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2659B1 -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659B1
KR100352659B1 KR1019997004436A KR19997004436A KR100352659B1 KR 100352659 B1 KR100352659 B1 KR 100352659B1 KR 1019997004436 A KR1019997004436 A KR 1019997004436A KR 19997004436 A KR19997004436 A KR 19997004436A KR 100352659 B1 KR100352659 B1 KR 100352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rmrest
backrest
deployed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9038A (ko
Inventor
스나바시리유키사다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69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021/1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additional means for controlling deployment traject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측부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자동차의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는 에어백(8)을 포함하며, 이 에어백의 바닥면은 에어백(8)이 전방으로 팽창되었을 때 팔걸이(6)의 상측면(5)에 접촉하여 에어백이 팽창되었을 때 밑으로 가압된 에어백(8)에 상향 반발력(F)이 팔걸이(6)의 상측면(5)으로 부터 작용될 수 있어 에어백(8)의 팽창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crew member of automobile when collision of side portion thereof occurs}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로서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등받침의 측부로 부터 에어백이 전방으로 전개되는 측부 충돌용 에어백 장치가 있다(유사한 기술로서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9-136598호 참조).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에어백은 인플레이터로 부터 주입된 가스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는 동안 에어백이 전방으로 전개된다. 특히 측부 충돌용 에어백 장치의 경우, 승객과 차량 본체의 측벽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에어백은 이것이 전개되는 동안 승객과 측벽 사이에 종종 유지되어 에어백이 밑으로 가압된다. 에어백이 밑으로 가압되었을 때, 에어백 전개속도는 가압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감소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에어백의 전개속도를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신규한 에어백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 달성되었으며, 에어백의 전개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를 도시한 승객실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에어백과 팔걸이간 접촉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실시예]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등받침에 인접한 차량 몸체의 측벽 상에 형성되고, 대략 수평한 상측면을 갖는 팔걸이; 상기 등받침의 측부에 배치된 에어백; 및 충돌시 상기 에어백을 전방 및 상기 팔걸이 위로 전개되도록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에어백과 팔걸이의 장착 위치 관계는, 상기 팔걸이가 제거된 상태에서 에어백이 팽창한 경우, 상기 에어백의 하단면이 상기 팔걸이의 상면부 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따라서, 상기 팔걸이가 장착된 상태에서 에어백이 팽창할 때, 상기 에어백의 하단면이 상기 팔걸이의 상면부와 겹쳐지게 상향 반력이 상기 팔걸이의 상면부에서 인가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이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전방으로 전개된 에어백의 바닥면이 팔걸이의 상측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전개시에 하측으로 가압된 에어백에 대해 팔걸이의 상측면으로 부터 상향 반발력을 인가할 수 있어 에어백의 전개속도가 증가한다.
제1 특징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전개된 상기 에어백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과 겹쳐지게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 따라서, 전개된 에어백의 바닥면이 팔걸이의 상측면과 접촉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의 바닥면은 팔걸이의 상측면에 겹쳐지게 접촉하기 때문에, 에어백의 바닥면으로 부터 팔걸이의 상측면에 전적으로 하향하는 힘이 인가된다. 결국, 팔걸이의 상측면으로 부터 에어백에 작용하는 상향 반발력이 더욱 증가되므로, 에어백의 전개속도가 더 개선된다. 특히, 에어백의 상향 전개속도가 증가된다. 또한, 에어백의 바닥면이 팔걸이의 상측면과 겹쳐지게 접촉하는 이러한 구조에 따라, 에어백과 팔걸이간 상하방향의 장착 오차 혹은 등받침을 눕힌 각도에 따른 등받침의 상하위치의 변화가 발생하여도, 이러한 오차나 변화가 흡수될 수 있다.제1 특징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전개된 상기 에어백의 상기 바닥면은 하향으로 팽창된 만곡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에 따라서, 전개된 에어백의 바닥면은 하향으로 팽창된 만곡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에어백의 바닥면과 팔걸이의 상측면간 접촉상태는 에어백이 평탄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동안 에어백의 체적이 적은 경우와 비교하여 에어백의 체적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얻어질 수 있다. 에어백의 체적은 그렇게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는 에어백의 전개속도를 향상하는데 효과적이다.
제1 특징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상기 에어백은 대략 L자 형상이고, 상기 에어백 내부에 배기공이 설치된 격벽 천에 의해서 상측 머리 보호부 및 하측 가슴 보호부로 분할되고, 상기 가슴 보호부의 바닥벽 측면 상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에어백의 가슴 보호부가 인플레이터에 의해 주입된 가스에 의해 먼저 전방으로 전개되기 때문에, 전방으로 전개속도가 향상된다.
