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479B1 - 테이프 녹음기 - Google Patents
테이프 녹음기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0479B1 KR0140479B1 KR1019940703700A KR19940073700A KR0140479B1 KR 0140479 B1 KR0140479 B1 KR 0140479B1 KR 1019940703700 A KR1019940703700 A KR 1019940703700A KR 19940073700 A KR19940073700 A KR 19940073700A KR 0140479 B1 KR0140479 B1 KR 01404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
- cassette
- mode
- reel
- cassette tap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380 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0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4000145845 chattering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955 peripheral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ZUFCTLCJUWOSV-UHFFFAOYSA-N furosemide Chemical compound C1=C(Cl)C(S(=O)(=O)N)=CC(C(O)=O)=C1NCC1=CC=CO1 ZZUFCTLCJUWO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6 head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3—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electrically operate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0—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means for supporting the record carrier, e.g. mandrel, turntabl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5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8—Multi-track cams, e.g. for cycles consisting of several revolutions; Cam-followers specially adapted for such cam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기계적인 부분의 간략화, 부품의 삭감, 더 나아가는 기계적 부분의 조립의 효율화 및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테이프 녹음기이다. 이 테이프 녹음기는 1매의 원반상 캠에 설치된 4개의 다른 홈을 각각 이동하는 핀, 이들의 핀의 이동에 연동하는 레버를 가지며, 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릴 레스트로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을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테이프 녹음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이 발명은 테이프 녹음기, 특히 자동차 탑재용 자동왕복형 테이프 녹음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근년, 테이프 녹음기는 다기능화가 발달하는 동시에 이에 따라 장치의 전자화가 진행되고 있다. 제 59도는 일본국 특공평 4-101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테이프 녹음기 장치의 카세트 테이프를 기계적으로 작동시키는 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301은 동작모드 전환 캠, 302는 카세트 테이프의 수평 헤드 베이스 후퇴 캠, 303은 카세트 수직 캠이다. 이들의 캠은 제 6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함으로써 각 캠 홈에 걸어맞춘 핀을 가지는 각 링크(304, 305, 306)가 홈에 따라서 이동하여 각 기구를 동작시켜, 카세트의 반입, 반출, 헤드의 이동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화가 진행되어 다기능의 조작이 요구되어도 실제로 테이프를 구동(빠름감기, 재생등)에는 종래 예로 표시하는 바와 같은 복잡한 기계적 링크가 불가결하며, 장치의 전자화에 따라 이들 기계적 부분의 간략화, 부품의 삭감등이 문제로 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기계적 부분의 조립의 효율화, 장치의 콤팩트화등의 장치제작시의 문제가 주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게된 것으로, 기계적 부분의 간략화, 부품의 삭감, 더 나아가서는 기계적 부분의 조립의 효율화 및 장치의 콤팩트화 등의 장치조립시의 과제해결을 실현하는 테이프 녹음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이 개시]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1매의 원반상 캠에 설치된 4개의 다른 홈과 걸어맞추어, 상기 원판상 캠의 회동에 따라 각각의 홈을 이동하는 핀, 이들의 핀의 이동에 연동하는 레버를 가지고, 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이 레버에 걸어맞추는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을 시키는 부재,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을 시키는 부재,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을 시키는 부재 및 빠른 전진을 하는동안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을 시키는 부재를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1매의 원반상 캠으로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을 하는동안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선택동작을 시킨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의 제 1의 면에 카세트 테이프 반입.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 및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을 하기 위한 제 2의 홈이 설치되고, 제 2의 면에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을 위한 제 3의 홈 및 빠른 전진을 하는 동안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을 위한 제 4의 홈을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1매의 원반상 캠의 양면에 홈에서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반출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을 시킨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반출동작, 헤드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을 원반상 캠의 시점으로부터의 회동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및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모드, 테이프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의 순으로 진행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카세트 테이프의 구동기구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지, 테이프 R방향으로의 재생,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 및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동작을 1매의 원방상 캠의 회동에 의해 진행시킨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의 제 1의 면에 형성된 제 1의 홈과 제 2의 홈 또는 제 2의 면에 형성된 제 3의 홈과 제 4의 홈의 홈폭이 다른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1매의 원반상 캠에 형성된 홈의 홈폭이 다르므로 홈의 걸어맞춘 핀이 틀리게 물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에 형성된 제 1에서 제 4의 홈 이외의 홈에 리브(rib)를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1매의 원반상 캠의 홈의 식별을 명확하게 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이 소정각도회전한 때 테이프의 반입.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싱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중 적어도 3개의 상기동작을 시키는 부재에서 각각의 핀에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홈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4개의 동작중 적어도 3개의 동작을 시키는 부재에서 원반상 캠에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되므로 조립하기 쉽게 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의 제 1에서 제 4의 홈의 끝부분에 각 동작을 시키기 위한 부재에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를 동작종료후에 작동시키도록 오버런(over run)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원반상 캠의 제 1에서 제 4의 홈의 끝부분에 각 동작을 시키기 위한 부재에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는 오버런부에 의해 동작종료후에 작동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 이 원반상 캠의 각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검출스위치, 이 모드 검출스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원반상 캠의 톱니와 같은 톱니 수를 가지는 모드 검출기어, 상기 원반상 캠 및 상기 모드 검출기어의 양쪽에 맞물린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를 동축에 배치한 전달기어를 구비하고 이 전달기어의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의 톱니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한 양 톱니 정검을 동일각도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1매의 원반상 캠 및 모드 검출기어의 양쪽에 맞물리는 전달기어에,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를 동축에 배치함으로써 콤팩트화 할 수 있고 또, 기어의 톱니수를 같게하고 양 톱니 정점을 동일각도로 함으로써 원반상 캠 또는 모드 검출기어가 잘못된 기어와 맞물려도 원활한 동작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테이프 반입.반출동작을 위한 제1의 홈과 걸어맞추는 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 이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탄성체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과 함께, 동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카세트 테이프반입시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이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걸어맞춤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을 모터에 의해 실행 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누르는 검지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검지게버는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때, 상기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의 걸어맞춤이 이탈되고, 상기 스위치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검지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위치의 누름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직접 관련시켜서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소정위치에서 스위치의 반발력에 의해 검지레버를 복귀시켜 다른 모드 때에도 스위치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카세트 테이프의 릴 레스트 장착시에 카세트 테이프의 측면과 검지레버가 걸어맞춤으로써 스위치가 눌려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검지레버가 카세트 테이프의 종류 판별에 사용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테이프 반입.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 맞추는 핀을 구비한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 이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탄성체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과 함께 동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거리를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거리보다 짧게 함으로써 이동종단에 있어서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탄성체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1매의 원반상 캠을 사용하여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종단에서 스라이드 플레이트 상호간에 작동력을 작용시켜 안정된 동작을 시킨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테이프 반입.반출 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 맞추는 제 1의 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스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스라이더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홀더내의 카세트 테이프를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에 제 2의 핀을 걸어맞춤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릴 레스트로부터 이탈 또는 장착시키는 홀더 암,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볼록부에 그 환상부가 배치되어 이 환상부로부터 뻗는 한쪽이 상기 가이드 구멍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 1의 잘라 이르킨 부분(cut raise portion)이 걸어맞추는 동시에 다른쪽이 상기 일단을 제 1의 잘라이르킨 부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동하도록 제 2의 잘라 이르킨 부분과 걸어맞추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스라이더의 이동의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핀이 상기 가이드 구멍의 연장선상에 배치된 탄성체의 한쪽과 걸어맞추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1매의 원반상 캠을 사용하여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홀더 암과의 걸어맞춤부의 일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릴 대, 이 릴 대에 배설된 마찰부재, 이 마찰부재와 접촉하여, 이 마찰부재를 통하여 구동력을 상기 릴 대에 전달하는 슬립기어, 이 슬립기어를 마찰부재를 누르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체, 이 탄성체의 마찰부재를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에 누르는 힘을 표시하는 마크를 부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릴 대, 마찰부재 및 슬립기어를 조립한 후에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릴 레스트, 모드 검출스위치 및 이 릴 레스트와 모드 검출스위치로 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를 하나의 베이스 상에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릴 레스트, 모드 검출스위치 및 이 릴 레스트와 모드 검출스위치로부터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를 1개의 베이스 위에 배치하고 장치가 콤팩트화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가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기판위에 부착한 것이며, 베이스에 상기 기판을 부착할 때 베이스에 설치된 기판부착부 주위에서 상기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배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린트 상의 배선회로를 기판부착부 주위에서 배제하고, 조작성 및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릴 레스트가 배치된 릴 베이스, 이 릴 베이스를 부착하는 메인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릴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릴 레스트의 카세트 테이프의 되감기부(Rewind portion)을 관통시키는 구멍부와 이 구멍부의 주위에 상기 릴 레스트를 구동시키는 기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중공부(中空部)(hollow portion)를 상기 메인 베이스에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메인 베이스에 릴 레스트의 기어부를 보호하는 중공부를 설치하고 장치를 콤팩트하게 하여 릴 레스트에 먼지등이 들어가기 어렵게 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릴 레스트 또는 모드 검출스위치로 부터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가지는 릴 베이스, 이 릴 베이스를 부착하는 메인 베이스, 이 메인 베이스의 릴 베이스의 부착면에 배치되고, 플라이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가지며, 상기 릴 베이스로 부터 상기 메인 베이스 방향으로 인출되는 상기 프린트상의 배선회로의 일부가 상기 벨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릴 베이스의 일부에 가이드 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릴 베이스로 부터 메인 베이스로 인출되는 프린트상 배선회로가 플라이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부를 설치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가이드부 위에 카세트 테이프의 판별을 하기 위한 스위치를 배치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이드 부위에 스위치를 배치하여 스페이스의 절약을 도모하고 장치가 콤팩트하게 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헤드가 부착된 헤드 베이스, 이 헤드 베이스에 배치된 탄성체, 원반상 캠에 형성된 헤드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홈에 일단이 걸어맞춰지고, 타단이 상기 헤드 베이스와 직접 또는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걸어맞추는 레버를 가지며, 카세트 반입 또는 반출시에는 상기 레버의 타단이 직접 헤드 베이스와 걸어맞춰져서 이것을 누름으로써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로 부터 헤드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헤드 베이스를 작동시켜 테이프 재싱시에는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헤드 베이스를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 누르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헤드 베이스가 탄성체를 통하여 구동되는 동시에 헤드 베이스는 상시 탄성력으로 작동되므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카세트 테이프 반입 또는 반출시에는 레버의 타단이 직접 헤드 베이스와 걸어맞춰서 이것을 누르는 동시에 탄성체는 상기 레버의 타단과 걸어맞춰서 상기 누름방향과 역방향으로 누르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 반입 또는 반출시에 헤드 베이스가 이것과 직접 걸어맞추는 레버의 타단에 의해 눌러지는 동시에 탄성체는 상기 레버의 타단과 걸어맞춰서 상기 누름 방향과 역방향으로 눌려진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싱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을 원반상 캠의 시점으로부터의 회동에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및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 빠른 전진모드,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의 순으로 동작시키는 동시에, 테이프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서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가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서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보다도 긴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서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가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서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보다도 길고, 로딩할 때 생기는 카세트 테이프와 헤드와의 충돌을 회피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원반상 캠에 형성된 테이프의 빠른 전진을 위한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의 구동력 전달의 선택동작을 위한 홈과 일단에서 걸어맞추고, 타단에 플라이 휠과 맞물림이 가능한 기어 아이들러를 가지는 레버에 두께 제거부(thickness removed portion)를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단에서 원반상 캠의 홈과 걸어맞추고 타단이 플라이 휠과 맞물림이 가능한 기어 아이들러를 가지는 레버에 두께 제거부를 설치하여, 플라이휠과 기어 아이들러의 무리한 맞물림으로 부터 레버를 보호하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 이 발명에 관계된 테이프 녹음기는,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카세트 홀더, 이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를 삽입시할 때에는 상기 카세트 홀더와 동일평면상에 있고, 상기 카세트 테이프가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에 장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상기 카세트 홀더와의 접속부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홀더 암을 구비하고, 이 홀더 암과 카세트 홀더가 상기 동일평면상에 있는 방향으로 탄성부재로 작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홀더 암과 카세트 홀더가 동일평면상에 있는 방향으로 탄성부재로 작동시켜 카세트 테이프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장치 장착전의 이탈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조립도.
