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974B1 -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974B1
KR0138974B1 KR1019930010588A KR930010588A KR0138974B1 KR 0138974 B1 KR0138974 B1 KR 0138974B1 KR 1019930010588 A KR1019930010588 A KR 1019930010588A KR 930010588 A KR930010588 A KR 930010588A KR 0138974 B1 KR0138974 B1 KR 0138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t
styrene
weight
styrenic polymers
benz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0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486A (ko
Inventor
홀쯔마이어 페터
Original Assignee
볼프강 슈티헤를링, 카를 슈록스
휠스 아크티엔게잴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09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3897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슈티헤를링, 카를 슈록스, 휠스 아크티엔게잴샤프트 filed Critical 볼프강 슈티헤를링, 카를 슈록스
Publication of KR940000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2/06Hydrocarbons
    • C08F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08J9/20Making expandable particles by suspension 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the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08F4/32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는 여전히 비교적 다량의 벤젠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벤젠 농도가 매우 낮은 스티렌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스티렌 중합체를 발포시켜 발포입자를 제조한다.

Description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잔류 단량체의 함량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벤젠의 농도가 현저히 낮은 조악한 비드형 미립상 액체 발포제 함유 스티렌 중합체(EPS)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미립상 발포체는 구획 포장 및 특히 단열재로서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여겨져 왔다. 이들은 액체 발포제의 존재하에 스티렌의 현탁중합에 의해 산업적으로 제조된다. 공정중 먼저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를 가열에 의해 발포시켜 발포 입자를 제조한 다음 밀폐된 금형에서 말칙시켜 성형품을 제조한다.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스티렌의 현탁중합은 통상 2개의 상이한 온도 단계를 가지며 중합 개시제로서 반감기가 상이한 2개의 과산화물을 사용하는 불연속공정으로 수행된다.
대개 제 1중합단계에서는 80 내지 90℃에서 디벤조일 과산화물이 사용되고, 제 2중합단계에서는 105 내지 130℃에서 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분해되는 3급-부틸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잔류 단량체의 함량을 가능한 한 감소시킨다.
당해 방법의 단점은 이렇게 수득한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가 0.002 내지 0.01중량%, 통상적으로 0.003 내지 0.005중량%로 벤젠을 함유하는 것이다. 처리공정중에 스티렌 중합체의 열처리에 의해 약 70 내지 80중량%의 벤젠이 유리된다. 따라서 가공된 성형품에 있어서 벤젠의 농도는 여전히 0.0005 내지 0.001중량%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벤젠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를 제조하여 처리공정중에 바람직하지 않은 벤젠의 배출을 방지하고 벤젠을 거의 함유하지 않는 발포 성형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당해 목적은 스티렌의 현탁중합시 제2개시제 대신 상이한 스티렌 가용성 과산화물을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지장족 및 지환족 퍼케탈, 특히 2,2-비스(3급-부틸퍼옥시)부탄과 1,-비스(3급-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 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 특히 2-에틸헥실 3급-아밀 퍼옥시카보네이트와 2-에틸헥실 3급-부틸 퍼옥시카보네이트는 본원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스티렌의 현탁중합에 있어서 일작용성 및 이작용성 비방향족 개시제의 용도는 이미 2개의 일본국 공개공보 제 56167706호 및 제 60031536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에서 당해 개시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중합체에서 벤젠의 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특정 분자량 분포를 성취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미립형 스티렌 중합체의 벤젠 함량은 위에서 언급한 개시제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0.0005중량% 미만의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벤젠 농도가 0.0002중량% 미만인 발포제에 의해 폴리스티렌 발포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립상 스티렌 중합체는 3급-부틸 퍼벤조에이트를 사용하여 중합시킨 통상적인 생성물에 비해 사실상 잔류 단량체 함량이 더 낮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관련하여 가장 분명한 효과는 중합공정 사이클을 변화시키지 않고 2-에틸헥실 3급-아밀 퍼옥시카보네이트와 2,2-비스(3급-부틸퍼옥시)-부탄을 사용하여 0.04중량% 미만의 잔류 단량체 함량을 수득함으로써 드러난다.
본 발명은 스티렌을 수성 현탁액에서 통상적인 현탁 안정화제의 존재하에 80 내지 130℃에서 중합시키고 액체 발포제로서 C3-C6-탄화수소를 3 내지 15중량% 가하며, 이때, 유리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이의 반감기면에서 필적할 만한 과산화물(예를 들면,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및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을 언급할 수 있다)을 0.15 내지 0.5중량% 가하고 당해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분해되는 과산화물로서 위에서 언급한 과산화물 중의 하나를 0.1 내지 0.4중량% 기하여 미립상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티렌 중합체는 폴리스티렌과 스티렌을 50중량% 이상 함유하는 공중합체이다. 적합한 공단량체는, 예를 들면, α-메틸스티렌, 핵에서 할로겐화된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에슬르 및 탄소수가 1 내지 8인 알콜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와 N-비닐 카바졸과 같은 N-비닐 화합물이다.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는 단지 팽윤하는 액체 발포체로서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n-펜탄, 1-펜탄, 네오펜탄, 헥산 및 사이클로헥산 또는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과 같은 C3-C6-탄화 수소를 3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중량% 함유한다.
공지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현탁 안정화제는 유기 보호 콜로이드(예 :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를로즈) 뿐만 아니라 수용성 분산제(예 : 미분 인산삼칼름, 산화마그네슘 및 인산바륨) 및 유기 보호 콜로이드와 수용성 분산제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또한 스티렌 중합체는 팽윤성 제조물에 특이한 성질을 부여하는 유효량의 통상적인 다른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명제(예 : 테트라브로모사이클로육탄, 헥사브로모사이클로옥탄 및 브롬화 포릴부타디엔)뿐만 아니라 방염제에 대한 상승제(예 : 디큐밀 퍼옥사이드) 및 373˚K에서 반감기가 2시간이상인 기타 유리 라딜칼 형성제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는 첨가제(예 : 염료 및 충전제) 및 안정제를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먼저 현탁 매질로서 물 240kg,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400g, 인산삼칼슘 800g 및 EDTA 24g을 600ℓ용량의 반응기에 충전시킨다. 여기에 유기상으로서 스티렌 240kg 중의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960g 및 2-에틸헥실 3급-부틸 퍼옥시카보네이트 480g의 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1시간 동안 90℃까지 가열하여 이온도를 3.5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어서 1시간동안 110℃까지 가열하면서 측량한 폴리비닐 알콜 120g 및 펜탄 20.4kg을 사용하여 후속 안정화시킨다. 추가로 중합시간 6.5시간 후, 배취를 냉각시키고 흡인 여과기를 통해 비운 다음미립상 중합체를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채를 통과시킨다.
수율 : 235kg
K값 : 53.9
모노스티렌 : 385kg
벤젠 : 4.7mg/kg
액체 발포제 함량 : 6.18중량%
물함량 : 0.09중량%