제4 특징의 구조에서,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상기 가슴 보호부의 바닥벽 측면 상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가스 주입구는 인플레이터의 측면 하측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가스는 가슴 보호구의 바닥면으로 부터 내면을 따라 주입되므로, 가슴 보부의 전개에 힘이 부가되고, 그럼으로서 가슴 보호부의 전개속도가 더 증가된다.
제5 특징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등받침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 주입구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측면과 하측단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가스 주입구는 인플레이터의 측면 하측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가스는 가슴 보호부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의 내면을 따라 주입되므로, 가슴 보호부의 전개가 가속화되고, 그럼으로써 가슴 보호부의 전개속도가 더 증가된다.
제1 특징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에어백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으로 부터 상향 반발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팔걸이의 상측면으로 부터 에어백에 작용하는 상향 반발력이 더 증가되므로, 에어백이 승객과 문 사이에 보유되어 하향으로 가압되어도, 에어백은 에어백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은 전방으로 전개된다. 에어백은 하향으로 가압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에어백은 종래의 에어백보다 짧은 시간 내에 최종의 전개된 상태에 도달한다. 즉, 에어백의 전개속도가 개선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등받침에 인접한 차량 본체의 측벽 상에 배치되고, 대략 수평한 상측면을 갖는 팔걸이; 상기 팔걸이로 향하고, 상기 팔걸이보다 위에 위치한 상기 등받침의 측부 내에 배치된 에어백; 및 충돌시 상기 에어백을 전방 및 상기 팔걸이 위로 전개하도록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은 상기 에어백의 전개될 동안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을 향하여 팽창하여 상기 팔걸이의 상측면과 접촉하는 바닥면을 갖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에어백의 바닥면이 팔걸이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에어백이 승객과 문 사이에 보유되어 하향으로 가압되어도, 하향으로 가압된 에어백에상향 반발력이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하 기술한다.
참조부호 1은 우측 앞 시트이며, 등받침(2) 및 시트 쿠션(3)을 포함한다. 차량 본체 측벽인 문(4)은 앞 시트(1)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대체로 수평한 상측면(5)을 갖는 팔걸이(6)는 문(4)의 내면 상에 제공된다.
에어백 모듈(7)은 등받침(2)의 우측 단부 내에 설치된다. 에어백 모듈(7)은 팔걸이(6) 위에 배치되고 팔걸이(6)에 대향하는 등받침(2)의 측부 상에 배치된다. 등받침(2)을 따라 배치된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8)은 에어백 모듈(7) 내에 수용된다. 에어백(8)은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해서 승객과 문(4) 사이에서 전개된다.
에어백(8)은 대략 L자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하측 가슴 보호부(A)와 상측 머리 보호부(B)로 분할하는 격벽 천(10)을 구비하고 있다. 격벽 천(10)은 이의 뒷측에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9)의 측면에는 주입구(12)를 갖는 하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12)로 부터 주입된 가스(G)는 먼저 가슴 보호부(A)를 전방으로 전개시키기 위해서 가슴 보호부(A)에 진입하며, 이어서 가슴 보호부(A) 내에 가스(G)는 머리 보호부(B)를 상향으로 전개시키기 위해서 배기구(11)를 통해 헤드 보호부(B)에 유입된다.
에어백(8)의 모양 및 장착위치는 에어백(8)이 전방으로 전개될 때, 이의 바닥면(13)이 소정의 수직 길이(d)만큼 팔걸이(6)의 상측면(5)에서 접촉하여 겹쳐지도록 장치된다.
다음에, 에어백이 실제로 전개될 때 에어백(8)의 행동을 설명한다. 인플레이터(9)로 부터 주입된 가스(G)에 의해 팔걸이(6) 위, 전방으로 전개된 에어백(8)은 승객과 문(4) 사이의 공간 내에서 팽창된다. 에어백(8)에서, 가슴 보호부(A)가 먼저 전방으로 전개되고, 다음에 머리 보호부(B)가 상향으로 전개된다.
전방으로 전개된 에어백(8)은 팔걸이(6)의 상측면(5)을 향하여 팽창되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에어백(8)의 바닥면(13)은 소정의 수직 길이 d만큼 팔걸이(6)의 상측면(5)과 겹쳐지게 접촉한다. 따라서, 에어백(8)의 바닥면(13)이 팔걸이(6)의 상측면(5)과 겹쳐지게 접촉하므로, 하향 힘이 전적으로 에어백(8)의 바닥면(13)으로 부터 팔걸이(6)의 상측면(5)에 작용한다.
결국, 하향 힘에 의존하여, 팔걸이(6)의 상측면(5)으로 부터 에어백(8)에 작용하는 상향 반발력(F)이 더 증가된다. 그러므로, 에어백(8)이 승객과 문(4) 사이에 보유되거나 사이에 끼워져 가압되어도, 에어백(8)은 하향의 가압력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8)은 밑으로 가압됨이 없이 전방으로 전개된다. 에어백(8)은 가압되지 않고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8)은 종래의 에어백보다 짧은 시간 내에 최종의 전개된 상태에 이른다. 즉, 에어백(8)의 전개속도가 개선된다.