제3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조립도.
제4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사이드 베이스 유닛(side base unit)의 조립도.
제5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카세트 홀더 주변의 조립도.
제6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조립도.
제7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재생시 주행방향 전환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
제8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조립도.
제9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조립도.
제10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릴 레스트(rell rest)주변기구의 조립도.
제11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릴 레스트의 조립도.
제12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스토퍼의 설명도.
제13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릴 레스트의 측면도.
제14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FPC 평면도.
제15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FPC의 훅(hook)의 확대도.
제16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파워 모터 부착을 위한 조립도.
제17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제 1면의 평면도.
제18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제 2면의 평면도.
제19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의 변이를 표시하는 변이도.
제20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1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2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3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4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5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6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7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8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29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0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1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2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3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재생시 주행방향 전환기구의 일부측면도.
제34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5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6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7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8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39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0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1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2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3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4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5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6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7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8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49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캠 기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0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EJ모드로 부터 PL모드의 일련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51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모드변이를 표시하는 도면.
제52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스프링장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3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스프링장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4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스프링장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5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홀더 암(Holder arm)의 장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6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실시예의 스프링장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7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다른 실시예의 테이프 녹음기의 평면도.
제58도는 이 발명에 관계된 다른 실시예의 스라이더의 부분을 표시하는 도면.
제59도는 종래의 테이프 녹음기의 캠 장치의 단면도.
제60도는 종래의 테이프 녹음기의 캠 장치의 동작설명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이 발명의 테이프 녹음기의 실시예를 도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녹음기의 전체도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 테이프 녹음기는 각각의 기구로 부터 크게 6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 1은 카세트 반입 반출기구, 제 2는 재생시의 주행방향 전환기구, 제 3은 헤드의 구동기구, 제 4는 릴 레스트 및 기계적 동작을 제어하는 캠 기어를 구비한 릴 레스트 주변기구, 제 5는 릴 레스트 구동력 전달기구, 제 6은 파워 모터 주변기구이다. 이하 순서대로 각 기구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세트 반입 및 반출기구]
카세트 반입 및 반출기구는 제 2도 및 제 3도에 표시된 메인 베이스(1)에 부착된 사이드 베이스 유닛(2), 브래킷(3)과 카세트 홀더(44) 및 홀더 암(46)으로 구성된다.
[사이드 베이스 유닛(2)]
사이드 베이스 유닛(2)는 제 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메인 베이스(1)위에서 헤드(4)가 존재하는 측과 대향하는 메인 모터(5)측에 부착되고 그 구성은 제 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베이스(6)에 설치된 핀(7), 잘라일으킨 부분(8) 및 (9)를 스라이드 플레이트(10)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11),(12) 및 (13)에 기울여서 삽입하고, 도면중 화살표 A 또는 E 방향으로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을 스라이드 가능하게 한다.
이 때 핀(7)을 잘라일으킨 부분(8),(9)와 수직인 평면상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라이드 플레이트(10)가 사이드 베이스(6)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므로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의 스라이드 할 때의 채터링(chattering)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기울여서 삽입함으로써 통상의 스라이드 동작에서 스라이드 플레이트(10)가 사이드베이스(6)으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고 따라서 체결부품이 불필요하다.
또, 이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잘라일으킨 부분(14),(15) 및 (16)을 스라이드 플레이트(17)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18), 잘라일으킨 부분(19) 및 가이드 구멍(20)에 삽입하고 동일하게 도면중 화살표 A 또는 E 방향으로 스라이드 플레이트(17)을 스라이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술한 수순으로 사이드 베이스(6), 스라이드 플레이트(10) 및 스라이드 플레이트(17)을 조립한 후 스프링(21)의 일단을 스라이드 플레이트(10) 및 잘라일으킨 부분(22)와 스라이드 플레이트(17)의 잘라일으킨 부분(23)에, 타단을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의 잘라 일으킨 부분(24)와 스라이드 플레이트(17)의 잘라일으킨 부분(25)에 각각 걸어서 스프링(21)의 체결력에 의해 스라이드 플레이트(10), 스라이드 플레이트(17)가 일체로 되고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스라이드 플레이트(10),(17)가 삽입시의 위치까지 스라이드 할 수 없으므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2개의 스라이드 플레이트(10),(17)을 사이드 베이스(6)에 부착하고 있기 때문에 리테이닝 링(retaining ring)등의 체결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의 잘라일으킨 부분(10a)에 스프링(27)의 환상부를 삽입하고(제 52도 참조) 다음에 조립중에서의 스프링(27)을 가체결상태로 하여 한쪽의 스프링의 암(arm)부(27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리고 휘게하면서 스라이드 플레이트(10)에 설치된 접어구부린 부분(29)을 타고 넘도록 한다. 스프링(27)의 시계 방향에 따라 다른쪽의 스프링의 암부(27a)는 잘라일으킨 부분(28)의 홈부(28a)로 들어가고 스프링(27)의 잘라일으킨 부분(10a)의 삽입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는 빠지지않게 된다(제 53도 참조), 이 스프링(27)가 가체결 상태일 때, 스프링(27)은 반시계방향에는 스프링의 암부(27b)가 접어구부린 부분(29)과, 시계방향에는 스프링(27a)이 잘라일으킨 부분(28)과 맞닿는 범위에서 잘라일으킨 부분(10a)를 축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다. 이 스프링(27)의 가체결 상태의 효과에 대하여는 후술의 카세트 홀더(4) 및 홀더 암(46)을 설명할 때 설명한다.
그리고, 조립후는 잘라일으킨 부분(28)과 잘라일으킨 부분(14)에 스프링(27)의 암부(27a),(27b)를 걸어 맞춘다. 따라서 도면의 화살표 B방향으로 스프링(27)의 암부(27a),(27b)가 잘라일으킨 부분(28),(14)를 작동하고 있다(제 54도 참조). 이 효과에 대하여는 후술의 카세트 반입, 반출동작을 설명할 때 설명한다.
스라이드 플레이트(17)에는 메인베이스의 뒷부분에 부착된 캠 기어(30)(제 9도 참조)의 제 1의 홈(139)(제 17도 참조)와 걸어맞추기 위한 핀(31)이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베이스 유닛(2)은 메인 베이스(1)에 나사조임되지만, 이 나사조임 때의 위치결정을 하기 위하여 제 2도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1)의 양측부에, 삽입방향으로 좁게되는 경사부와 그 저부 부근에 삽입방향과 평행인 부분을 가지는 홈부(32a),(32b)가 설치되어, 여기에 사이드 베이스(6)을 가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제 55도 참조).
또, 제 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베이스(6)에 카세트 삽입방향의 수직 및 평행방향의 카세트 홀더(44)측에 볼록부(6a)를 설치하여 이 볼록부(6a)가 규제부로 되어 카세트 홀더(44)가 카세트 삽입방향에 대하여 좌방향으로 크게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브래킷(3)]
브래킷(3)은 제 3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베이스(1)의 헤드(4)의 부착측에서 헤드(4)의 상부에 위치하고 핀치 암(33a),(33b)의 회동축단(34a),(34b)에 나사조임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핀치 암(33a),(33b)이 브래킷(3)측으로 위치이탈을 하여도 브래킷(3)의 부착위치 이상으로 핀치 암은 위치이탈을 하는 일이 없다. 이 나사 조임 때의 위치를 고정하는데는 메인 베이스(1)의 측부에 메인 베이스(1)로부터 위쪽으로 벋은 프린트 기판 부착용 부분(35)에 설치된 블록부(36)을 브래킷(3)의 구멍부(37)에 어느정도 여유를 가지고 삽입하는 동시에 브래킷(3)에 형성된 볼록부(38)을 프린트 기판부착용 부분(35)에 설치된 오목부에 끼워넣고 있다.
브래킷(3)위에는 프린트 기판 또는 디지털 콤팩트 카세트(이하 DCC라 칭함)삽입시 헤드(4)를 180도 회전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이 구동기구를 부착한다. DCD 대응의 테이프 녹음기의 구성에 대하여는 다른 실시예에서 기술한다. 브래킷(3)의 헤드(4)상부에는 헤드(4)의 출력을 전달하기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라 칭함)(39)와 프린트 기판을 최단거리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구멍부(40)을 설치하고 있으며, FPC(39)가 구멍부(40) 끝부분과 접촉하여도 다치지 않도록 접어구부른 부분(4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접어 구부린 부분(42),(43)에 카세트 홀더(44)가 맞닿서 카세트 반출시의 케세트 홀더(44)의 상승량을 규제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배출위치를 정확하게 하는 동시에(테이프 녹음기를 가지고 나를 때) 카세트 홀더(44)가 직접 잡혀진 경우에도 여분의 상승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 접어구부린 부분(45)에 의해 홀더 암(46)이 프린트 기판 부착용 부분(35)에 설치된 홀더 암 부착구멍(47)로 부터 빠져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카세트 홀더(44)는 홀더 암(46)과 2점 X,Y 및 블록부(48)(제 5도 참조)에서 걸어 맞춰있을 뿐이며, 카세트 반입, 반출시에 좌우로 채터링분 만큼 위치를 이탈하는 일이 있다. 이때 브래킷(3)에 설치된 볼록부(49),(50)가 규제부로 되어 카세트 삽입방향에 대하여 카세트 홀더(44)가 우방향으로 크게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브래킷(3)의 후방에 접어구부린 부분(3a)를 설치하여 헤드 베이스(74)의 접어구부린 부분(74a)와 맞닿도록 구성하고, 이것으로서 장치 낙하충격 등에 의한 헤드 베이스(74)의 Q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제 33도 참조).