Claims (5)

  1. 제2온도단계에서 사용되는 개시제가 지방족 또는 지환족 퍼케탈 또는 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여, 수성 현탁액 속에서 2개의 이상한 온도단계로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불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퍼케탈이 2,2-비스(3급-부틸퍼옥시)부탄 또는 1,1-서비스(3급-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모노퍼옥시카보네이트가 2-에틸헥실 3급-아밀 퍼옥시카보네이트 또는 2-에틸헥실 3급-부틸 퍼옥시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디벤조일 퍼옥사이드가 제2온도단계에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중합이 제1단계에서는 80 내지 90℃에서 수행되고 제2단계에서는 105 내지 130℃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30010588A 1992-06-13 1993-06-11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KR0138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219379A DE4219379A1 (de) 1992-06-13 1992-06-13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rlförmige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isaten
DEP4219379.6 1992-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486A KR940000486A (ko) 1994-01-03
KR0138974B1 true KR0138974B1 (ko) 1998-05-01

Family

ID=646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0588A KR0138974B1 (ko) 1992-06-13 1993-06-11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266603A (ko)
EP (1) EP0574665B1 (ko)
JP (1) JP2659506B2 (ko)
KR (1) KR0138974B1 (ko)
CN (1) CN1080293A (ko)
AT (1) ATE138946T1 (ko)
BR (1) BR9302291A (ko)
CA (1) CA2098240A1 (ko)
DE (2) DE4219379A1 (ko)
ES (1) ES2088187T3 (ko)
FI (1) FI932631A (ko)
MX (1) MX9303462A (ko)
NO (1) NO300896B1 (ko)
TW (1) TW2847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8990A1 (de) * 1989-03-18 1990-09-20 Skf Gmbh Vorrichtung zum beladen von messtischen
US5591778A (en) * 1995-08-14 1997-01-07 Basf Aktiengesellschaft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xpandable polystyrene
US5760149A (en) * 1996-08-23 1998-06-02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Poly(monoperoxycarbonates)
DE19749570A1 (de) * 1997-11-10 1999-05-1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isaten
WO1999054391A1 (en) * 1998-04-17 1999-10-28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xpandable polymer particles
DE19835495A1 (de) * 1998-08-06 2000-02-1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isaten
EP1251143B1 (en) * 2001-04-17 2012-07-18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Monovinylaromatic polymer with improved stress crack resistance
US6608150B1 (en) * 2002-10-08 2003-08-19 Atofina Chemicals, Inc. Preparation of expandable styrene polymers
DE102004034527A1 (de) * 2004-07-15 2006-02-1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en mit verbesserter Expandierbarkeit
EP1924641A1 (en) * 2005-08-08 2008-05-28 Albermarle Corporation Flame retarded styrenic polymer foams and foam precursors
US9260650B2 (en) 2012-08-29 2016-02-16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Methods for hindering settling of proppant aggregates in subterranean operations
RU2624599C1 (ru) * 2016-06-20 2017-07-04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Госкорпорация "Росатом")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крупногабаритного объекта
CN113265017A (zh) * 2021-05-24 2021-08-17 仲恺农业工程学院 用于制备聚苯乙烯的悬浮聚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98376A (ko) * 1948-09-28
US3192169A (en) * 1965-01-07 1965-06-29 Kenneth W Doak Method of making expandable polymeric styrene particles
DE2714800A1 (de) * 1977-04-02 1978-10-1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netzten schaumfaehigen formkoerpern aus olefinpolymerisaten