또한, 에어백(8)의 바닥면(13)은 팔걸이(6)의 상측면(5)과 겹쳐지게 접촉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에어백(8)과 팔걸이(6) 사이에 장착 오차가 있거나 등받침(2)이 누운 각도에 기인하여 에어백(8)의 상하 위치 변화가 발생하여도, 오차 또는 변화가 흡수될 수 있다.
더구나, 에어백(8)의 바닥면(13)이 밑으로 부푸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에어백(8)의 체적은 증가되지 않으며, 이것은 에어백(8)의 전개속도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에어백(8)은 격벽 천(10)에 의해서 가슴 보호부(A)와 머리 보호부(B)로 분할되고, 체적이 작은 가슴 보호부(A)는 인플레이터(9)로 부터 주입된 가스(G)에 의해 전개되기 때문에, 에어백(8)이 전방으로 전개되는 속도가 개선된다. 이에 더하여, 가스(G)에 대한 주입구(12)의 측면에는 인플레이터(9)의 하단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가스(G)는 가슴 보호부(A)의 바닥면으로 부터 이의 내면을 따라 주입되므로, 가슴 보호부(A)의 전개가 가속화되고, 그럼으로써 전개속도가 더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에어백(8)의 바닥면(13)이 팔걸이(6)의 상측면(5)과 겹쳐지게 접촉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바닥면(13)이 상측면(5)과 겹쳐지지 않게 접촉하도록(제로-터치) 구성될 수도 있다. 바닥면(13)이 상측면(5)과 접촉만 하는 이러한 설치가 행해진 경우, 예를 들면, 에어백(8)은 승객과 문(4) 사이에 보유되어 밑으로 가압될지라도, 밑으로 가압된 에어백(8)에 상향 반발력 F이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앞 시트의 등받침 내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뒤 시트에 설치된 에어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전방으로 전개된 에어백의 바닥면이 팔걸이의 상측면과 접촉할 때, 전개될 동안 밑으로 가압된 에어백에 팔걸이의 상측면으로 부터 상향 반발력이 작용할 수 있으므로 에어백의 전개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에어백은 안에 배기구를 갖는 격벽 천에 의해 상측에 머리 보호부와 하측에 가슴 보호부로 분할된다. 그러므로, 인플레이터로 부터 가스는 가슴 보호부 측으로 주입되고, 가슴 보호부가 먼저 인플레이터로 부터 주입된 가스에 의해 전방으로 전개되므로 에어백의 전방향 전개속도가 더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에 있어서,
    등받침에 인접한 차량 몸체의 측벽 상에 형성되고, 대략 수평한 상측면을 갖는 팔걸이;
    상기 등받침의 측부에 배치된 에어백; 및
    충돌시 상기 에어백을 전방 및 상기 팔걸이 위로 전개되도록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에어백과 팔걸이의 장착 위치 관계는, 상기 팔걸이가 제거된 상태에서 에어백이 팽창한 경우, 상기 에어백의 하단면이 상기 팔걸이의 상면부 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상기 팔걸이가 장착된 상태에서 에어백이 팽창할 때, 상기 에어백의 하단면이 상기 팔걸이의 상면부와 겹쳐지게 상향 반력이 상기 팔걸이의 상면부에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기 에어백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과 겹쳐지게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개된 상기 에어백의 상기 바닥면은 하향으로 팽창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대략 L자 형상이고, 상기 에어백 내부에 배기공이 설치된 격벽 천에 의해서 상측 머리 보호부 및 하측 가슴 보호부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보호부의 바닥벽 측면 상에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는 상기 등받침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스 주입구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측면과 하측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과 접촉하는 상기 에어백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으로 부터 상향 반발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8.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에 있어서,
    등받침에 인접한 차량 본체의 측벽 상에 배치되고, 대략 수평한 상측면을 갖는 팔걸이;
    상기 팔걸이로 향하고, 상기 팔걸이보다 위에 위치한 상기 등받침의 측부 내에 배치된 에어백; 및
    충돌시 상기 에어백을 전방 및 상기 팔걸이 위로 전개하도록 상기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은 상기 에어백이 전개될 동안 상기 팔걸이의 상기 상측면을 향하여 팽창하여 상기 팔걸이의 상측면과 접촉하는 바닥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승객 보호장치.