[카세트 홀더(44) 및 홀더 암(46)]
카세트 홀더(44) 와 홀더 암(46)은 제 5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2점 X,Y 볼록부(48)에서 걸어 맞추고 있는 이외의 나사조임 등은 되어 있지 않다.
홀더 암(46)의 구멍부(51)에는 스라이더(52)가 걸어맞추고 있으며, 구멍부(51)가 가이드로서 스라이드 한다. 이때 구멍부(51)주위에 판금의 버르(burr)를 피하기 위하여 스라이더(52)는 구멍부 주위의 판금과 닿는 부분의 각부의 두꺼운 부분을 제거하고 있다. 이 스라이더(52)는 이젝터(53)(제 3도 참조)의 구멍부(54)와 걸어맞춘 볼록부(55)를 가지며, 이젝터(53)의 회동의 중심은 핀(7)(제 4도 참조)으로 한다.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의 동작에 연동하여 이젝터(53)이 회동하도록 스라이드 플레이트(100에 설치된 볼록부(56)와 이젝터(53)의 구멍부(57)가 걸어맞춘다. 홀더 암(46)의 축부에는 브래킷(3)의 사이드 베이스(6)에 설치된 구멍부(58)에 삽입되는 핀(59)을 구비하고, 이 핀(59)은 카세트 테이프 삽입위치에서는 그 하부가 스프링(27) 위에 있으며, 이 스프링 힘에 의해 홀더 암(46)을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3)의 접어구부린 부분(42),(43) 및 사이드 베이스(6)의 접어구부린 부분(6c)에 의해 카세트 홀더(44)의 단상부(60)가 눌려있으므로 필요이상으로 상승하는 일이 없다.
단상부(60)를 누르는 것은 DOC를 사용할 때의 카세트 홀더가 단부(61)의 위치가 틀리는 데도 불구하로 스토퍼로서 접어구부린 부분(42),(43) 및 (6c)를 공용하기 때문이다. 홀더 암(46)을 사이드 베이스(6), 메인 베이스(1)에 회동가능하게 부착할 때의 작업성의 개선으로서, 홀더 암(46)에 설치된 핀(59),(62),(63)의 높이를 핀(59)핀(62)핀(63)의 순으로 높게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조립할 때 핀이 순서대로 삽입되고, 동시에 2개의 핀이 삽입되는 일이 없다.
또 제 5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베이스(6)에 접어 구부린 부분(66)을 설치하여 핀 삽입시에 이 접어구부린 부분(66)의 상단면에 홀더 암(46)의 노치부분을 안내하여 이것을 지지함으로써 홀더 암(46)에 사이드 베이스(6)를 넣기 쉽게하고 있다.
또, 핀(59)를 슬라이드 플레이트(10)에 삽입할 때, 스프링(27)을 상술한 가체결상태로 함으로써 핀(59)은 스프링의 암부(27a)에 의해 작동력을 받지 않고 스므즈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 카세트 배출위치에 있는 카세트 홀더(44)가 단상부(60)에 눌려서 변형하고 카세트 홀더(44)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상부(60)가 눌려진 경우 카세트 홀더(44)와 조합한 홀더 암(46)에 힘이 전달되어 핀(62),(63)을 회전축으로 하여 카세트 장착방향으로 회전하고 홀더 암의 측면의 핀(59)은 스프링(27)을 암부(27a)의 작동력에 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휘게하여 단상부(60)을 누른 힘을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제 56도 참조).
[재생시 주행방향 전환기구]
제 6도는 재생시 주행방향 전환기구의 조립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레버(64)는 끝부분에 캠기어(30)(제 9도 참조)의 제 2의 홈(140)(제 17도 참조)과 걸어맞추는 핀(65)를 가지고 있으며, 캠기어(30)의 동작에 의해 축(6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레버(64)의 다른 끝부분에는 구멍부(67)와 클로(claw)부(68)가 설치되어 있으며, 크로부(68)은 메인 베이스(1)에 설치된 구멍부(69)와 걸어맞추고, 레버(64)가 플로트 하는 것을 방지한다. 레버(64)는 클로부(68)을 메인 베이스(1)의아래9쪽에 걸어맞추게하여(제 9도 참조) 핀(65)측은 헤드 베이스(74)에서 위로부터 누름으로써 상하방향의 채터링과 이탈을 방지한다.
구멍부(67)가 전환암(70)에 설치된 볼록부(71)가 걸어맞춰서 이 전환암(70)은 레버(64)의 회동에 연동하여 볼록부(72)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또, 볼록부에는 헤드 베이스 구멍(75d)(제 25도 참조)에 걸어맞추고 헤드 베이스(75)의 동작에 연동한다.
이 전환암(70)에 설치된 클로부(73a),(73b)는 헤드 베이스(74)의 구멍부(75a),(75b)에 삽입된 후 이 클로부(73a),(73b)와 스프링(76)이 (77a),(77b)의 부분에서 걸어맞추고 스프링(76)의 회동지점(77c)은 헤드 베이스 노치부분(75c)에 삽입되며, 스프링(76)은 헤드 베이스 노치부분(75c), 클로부(73a),(73b)의 3점에서 가압 걸어맞춰진다. 따라서 헤드 베이스(74)와 메인베이스(1)사이에 위치하는 전환암(70)은 도면의 화살표 L의 방향으로 기울고 헤드 베이스(74)를 밀어올려 헤드 베이스(74)의 채터링을 막도록 되어 있다(제 33도 참조). 또 제 7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스프링(76)의 끝부분(78a),(78b)에서 핀치암(33a),(33b)는 축(80a),(80b)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핀(81a),(81b)를 중심으로 핀치 롤러(82a),(82b)가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핀(81a),(81b)의 끝부분이 기어암(83a),(83b)의 구멍부(84a),(84b)와 걸어맞춘다.
기어암(83a),(83b)에는 플라이 휠의 회전력을 릴 레스트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아이들러(840a),(840b)에(제 8도 참조)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술한 1련의 링크기구에 의해 캠 기어(30)의 동작에 연동하여 핀치 롤러(82a), 기어 아이들러(840a) 또는 피치 롤러(82b), 기어 아이들러(840b)의 어떤쪽인가의 조합이 선택된다. 이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후술한다.
제 7도에 있어서 헤드 베이스(74)가 이동할 때의 부하를 적게하기 위하여 스프링(76)은 핀치암(33a),(33b)을 캡스턴(capstam)(85a)(85b)에 압착시킬 때 이외는 핀치암(33a),(33b)은 힘을 가하지 않는다. 이 때문체 핀치암(33a),(33b)는 캡스턴(85a)(85b)에 압착하고 있을 때 이외에 채터링이 생기는 것으로 되지만, 기어 암(83a),(83b)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8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작동된 기어 암(83a)의 구멍부(84a)가 핀(81a)과 걸어맞춰 핀치암(33a)을 가압하고 또 반시계방향으로 작동된 기어암(83b)의 구멍부(84b)가 핀(81b)과 걸어맞춰서 핀치암(33b)를 가압하므로 채터링이 생기지 않는 구조로 되어있다.
[헤드 구동기구]
헤드 구동기구의 구조를 제6도 및 제 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캠기어(30)의 제 3의 홈(141)(제 18도에 참조)에 구동레버(87)의 끝부분에 설치된 블록부(88)를 걸어맞춘다. 이 구동레버(87)의 또 한쪽의 끝부분에는 클로부(8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클로부(89)는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시에는 헤드 베이스(74)의 구멍 끝부분(74a)와 걸어맞추고, 제 6도 화살표 C방향, 즉 헤드(4)를 장착한 카세트 테이프로 부터 멀리하는 방향으로 헤드 베이스(74)를 작동한다.
스프링(90)은 환상부(90d)가 헤드 베이스의 접어구부린 부분(74d)과, 또 스프링 선단(90c)는 헤드 베이스의 접어구부린 부분(74d)에 걸어 붙쳐져 있다. 또 재생시에는 클로부(89)가 스프링(90a)부를 직접 가압함으로써 스프링(90)을 통하여 헤드 베이스(74)를 제 6도 화살표 D방향, 즉 헤드(4)를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로 누르는 방향으로 헤드 베이스(74)를 작동한다. 스프링(90)은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시에는 스프링끝(90b)를 메인 베이스(1)의 클로부(91)과 걸어맞춤으로써 헤드 베이스(74)를 클로부(89)가 누르고 있는 방향과는 역방향(제 6도 화살표 D방향)으로 누르고 있다.
헤드 베이스(74)는 포스트(post)(80a),(80b)(1000)의 각각의 노치(notch)부(80c),(80d)(1001)에 의해 상하규제를 받고, 또 메인 베이스(1)상의 잘라일으킨 부분(92)에서 아래방향규제, (92a)하부에서 위방향규제를 받아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메인 베이스(1)에 직접 배치되고 헤드 베이스(74)와 메인 베이스(1)사이에 위치하는 전환암(70)이나 검지레버(148), 레버(64), 기어암(83a),(83b)의 회동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릴 레스트 주변기구]
제 10도는 릴 레스트 및 그 주변부를 표시하는 조립도이다.
릴 레스트의 하부(93a),(93b)는 제 11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릴 대(94)의 환상부에 펄트(Felt)(95)를 배치하고, 그 위로부터 슬립기어(96), 스프링(97)을 릴 대(94)의 축부에 순서대로 삽입하며, 스토퍼(98)에 설치된 노치부(99)(제 12도 참조)에 릴 대(94)에 설치된 볼록부(100)을 끼워 넣은 후 스토퍼(98)을 회전시켜서 볼록부(100)를 높이가 다른 홈부(101),(102),(103)중의 어느것과 걸어맞춤으로써 스프링(97)이 슬립기어(96)을 누르는 힘을 바꾸어 토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스토퍼(98)에는 제 1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높이가 다른 것이 한눈에 알 수 있도록 가장 높이가 높은 홈부를 표시하는 부분에 마크(104)를 붙이고 있다. 또, 슬립기어(96)와 릴 대 (94)는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이 2개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그리스 등의 윤활재를 도포한다.
종래는 슬립기어(96)와 릴 대 (94)의 접촉하는 부분에 직접 그리스를 도포하여 조립하고 있었으나, 조립할 때 도포된 그리스가 슬립기어(96)의 이면으로 흘러 들어가 펠트(95)와 슬립기어(96)사이에 들어가는 일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완성된 릴 레스트의 토크변동이 생기는 지장이 있었으므로 제 1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슬립기어(96)에 테이퍼(taper)부(105)를 설치하여 조립수에 이 테이퍼부(105)에 그리스를 도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릴 레스트 하부(93a),(93b)를 릴 베이스(106)의 축(107a),(107b)에 삽입하고 코일스프링(108a),(108b), 릴 키(109a),(109b)를 이어서 삽입한 후 와샤(110a),(110b)로 고정시켜서 릴 레스트를 구성하고 있다. 릴 베이스(106)에는 이밖에 캠 기어(30)의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검출스위치(111)과 이 모드 검출스위치(111)로 검출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FPC(112)가 부착되어 있다. 또 FPC(112)에는 보강판(112a)이 이면으로 부터 붙여져 있다. 또 이 FPC(112)에는 제 14도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 반입, 반출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113), 릴 대 (94)의 회전검출을 하는 센서(114)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들의 검출신호도 보강판 위의 FPC에 의해 전달된다.
