에컨대 자동차의 전방충돌시에는 작동추가 일방향으로 즉, 제 1전극(5)을 향해 이동되어 그 제 1전극을 제 2전극(6)에 접촉시켜 점화수단(7)에 전원을 인가시켜 그것을 폭발 시키며, 역으로, 후방충돌시에는 작동추(3)가 타방향 즉 스프링(2)을 향해 밀려진후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전술 된 바와 같이 점화수단(7)에 전원을 인가시켜 그것을 폭발 시킨다.
이와 같이 점화수단(7)이 폭발하면 에어백이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보호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스프링(3)의 탄성은 자동차의 정상적인 구동상태 에서는 작동추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임계적인 탄성계수를 갖는다. 이에따라 스프링(2)의 임계 탄성계수를 넘어서는 충격에서만 작동추(3)에 의해 2개의 전극(5)(6)이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를 이용할 경우에는 여러가지의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즉, 이같은 종래의 에어백센서는 작동추의 왕복운동이 전후방으로만 작동하므로 전방이나 후방이 아닌 측방으로부터의 충격시에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가 용이하게 작동되지 않게되며, 이에따라 운전자나 탑승자가 치명적인 부상을 당할 위험이 내재되어 있어 에어백장치의 신뢰성을 저하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방및 후방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부터의 충격에도 작동추가 작동되어 에어백이 작동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에 있어서, 일단이 내측 일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며 전,후로 이동가능한 작동추, 상기 작동추에 의해 이동되며 전선에 의해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1전극, 및 내측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전극이 접촉가능하며 전선에 의해 에어백장치의 점화수단에 연결되는 제 2전극을 내장하며, 하부벽의 외측에는 힌지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벽에는 힌지핀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본체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하부면에는 상기 케이싱의 하부벽에 형성된 힌지핀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상부면에는 상기 케이싱의 상부벽에 형성된 힌지핀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는 본체(10) 및 고정부재(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케이싱(11)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11)은 입방체형으로 형성되며, 특히 그것의 상부벽(11a) 및 하부벽(11b)의 외측의 제위치에는 회동핀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벽(11a)에는 힌지핀(1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하부벽(11b)에는 힌지핀(12b)이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1)에는 자동차의 충돌시 작동되는 여러가지 기본 구성요소가 내설되는바, 즉, 그 케이싱(11)의 내측 일단부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스프링(13), 상기 스프링(13)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케이싱 내에서 왕복작동하는 작동추(14), 상기 작동추(14)의 가압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전선(15a)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1전극(15),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전극에 접촉가능하게 대향하며 전선(16a)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점화수단에 연결되는 제 2전극(16)이 내설된다.
상기 본체(10)는 특히, 고정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같은 고정부재(20)는 장방형 입방체로 형성되며, 특히 일측방으로 개방된 수용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21)의 크기는 상기 본체(10)가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적정 높이 및 폭을 지닌다.
또한 상기 수용홈(2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본체(10)의 상부벽(11a) 및 하부벽(11b)에 돌출 형성된 힌지핀(12a) 및 힌지핀(12b)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삽설되는 고정홈(22a)(22b)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고정부재(20)는 적합한 고정수단에 의해 자동차의 적정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자동차의 주행중 자동차의 측방에서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충격 감지센서의 본체(10)는 그것의 상부벽 및 하부벽에 각각 제공된 힌지핀(12a,l2b)에 의해 그것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바, 이때 본체(10)는 충격방향을 향해 종방향으로 정렬 배치된다.