KR1019997004436A 1997-09-19 1998-09-18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KR10035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560497 1997-09-19
JP97-255604 1997-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038A KR20000069038A (ko) 2000-11-25
KR100352659B1 true KR100352659B1 (ko) 2002-09-12

Family

ID=1728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436A KR100352659B1 (ko) 1997-09-19 1998-09-18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06411B1 (ko)
EP (1) EP0940303B1 (ko)
KR (1) KR100352659B1 (ko)
DE (1) DE69838939T2 (ko)
WO (1) WO19990153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74A3 (en) * 2010-11-03 2012-07-26 Autoliv Development Ab Middle side airbag confined between arm-rest and sea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5271B2 (ja) * 1997-09-19 2003-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20030168836A1 (en) * 2002-03-11 2003-09-11 Eiji Sato Side airbag apparatus
IE20030773A1 (en) * 2003-10-17 2005-04-20 Teagasc Agric Food Dev Authori Use of probiotic bacteria in the treatment of infection
DE102004009013B4 (de) * 2004-02-25 2006-03-16 Trw Automotive Gmbh Seitenaufprall-Rückhaltevorrichtung
US20060012155A1 (en) * 2004-07-01 2006-0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ide airbag apparatus and seat containing same
JP4793104B2 (ja) * 2006-06-01 2011-10-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202006010878U1 (de) * 2006-07-11 2006-09-21 Takata-Petri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07036534A1 (de) * 2007-08-02 2009-02-05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gassack und Fahrzeugsitz
JP4600472B2 (ja) * 2007-12-20 2010-12-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098975B2 (ja) * 2008-11-28 2012-12-12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011087449B4 (de) 2011-11-30 2019-04-2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airbag für ein Fahrzeug
US8523220B1 (en) 2012-03-19 2013-09-03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511866B2 (en) 2012-03-19 2016-12-06 Amsafe, Inc.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569890B2 (en) 2014-08-25 2020-02-25 Amsafe, Inc. Airbag assembly for leg flail protect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352839B2 (en) 2014-10-02 2016-05-31 Amsafe, Inc. Active positioning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180830B1 (en) 2014-12-17 2015-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device for armrest of vehicle door
US9944245B2 (en) 2015-03-28 2018-04-17 Amsafe, Inc.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6168124A1 (en) 2015-04-11 2016-10-20 Amsafe, Inc. Active airbag vent system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479U (ko) 1989-08-25 1991-04-15
JPH04135945A (ja) * 1990-09-28 1992-05-11 Ikeda Bussan Co Ltd 乗員保護装置
US5586782A (en) 1995-06-26 1996-12-24 Alliedsignal Inc. Dual pressure side impact air bag
DE19538657A1 (de) * 1995-10-17 1997-04-24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JPH09136598A (ja) 1995-11-16 1997-05-27 Toyota Motor Corp 胸部頭部一体式エアバッグ装置
JP3508343B2 (ja) 1995-11-17 2004-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胸部頭部一体式エアバッグ装置
JPH09202203A (ja) 1996-01-29 1997-08-05 Ikeda Bussan Co Ltd 車両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5913536A (en) * 1996-02-07 1999-06-22 Trw Vehicle Safety System Inc. Air bag module
US5647609A (en) * 1996-08-16 1997-07-15 General Motors Corporation Inflatable restraint cushion
JP3744075B2 (ja) 1996-09-27 2006-02-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JP3805875B2 (ja) * 1997-11-26 2006-08-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574A3 (en) * 2010-11-03 2012-07-26 Autoliv Development Ab Middle side airbag confined between arm-rest and seat
US8985625B2 (en) 2010-11-03 2015-03-24 Autoliv Development Ab Middle side airbag confined between arm-rest and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0303A4 (en) 2005-06-29
EP0940303B1 (en) 2008-01-02
WO1999015374A1 (fr) 1999-04-01
EP0940303A1 (en) 1999-09-08
DE69838939T2 (de) 2008-04-30
DE69838939D1 (de) 2008-02-14
KR20000069038A (ko) 2000-11-25
US6206411B1 (en) 2001-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659B1 (ko) 자동차의 측부 충돌시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US5884937A (en) Air bag device
JPH07108903A (ja) ピラーエアバッグ装置
CN114929528B (zh) 叉状远侧安全气囊组件
WO2008059719A1 (fr) Dispositif de retenue d'un équipier
JPH0538993A (ja) サイドエアバツグの取付構造
JP3935032B2 (ja) 乗員拘束装置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JP3510061B2 (ja) 自動車の乗員保護装置
KR20230174240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3881245B2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H119149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3675191B2 (ja) 自動車の側突時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
JP3501741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配設構造
JP2000190805A (ja)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807185B2 (en) Airbag
KR100512859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JP3843985B2 (ja) 自動車の側突時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
KR0131028B1 (ko) 자동차용 에어백
JP2001097171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搭載車両における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KR100512860B1 (ko)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KR20000012184U (ko) 사이드 에어백의 초기 전개를 위한 차량용 시트
JP3917866B2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KR19990029174U (ko) 후방시트 탑승객용 에어백 장치
KR100711577B1 (ko) 커튼 에어백 전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