이 FPC(112)에는 모드 검출 스위치(111), 스위치(113) 및 센서(114)의 종합적인 검사를 일괄하여 할 수 있도록 커넥터부와는 별도로 FPC(112), 릴 레스트 하부(93a),(93b), 모드 검출스위치(111)를 릴 베이스(106)에 조립한 후에 위 방향으로 부터 직접 접속할 수 있는 부분에 시험장소를 설치하여 점검하기 쉬운 구조로 하고 있다.
FPC(112)를 릴 베이스(106)에 부착시키는데는 제 15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릴 베이스(106)으로부터 잘라일으키고, 한 끝부분을 릴 베이스로 부터 떼어 접어구부린 블록부(115)를 설치하며, 그 한 끝부분을 다시 구부려 보강한 누름부(116)을 성형하였다. 보강판(112a)의 구멍부를 볼록부(115)에 삽입하고 보강판(112a)를 가압 삽입한 때에 이 보강판 누름부(116)에서 보강판(112a)를 눌러내리는 것이다. 이 때, 이 보강판 누름부(116)에서 보강판 FPC가 말아롤려져서 FPC의 신뢰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보강판 누름부(116) 주위의 FPC를 보강판(112a)로 부터 제거하고 있다.
릴 베이스(106)은 릴 레스트 및 FPC(112) 및 모드 검출스위치(111)을 부착한 후 메인 베이스(1)의 이면에서 나사조임 되어 있다. 메인 베이스(1)에는 릴 레스트부를 표면에 노출하기 위한 구멍부(116)(제 6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부(116)는 릴 베이스(106)을 부착한 때에는, 장치자체의 높이 방향의 제한으로부터 슬립기어(96)의 톱니부까지의 직경보다도 구멍부(116)의 직경이 작은 경우 메인 베이스에 이 톱니부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접촉하지 않도록 슬립기어(96)의 톱니부까지 노출시키도록 직경의 구멍부를 성형한 경우, 이대로의 상태에서 테이프를 동작시키면 이 톱니부에 먼지등을 말려들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는 메인 베이스(1)의 앞쪽으로 부터 기어주위에 커버판금을 부착하던가 메인베이스(1)를 직접 접어구부려서 커버상으로 하는 등의 구조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커버판금을 부착하면 이에따라 판금, 부착나사등의 부품이 필요하며 메인 베이스(1)를 릴 레스트 부착부분에서 접어 구부리는 것은 메인 베이스에 무리한 힘을 거는 것으로 되고 접어구부린 후 메인 베이스(1)자체가 휘는등의 문제가 있다.
이때문에 구멍부(106) 주위를 반 비워둔 부분(117)로 함으로써, 슬립기어(96)의 톱니부로 부터 메인 베이스(1)를 빼낸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제 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릴 베이스(106)을 메인 베이스(1)에 부착한 때에 FPC의 보강판(112a)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은부분(118)이 2개의 베이스사이에 끼어 FPC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릴 베이스(106)에 단부(119)를 설치하고 있다. 이것으로서 제 8도에서 표시하는 단부(119)의 상부를 통하는 메인 모터(5)로 부터 플라이 휠(12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112)에 FPC 부분(118)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단부(119)에는 DCC와 카세트 테이프의 판별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테이프의 빠른 전진을 위한 릴 레스트 구동력 전달기구]
제 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1)의 이면에 캠 기어(30)의 제 4의 홈(142)(제 18도 참조)와 걸어맞추는 볼록부(123)를 끝부분에 배치한 전환 암(124)이 핀(125)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전환 암(124)의 다른 쪽의 끝부분에는 아이들러 기어(126)가 회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이 아이들러 기어(126)은 테이프의 빠른 전진때에 캠 기어(300의 동작에 의해 플라이 휠(121)의 회전력을 릴 레스트에 전달하기 위한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전환 암(124)에는 두께 제거부(127)를 설치하여, 플라이 휠(121) 및 릴 레스트의 기어의 톱니끝이 닿는 경우에 생기는 암의 변형이나 기어 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파워 모터 주변기구]
제 16도는 캠 기어(30)을 회전시키는 파워 모터(120)주변부를 표시한 조립도이다. 파워 모터 부착대(128)은 아연도 강판이며, 납땜이 붙기 어려우므로 리드선을 구부림부(129)에 납땜할 때, 구부림부(129)를 형성할 때의 프레스 가공시에 강하게 닦아 표면의 도금을 제거하고 있다. 또 기어(130)을 모터 회전축에 압입하기 쉽게하기 위하여 기어 선단부의 측면에 구멍을 뚫어 공기가 빠져나가는 구멍을 부착시키나 기어장착시에 구부림부(128a)와 걸어맞춰서 스러스트(thrust)힘을 받는 선단의 매끄러운 볼록부(131)은 남기고 있다. 또 제 2도에 부착대(128)을 메인 베이스(1)에 부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초에 구멍부(134)에 핀(135)이 삽입되고 다음에 볼록부(132)가 구멍부(133)에 삽입되며 그 후에 핀(136)과 (137)이 부착대 뒷부분에 설치된 구멍과 걸어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삽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각 기구의 동작설명]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이프 녹음기의 각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캠 기어(30)의 홈에 대응한 동작마다 각 모드의 상태에서 설명한다.
이 [캠 기어(30)의 홈에 대응한 동작] 및 [각 모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캠 기어(30)에 대한 설명을 한다.
캠 기어(30)은 제 17도, 제 18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표리 양면에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 홈은 핀의 직경에 따라 폭을 달리하고 있고, 핀이 홈으로 잘못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캠 기어(30)를 성형할 때 생기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캠 전체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홈 이외에도 많은 두께제거 홈을 설치하고 있으나, 조립시 이 홈에 핀이 들어가지 않도록 기어의 법선방향에 리브(rib)(138)을 세워 홈과 두게제거 홈과의 판별을 용이하게 하였다.
각 홈에 있어서 제 1의 홈(139)이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을, 제 2의 홈(140)이 재생시의 주행방향 전환동작을, 제 3의 홈(141)이 헤드의 구동동작을, 제 4의 홈(142)가 빠른 전진때의 릴 레스트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고 있다. 제 25도에 표시되어 있는 각 화살방향을 각각 테이프 주행의 L방향, R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캠기어(30)은 파워 모터(120)의 구동력을 제 2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기어(143), 기어(144), 기어(145)를 통하여 전달하고 제 19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시점으로부터의 회전각에서 회전각이 적은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EJECT모드(이하 EJ모드), STOP모드(이하 STP모드), 빠른 전진 L방향모드(이하 FL모드), 임의접근 바른 전진 L방향모드(이하 AL모드), R-PLAY모드(이하 RP모드), L-PLAY모드(이하 LP모드), 임의접근 빠른 전진 R방향모드(이하 AR모드) 및 빠른 전진 R방향모드(이하 ㄹㄲ 모드)의 8개의 모드로 상기 4개의 동작이 원활하게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캠 기어 1매 이므로, 모드를 건너뛰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FL모드에서 FR모드로 이행할 때에는 그 도중의 모드인 AL모드, RP모드, LP모드, AR모드의 각 모드를 순간적으로 통과하지 않으면 목표의 모드에 도달할 수 없다. EJ모드에서 STP모드로 이행하는 사이에 상기 4개의 어느동작에도 부하가 걸리지 않는 조립전용모드를 설정하여 조립시는 이 모드에 기어를 위치시켜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 조립모드에서는 캠 기어(30)의 리부(138a)가 메인 베이스의 구멍(1a)(제 2도 참조)과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 제 2의 홈(140)은 제 1의 홈(139)보다 홈 폭이 좁기 대문에 사이드 베이스 유닛(2)을 부착할 때, 핀(31)이 제 1의 홈(139)이외의 부분에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캠 기어의 톱니수를 검출스위치(111)에 설치되어 있는 모드 검출기어(111a)의 톱니수와 같게 함으로써 기어맞춤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 캠기어(30)와 모드 검출기어(111a)의 모듈은 모드 검출기어(111a)의 모듈쪽을 작게함으로써 모드 검출기어(111a)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캠기어(30)와 모드 검출기어(111a)에 함께 톱니맞춤하는 기어(145)에 있어서 캠 기어(30)에 톱니맞춤하는 중기어(145a), 모드 검출기어(111a)에 톱니맞춤하는 소기어(145b)의 톱니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한 양 톱니 정검을 동일각도록 함으로써 중기어(145a), 소기어(145b)의 모듈이 바뀌고, 각각의 다른 모듈의 기어가 맞물려도 지장없이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캠 기어(30)의 메인 베이스(1)에 대한 초기상태의 위치경정은 캠 기어(30), 메인 베이스(1) 및 릴 베이스(106)의 공통위치에 구멍이 뚫려있으며, 이들의 구멍에 핀을 통하는 등으로 시행한다.
또, 모드 검출기어의 초기상태의 위치결정도 모드 검출기어와 릴 베이스의 공통 위치에 구멍(모드 검출기어에는 오목부라도 된다)이 뚫려있으며, 이것에 핀을 통하는 등 하여 시행하고, 그 후 기어(145)를 캠 기어(30)와 모드 검출기어(111a)의 위치 편차가 방지되도록 삽입한다.
[카세트 테이프 반입, 반출동작]
제 20도로 부터 제 24도는 캠 기어(30)의 회전에 의해 스라이드 레이트(17)에 설치된 핀(31)이 캠 기어의 제 1의 홈(139)에 따라서 이동하여가는 모양을 각 모드마다에 표시하는 동시에, 이 핀의 이동에 의해 사이드 베이스 유닛(2) 및 카세트 홀더(44)가 어떻게 동작하는가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각 모드마다에 설명한다.
-EJ모드 (제 20도)
카세트 테이프를 테이프 녹음기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표시한다.
핀(31)은 제 1의 홈(139)의 위치(139a)에 위치하고 있다.
홀더 암(46)측부에 설치된 사이드 베이스 구멍부(58)를 통하는 핀(59)은 스프링(27)의 암부(27a)위에 있으며, 홀더 암(46)을 장치의 위 방향으로 작동시키고 있다.
또 EJ모드에서는 스라이더(52)의 스토퍼부(52a)가 홀더 암(46)의 긴구멍의 일단(51a)에서 맞닿고 있으며, 이젝터(53)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고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은 볼록부(56)가 이젝터(53)의 구멍(57)에 맞닿아 있으므로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스라이드 플레이트(17)은 스프링(21)을 늘려서 약간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21)의 탄성력은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의 잘라일으킨 부분(24)에 걸려 볼록부956)로 부터 이젝터(53)을 통하여 스라이더(52)에 전달되어 암(46)의 긴 구멍(51)의 일단(51a)을 강하게 누르는 작동력을 준다.