이와같이 상기 본체(10)가 충격방향을 향해 정렬배치되면, 이와 동시에 작동추(14)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는바, 예컨대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작동추(14)가 화살표(A1)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전극(15)을 제 2전극(16)을 향해 강제시켜 제 2전극에 접촉시킴으로써 전원이 도시되지않은 점화수단에 인가되는 반면, 예컨대 작동추(13)가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작동추(14)가 화살표(A2)방향으로 이동된후 스프링(1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화살표(A1)방향으로 이동되어 제 1전극(15)을 제 2전극(16)을 향해 밀어내 제 2전극(16)에 접촉시킴으로써 전원이 도시되지않은 점화수단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점화수단에 인가되면 점화수단이 작동됨과 동시에 에어백이 팽창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를 자동차의 에어백장치에 연계 설치하면, 자동차의 전,후방향에서의 충돌뿐 아니라 좌,우측 으로부터의 충돌시 충격감지센서의 본체가 힌지핀에 의해 그 충격 방향을 향하는 방향으로 정렬 배치되어 자동추가 정확히 이동됨으로써 점화수단에 전원을 정확히 인가시킬 수 있다. 이에따라 자동차의 충돌 즉시 에어백이 정확히 작동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자동차의 충격을 감지하기 위한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에 있어서, 일단(13a)이 내측 일단부에 고정되는 스프링(13), 상기 스프링(13)의 타단(13b)에 고정되며 전,후로 이동가능한 작동추(14), 상기 작동추(14)에 의해 이동되며 전선(15a)에 의해 배터리에 연결되는 제 1전극(15), 및 내측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 1전극(15)이 접촉가능하며 전선(16a)에 의해 에어백장치의 점화수단에 연결되는 제 2전극(16)을 내장하며, 하부벽(11a)의 외측에는 힌지핀(1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부벽(11b)에는 힌지핀(12b)이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케이싱(11)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10)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수용되는 수용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1)의 하부면에는 상기 케이싱(11)의 하부벽(11a)에 형성된 힌지핀(12a)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케이싱(11)의 상부벽(11b)에 형성된 힌지핀(12b)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홈(22a)이 형성되는 고정부재(20)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KR1019950018377A 1995-06-29 1995-06-29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KR0151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377A KR0151670B1 (ko) 1995-06-29 1995-06-29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377A KR0151670B1 (ko) 1995-06-29 1995-06-29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947A KR970000947A (ko) 1997-01-21
KR0151670B1 true KR0151670B1 (ko) 1998-10-15

Family

ID=1941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377A KR0151670B1 (ko) 1995-06-29 1995-06-29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1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13B1 (ko) * 2002-06-12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의 충돌 및 충돌량 감지센서
KR100448809B1 (ko) * 2002-05-27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09B1 (ko) * 2002-05-27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100448813B1 (ko) * 2002-06-12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의 충돌 및 충돌량 감지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947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201B2 (en) Side impact sensor systems
CA1238065A (en) Non crush zone-all mechanical damped sensor
WO1993001605A1 (en) Improved spring mass passenger compartment crash sensors
EP0560355A1 (en) Air bag module
US20090132129A1 (en) Side Impact Sensor Systems
KR0151670B1 (ko)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US6122944A (en) Key operated rotary switch for disabling an automobile air bag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US5011182A (en) Velocity change sensor with contact retainer
US5845730A (en) Electro-mechanical accelerometer to actuate a vehicular safety device
USRE39868E1 (en) Self-contained airbag system
JPH0834312A (ja) 車載用エアーバッグシステム
GB2255535A (en)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KR100197267B1 (ko) 차량용 에어백 충격 감지장치
KR0126315Y1 (ko) 에어 백 장치의 충격 감지센서 구조
CA1316767C (en) Event sequence indicator
US4848792A (en) Event sequence indicator
KR100558858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칼럼의 틸트업 방지장치
KR0134416B1 (ko)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KR200141564Y1 (ko) 자동차용 에어백장치
KR940007463Y1 (ko) 자동차용 에어 백 센서
KR200141635Y1 (ko) 차량용 급감가속 감지센서
KR0137300B1 (ko) 에어백장치의 충격감지센서의 구조
KR100448809B1 (ko)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JP2511213Y2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970039600A (ko) 자동차 에어백 오동작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