US4129531A (en) * 1977-12-14 1978-12-12 Pennwalt Corporation Crosslinking of polymers with azo-esters
US4465792A (en) * 1982-06-24 1984-08-14 Standard Oil Company, A Corporation Of Indiana Process for producing flexible polyester foam
US4460748A (en) * 1982-07-06 1984-07-17 Luperox Gmbh Process for crosslinking and, if desired, foaming natural or synthetic homo- and/or copolymers
DE3436877A1 (de) * 1984-10-08 1986-04-10 Luperox GmbH, 8870 Günzburg Vernetzung von styrolpolymeren
US4692269A (en) * 1985-09-25 1987-09-08 Pennwalt Corporation Gas-releasing composition for tailoring gas evolution of system
US4636528A (en) * 1985-09-26 1987-01-13 Pennwalt Corporation Foaming of unsaturated polyester resin at elevated temperatures
JPH01161004A (ja) * 1987-07-24 1989-06-23 Kayaku Nuurii Kk スチレンの懸濁重合方法
DE4038044A1 (de) * 1990-11-29 1992-06-04 Basf Ag Expandierbare styrolpolymerisate mit hoher expandierbar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486A (ko) 1994-01-03
JPH0680708A (ja) 1994-03-22
FI932631A (fi) 1993-12-14
BR9302291A (pt) 1994-01-11
ES2088187T3 (es) 1996-08-01
NO300896B1 (no) 1997-08-11
EP0574665B1 (de) 1996-06-05
JP2659506B2 (ja) 1997-09-30
ATE138946T1 (de) 1996-06-15
FI932631A0 (fi) 1993-06-09
DE4219379A1 (de) 1993-12-16
CA2098240A1 (en) 1993-12-14
US5266603A (en) 1993-11-30
EP0574665A1 (de) 1993-12-22
CN1080293A (zh) 1994-01-05
NO932193L (no) 1993-12-14
TW284775B (ko) 1996-09-01
DE59302797D1 (de) 1996-07-11
MX9303462A (es) 1994-01-31
NO932193D0 (no) 199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3757A (en) Process for producing expandable thermoplastic resin beads using polypropylene as nucleus
EP1608698B1 (en) Expandable vinylaromatic poly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0138974B1 (ko) 비드형 팽윤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방법
US3657162A (en) Process of making expandable polymeric styrene particles
US3192169A (en) Method of making expandable polymeric styrene particles
US3468820A (en) Production of particulate expandable styrene polymers
US3503908A (en) Method of making expandable polymers
US3558534A (en) Molding expandable alkenyl aromatic polymer beads
US4980381A (en) Preparation of bead-form expandable styrene polymers
US5783612A (en) Expandable styrene polymers
US5596045A (en) Expandable styrene polymers containing recycled material
CA1193800A (en) Pre-expanded plastic beads based on poly-para- methylstyrene
EP0049171B1 (en) Expandable styrene polymer particles, a method of producing the particles and foamed styrene polymer articles obtained from the particles
KR20060012583A (ko) 스티렌을 중합시키기 위한 퍼옥사이드 투여 공정을포함하는 현탁 방법
KR100904319B1 (ko) 발포성 스티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US3832312A (en) Process for making foamed styrene polymers photodegradable
JPH04183706A (ja) スチレン改質ポリエチレン系樹脂粒子の製造法
US4497912A (en) Fine particulate, expandable styrene polymer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rapidly mold-ejected cellular bodies
JPS6213442A (ja) カ−ボン含有発泡性スチレン系樹脂粒子の製法
US5698603A (en) Expandable styrene polymers containing recycled material
US3553112A (en) Expandable alkenyl aromatic polymers containing incorporated expandable alkenyl aromatic polymers
JPH08511564A (ja) 優れた発泡性能を有するパール状発泡性スチレン重合体の製造法
JPS6338063B2 (ko)
JPS5921341B2 (ja) 発泡性熱可塑性重合体粒子の製造法
US4407979A (en) Process for forming fast-cool vinyl aromatic expandable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