- 카세트 이 삽입시로 부터 스위치(113)이 ON할때까지(제 20도, 제 21도).
카세트 이를 카세트 홀더(44)에 삽입하면 카세트 이 의 감아올리는 구멍과 스라이더(52)의 클로부(146)(제 5도 참조)가 걸어맞추어(제 20도 참조)다시 카세트 이 를 밀어 넣으면 스라이더(52)가 구멍부(51)의 가이드를 따라서 밀어 넣어진다. 이 스라이더(52)의 동작에 연동하여 스라이더(52)의 볼록부(55)가 이젝터(53)의 가이드 구멍(54)을 통하여 이젝터(53)을 핀(7)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이 회동력이 이젝터(53)의 구멍부(57)에 걸어맞추는 볼록부(56)을 가지는 스라이드 레이트(10)을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라이드 레이트(10)의 선단부(147)은 스위치(113)을 ON하기 위한 검지레버(148)(제 6도 참조)의 끝부분(149)과 걸어맞추고 있다.
이 끝부분(149)는 메인 베이스(1)와 수직 상방향으로 접어구부려져 있으며, 이 접어구부려진 부분과 사이드 베이스(6)와의 사이드 스라이드 레이트(10)의 선단부(147)가 걸어 맞춘다. 스라이드 레이트(10)의 화살표 방향의 이동에 의 검지레버(148)의 끝부분(149)는 화살표 F방향으로 확장하도록 회동하므로 검지레버 전체로서는 축(150)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 G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 레버 끝부분이 스위치(113)을 ON으로 한다. 스라이드 플레이트(10)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나 스라이드 플레이트(17)는 핀(31)이 캠 기어(30)의 제 1의 홈(139)에 삽입되어 있고, 캠 기어는 정지하고 있으므로 스라이드 플레이트(17)는 이동할 수 없고 스프링(21)은 늘려진 상태로 된다.
- 스위치(113)가 ON할 때 부터 STP모드까지(제 21도 - 제 23도)
스위치(113)가 ON되면 파워 모터(120)가 시동하고, 파워 모터(120)의 회전력에 의해 캠 기어(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핀(31)은 제 1의 홈(139)에 따라서 이동한다. 이로 인하여 스라이드 플레이트(17)와 이동하고, 스프링(21)으로 연결되어 있는 스라이드 플레이트(10)도 스라이드 플레이트(17)과 일체로 이동한다.
스라이더(52)가 구멍부(51)의 종단까지 오면 이젝터(53)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후 핀(59)는 스라이드 플레이트(10)에 설치된 경사진 가이드부(151)에 따라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홀더암(46)은 핀(62)을 화살표 H방향(제 23도 참조)으로 회동하고, 이것과 연동하여 홀더 암(46)과 카세트 홀더(44)의 걸어맞춤부 X.Y가 접어구불어지고 카세트 테이프는 수직 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테이프를 감아올리는 구멍이 릴 레스트에 들어가고 카세트 장착위치에 장착된다.
스라이드 플레이트(10)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 검지레버의 끝부분(149)은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의 두께분 G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에 있으나, 카세트 테이프가 카세트 장착위치에 장착되기 조금전의 지점의 스라이드 플레이트(10)와 검지레버 끝부분(149)과의 걸어맞춤부가 잘려있으며(제 20도의 노치부(152)참조), 스라이드 플레이트(10)와 검지레버 끝부분(149)과의 걸어맞춤이 빠져나가서 이에따라 스위치(113)의 스프링 압력에 의해 검지레버(148)를 원위치(EJECT할때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여 OFF로 된다.
그러나, 카세트 테이프가 카세트 장착위치에 장착된 때에 하이포지션 및 메탈 테이프가 아닌 테이프 카세트에서는 테이프 측부의 존재에 의해서 검지레버(148)는 EJECT할때의 위치로 복귀할 수 없으며, 스위치(113)을 ON상태로 유지한다.
메탈 및 하이포지션 테이프는 테이프 측부에 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검지레버(148)가 구멍안으로 들어가버리기 때문에 스위치(113)은 OFF상태까지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메탈 및 하이포지션 또는 정상 테이프의 검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13)은 파워 모터(120)의 시동스위치 및 카세트의 종류 판별스위치의 기능을 겸하고 있으며, 이것을 모드 검출스위치(111)의 각 모드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로 전환하고 있다.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의 종료시점, 즉 STP모드에서 회전각이 큰 모드에서는 스라이드 플레이트(10)가 가이드 종단에서 정지한 후에도 스라이드 플레이트(17)는 캠 기어(30)의 제 1 홈부(139)와 걸어맞추고 있는 핀(31)의 이동으로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10)의 가이드 종단보다도 약간 긴 거리를 이동하여 정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스라이드 플레이트(17)는 캠 기어(30)의 제 1의 홈(139)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프링(21)에 의한 탄성력으로 스라이드 플레이트(10)를 A방향으로 예압을 주어 경사진 캠 홈(151)을 통하여 핀(59)에 전달하고 홀더 암(46)에 화살표 H방향(제 23도 참조)으로 작동력을 주어 카세트 테이프를 카세트 장착위치에 보존한다.
-STP모드에서 FR모드까지(제 23도, 제 24도)
카세트 반입동작은 카세트 테이프가 카세트 장착위치에 장착된 시점에서 종료하나 기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캠 기어(30)는 회동하므로 핀(31)이 이동하지 않도록 FR모드까지 제 1의 홈(139)은 캠 기어(30)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방경의 위치에 구성된다.
[카세트 반출동작]
상기 동작의 역이다.
[재생시의 주행방향 전환동작]
제 25도에서 제 32도가지는 각 모드에서의 재생시 주행방향의 전환기구의 동작을 표시한 도면이다.
-EJ모드에서 AR모드까지(제 25도 - 제 28도)
재생시의 주행방향 전환이므로 EJ모드에서 AR모드까지는 동작은 하지 않고, 이 때문에 핀(31)이 캠 기어(30)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직경의 제 2의 홈(140)부분으로 이동한다.
- RP모드와 LP모드(제 29도, 제 30도)
RP모드에서는 레버(64)는 핀(65)의 이동에 의해 화살표 I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전환암(70)은 상기 화살표 I방향과 반대 J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따라 스프링(760이 볼록부(72)를 중심으로 화살표 K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스프링(76)과 걸어맞추고 있는 핀치 암(33a)이 회동하여 핀치 롤로(82a)를 캡 스턴(85)에 압착하여 테이프를 크램프한다.
이와 동시에 기어 암(83a)에 부착되고 플라이 휠(121a)의 소기어와 상시 톱니맞춤을 한 기어(840a)가 릴 레스트 하부(93a)와 서로 맞물려서 플라이 휠의 구동력을 릴 레스트에 전달한다. 이렇게 하여 재생동작을 한다. LP모드에서은 전환암(70)이 화살표 J와 반대방향 I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되고 그 후의 동작은 상술한 것과 같다. 이 결과 핀치 롤러와 플라이 휠의 축이 테이프를 통하여 걸어맞춰서 상기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재생동작을 한다.
-AR모드에서 FR모드까지
이 동안에는 동작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EJ모드에서 AR모드까지와 같은 위치에서 대기시킨다.
[헤드 구동동작]
제 34도에서 제 41도는 헤드 구동동작을 표시한 도면이다.
-EJ모드(제 34도)
헤드(4)는 테이프로 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고 카세트 테이프 외에도 헤드가 대기한 상태를 한다.
-STP모드(제 35도)
모드를 이행시키는 형편상 EJECT모드 보다도 다소 헤드(4)는 테이프에 근접하여 있으나 카세트 테이프 밖에서 헤드는 대기한 상태를 하고 있다.
DCC등으로 회전식 헤드를 사용한 경우에는 이 위치에서 오토리버스할 때 헤드(4)를 180도 회전시켜 테이프의 양면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FL모드(제 36도)
구동레버(87)의 회동에 의해 클로부(89)가 스프링(90)과 걸어맞춰서 이것을 누르므로 헤드(4)는 더욱 테이프에 가까워지나 이 위치에서 테이프의 이완제거도 하므로 이완제거시 테이프 설정 미스등을 일으킨 경우, 테이프가 바르게 설치되어 있지 않고 헤드가 카세트 테이프 반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헤드가 카세트 테이프의 내측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AL모드, AR모드(제 37도, 제 40도)
또, 클로부(89)가 스프링(90)을 누름으로써 헤들 베이스(74)가 이동하므로 헤드(4)는 테이프에 접촉한다.
-RP모드, LP모드(제 38도, 제 39도)
또, 클로부(89)가 스프링(900을 누르고, 헤드(4)는 테이프에 압접한다. 또, 이때 헤드 베이스(74)는 핀 노치부(80c),(80d)에 의해 전진규제를 받는다(제 6도 참조).
-FR모드
클로부(89)가 스프링(90)으로 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헤드 베이스(74)를 눌러 이것을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스프링(90)은 FL모드와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이 모드에서의 헤드(4)와 테이프의 거리는 FL모드의 테이프와 헤드의 거리보다도 짧다.
[빠른 전진일 때의 릴 레스트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
제 42도에서 제 49도는 빠른 전진일 때의 릴 레스트로의 구동력의 전달 선택동작을 각 모드마다에 표시한 것이다. 이하 각 모드마다 설명한다.
-EJ모드에서 STP모드(제 42도, 제 43도)
볼록부(123)는 캠 기어(30)의 중심에서 직경이 거의 같은 홈 위를 이동하므로 전환암(124)에 부착된 아이들러 기어(126)는 플라이 휠 및 릴레스트의 어느 쪽에도 맞물려 있지 않다.
-STP모드(제 43도)
모드를 이행시키는 형편상, EJ, STP모드로 부터, 전환암(12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아이들러기어(126)가 릴레스트 하부(93b) 및 플리아 휠(121b)의 큰 기어에 가까워진다.
-FL모드 및 AL모드(제 44도, 제 45도)
전환암(124)가 더 회동하여, 아이들러 기어(126)가 플라이 휠, 릴 레스트의 양쪽에 맞물리고, 플라이 휠(121b)의 구동력을 릴 레스트 하부(93b)에 전달한다.
-LP모드 및 RP모드(제 46도, 제 47도)
전환암(124)이 역방향으로 회동하고 아이들러 기어(126)는 EJ모드 및 STP모드의 위치와 같은 위치까지 후퇴한다.
-AR모드 및 FR모드(제 48도, 제 49도)
전환암(124)이 더욱 역방향으로 회동하고 아이들러 기어9126)가 플라이 휠(121a), 릴 레스트하부(93a)의 양쪽에 맞물려서 플라이 휠의 구동력을 릴 레스트에 전달한다.
[전체동작 설명]
상기 각 동작을 포함한 테이프 녹음기의 일련의 동작의 전체를 표시한 것이 제5 0 도 및 제 51도 이다. 이하 이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50도의 플로차트는 EJ모드에서 LP모드까지의 일련동작을 표시한 것이다. STEP1 - STEP5까지는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STEP6에서는 캠 기어(30)의 FL모드를 모드 검출스위치(111)로 검출하고 파워 모터(120)를 턴 오프(Turn off)하고 있다.
다음에 STEP7에서 메인 모터(5)를 ON으로 하고, 빠른 전진동작에 의해 테이프의 이완제거를 한다. 테이프 공급측 릴의 회전검출센서(114)의 출력인 종단검지펄스가 변환하면, 이완이 제거되었다고 보고, 메인 모터를 끄며(STEP10), 이완제거동작을 종료한다(STEP11), 또 공급측 릴에 테이프가 없는 경우는 양 릴리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종단이라고 마이크로 컴퓨터가 판단하여 이완제거를 종료한다(STEP9, 10, 11).
테이프의 빠른 전진동작을 개시하고서 부터 수초 경과하여도 이완제거동작이 종료하지 않을 때는 이완동작 불량으로 보고, 테이프를 이젝트한다. 또한 테이프가 끈어진 것이나 설정미스로 카세트가 릴 위에 위치한 경우는 공급되는 측의 릴이 회전하여도 공급받는 측의 릴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이상으로 판단하고 이젝트 동작을 한다(STEP9-10). STEP18에서는 스위치(113)의 ON, OFF를 검출하여 메탈 하이포지션 또는 정상테이프 인지여부를 판단한다. 그 후 재차 파워 모터를 ON하고, LP모드 또는 RP모드를 모드 검출스위치(111)가 검출한 시점에서 파워 모터를 OFF한다(STEP20).
그동안의 캠 기어(30)의 움직임에 대한 각 기구의 동작을 상술한 4개의 동작을 설명할 때 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후 메인 모터를 ON하고 캡스턴(플라이 휠)을 회전시켜서 재생상태로 한다.(STEP21, 22) 제 51도는 LP모드로 부터의 모드이행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다.
LP모드로 부터 다른 각 모드로의 모드 이행은 다음의 경우가 있다.
(1)LP모드에서 RP모드로의 이행
L재생종단에서 L,R의 릴이 함께 정지한 경우.
L재생중에 주행 전환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ON시킨 경우.
(2)LP모드에서 AL모드로의 이행
L재생중에 다음곡(또는 다음다음곡 세번째곡등)임의 접근 스위치를 ON시킨경우.
(3)LP모드에서 FL모드로의 이행
L재생중에 빠른 전진스위치를 ON시킨 경우.
L재생중에 일정시간 이상의 무음부가 있었든 경우(블랭크 스킵).
(4)LP모드에서 AR모드로의 이행
L재생중에 자곡(또는 전곡, 전전곡등)임의 접근 스위치를 온 시킨 경우.
(5)LP모드에서 FR모드로의 이행
L재생중에 빠른 되감기(REW) 스위치를 ON시킨 경우.
(6)LP모드에서 STP모드로의 이행
L재생중에 차의 키를 OFF한 경우.
RP모드에서 다른 모드로의 이행도 같다.
또 제 19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드 스위치의 EJECT모드, 되감기모드의 각 오버런 측에 오버런 모드(제 19도중 OR1, OR2)를 설치하여 EJ모드, FR모드를 잘못검지하여 지나쳐도 오버런 모드를 검지하여 되돌리는 동작(역으로 돌림)을 한다.
[다른 실시예]
제 57도는 이 테이프 녹음기를 DCC까지도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설명하여온 테이프 녹음기와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이 다르므로 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DOC가 콤팩트 카세트와 다른점은 관통한 테이프 되감기 구멍을 가지지 않는 점과 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라이드 하는 셔터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따라서 테이프를 릴 레스트에 장착할 때 까지 카세트 테이프를 확실하게 보존하는 스라이더부의 기구와 셧터를 열기위한 동작을 설명한다.
DCC(153)을 삽입하면 레버(154)의 끝부분(155)이 카세트 테이프 선단부와 걸어 맞춘다. 이렇게 하여 레버(154)가 점(15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암(157)을 누른다.
이 누르는 힘에 의해 암(157)이 축(158)을 중심으로 회동을 시작하나 이 움직임에 연동하여 암(157)의 선단에 설치된 걸어맞춤부(159)가 축(157a)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M방향으로 회동하고 DCC의 셔터의 끝부분 근처의 카세트 본체측에 형성된 노치부와 걸어맞춘다. 콤팩트 카세트 테이프의 경우에는 이 노치부가 카세트 본체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걸어맞춤부(159)는 그 위치에서 카세트의 열린측 측면을 스라이드할 뿐이지만 걸어맞춘 DCC의 경우는 걸어맞춘대로 걸어맞춤부(159)는 가이드 구멍(160)에 안내되어 셔터를 스라이드 시킴으로써 셔터를 열 수 있다.
스라이더부는 홀더암(166)의 긴 구멍부(167)를 스라이드하는 베이스부(168)와 제 58도 측면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에 상술한 카세트 테이프의 구멍부와 걸어맞추는 클로부(164)를 가지고, 타단에 DCC에 설치된 홈과 걸어맞추기 위한 클로부(162)를 가지는 부재가 대략 중앙부(163)에 베이스부(168)에 지지되어 있으며 시이소와 같은 작용을 하는 레버(161)로 구성된다.
DCC에는 카세트를 보존할 수 있도록 보존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DCC를 카세트홀더에 삽입하여가면 우선 이 보존홈은 상술한 스라이더(161)의 클로부(164)와 걸어 맞춘다. 또, DCC를 삽입하여가면 이 스라이더의 클로부(164)는 이 사면부를 이용하여 보존홈으로부터 이탈하고 DCC상으로 올라간다. 이 올라감에 의해 레버(161)는 화살표방향 N로 회동하고 클로부(162)가 아래쪽으로 향한다. 이 클로부(162)와 삽입되어 온 DCC의 보존홈이 걸어맞춘다.
이 걸어맞춤을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홀더 암(166)의 긴. 구멍(167)주위를 조금 높게 형성하고 그 위에 레버(161)에 설치된 가이드부를 올려놓게 함으로써 더욱 클로부(162)를 아래방향으로 향하게 하여도 된다. DCC가 가이드의 종단까지 이동하여 릴 레스트 방향으로 내려갈 때, 이 보존홈과 클로부(162)와의 걸어맞춤이 빠지기 쉬우므로 상기 최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카세트 홀더와 홀더 암과의 걸어맞춤부가 DCC의 릴 레스트 삽입구멍에 릴 레스트가 장착될 때 까지 구부러지지 않도록 탄성부재(165)로 누르고 있어도 된다.
카세트가 장착된 후의 동작은 지금까지 기술한 것과 같은 동작으로 재생동작을 한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1매의 원반상 캠에 설치된 4개의 다른 홈과 걸어맞추고, 상기 원반상 캠의 회동에 따라서 각각의 홈을 이동하는 핀, 이들의 핀의 이동에 연동하는 레버를 가지고, 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이 레버와 걸어맞추는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을 시키는 부재, 헤드 베이스와 이동동작을 시키는 부재,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을 시키는 부재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을 시키는 부재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하였으므로 1매의 원반상 캠으로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전달의 선택동작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의 제 1의 면에 카세트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 및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을 하기 위한 제 2의 홈을 가지고 제 2의 면에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을 위한 제 3의 홈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 전달의 선택동작을 위한 제 4의 홈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1매의 원반상 캠의 양면의 홈으로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 전달의 선택동작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을 원반상 캠의 시점에서의 회동에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및 테이프 구동기구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 빠른 전진모드, 테이프 R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모드,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의 순서로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 테이프으 R방향으로의 재생,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 및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의 동작을 1매의 원반상 캠의 회동에 의해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의 제 1의 면에 형성된 제 1의 홈과 제 2의 홈 또는 제 2의 면에 형성된 제 3의 홈과 제 4의 홈의 홈 폭이 다르도록 구성하였으므로, 1매의 원반상 캠에 형성된 홈의 홈 폭이 다르고 홈에 걸어맞추는 핀이 잘못 물리는 것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에 형성된 제 1에서 제 4의 홈 이외의 홈에 리브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1매의 원반상 캠의 홈의 식별을 명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이 소정각도 회전한 때,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중 적어도 3개의 상기 동작을 시키는 부재에서 각각의 핀에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홈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4개의 동작중 적어도 3개의 동작을 시키는 부재에서 원반상 캠에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되어 조립하기 쉽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의 제 1에서 제 4의 홈의 끝부분에 각 동작을 시키기 위한 부재에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를 동작 종료후에 작동시키기 위한 오버런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원반상 캠의 제 1에서 제 4의 홈의 끝부분에 각 동작을 시키기 위한 부재에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 이 동작종료후에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 이 원반상 캠의 각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검출스위치, 이 모드 검출스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원반상 캠의 톱니수와 같은 톱니수를 가지는 모드 검출기어, 상기 원반상 캠 및 상기 모드 검출기어의 양쪽에 맞물리는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를 동축에 배치한 전달기어를 구비하며 이 전달기어의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를 동축에 배치한 전달기어를 구비하며 이 전달기어의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의 톱니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한 양 톱니 정검을 동일 각도로 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1매의 원반상 캠 및 모드 검출기어의 양쪽에 맞물리는 전달기어에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를 동축에 배치하여 콤팩트화 할 수 있고, 또 기어의 톱니수, 양 톱니 정검을 동일각도로 하여 원반상 캠 또는 모드 검출기어가 잘못된 기어와 맞물려도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맞추는 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스라이드 플레이트, 카세트 반입시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이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걸어맞춤으로써 카세트의 반입을 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누르는 검지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검지레버는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때, 상기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의 걸어맞춤이 빠져 상기 스위치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검지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스위치의 누름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을 직접 관련시켜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소정의 위치에 스위치의 반발력에 의해 검지레버를 복귀시켜 다른 모드시에도 스위치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의 릴 레스트 장착시에 카세트 테이프의 측면과 검지레버가 걸어맞춤으로써 스위치가 눌리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상기 검지레버가 카세트 테이프의 종류의 판별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맞추는 핀을 구비한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 이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탄성체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과 함께, 동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거리를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거리보다 짧게함으로써 이동종단에 있어,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탄성체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1매의 원반상 캠을 사용하여,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종단에 스라이드 플레이트 상호간에 작동력을 작용시켜 동작을 안정하게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맞추는 제 1의 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스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스라이더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홀더내의 카세트 테이프를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에 제 2의 핀을 걸어맞추게 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릴 레스트로 부터 이탈 또는 장착시키는 홀더 암,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볼록부에 그 환상부가 배치되고 이 환상부로 부터 뻗는 한쪽이 상기 가이드 구멍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 1의 잘라일으킨 부분과 걸어맞추는 동시에 다른쪽이 상기 일단을 제 1의 잘라일으킨 부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동하도록 제 2의 잘라일으킨 부분과 걸어맞추는 탄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스라이더가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핀이 상기 가이드구멍의 연장선상에 배치된 탄성체의 한쪽과 걸어맞추도록 구성하였으므로 1매의 원반상 캠을 사용하여 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홀더암과의 걸어맞춤부의 일부에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릴 대, 이 릴 대의 배치된 마찰부재, 이 마찰부재와 접촉하고, 이 마찰부재를 통하여 구동력을 상기 릴 대로 전달하는 슬립기어, 이 슬립기어를 마찰부재를 누르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탄성체, 이 탄성체의 마찰부재를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에 누르는 힘을 표시하는 마크를 붙이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릴 레스트의 조립을 위한 스토퍼에 마킹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릴 대, 이 릴 대에 배치된 마찰부재, 이 마찰부재와 접촉하고, 이 마찰부재를 통하여 구동력을 상기 릴대에 전달하는 슬립기어를 구비하며, 이 슬립기어의 상기 릴 대와 접촉하는 부분에 테이퍼부를 설치하여 이 테이퍼부에 윤활재를 도포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릴 대, 마찰부재 및 슬립기어를 조립한 후에 윤활재를 도포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릴 레스트, 모드 검출스위치 및 이 릴 레스트와 모드 검출스위치에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를 하나의 베이스위에 배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릴 레스트, 모드 검출스위치 및 이 릴 레스트와 모드 검출스위치에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를 하나의 베이스위에 배치하여 장치가 콤팩트화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가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기판위에 부착한 것이며, 베이스에 상기 기판을 부착할 때, 베이스에 설치된 기판부착부 주위로부터 상기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배제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기판부착부 주위로부터 배제하여 조작성 및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릴 레스트가 배치된 릴 베이스, 이 릴 베이스를 부착하는 메인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릴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사이의 위치하는 상기 릴 레스트의 카세트 테이프의 되감기부를 관통시키는 구멍부와 이 구멍부의 주위에 상기 릴 레스트를 구동시키는 기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중공부(中空部)를 상기 메인 베이스에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메인 베이스에 릴 레스트의 기어부를 보호하는 중공부를 설치하여 장치를 콤팩트하게 하고 릴 레스트에 먼지등이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릴 레스트 또는 모드 검출스위치로 부터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가지는 릴 베이스, 이 릴 베이스를 부착하는 메인 베이스, 이 메인 베이스의 릴 베이스의 부착면에 배치되고, 플라이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가지며, 상기 릴 베이스로부터 상기 메인 베이스 방향으로 인출되는 상기 플린트상의 배선회로의 일부가 상기 벨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릴 베이스의 일부에 가이드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릴 베이스로부터 메인 베이스로 인출되는 프린트상 배선회로가 플라이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접촉하지 않도록 가이드부를 설치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부 위에 카세트 테이프의 판별을 하기 위한 스위치를 배치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가이드부 위에 스위치를 배치하여 스페이스를 더욱 줄일 수 있으며, 장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헤드가 부착된 헤드 베이스, 이 헤드 베이스에 배치된 탄성체, 원반상 캠에 형성된 헤드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홈에 일단이 걸어맞추고, 타단이 상기 헤드 베이스와 직접 또는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걸어맞추는 레버를 가지며, 카세트 반입 또는 반출시에는 상기 레버의 타단이 직접 헤드 베이스와 걸어맞추어 이것을 누름으로써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로 부터 헤드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헤드 베이스가 작동하고, 테이프 재생시에는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헤드 베이스를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 누르는 방향을 작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헤드 베이스가 탄성체를 통하여 구동되는 동시에 헤드 베이스는 상시 탄성력으로 작동되므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반입 또는 반출시에는 레버의 타단이 직접 헤드 베이스와 걸어맞추어 이것을 누르는 동시에 탄성체은 상기 레버의 타단과 걸어맞춰
상기 누름방향과 역방향으로 누르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카세트 반입 또는 반출시에 헤드 베이스가 이것과 직접 걸어맞추는 레버의 타단에 의해 눌러지는 동시에 탄성체는 상기 레버의 타단과 걸어맞춰 상기 누름방향과 역방향으로 눌러지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을 원반상 캠의 시점으로 부터의 회동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및 테이프 구동기구 카세트 테이프의 장치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 빠른 전진모드,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의 순 로 시키는 동시에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 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가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 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보다도 길게 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가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보다도 길고, 로딩의 경우에 생기는 카세트 테이프와 헤드와의 충돌을 회피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원반상 캠에 형성된 테이프의 빠른 전진을 위한 테이프 구동기구의 구동력전달의 선택동작을 위한 홈과 일단에 걸어맞추고, 타단에 플라이 휠과 맞물림이 가능한 기어 아이들러를 가지는 레버에 두게 제거부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일단에 원반상 캠의 홈과 걸어맞추고, 타단이 플라이 휠과 맞물림이 가능한 기어 아이들러를 가지는 레버에 두게제거부를 설치하고, 플라이 휠과 기어 아이들러의 무리한 맞물림으로부터 레버를 보호하고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카세트 홀더, 이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 삽입시에는 상기 카세트 홀더와 동일평면상에 있고, 카세트 테이프가 테이프 구동기구에 장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상기 카세트 홀더와의 접속부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홀더 암을 구비하고, 이 홀더 암과 카세트 홀더가 상기 동일면상에 있는 방향으로 탄성부재로 작동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홀더암과 카세트 홀더가 동일평면상에 있는 방향으로 탄성부재로 작동하도록 하여 카세트 테이프의 테이프 구동장치 장착전의 이탈을 방지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매의 원반상 캠에 설치된 4개의 다른 홈과 걸어맞추고, 상기 원반상 캠의 회동에 따라서 각각의 홈을 이동하는 핀, 이들의 핀의 이동에 연동하는 레버를 가지며, 이 레버의 동작에 의해 이 레버에 걸어맞추는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을 시키는 부재,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을 시키는 부재, 재싱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을 시키는 부재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을 시키는 부재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1항에 있어서, 원반상 캠의 제 1의 면에 카세트 테이프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 및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을 하기 위한 제 2의 홈을 가지며, 제 2의 면에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을 위한 제 3의 홈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을 위한 제 4의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1항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을 원반상 캠의 시점에서 회동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및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장착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 테이프의 R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의 순서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1항에 있어서, 원반상 캠의 제 1의 면에 형성된 제 1의 홈과 제 2의 홈 또는 제 2의 면에 형성된 제 3의 홈과 제 4의 홈의 홈폭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1항에 있어서, 원반상 캠에 형성된 제 1에서 제 4의 홈 이외의 홈에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1항에 있어서, 원반상 캠이 소정각도 회전한 때,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중 적어도 3개의 상기 동작을 시키는 부재에서 각각의 핀에 힘이 작용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1항에 있어서, 원반상 캠의 제 1에서 제 4의 홈의 끝부분에는 각 동작을 시키기 위한 부재에 사용되고 있는 탄성체를 동작종료후 작동하기 위한 오버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원반상 캠, 이 원반상 캠의 각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검출스위치, 이 모드검출스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원반상 캠의 톱니수와 같은 톱니수를 가지는 모드 검출기어, 상기 원반상 캠 및 상기 모드 검출기어의 양쪽에 맞물리는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를 동축에 배치한 전달기어를 구비하고, 이 전달기어의 직경이 다른 2개의 기어의 톱니수를 동일하게 하고, 또한 양 톱니정점을 동일 각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테이프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 맞추는 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 이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탄성체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과 함께 동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상기 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카세트 테이프 반입시의 양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걸어맞춤으로써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을 모터에 의해 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누르는 검지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검지레버는 상기 양 스라이드 플레이트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때 상기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걸어맞춤이 빠져서 상기 스위치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검지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9항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의 릴 레스트 장착시에 카세트 테이프의 측면과 검지레버가 걸어맞춤으로써 스위치가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테이프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맞추는 핀을 구비한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 이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와 탄성체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과 함께 동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상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거리를 제 1의 스라이드 플레이트의 이동거리보다 짧게함으로써 이동 종단에 있어 제 2의 스라이드 플레이트를 상기 탄성체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원반상 캠에 형성된 카세트 테이프 반입, 반출동작을 위한 제 1의 홈과 걸어맞추는 제 1의 핀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스라이더를 이동시키는 스라이드 플레이트, 상기 스라이더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홀너내의 카세트 테이프를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가이드 구멍에 제 2의 핀을 걸어맞춤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릴 레스트로부터 이탈 또는 장착시키는 홀더 암,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볼록부에 그 환상부가 배치되어 이 환상부로부터 뻗은 한쪽이 상기 가이드 구멍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스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 1의 잘라일으킨 부분과 걸어맞추는 동시에 다른쪽이 상기 일단을 제 1의 잘라일으킨 부분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동하도록 제 2의 잘라일으킨 부분과 걸어맞추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스라이더의 이동의 경우에는 상기 제 2의 핀이 상기 가이드 구멍의 연장선상에 배치된 탄성체의 한쪽과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릴 대, 이 릴 대에 배치된 마찰부재, 이 마찰부재와 접촉하고 이 마찰부재를 통하여 구동력을 상기 릴 대에 전달하는 슬립기어, 이 슬립기어를 마찰부재를 누르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탄성체, 이 탄성체의 마찰부재를 누르는 힘을 조절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하여, 상기 스토퍼에 누르는 힘을 표시하는 마크를 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회전하는 릴 대, 이 릴 대에 배치된 마찰부재, 이 마찰부재와 접촉하고, 이 마찰부재를 통하여 구동력은 상기 릴 대에 전달하는 슬립기어를 구비하고, 이 슬립기어의 상기 릴 대와 접촉하는 부분에 테이퍼부를 설치하며, 이 테이퍼부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릴 레스트, 모드 검출스위치 및 이 릴 레스트와 모드 검출스위치로부터 신 검출하는 회로를 하나의 베이스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는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기판위에 부착한 것이며, 베이스에 상기 기판을 부착할 때, 베이스에 설치된 기판부착부 주위에서 상기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배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릴 레스트가 배치된 릴 베이스, 이 릴 베이스를 부착하는 메인 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릴 베이스와 상기 메인 베이스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릴 레스트의 카세트 테이프의 되감기부를 관통시키는 구멍부와 이 구멍부의 주위에 상기 릴 레스트를 구동시키는 기어부를 보호하기 위한 중공부(中空部)를 상기 메인 베이스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릴 레스트 또는 모드 검출스위치에서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프린트상의 배선회로를 가지는 릴 베이스, 이 릴 베이스를 부착하는 메인 베이스, 이 메인 베이스의 릴 베이스의 부착면에 배치되고 플라이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를 가지며, 상기 릴 베이스로부터 상기 메인 베이스 방향으로 인출되는 상기 프린트상의 배선회로의 일부가 상기 벨트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릴 베이스의 일부에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제 18항에 있어서, 가이드부 위에 카세트 테이프의 판별을 하기 위한 스위치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카세트 테이프를 기록, 재생하기 위한 헤드가 부착된 헤드 베이스, 이 헤드 베이스에 배치된 탄성체, 원반상 캠에 형성된 헤드 베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홈에 일단이 걸어맞추고 타단이 상기 헤드 베이스와 직접 또는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걸어맞추는 레버를 가지며, 카세트 테이프 반입 또는 반출시에는 상기 레버의 타단이 직접 헤드 베이스와 걸어맞춰 이것을 누름으로써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 헤드를 멀리하는 방향으로 헤드 베이스를 작동시키고, 테이프 재생시에는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탄성체를 통하여 상기 헤드 베이스를 장착된 카세트 테이프에 누르는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카세트 테이프 반입 또는 반출시에는 레버의 타단이 직접 헤드 베이스와 걸어맞추고 이것을 누르는 동시에 탄성체는 상기 레버의 타단과 걸어맞춰 상기 누름방향과 역방향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카세트 테이프의 반입, 반출동작, 헤드 베이스의 이동동작, 재생시의 주행방향의 전환동작 및 빠른 전진의 경우의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구동력의 전달의 선택동작의 4개의 동작을 원반상 캠의 시점으로 부터의 회동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의 흡입 및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로의 카세트 테이프의 자착모드, 테이프 L방향으로 빠른 전진모드, 테이프 R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의 L방향으로의 재생모드, 테이프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의 순 로 시키는 동시에, 테이프 L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 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가 R방향으로의 빠른 전진모드에 의 헤드와 테이프의 거리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원반상 캠에 형성된 테이프의 빠른 전진을 위한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의 구동력전달의 선택동작을 위한 홈과, 일단에 걸어맞추고 타단에 플라이 휠과 맞물림이 가능한 기어 아이들러를 가지는 레버에 두께제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카세트 테이프를 보존하는 카세트 홀더, 이 카세트 홀더에 카세트 테이프 삽입시에는 상기 카세트 홀더와 동일평면상에 있고, 상기 카세트 테이프가 카세트 테이프 구동기구에 장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할 때 상기 카세트 홀더와의 접속부가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홀더 암을 구비하여 이 홀더 암과 카세트 홀더가 상기 동일평면상에 있는 방향으로 탄성부재로 작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녹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5037874A JP3130161B2 (ja) | 1993-02-26 | 1993-02-26 | テーププレーヤ |
JP93-37874 | 1993-02-26 | ||
PCT/JP1994/000312 WO1994019798A1 (en) | 1993-02-26 | 1994-02-25 | Tape play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40479B1 true KR0140479B1 (ko) | 1998-07-15 |
Family
ID=1250968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703700A KR0140479B1 (ko) | 1993-02-26 | 1994-02-25 | 테이프 녹음기 |
KR1019940703700A KR950701117A (ko) | 1993-02-26 | 1994-10-18 | 테이프 녹음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703700A KR950701117A (ko) | 1993-02-26 | 1994-10-18 | 테이프 녹음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5986849A (ko) |
JP (1) | JP3130161B2 (ko) |
KR (2) | KR0140479B1 (ko) |
DE (1) | DE4490959T1 (ko) |
WO (1) | WO199401979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729402A (en) * | 1996-03-13 | 1998-03-17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Logic controlled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JP2006244652A (ja) * | 2005-03-04 | 2006-09-14 | Mitsumi Electric Co Ltd | テープカセット記録再生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026359B (it) * | 1975-01-15 | 1978-09-20 | Spem Srl | Dispositivo di frizione a carico constante specialmente adatto per l applicazione nei registratori a nastro |
JPS5438885Y2 (ko) * | 1975-08-18 | 1979-11-19 | ||
DE2540534A1 (de) * | 1975-09-11 | 1977-03-24 | Lenco Ag | Reibungskupplung, insbesondere fuer tonbandgeraete |
DE2613181C3 (de) | 1976-03-27 | 1978-12-21 | Rollei-Werke Franke & Heidecke, 3300 Braunschweig | Kurven-Steuergetriebe |
JPS554761A (en) * | 1978-06-28 | 1980-01-14 | Nakamichi Corp | Mode switching device of cassette tape recorder |
JPS5927985B2 (ja) * | 1980-02-08 | 1984-07-10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磁気テ−プ装置 |
JPS5880151A (ja) * | 1981-11-02 | 1983-05-14 | Pioneer Answerphone Mfg Corp | テ−プレコ−ダの駆動機構 |
JPS58201213A (ja) * | 1982-05-19 | 1983-11-2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ビデオテ−プレコ−ダ用パルススイツチ |
JPS58109845U (ja) * | 1982-11-24 | 1983-07-26 | ナカミチ株式会社 | カセツト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装置 |
JPS6044235U (ja) * | 1983-08-30 | 1985-03-28 | 株式会社ゼロエンジニアリング | カム作動機構 |
KR900001009B1 (ko) * | 1983-11-23 | 1990-02-24 | 다나싱 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 테이프 레코더 |
JPS6198240U (ko) * | 1984-12-05 | 1986-06-24 | ||
JPS61280071A (ja) * | 1985-06-04 | 1986-12-10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カセット装着・排出および動作モ−ド切換装置 |
JPH0450600Y2 (ko) * | 1985-07-25 | 1992-11-30 | ||
JPS6276047A (ja) * | 1985-09-30 | 1987-04-08 | Toshiba Corp | モ−ド切替装置 |
JPS632144A (ja) * | 1986-06-23 | 1988-01-07 | Nippon Technical Co Ltd | カセツトテ−ププレ−ヤ |
US4907110A (en) * | 1987-01-19 | 1990-03-06 | Canon Kabushiki Kaisha | Tape loading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JP2565203B2 (ja) * | 1987-06-30 | 1996-12-18 | ソニー株式会社 |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
JPH0196559U (ko) * | 1987-12-18 | 1989-06-27 | ||
JPH0450572Y2 (ko) * | 1987-12-25 | 1992-11-30 | ||
US5179871A (en) * | 1988-02-29 | 1993-01-19 | Fuji Photo Film Co., Ltd. | System for unloading a memory cartridge |
JPH01133330U (ko) * | 1988-03-04 | 1989-09-11 | ||
US5105320A (en) | 1988-03-15 | 1992-04-14 | Clarion Co., Ltd. | Operation mode switching and loading-eject mechanism for a tape player |
JPH01307963A (ja) * | 1988-06-07 | 1989-12-12 | Clarion Co Ltd | テーププレーヤの作動装置 |
JPH0614297Y2 (ja) * | 1988-06-02 | 1994-04-13 |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走行方向制御装置 |
JPH07114048B2 (ja) * | 1988-07-26 | 1995-12-06 |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 車載用テープカセット再生装置 |
DE68921386T2 (de) * | 1988-08-11 | 1995-06-29 | Victor Company Of Japan | Magnetisches Aufnahme-/Wiedergabegerät für selektiven Gebrauch mit Bandkassetten zweier verschiedener Grössen. |
JPH02113826A (ja) * | 1988-10-25 | 1990-04-26 | Kyoritsu Yuki Co Ltd | 顆粒状培養土の製造法 |
KR920008476B1 (ko) * | 1988-12-30 | 1992-09-30 | 금성알프스전자 주식회사 | 디에이티의 카세트 로딩장치 |
JPH0743791Y2 (ja) | 1989-02-07 | 1995-10-09 |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 テープレコーダ装置 |
JP2844666B2 (ja) * | 1989-05-15 | 1999-01-06 | 三菱電機株式会社 | 磁気記録再生装置 |
JPH0410136A (ja) | 1990-04-27 | 1992-01-14 | Nec Corp | スーパーバイザプログラム呼出し制御方式 |
GB2262379B (en) * | 1991-07-10 | 1996-01-31 | Funai Electric Co | A device for loading/unloading a tape cassette |
DE4220702C2 (de) * | 1991-07-10 | 2001-02-15 | Funai Electric Co | Vorrichtung zum Antrieb einer Bandkassette |
JPH05182290A (ja) | 1991-12-27 | 1993-07-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テープ種類検出装置 |
KR940006550B1 (ko) * | 1992-06-17 | 1994-07-22 | 주식회사 금성사 | 자기기록 재생기의 더블 모드 스위치 장치 |
WO1994001850A1 (en) | 1992-07-13 | 1994-01-20 | Instrument Flight Research, Inc. | Night vision goggle simulator |
-
1993
- 1993-02-26 JP JP05037874A patent/JP3130161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4
- 1994-02-25 KR KR1019940703700A patent/KR0140479B1/ko active
- 1994-02-25 DE DE4490959T patent/DE4490959T1/de active Pending
- 1994-02-25 WO PCT/JP1994/000312 patent/WO199401979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1994-10-18 KR KR1019940703700A patent/KR950701117A/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
- 1997-02-28 US US08/808,313 patent/US5986849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
- 1999-04-14 US US09/291,284 patent/US6185064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6-28 US US09/340,043 patent/US614909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149090A (en) | 2000-11-21 |
JP3130161B2 (ja) | 2001-01-31 |
WO1994019798A1 (en) | 1994-09-01 |
KR950701117A (ko) | 1995-02-20 |
JPH06251454A (ja) | 1994-09-09 |
DE4490959T1 (de) | 1995-04-27 |
US6185064B1 (en) | 2001-02-06 |
US5986849A (en) | 1999-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10005104B1 (ko) | 테이프 플레이어 | |
KR0140479B1 (ko) | 테이프 녹음기 | |
EP0710954B1 (en) |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using a tape cassette | |
US5396381A (en) | Apparatus for identifying a type of tape cassette inserted into a tape recorder | |
EP0431860B1 (en) | A tape player having a rotary head | |
US5029036A (en) |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 |
US5006941A (en) | Reversible drive mechanism for a tape recording apparatus | |
US4954915A (en) | Automatic cassette changer | |
US5691858A (en) |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single master gear and slide member | |
EP0944061B1 (en) |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 |
JP3130300B2 (ja) | テーププレーヤ | |
US4809101A (en) | Automatic stopping mechanism for a tape feeding device | |
US5018032A (en) | Audio reproduction device with head base moving mechanism | |
JPH05993Y2 (ko) | ||
US5029028A (en) | Single-motor changing tape player | |
JPH054120Y2 (ko) | ||
JPH082818Y2 (ja) | 音響再生装置 | |
JPH0516657Y2 (ko) | ||
JPS5923239Y2 (ja) | テ−プレコ−ダの可動部材摺動機構 | |
JPH05992Y2 (ko) | ||
KR900005633Y1 (ko) | 디에이티 및 브이 씨 알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 |
JP2667843B2 (ja) | テープレコーダ | |
JP2736828B2 (ja) | 磁気記録再生装置 | |
JP2922254B2 (ja) |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機構 | |
JP2570831Y2 (ja) | カセットテーププレー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